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왜 욕을 하는 걸까요?
학령기 아동과 십대 초반의 욕설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 입니다. 그것은 종종 고통스럽거나 속상하거나 실망스러운 것에 대한 반응입니다.
아이들은 또한 사회적으로 적합하다고 맹세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그룹의 일부가 되려고 하거나 웃기게 보이거나 그들의 대화에 충격적인 가치를 더함으로써 눈에 띄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욕을 할 때 다른 사람을 모방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강한 반응을 얻기 때문에 욕을 합니다.
우리 아이들은 어디서 욕설을 배울까요?
아이들은 가정 안팎에서, 그리고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출처에서 욕설을 퍼뜨립니다. 모든 아이들이 부모로부터 욕을 배우는 것은 아닙니다.
친구와 동료들도 자녀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들은 놀이 친구, 학교 친구 및 나이가 많은 아이들을 포함하도록 사회적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새로운 단어를 습득하게 됩니다.
아이가 욕할 때 해야 할 일
자녀가 욕을 하는 이유를 알면 가장 좋은 대응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학령기 아동 및 십대 미만 아동과 단어 선택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들은 욕설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할 수도 있고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거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아이가 반응을 얻기 위해 욕하는 경우
부모의 반응은 자녀가 다시 욕을 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웃거나 강하게 반응하면 아이가 관심을 받고 다시 할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침착함을 유지하고 자녀가 사용한 단어가 옳지 않다는 것을 명확하게 설명하십시오. 그 단어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다고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미래의 욕설을 방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이가 사회적으로 어울리기 위해 욕하는 경우
어울리겠다고 맹세하기 자녀가 사회적으로 어울리겠다고 맹세하는 것 같다면, 왜 친구들이 욕을 한다고 생각하는지 자녀와 이야기 해 보십시오. 자녀가 받아들여진다고 느낄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녀가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멋진' 표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커가면서 다른 그룹의 사람들과 다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부 단어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가 많은 자녀가 친구들 앞에서 욕을 하지 않기를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자녀가 어떤 말이 덜 모욕적인지 이해하도록 도울 수는 있습니다.
아이가 분노와 좌절감으로 인해 욕하는 경우
욕설이 분노나 좌절감 때문에 아이가 욕을 한다면 아이가 감정에 이름을 붙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자녀가 이러한 감정을 느끼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지만, 더 적절한 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가 분노나 좌절과 같은 강한 감정으로부터 진정되도록 도와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다음 10까지 세거나, 심호흡을 하거나, 어려운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과 같은 강한 감정을 관리하는 다른 방법을 자녀에게 가르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가 불쾌감을 주지 않는 다른 단어를 사용하도록 격려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뒤집기' 또는 '떨림' 또는 귀하와 귀하의 자녀가 함께 만들어내는 재미있는 단어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학령기 어린이는 욕설의 의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통해 좋은 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녀가 이에 대한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되면 이 단어가 무엇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는지 자녀에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왜 좋지 않은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것은 똥에 대한 단어입니다. 우리 가족은 그 단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는 그 단어가 인종차별적이거나 성차별적이거나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무례하게 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욕설 자제 및 존중하는 언어 장려
장기적으로 욕설을 억제하고 싶다면 가족의 어른들이 허용되는 언어에 대해 논의하고 동의한 다음 자녀와 함께 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출 시 자녀 주위에서 욕설을 퍼붓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자녀가 가정에서 무엇을 용인할 수 있는지 알도록 도울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가정에서는 '맙소사'와 같은 표현은 괜찮지만 다른 표현은 그렇지 않습니다.
존중하는 언어에 대한 가족 규칙이 있는 경우 자녀가 용납할 수 없는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지적하는 것이 더 쉬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좀 더 존중하는 말을 사용해 주세요' 또는 '기억하세요, 우리 집에서 사용하는 단어가 아닙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욕설에 관한 규칙이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에게도 적용 된다면 어린이들에게는 덜 혼란스럽습니다 . 자녀가 욕설을 피하도록 하려면 귀하와 집에 있는 다른 어른들도 욕설을 피해야 합니다.
