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불교태고종 총본산 서울 신촌 안산 봉원사(鞍山 奉元寺)를 찾아서 ⑥
- 봉원사 연꽃 감상[賞蓮] ② - 대웅전과 대방 앞 마당과 그 주변에 있는 연꽃을 중심으로 담았습니다. 1부에서는 염계 (濂溪)선생의 애련설(愛蓮說)을 중심으로 감상하셨는데 이번에는 연화십덕(蓮華十德)을 주제로 올려 보았습니다. 즐겁게 감상해 보세요. 대방 앞에서 바라본 모습. 각도를 달리해 보았습니다. 대방쪽으로 담아본 모습. 대웅전 풍경 대웅전 앞 해태상 주변 대웅전을 오르는 계단 모습 이제 연화십덕(蓮華十德)을 중심으로 감상해 보고자합니다. 해마다 연꽃을 보면 연화십덕 (蓮華十德)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연꽃이 가지고 있는 열 가지 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 연화십덕은 계속 반복해서 다루어도 과하지 않을 듯합니다. ^^ 이제염오(離諸染汚) 연화십덕(蓮華十德) -연꽃의 열 가지 덕- 1. 이제염오(離諸染汚) 그 첫째는 이제염오(離諸染汚)입니다. 보통 처염상정(處染常淨)이라 하지요. 연꽃은 진흙 탕 속에 살지만 흙탕물에 물들지 않으며 고고하고 아름답게 살아갑니다. 더러운 곳에 처 해 있어도 항상 맑은 본성(本性)을 갖추고 있다는 말입니다. 물이 더럽거나 지저분해도 그 속에서 귀한 꽃을 피워내는 그 모습이 마치 무명(無明)에 둘 러 싸여 있더라도 이에 오염되지 않고 불성(佛性)을 드러내는 것과 같습니다. 如作田溝 여작전구 밭둘레에 파 놓은 진흙 도랑이 近于大道 근우대도 큰 길에 가까이 있다고 해도 中生蓮華 중생연화 그 속에서 향기로운 연꽃 피어나 香潔可意 향결가의 맑고도 향기로와 즐겁게 한다. 《법구경(法句經)》『화향품(華香品)』 게송입니다. 연꽃은 처염상정의 상징입니다. 세상이 아무리 혼탁하더라도 우리는 세류(世流)에 휩쓸리지 않고 청정한 본성을 지켜야 하겠습니다. 불여악구(不與惡俱)
2. 불여악구(不與惡俱)
둘째는 불여악구(不與惡俱)입니다. 연꽃 잎은 한방울의 물방울이나 흙탕물도 용납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어떠한 악도 용납하지 않음을 말합니다.
莫輕小惡 막경소악 조그마한 악이라 해 재앙 없다고 以爲無殃 이위무앙 가벼이 여겨서는 아니 된다네. 水滴雖微 수적수미 한 방울씩 떨어진 물 비록 작아도 漸盈大器 점영대기 차츰 차츰 큰 그릇을 채우게 되네. 凡罪充滿 범죄충만 범부의 죄악이 가득한 것도 從小積成 종소적성 작은 악이 쌓여서 커진 거라네.
《법구경(法句經)》『화향품(華香品)』 게송입니다.
사소한 것이라고, 보잘 것 없는 것이라고, 하찮은 것이라고 무시해서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됩니다. 문제는 항상 사소한 것으로부터 생김을 알아야 합니다. 이 연잎이 작은 물방울이 라도 용납하지 않고 굴러 떨어뜨리는 것을 보면 이같은 이치가 있음을 알게 됩니다.
계향충만(戒香充滿)
3. 계향충만(戒香充滿)
셋째는 계향충만(戒香充滿)입니다. 연꽃은 진흙탕 속에 자라지만 온갖 냄새는 사라지고 연꽃 향기만 가득합니다. 만일 몸을 닦고 계를 지키면 이와 같이 향기가 가득합니다.
華香氣微 화향기미 전단과 다가라의 향긴 작은 것 不可謂眞 불가위진 그것을 진짜라 할 수 없나니 持戒之香 지계지향 계행의 향기만이 진짜 향으로 到天殊勝 도천수승 마침내 천상까지 향기 풍긴다.
《법구경(法句經)》『화향품(華香品)』 게송입니다. 연꽃을 통하여 계향의 아름다움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본체청정(本體淸淨) 4. 본체청정(本體淸淨)
넷째는 본체청정(本體淸淨)입니다. 연꽃은 언제나 푸르고 맑은 줄기나 잎을 유지합니다. 비록 진흙탕 속에 살지만 언제나 맑은 몸을 유지하고 삽니다.
諸惡莫作 제악막작 온갖 모든 나쁜 일은 하지 말아라. 衆善奉行 중선봉행 가지가지 좋은 일은 두루 행하라. 自淨其意 자정기의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라 是諸佛敎 시제불교 이것이 諸佛의 가르침이다.
