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
아래 글이나 사진중에 카페 회원님 이신 엄마찾아 삼만리 님께서 기존에 촬영하여 올려두신 글과 이미지를
엄마찾아 삼만리 님께 말씀드려 사용 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아서 인용함을 알려 드립니다.
허락해주신 엄마 찾아 삼만리 님 감사합니다..
카페 내의 게시 글 http://cafe.naver.com/kimyoooo/118853 에서 일부 발췌해서 인용하겟습니다.
전원주택을 짓든 공장을 짓든 상가를 짓든
어떤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주변 대지와 행위를 요하는 대지의 높이 차이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축대가 필요 합니다.
전원주택은 참 멋지게 잘지엇는데..
주변 조경이나... 축대 의 모습 때문에 잘지은 주택의 품위를 깍아 내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축대의 종류를 말해보겟습니다..
돌쌓기 의 종류로
찰쌓기,메쌓기,정원석 쌓기,전석쌓기 등으로 크게 분류합니다.
콘크리트 옹벽도 한종류 이구요...
보강토 블럭식 옹벽 또한 한종류입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종류의 축대들이 존재 합니다.
어떤 축대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비용또한 늘고 줄고
품위 또한 살아나고 줄어들고
안전성 또한 있고 없고 하겟지요...
안전성 이야기 가 나왓으니 잠시 설명 하고 가겟습니다.
세로 벽체 가로 방향 콘크리트가 저판입니다

콘크리트 옹벽(RC 옹벽) 철근과 콘크리트로 벽체를 형성합니다.
안전성 확보는 벽체 높이의 3분의 2 만큼으 저판 콘크리트구조물을 만들어서 철근으로 연결하여
벽체와 저판 콘크리트가 하나의 구조체가 됩니다..
구조물을 만든후 저판위에 토사나 골재등 뒷채움재를 채우고 다짐하여 성토하여 완성합니다.
시공 비용은 높이 별로 상당히 차이가 많이 납니다.
높이가 낮으면 낮을수록 저판 길이가 줄어들고 저판과 벽체의 두께 또한 줄어들고 철근의 굵기 또한 줄어듭니다.
반대로 높이가 높아지면 높아 질수록 저판길이가 길어지고 저판과 벽체의 두께또한 두꺼워지고 철근의 굵기 또한 굵어집니다.
예를들어 높이 2M 의 옹벽 인경우 근입깊이 포함 벽체의 ㎡ 당 평균 시공 단가가 17만원 이라고 가정하면
높이 3M 의 ㎡ 당 시공 단가는 27만원 높이 4M 의 ㎡ 당 시공 단가는 37만원 높이 4M 의 ㎡ 당 시공 단가는 47만원
이런식으로 벽체 높이가 높아 질수록 공사비의 증가 가 눈에띠게 늘어납니다..
원인은 말씀드렷듯이 높이가 증가 한만큼 저판의 뒷길이 또한 증가 해야 하고 철근굵기 또한 굵어 져야 하고
저판과 벽체의 콘크리트 두께 또한 두꺼워 져야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이점은 설계 하시면 다 나올겁니다..
어떤 이유든간에 설계를 무시 하시고 그냥 저판길이 짧게 하고 철근 가는거 쓰고 벽체 두께 얇게 치시면
옹벽이 넘어지게 되고 크랙가게 되고 결국 붕괴 사고로 이어집니다.
조경석 쌓기 를 설명 하겟습니다..
그냥 돌만 쭉 가져다 집게로 놓는것은 조경석 쌓기가 아니고 찰쌓기나 메쌓기 전석쌓기 중일부 라고 봐야 정답일겁니다.
조경석 쌓기 사진 올리겟습니다.
조경석과 메지목 의 조합으로 모양을 내서 품격을 연출합니다.
축대 역확을 하면서 주택의 분위기를 살려 주는 역활을 하지요..
