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스페셜, 끼니반란 - 간헐적 단식(IF)
안녕하세요. 미셸이에요^^
어제는 간헐적 단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SBS스페셜 끼니반란 편을 보았어요.
지난주에 이미 끼니반란 1편이 방영되었다는 것을 듣고 끼니반란 2편의 내용이 궁금해 보게 되었어요.
주요 내용의 핵심을 나타내는 단어는 간헐적 단식(IF)이에요.
간헐적 단식? 24시간 단식? 어떤 개념의 단식일까요?


간헐적 단식이란?

일반적으로 단식이라고 하면 무조건 굶는 느낌이 강한데요.
여기서 말하는 간헐적 단식은 말그대로 간헐적으로 가끔~ 먹지 않는 것을 뜻한다고 해요.
일주일에 한두번 24시간 단식을 하지만 단식하는 날을 제외한 나머지 요일에는 먹고 싶은 것을 마음껏 먹는다는 것이 포인트라고 해요.
예를 들어 오늘 점심을 먹고 다음날 점심을 먹을 때까지 단식을 하는 것이에요.
간헐적 단식이 신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의 4주간의 식이제한실험에 참여한 의사들의 모습을 보여주었어요.
식이제한 실험에 조건은 이틀에 한번 아침점심을 굶고 저녁에 600kcal의 도시락을 먹는 24시간 단식을 하는 것이었어요.
IGF-1 호르몬이란?

다른 이야기는 5박 6일 동안 단식을 통해 몸의 휴식을 준다는 절에서 이루어지는 단식원의 이야기였어요.
두명의 단식원 참가자의 5박 6일 단식 후의 몸 상태를 체크해 본 결과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로웠어요.
일단 단식을 하면 자연스레 일어나는 체중감소가 첫번째 변화였어요.
두번째로는 인슐린 수치의 감소에요. 음식을 섭취하면 혈당이 상승하여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는데 그로 인해 인슐린이 혈당을 에너지로 축적시키기도 하지만 소비되지 않은 당은 지방세포로 축적시키는 작용도 함께 하게 되요. 따라서 인슐린이 높을수록 비만이나 대사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해요. 이러한 인슐린이 단식 후에 수치가 떨어졌다고 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목한 점은 IGF-1이라는 호르몬 수치의 감소에요.
IGF-1 호르몬은 간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몸의 세포를 성장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해요.
하지만 IGF-1이라는 호르몬이 감소하면 차가 수리를 받듯이 손상된 세포를 치유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노화방지와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고도 할 수 있어요. 대신 세포 성장은 멈춘다고 하네요.

그러고보면 일본의 1일 1식의 저자도 50~60대 임에도 불구하고 30~40대 못지않은 젊음을 유지하는 것을 볼수가 있었고
간헐적 단식을 실천중인 우리나라 40대 남성도 30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젊어보였어요. 이 호르몬과 연관된 현상일까요?
쥐 실험에서도 IGF-1 호르몬을 낮춘 쥐는 다른 쥐보다는 성장이 멈춰 작았지만 건강하고 질병이 없었다고 해요. 또 실제로 이 호르몬과 관련된 라론신드롬(왜소증)이라는 이름의 희귀병이 있는 사람들 중 암이나 당뇨로 사망한 보고는 이제까지 없었다고 해요. 아직 오랜 추적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단식으로 암을 예방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해요.
왜 24시간 단식 ?

그렇다면 왜 24시간 단식일까요?
그것은 아까 말씀드린 인슐린 수치가 70%이상 감소하는 시간이 단식 후 24시간이 지나서 였기 때문이고,
포도당을 다 사용후 우리 몸이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쓰기 시작하는 시간 또한 단식 후 18~24시간이 지나이기 때문이라고 해요.
간헐적 단식은 엄격하게 굶는 것이 아니라 배고프지 않으면 먹지 않는 다는 개념을 봐야 한다고 하네요.
"무엇을 먹느냐" 보다는 "언제 먹느냐"에 주목한다는 것이에요.
식이제한 실험 결과

앞에서 식이제한 실험에 참가한 의사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들을 수 있었던 이야기는
예전에는 음식이 모두 없어질 때까지 먹었다면 요즘은 조금만 먹어도 팽만감이 들어 적게 먹게 된다는 것이에요.
또, 체지방과 IGF-1 수치 감소하였고, 작업기억력은 높아졌다고 해요.
또 오랜 시간 굶으면 위건강에 이상이 있을까 걱정을 하게 되는데 내시경 결과 위 건강에도 아무 이상이 없었다고 해요.
그리고 참가자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 한 것은
무엇보다 간헐적 단식 후에 먹는 모든 음식이 맛있었고, 음식의 소중함, 감사함을 느꼈다고 해요.
스페셜 마지막 나레이션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수치들로 속단하기는 어렵고, 개인개인의 체질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무작정 따라하기는 금물인 것 같아요.
청소년, 임산부, 당뇨병환자, 섭식장애를 가진 분들은 절대 따라해서는 안된다고 하니 주의하셔야 할 것 같아요.
끼니반란 편을 보면서, 삼시세끼를 꼭 먹어야 하고 한끼만 걸러도 큰일 나는 줄 아는 저를 포함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의 인식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 신선했어요. 하지만 자신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 자신에게 알맞는 식습관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아요 !
어쨋든 재밌게 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