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구참선(活句參禪)은 화두를, 선지식으로부터
화두를 타가지고, 그 화두라고 허는 것은 의심으로
관하는 것입니다. 의심이 없이 들이다보고 고요한 속에 들어가 있으면 그것은 활구참선이 아닌 것입니다.
참선을 잘못허면
고요한 것을 들여다보고 그 고요하고 적적한 그 경지에 따악 잠겨있으면 한 시간이고 두 시간이고 열 시간이고 시간 가는 줄을 모르는데 그것은 묵조사선(黙照死禪)이라고 해서 깨달음에 이르지 못하는 삿된 공부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소의지하(小疑之下)에 소오(小悟)하고,
적은 의심에서는 적게 깨닫고,
대의지하(大疑之下)에 대오(大悟)라,
의심이 크고 큰 의심 아래에서는 크게 깨닫는다.
무의지하(無疑之下)에 무오(無悟)다,
의심이 없으면 깨닫... 깨달음이 없다.
조사스님께서 그리 말씀허셨습니다.
활구참선은 의심이 근본이고 의심이 바로 공부해나가는 요점인 것입니다.
이 가운데는 이미 화두를 타고 참선공부를 하신 분도
많이 있고 오늘 화두를 탈랴고 허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화두라고 헌 말은 옛날에는 없었지만
중생들의 근기에 따라서 그 화두를 주어가지고 그 화두를 참구허도록 그런 참 묘한 길을 열어주셨습니다.
육조스님께서... 육조단경을 보신 분은 알겠지마는
한 물견이 있으니 볼라야 볼 수 없고 알라야 알 수 없고
잡을라야 잡을 수 없으니, 소소영영하기를 해와 달과
같고, 그러헌 그 물견이 대관절 무엇이냐?
그런 법문을 허셨는데 그것이 바로 ‘시삼마(是甚麽)
’화두인 것입니다. 이 무엇고?’ 화두입니다.
그렇게 내려오던 것을 임제스님께서 정식으로
체계를 세워서 화두공안을 참구허도록 그렇게 법을
설하셨습니다.
‘이 무엇고?’
눈으로 무엇을 보거나 귀로 무엇을 듣거나
행주좌와 어묵동정간에,
눈으로 볼 때는 참... 참선이... 참선을 헐 줄 모르는 사람은 눈으로 무엇을 보면 보는 데로 쫓아가서 분별심을
내고 귀로 무슨 소리를 들으면 그 소리 나는 데를 따라가가지고 분별심을 내고 번뇌와 망상을 내는 것입니다.
무슨 생각이 일어나면, -그 생각이라고 허는 것은
우리가 살아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생각이
일어났다 일어나가지고 발전... 이리저리 발전했다가
결국은 꺼지는데
그 생각은
우리 중생들은 그게 다 번뇌요 망상이요
생사윤회에 근본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활구참선(活句參禪)은
눈으로 무엇을 볼 때에도 ‘이 뭣고?’
귀로 무슨 소리를 들어도 그리 쫓아가지 않고 그 듣는 것을 발판으로 해서 ‘이 뭣고?’
무슨 생각이 일어나되 좋은 생각이 일어나거나 기분 나쁜 생각이 일어나거나 썽이 나거나 남을 미워하는 생각이
나거나 무슨 생각이 일어나더라도
그 생각이 두 번째 생각으로 번지기 전에 거기에 즉해서 ‘이 뭣고?’
또 숨을 떠억 들어마셔가지고 내쉬면서 ‘이 뭣고?’
이렇게 허면, 썽냈던 마음도 가라앉고 미워허던 생각도 가라앉고 생각 생각을 그렇게 단속해나가고 잡두리를
해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참선은
이 사바세계, 생로병사가 곤두박질치는 이 사바세계에
있어서도 이 활구참선을 바로 알고 바로 단속해나가면, 마치 연꽃이 더러운 흙탕물 속에 뿌리를 박고 있으면서도 그 이파리에도 때가 묻지 않고 거기서 피는 연꽃도 조끔도 더러운 것이 묻지 않고 향그러... 향그러운 연꽃이 피어나는 거와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첫댓글 일체 중생 참 나를 깨달라 생사의 윤회에서 벗어 나기를 발원합니다 _()_
고맙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