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자평
연해자평 淵海子平서승1권-2 수태추정법 기식息 기변 소통법
연해자평 淵海子平서승1권-2 태세법 기식息 기변
이어지는 네 장에서는 胎, 息, 變, 通을 논하고 있다.
胎는 수태한 달이고,
息은 탯줄에 연결되어 숨쉬기 시작한 시기,
變은 움직이기 시작한 시기,
通은 온전히 사람의 형태를 갖춘 정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수태월은 태어날 달보다 9달 전으로 본 것이다.즉 己巳월의 10달 전은 己未이고 1달이 지나면 庚申이다.
(*동의보감 임신기간은 10달 300일로 1달30일마다 한 경맥씩 태아를 기른다.안전한 해산의 경우이고 그렇지않은 경우는 일정이 당겨진다.작금의 현실에서 출산으로 보면 이 태식변통은 알수없는 법인것 같다.)
○論起胎法 논기태법: 태세를 세우는 법
수태월 추정
胎元,受胎之月也。
子平有曰:先推胎息之位,次斷變息之理,精命者不可不用此例也。
태원은 수태월이다.
자평왈에 : 먼저 태월을 추정하고 다음 변형여부를 보고 잘 명을 본것이 불가불용의 법이리라.
推法但從本生月前四位是也。
추론법은 부질없이 본성을 쫒으면 태어난 달부터 앞으로 네 번째 자리가 옳다
其法如己巳月,則前申上是胎,
卻數退一位,於未上將生月天干己字,喚起己未,數至庚申,
乃受胎之月也。
其餘皆仿此。
그 법은 (출생이)己巳월이라면,앞 申상(천간)에서 잉태가 옳다,
거꾸로 셈하여 1위 물러나고,未상(천간)과 태어날 월의 천간 己자에서, 己未를 불러일으키고.계산하면 庚申이니,
이는 수태한 달이 되는 것이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論起息法 논기식법 ㅡ태식으로 길흉
(자라다.숨쉬기 시작한 때.)* 기식: 이자가 붙다
取日主上天干合處,地支合處是也。
취법은 일간상은 천간합이있는 곳이고, 지지가 합하는 곳이 옳다.
假如甲子日生人,天干年月時有己字,乃甲與己合。
又取地支年月時有丑字,即己丑也。
餘皆仿此而推,此胎息之由。
(如推貴命先從胎息之吉日,相生扶者貴,相剋者貧。)
만약 甲子일에 태어난 사람은 천간 년월시에 己가 있고 이는 甲과 己가 合이다.
또 취법은 지지 년월시에 丑이 있고 즉 己丑이다.
다 여유가 있는 동네에서 추리하면 이는 태식이 되는 것이다.
(먼저 귀명을 추리하여 태식으로 길일을 쫒으면, 상생으로 도우면 귀명이고, 상극이면 빈이다.)
○論起變法 논 기변법
변화를 세우는 법.변화의때.
○論起變法 논 기변법
변화를 세우는 법.변화의때.
取時上天干合處,時下地支合處。
취법은 시주의 천간이 합하는 곳과 시지가 합하는 곳이다.
假如丙寅時,取天干丙與辛合,地支寅與亥合,即辛亥是也。
如柱中天干無辛字,地支無亥字,乃只虛邀爲是,不必拘泥。
(此等法例,時師罕見,不知此義,安能與士大夫談命哉。)
가령 병인시는 천간 병신 합에서 취하고 지지 인해합 즉 신해이다.
만일 사주중 천간에 辛이 없고 지지에 亥가 없고.이런경우 허공에서 부르는 것이니 구애될 필요가 없는 것같다.
(이법은 시사하기가 드물고 이 일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며 편안하게 사대부들의 명리논쟁으로 말한다.)
○論起通法 논기통법
소통을 세우는 법. 통하는 때.
假如甲子月寅時生,卯上安命.
取甲己之年丙作首起丙寅,卽丁卯是通.
만약 甲子월 寅시에 태어났다면 卯상(천간)에 명이편안하다.
취법은 甲년과 己년에는 병이 머리가 되어 丙寅이 일어나니,
즉 丁卯가 옳은 소통이다.
其法寅卯相通,辰巳相通,午未相通,申酉相通,戌亥相通,子丑相通是也.
이법은 寅과 卯, 辰과 巳, 午와 未, 申과 酉, 戌과 亥, 子와 丑은 서로 소통이 된다.
첫댓글 통법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