《법구경(法句經)》『불타품(佛陀品)』 게송입니다. 이 게송을 <칠불통계(七佛通戒)>라 합니다. 과거칠불의 공통적인 계(戒)입니다. 연꽃을 보면서 불자들도 이를 본받아 계행을 갖추어 자정기의(自淨其意)해야 합니다.
면상희이(面相喜怡)
5. 면상희이(面相喜怡)
다섯째는 면상희이(面相喜怡)입니다. 연꽃의 모양은 둥글고 원만하여 보고 있으면 마음이 저절로 정화되고 마음을 즐겁게 해 줍니다.
견아중생환희발심(見我衆生歡喜發心)이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나를 보는 이마다 마음이 즐거워지고 발심하소서." 라는 말씀인데 그렇게 되려면 원만한 덕성(德性)을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心喜無垢 심희무구 마음이 기쁨에 차 티가 없음이 如月盛滿 여월성만 마치 저 둥그런 보름달 같아 謗毁已除 방훼이제 비방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람 是謂梵志 시위범지 이 사람을 일러서 범지라 한다.
《법구경(法句經)》『바라문품(婆羅門品)』 게송입니다. 연꽃을 바라보면 그 덕성을 닮아 성품이 원만해지고 나를 보는 이마다 환희심을 내도록 내면을 가꾸어야 하겠습니다.
유연불삽(柔軟不澁)
6. 유연불삽(柔軟不澁)
여섯째는 유연불삽(柔軟不澁)입니다. 연꽃의 줄기는 부드럽고 유연하여 비바람에도 부러 지지 않습니다. 매사에 유연하게 대처하면 부딪칠 일이 없음을 말해 줍니다.
모난 돌이 정을 맞고 너무 강강하면 부러집니다. 까탈스러운 성격은 늘 시비의 대상이 되 고 공격을 받게 됩니다. 연꽃은 순하고 부드럽게 유연하고 넉넉하게 살라고 가르칩니다.
學當守口 학당수구 비구는 마땅히 입을 지켜서 寡言安徐 과언안서 말을 적게 말하되 차분히 하며 法義爲定 법의위정 불법에 맞아서 고요하다면 言必柔軟 언필유연 그 말은 반드시 부드러우리.
《법구경(法句經)》『비구품(比丘品)』 게송입니다. 연꽃을 보면 그 유연함을 배워서 매사 유연하게 대처하며 살아야 하겠습니다.
견자개길(見者皆吉)
7. 견자개길(見者皆吉)
일곱째는 견자개길(見者皆吉)입니다. 연꽃을 꿈에 보면 모두 길하다고 합니다. 하물며 생화를 보면 어떻겠습니까? 계행이 갖추어져 원만하면 보는 이마다 환희롭게 합니다.
연꽃을 꿈속에서 만나면 길하다고 하는데 어디 꿈속에만 길하겠습니까? 연꽃은 맑고 향기 롭습니다. 맑고 향기로운 연꽃을 보면 마음이 정화됩니다. 맑은 마음에 삿된 것이 붙을 수 있겠습니까? 좋은 일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
常當惟念道 상당유념도 언제나 바른 도를 생각하면서 自强守正行 자강수정행 스스로 바른 행을 힘써 지켜라. 健者得度世 건자득도세 법다운 사람은 해탈하리니 吉祥無有上 길상무유상 이보다 좋은 일은 없을 것이다.
《법구경(法句經)》『방일품(放逸品)』 게송입니다. 언제나 바른 도를 행하여 삿됨이 염 착할 수 없도록 하여 길상한 일이 일어나도록 해야겠습니다. 연꽃은 보는 이는 일일시호 일(日日是好日) 날마다 좋은 날 보내시기 바랍니다.
8. 개부구족(開敷具足)
여덟째는 개부구족(開敷具足)입니다. 연꽃은 꽃을 피우면 필히 열매를 맺습니다. 이것을 화과동시(花果同時)라고도 합니다. 이는 인과동시(因果同時)라는 말과 같습니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인과(因果)는 항상 같이 일어납니다. 원인은 결과 가 되고 그 결과는 새로운 인(因)이 됩니다. 모든 일은 인과가 무한 중첩되어 일어나는 것 입니다. 연꽃은 이런 우주의 이치를 그대로 보여 줍니다. 아름다운 선을 행하면 반드시 좋은 과보가 옴을 말해 줍니다.
今世行淨 금세행정 금생에 행함이 깨끗하다면 後世無穢 후세무예 내생도 더러움이 없을 것이다. 無習無捨 무습무사 번뇌 없어 버릴 것 조차도 없는 是謂梵志 시위범지 이 사람을 일러서 범지라 한다.
《법구경(法句經)》『바라문품(婆羅門品)』 게송입니다. 연꽃을 바라보면 인과(因果)가 분명함을 알아 정심정행(正心正行)을 늘 상념해야 합니다.
성숙청정(成熟淸淨)
9. 성숙청정(成熟淸淨)
아홉째는 성숙청정(成熟淸淨)입니다. 연꽃은 만개하면 그 빛이 곱고 아름답습니다. 그 고 고한 자태는 맑고 향기롭습니다. 이를 본받아 불자도 성숙할수록 그 청정한 기품을 유지 해야 합니다.