비용은 높이 와 별반 크게 상관 없이 ㎡ 당 10만원 이쪽 저쪽 합니다.
물론 메지목 안넣고 무늬도 없고 그냥 지천에 굴러다니는 막돌을 집게로 대충 집어서 모양 안보고
대충 쌓는건 여건에 따라서 ㎡ 5~8만원 정도면 시공 할수도 있습니다.
안전성은 경사도를 1:1 정도로 시공하신다면 시공하시면서 뒷채움 토사 다짐만 잘하시고
조경석 쌓기 시공한 최상단에 토사 측구나 수로측구 등을 만들어서 다량의 물의 유입을 방지 하신다면
거의 붕괴사고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왜냐...경사도 1:1 이면 휴식각 이니까 그렇습니다.
그치만 시공후 물이 한곳으로 집중적으로 침투하게 되면 문제가 심각하게 될것입니다.
시공 높이를 추천 하라 하시면 2~3미터 정도 까지가 시각적으로 안전하게 느끼실수 있을겁니다.
물론 더높이 쌓으실수도 있겟지만...아마 시각적으로 불안해 보이고 유용토지 면적이 많이 줄어서 비추 일것입니다.
돌쌓기 이야기가 나왓으니..
엄마찾아 삼만리님 께서 올리셧던 성곽석 쌓기 사진 올리고 글을 인용좀 하겟습니다.

참멋스럽고 품격이 느껴 지시지 않나요..
제 눈엔 참 멋지고 고품격으로 느껴 집니다..
정원석 쌓기도 멋있긴 하지만..
차원이 조금 틀리지요..
정원석 쌓기는 경사 때문에 토지의 활용도가 떨어지지요 많이''
성곽석 쌓기 하시면서 토양 보강재 그리드를 사용하신 아이디어 참 좋았네요..
그리드 깔으시기 전에 다짐은 롤러로 충분희 하셧으리라 생각합니다.
배면 터파기를 한후 되메우기를 하는 공법들은 모두 뒷채움 토사 내지는 골재의 다짐과 수로설치가안전의 생명입니다.
멋있고 품위 있어 좋긴 하지만...
시공비가 상당히 비싸지요....
엄마찾아 삼만리 님의 글을 인용하면 ㎡ 당 37만원 들엇다 하셧네요...
그치만 비용 들어가신것 이상 제가 보기엔 멋지게 시공하셧습니다.
그래서 제가 사진과 글을 인용 합니다..
다시 한번 허락 해주신점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찰쌓기나 메쌓기 전석쌓기 의 경우 시공 높이는 신중히 결정하셔야 하고 뒷채움 재 또한 신중하게 선택하셔야
여름철 장마통에 마음 놓고 주무실수 있습니다.
보강토 블록식 옹벽 에 대하여 말씀 드리겟습니다.
보강토 블록식 옹벽 을 약칭 보강토 라 칭하겟습니다.
일반 회색블록 시공사진 입니다.
4가지 색상을 섞어서 쌓은 올칼라 블록 시공 사진 입니다.
보강토의 안정성 에 대해 설명하겟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콘크리트 옹벽은 저판의 뒷길이를 토사나 뒷채움재로 눌러서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돌쌓기는 안정성 면에서는 콘크리트 옹벽이나 보강토 에 비하면 현저히 떨어 집니다.
보강토의 안정성은 블록 골재 뒷채움재 의 순으로 평탄 작업후 골재 뒷채움재 부분을 롤러등으로 잘다집니다.
그렇게 3단 정도 쌓은후 보강재 그리드를 포설 합니다 .
그리드의 두께는 보강토 구조체의 높이에 따라서 그리드의 두께가 조금씩 틀려집니다.
그리드 와 그리드의 위아래에 위치한 뒷채움재의 다짐도가 하나의 벽체를 형성합니다.
그리드의 뒷길이 또한 콘크리트 옹벽의 저판 뒷길이 처럼 벽체 높이의 3분의 2를 기준합니다.