당신이 공동 양육 중이고 당신과 당신의 전 파트너가 욕설에 대한 규칙에 동의할 수 없다면, 자녀에게 당신에게는 다른 규칙이 있다고 말하고 어떤 단어가 집에서 옳지 않은지 말하십시오. 아이들은 욕을 해도 되는 시기와 장소에서 아주 빨리 배울 수 있습니다.
다음은 존중하는 말을 장려하고 가족 내에서 욕설을 줄이기 위한 더 많은 아이디어입니다.
-가정에서는 받아들일 수 있는 말들이 학교(또는 교회나 다른 아이들의 집)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자녀에게 설명하십시오. 다른 장소에는 다른 규칙이 있습니다.
-욕설을 멈추기 어려울 때 사용할 다른 단어와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는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십시오. 예를 들어, 욕 대신에 '정말 답답하거나 화가 나네요'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감정을 표현하는 더 나은 방법을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귀하가 욕하는 것을 들었다면 귀하가 욕을 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자녀가 화나 좌절감을 더 적절하게 다루는 것을 발견하면 칭찬 하십시오. 예를 들어, 아이가 친구가 자신을 놀리기 위해 욕설을 사용했다고 말한다면 아이가 그 상황을 피하고 스스로 그 단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에 대해 칭찬하십시오.
-자녀가 무엇을 보고, 듣고, 가지고 노는지 주의하십시오. 자녀가 YouTube 및 TikTok과 같은 플랫폼에서 무엇을 보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TV 프로그램, 영화, 게임 및 앱에 대한 등급을 확인하세요 . 또한 TV, 컴퓨터 및 기타 장치를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욕을 계속할 때
어떤 아이들은 하지 말라는 말을 듣고도 계속해서 욕설을 지속하는 상황에 처한 경우 다음 전략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규칙을 명확하게 명시하십시오. 예를 들어, '우리 가족은 존중하는 언어를 사용합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을 향한 모욕적인 행동이나 언어를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히십시오. 학령기 아동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것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용한 시간이나 타임아웃 , TV 시간, 용돈 등과 같은 특권 상실과 같은 욕설을 들으면 어떤 결과가 초래될 것인지 자녀에게 말하십시오.
-평소에 하던 욕설을 하지 않는 아이를 칭찬해 주세요. 또는 자녀가 오랫동안 욕을 하지 않고 지냈다면 자녀가 매너와 공손한 언어를 사용한 것이 얼마나 자랑스러운지 말하십시오.
욕설이 자녀가 보여주는 여러 가지 부적절한 행동 중 하나인 경우 심리학자나 학교 카운슬러 와 같은 아동 건강 전문가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담후기: ]>품행장애에서 우등생이 된 청소년
-[온라인상담]>온라인상담 하러가기
-[이향숙 소장님 칼럼]>'욕, 그것이 알고싶다'
*문헌출처
1)Jay, T. (2000). Why we curse: A neuro-psycho-social theory of speech. John Benjamin.
2)Jay, K., & Jay, T. (2013). A child’s garden of curses: A gender, historical, and age-related evaluation of the taboo lexic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26(4), 459-475. https://doi.org/10.5406/amerjpsyc.126.4.0459.
3)Kaye, B., & Sapolsky, B. (2004). Watch your mouth! An analysis of profanity uttered by children on prime-time television.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7(4), 429-452. https://doi.org/10.1207/s15327825mcs0704_4.
4)Van Lancker, D., & Cummings, J. (1999). Expletives: Neurolinguistic and neurobehavioral perspectives on swearing. Brain Research Reviews, 31(1), 83-104. https://doi.org/10.1016/S0165-0173(99)00060-0.
5)Wright, C.L., & Mokbel, J. (2016). The media scapegoat and mom’s mouth: Influences on swearing. SAGE Open, 6(2). https://doi.org/10.1177/2158244016651911.
*사진출처: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박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