최근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쇼핑 정보 공유 카페에선 최근 이런 문의가 수시로 올라온다. 5만원짜리 상품권 값이 최대 4만5900원까지 내려가면서다. 문의자들 사이에선 9.2%라는 파격적 할인율이 화제가 됐다. 하지만 답변은 대부분 ”사지 마세요“, ”위험합니다“ 등 만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부 고객들 사이에서 티몬과 관련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어서다. 티몬을 소유한 e커머스(전자상거래) 기업 큐텐(Qoo10)이 일부 입점사들에 판매대금을 정산해주지 못하고 있는 사실이 알려진 게 계기가 됐다.
(중략)
현재 정산금 미지급 피해자는 수백 명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적게는 1200만원에서 많게는 27억원대까지 정산금이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큐텐 글로벌에 입점해 미국에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한 판매자는 지난달부터 판매 대금이 들어오지 않아 8만 달러(1억1000만원)가량을 정산받지 못했다. 또다른 위메프 입점 셀러도 판매 대금의 절반가량 정산이 안 돼 약 4000만원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략)
업계에서는 이른바 ‘현금깡’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부족해진 현금을 메우기 위해 상품권 판매 금액은 먼저 현금으로 받고, 결제 대금은 한참 뒤에 지급하는 전략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상품권은 높은 할인율 등 혜택이 있으면 수요자가 몰려 즉각 현금화할 수 있고, 그 판매 대금은 발행사에 늦게 지급할 수 있다. 일부 상품권을 산 사람들이 기한 내에 상품권을 쓰지 않으면 남은 돈으로 일명 ‘낙전 수익’도 올릴 수 있다.
상품권 판매 시점과 발송 시점의 시차를 활용해 확보한 현금을 당장 급한 곳에 자금으로 활용하려는 꼼수라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당장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을 때 상품권 대량 판매는 유통 업체들에겐 쉬운 선택이 되지만 그만큼 위험성이 있어 경계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요즘 말이 많은 큐텐이 인수한 이커머스 기업은 인터파크, 티몬, 위메프, AK몰 등이고 현재 정산 미지급 사태와 맞물려 상품권을 저렴한 가격에 파는 업체들이 생겨나서 석연치않아 하는 분위기같아. 혹시나 제2의 머지포인트사건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어보이니 여시에서는 사지말고 지켜보길 바라는 마음에 올려!!!
첫댓글 티몬에서 무슨 물건을 사는거 자체가 위험한가...? 콘서트 티켓같은거 샀는데...
문상같은 경우에는 전례없이 저렴한 가격에 파는데 ‘4주 후 발송’이라는 조건 등 ‘선주문 후사용’으로 팔고 있어서 더 의심하는 상황이야! 주문하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머지처럼 나를까봐
@2024년에는 ㅜㅜ고마워 티켓은 이미 받은거니까 괜찮겠지..
문상사야되서 기다리고있었는데 이럴수가ㅠㅠㅠㅠ
셀러들한테 정산이 안되면 나중에 소비자가 결제를 해도 셀러들이 물건 발송 안할 수 도 있으ㄴ까...! 위험할수도 ㅜㅜ
여시말이 맞아!
할인해서 판매하는 상품권들이 ’선주문 후사용‘ 조건으로 판매하고있어서 소비자도 위험할 수 있어
헐 미친
걍 티몬어플 삭제함..
나두
머지포인트도 개처럼 물려있는데 티몬은 당하지않으리....
삭제된 댓글 입니다.
인터파크티켓은 트리플(야놀자)가 인수라서 티몬인수한 큐텐이랑 다르다고 알고있어서
공연관람에는 문제없을꺼같아
@핫다욤 오.. 다행이다ㅜㅜ 나도 내한오는 가수 콘서트 표 여러장 티켓팅해놔서 걱정했는데..
그럼지금 저 티켓말고다른거구매는괜찮은건가?!요즘티몬분위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