정리하자면 전면에 설치하는 블록이 안정성을 확보하는게 아니라..
블록과 골재 뒷채움토사 의 층다짐 그리고 중간 중간 포설하는 보강재 그리드 모두가 그리드 설치 끝선까지 전체 다
모두가 하나의 토류벽체를 형성하는 원리 입니다..
완벽하게 시공하고 상부의 수로을 형성하여 물길을 확보만 한다면 콘크리트 옹벽보다 더튼튼한 구조입니다.
다만... 일부 저가 업자들이 비용문제 때문에 골재를 폐콘크리트로 쓴다던지... 뒷채움 재의 층다짐을 여러단 쌓고 한꺼번에 한다던지... 보강재 그리드 아껴서 공사비 덜들이려고 보강재 뒷길이를 짧게 포설 한다던지... 상단의 수로확보를 안한다던지
이런 경우엔 붕괴 사고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저가로 시공 하시는건 좋지만... 저가로 제대로 완벽하게 시공하셔야 안전할겁니다.
그치만 손해 보고 장사 할사람은 한명도 없을거라는것도 명심 하시길 바랍니다.
미관상으로는 일반 콘크리트 블록식 보강토는 회색 스플릿 형태가 대부분이구요..
그것이 미관상 좋아 보이지 않아서..
칼라 블록으로 시공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고품격 을 추구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보강토 블록식 옹벽 전면에 자연석이나 인조석등의 석재판을 부착하여 시공합니다.
이경우 주의 하실점은...
석재판과 보강토 블록의 재질이 틀리기 때문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석재를 붇이는 공법은 피하셔야 합니다.
돌과 콘크리트 그리고 금속 이렇게 서로의 재질이 틀리기 때문에 시공후 동절기 온도 변화시
각 재료의 수축 팽창 계수가 틀리기 때문에 석재판이 떨어 질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다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접착제나 시멘트를 사용하여 붇이면 떨어질수 있지만..
건식으로 석재와 블록을 홈만 파서 연결하면 온도 변화때문에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런 모양의 전면 석재부착형 보강토 블록식 옹벽은 어떻세요?...

엄마찾아 삼만리 님의 성곽석 쌓기 사진을 다시 올렷습니다..
이유는... 저모양 저대로 전면 석재 부착형 보강토 옹벽으로 연출할수 있기에
인용하여 올렷습니다.
사용허락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공비는 일반회색 블록으로만 시공할경우 ㎡ 당 11만원에서 현장여건에 따라 조금씩 왓다 갔다
올칼라 블록의 경우 ㎡ 당 15 만원에서 왓다 갔다..
고품격 전면 석재 부착형 보강토 블록의 경우 전면에 부착하는 석재의 종류와 질에 따라서 ㎡ 당20만에서 25만원
사이를 왓다 갔다 합니다.
석재 부착 기술로 기존 시공해둔 보기 싫은 콘크리트 옹벽의 전면 보강토블록의 전면 등에 구조물 철거를 하지 않
외부에 석재로 리모델링을 하실수도 있습니다.
건축물의 외부에도 사용 가능하기도 합니다.
리모델링의 경우엔 블록 신규 시공시 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이 들지요..
긴글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카페 회원님들께서 모쪼록 축대에 대해서 이글 읽으시고 이해 하시는데 도움이 되어서 멋진 전원생활 영위 하셧으면 합니다.
환절기 감기 조심 하시길 바랍니다.
주소창에 우아스톤.com 검색해보세요
전면석재형보강토 검색하셔도 됩니다.
첫댓글 사진이 엑박입니다. ㅋ
축대가 안보인다.
사진없음..
배꼽이 열개씩이나~~~ㅎ
정보 감사합니다.
전석찰쌓기로 H0~3M로 50m2종도 쌓으려면 m2당 얼마정도 예상하면 됩니까.
알면 알수록 어렵네요^^
좋은 정보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