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장에 의한 재매개화를 공부하던 중 의문이 들어서 질문합니다.
흔히 알고있는 역함수라 함은 y를 x로 바꾸어서 y=2x라는 식의 역함수는 y=1/2x가 되어서 y=x 대칭관계로 알고있는데 필수예제 20 번에 쓰인 역함수는 그저 s의 t로 표현해준 식을 t를 s로 표현해준 식으로 바꿔준 것으로 보여서요y=2x라는 식의 역함수 y=1/2x는 원점을 제외한 교점이 없는 반면 풀이에 쓰여있는 역함수는 서로 아예 같은 식으로 생각되어서 질문 드립니다 미분기하학에서 역함수는 그냥 t에 관한 식으로 바꿔준다고 생각해도 무방할까요?
첫댓글 아하 제가 말했던 역함수는 공역을 다시 정의역으로 데려와서 그래프에 표시해준거고 풀이에 나온 역함수는 증명에 따라서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정의되네요 이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