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자평 論大運
夫大運者,以天干曰五運,地支曰六氣,故名運氣。
무릇 대운이란 천간으로 (운기) 五運이라 하고 지지는 (운기로써) 六氣라고 하는 고로 (오운과 육기를 합쳐) 運氣라 이름한다.
子平之法,大運看支,歲君看干,交運同接木,何也?
자평의 법에서 대운은 지지를 살피고, 세군(태세, 유년)은 천간을 살피는데, 교운(대운의 간지결합)은 접목한 것과 같은데 어떤것인가? 君: 인칭대명사. 앞의 간지는 대운으로 본다의 대구(對句)로서 세운을 지칭
且干支二字,六十花甲子之說用花字,若天干地支得其時則自然開花結子盛矣。
그것 간지 두 글자는 60화갑자설의 花字로 사용되는데, 가령 천간과 지지가 그 때를 얻게되면 자연히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번성하게 되는 것이다.
月令者,運元也,行運就月上起。譬之樹苗,樹之見苗則知名,月之用神則知其格,故謂交運如同接木。
然命有根苗花實者何?
正合此意也,豈不宜矣!
월령이란 대운의 기준점(시작점)이다. 행운은 월에서 일으켜(시작하여) 취하게 된다.
비유하면 나무의 싹과 같은것인데, 나무의 싹을 보면 이름을 알 수 있듯이, 월의 용신(사령신)은 그 格을 알 수 있으므로 交運이라고 일컬으며 마치 나무를 접붙인 것과 같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주)명식은 근묘화실根苗花實에 해당하는 것을(何=해당하다) 가졌다고 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 정확하게 부합하니,
어찌 마땅하지 않겠는가?
己巳、庚辰、庚戌、辛丑、辛未、壬申、癸酉等。
地支之氣上升於干,則天干力重,參考地支。
己巳、庚辰、庚戌、辛丑、辛未、壬申、癸酉, 등이다.
지지의 기운이 천간에서 위로 오르면, 천간은 힘이 중하고, 지지를 참고해야 한다.
出癸入甲,如返汗之人,多主不吉。古語云:傷寒換陽,行運換甲,換過是人,換不過是鬼。
且如甲戌接癸亥,此乃干支接木。
(不過是:겨우. 이 정도로. 기껏 해서)
그것은 마치. 갑술이 계해를 잇고,이는 간지가 접목한다.
丑運交寅,辰交巳、未交申、戌交亥,此乃轉角接木。
축운교인, 진교사, 미교신, 술교해, 이는 전각접목이다.
東南西北,四方轉角謂之接木,格局凶者死,格局善者災,老人大忌,後生差慢。
寅卯辰一氣,巳午未一氣,申酉戌一氣,亥子丑一氣,氣之相連,皆非接木之說,縱遇接甲,亦無大禍。
인묘진 1기이고, 사오미1기,신유술1기, 해자축1기는, 기의 서로연결이고, 모두 접목이 아닌말이며, 세로는 갑을 접해 만나도 대 재앙은 없다.
ㅡ
論節侯歌 논 절후가
正月立春雨水節,二月驚蟄及春分,三月淸明並穀雨,
四月立夏小滿方,五月芒種並夏至,六月小暑大暑當,
七月立秋還處暑,八月白露秋分忙,九月寒露又霜降,
十月立冬小雪張,子月大雪冬至節,丑月小寒大寒昌。
정월은 입춘(立春), 우수(雨水)절, 2월은 경칩(驚蟄), 춘분(春分), 3월은 청명(淸明), 아울러 곡우(穀雨),
4월은 입하(立夏), 소만(小滿)방, 5월은 망종(芒種), 아울러 하지(夏至), 6월은 소서(小暑), 대서(大暑)당,
7월은 입추(立秋), 환처서(處暑), 8월은 백로(白露), 추분(秋分)망, 9월은 한로(寒露)또는, 상강(霜降),
10월은 입동(立冬), 소설(小雪)장, 자월은 대설(大雪), 동지(冬至)절, 축월은 소한(小寒), 대한(大寒)창이다.
(此以立春日爲始,或正月一二三四五六,立春又不問內增二日,只以節義爲始,且立春爲節,雨水爲候,又爲節氣,逐月仿此。)
( 이렇게 입춘일로 시작이 되고 또 정월 123456이며, 입춘또한 묻지 않는 그 안에 2일이 더해지며 오직 절로 의가 시작하고, 그것이 입춘은 절이 되고 우수가 후가 되며 또한 절기가 되는데, 둔월은 이와 같다.)
정리: 1개월은 절후(節候)로 나뉘어 집니다. 절과 후는 15일씩 입니다.
3월의 경우 청명은 절이고 곡우는 후가 됩니다. 1년은 24절후가 되는 것입니다.
사주팔자를 세울 경우 월주의 기준은 절(節) 입니다.
ㅡ참고 삼명통회
論大運 17.논 대운
夫運者,人生之傳舍。
探命之說先以三元、四柱、五行、生死、格局致合以定根基,然後考究運氣,協而從之以定, 平生之吉凶也。
무릇 운은 인생의 전달하는 집이다
명을 탐구하는 說(설)에 먼저 3원, 四柱(사주) 五行(오행) 生死(생사) 格局(격국)으로, 합을이르고 정하여 근기이고, 연후에 運氣(운기)를 探究(탐구)考察(고찰)하며, 협조하며 따라 정하여 평생의 길흉이다.
古人以大運則一辰十歲,折除以三日年者何?
옛 사람에게 大運(대운)이면 1 辰(신)이 10歲(십세)이니, 년을 3일로 절제는 왜인가?
蓋一月之終,晦朔周而有三十日,一日之終,晝夜周而有十二時;
總十年之運氣,凡三日有三十六時,乃見三百六十日一歲之數;
在一月之中有三百六十時,折除節氣,算計三千六百日一辰之十歲也。
대개 한달의 마침은 매 초하루를 돌아서 30일이 있고, 하루가 마침은 晝夜(주야)를 도는 열두시(때)이다
총 十年(십년) 운의 기이며 무릇 3일은 36시(때)이고 이에 360일을 보는 것은 一歲(일세)之數(지수)이다.
한달 가운데에는 360시(때)가 있으니 절기를 나누는것으로 計算(계산)하면 3600일이 一辰(일신)이 되어 10歲(십세)가 된다
天論折除之法 必用生者日曆。
過日時數,其節氣之數。
陽男陰女,大運以生日後未來節氣日時數,順而行之;
陰男陽女,大運以生日前過去節氣日時數,逆而行之。
天일은 折除法(절제법)을 논하고, 필히 生을 사용은 日曆[(일력=생한 날짜의 干支(간지)記錄(기록)]이다.
지난 日時(일시)의 수는 그 節氣(절기)의 數(수)이다
陽男陰女(양남음녀)는 大運(대운) 生日(생일)後(후) 未來(미래)節氣(절기)日時(일시) 數理(수리)이니 順(순)行(행)이며,
陰男陽女(음남양여)는 大運(대운) 生日(생일)前(전) 過去(과거)節氣(절기)日時(일시) 數理(수리)이니 逆(역) 行(행)하는 것이다.
첫댓글 대운론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