道爲八直妙 도위팔직묘 길로서는 팔정도가 묘하고 聖諦四句上 성제사구상 진리로는 사성제가 최상이로다. 無欲法之最 무욕법지최 욕망없는 가르침이 최상의 정법 明眼二足尊 명안이욕존 눈 밝은 부처님은 최고의 성자
《법구경(法句經)》 『도량품(道場品)』 게송입니다. 연꽃을 바라보면 그 청정함을 생각 해야 합니다. 청정에 이르는 길은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입니다. 불자의 길이 여기에 있음을 알고 부단히 노력해야 합니다.
생이유상(生已有想)
10. 생이유상(生已有想)
열 번째는 생이유상(生已有想)입니다. 연꽃은 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그 기품이 남다릅니 다. 싹이 트는 것으로부터 생이 다하는 연밥만 남았을 때를 보아도 그 기품을 잃지 않습 니다. 마치 그 모습은 해탈승(解脫僧)의 좌탈입망(坐脫立亡)과 같습니다.
貪法戒成 탐법계성 진리를 따르고 계행 갖추어 至誠知慙 지성지참 정성을 다하고 부끄럼 알며 行身近道 행신근도 법도에 알맞게 행동한다면 爲衆所愛 위중소애 사람들은 이 사람을 사랑한다네.
《법구경(法句經)》『애호품(愛好品)』 게송입니다.
그래서 연꽃을 바라보면 늘 생각을 하게 됩니다. 연꽃을 닮은 인격을 가져야겠다고...
이상 연화십덕(蓮華十德)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연꽃을 사랑하고 연꽃을 닮은 법우님 늘 여여하세요. ^^
아름다운 연꽃을 담으시는 염화님
사랑스러운 연꽃, 아이고 이뻐라~ 미소님
꿈을 간직한 연봉
화사한 단장을 하고 마음껏 자태를 뽐내고 있네요.
늘 연꽃 같은 마음[蓮華心], 큰 깨달음의 꽃[大覺華]으로 피어나소서.
좋은 작품 많이 담으셨지요? 기대됩니다.
삼거사(三居士)의 삼색 표정
화사한 삼보살(三菩薩)의 표정
얼굴엔 넉넉한 미소, 마음엔 고요한 평화가 깃드소서.
상련의 이 기쁨 늘 간직하시고
날마다 즐거움 가득하시기를 합장합니다.
봉원사에도 늘 향기가 만당하기를 합장합니다.
봉원사는 연꽃 감상은 여기까지입니다. 즐감하셨습니까? 연꽃의 아름다움은 말로 다 할 수 없습니다. 연화십덕(蓮華十德)에서도 살펴보았 듯이 연꽃은 불교의 핵심적 교리를 상 징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연꽃이 피는 나라는 부처님 세계지요. 그곳은 바로 극락(極樂) 입니다. 극락세계는 연꽃으로 장엄되어 있습니다. 연꽃을 보시는 분들은 환희심을 내고 늘 맑고 향기로운 향기를 발하시기를 합장합니다.
☞ 다음은 봉원사를 품은 안산(鞍山)으로 안내합니다.
|
첫댓글 얌전하고 아름다운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과 함께 연화십덕, 잘 보았습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감사합니다. 실은 파주의 연지를 찾다가 몇 군데 알아보았는데![별](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25.gif)
![달](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11.gif)
리 신통한 곳이 없어 다시 봉원사를 찾았습니다. 예전의 생각도 많이 났습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마음이 넉넉하신 분들과 함께 했던![샤방](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7.gif)
![샤방](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7.gif)
행복한 시간들이 아직도 실감납니다.
함께한 시간![즐](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12.gif)
거웠습니다. 다음 번에도 기회가 닿으면 또 함께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법우님들이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을 닮은 것인지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이 법우님들을 닮은 것인지... ![ㅎㅎ](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70.gif)
![ㅎ](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6.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연꽃은 높은산 이나 언덕에서 피어나지 않지요, 법화경 종지용출품 한구절 "보살도를 잘 배워 세간법에 물들지 않음이 연꽃이 물에 있음과 같음이라". 이쁘다는 표현을 잘 찍으셨고, 설명 까지~~ 넘 감사 합니다....나무묘법연화경()()()
감사합니다. 세상이 혼탁해도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처럼...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같은 인물사진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과 같이 있다보니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을 닮아 가는것 같습니다. ![ㅎㅎ](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70.gif)
![ㅎ](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6.gif)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을 바라보면 언제나 마음이 넉넉해지는것 같아요. 사진과 좋은글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30.gif)
_()_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을 바라보는 고운 눈길과 손길이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보살의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에 담긴 열가지 덕을 음미하면서 다시금 봉원사의 아름다운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과 함께한 시간 ![즐](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12.gif)
거웠습니다. ![^0^](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0.gif)
_()_
봉원사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은 우리가 쉽게 다가가 접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즐](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12.gif)
거운 마음이 가득합니다.![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의 열 가지 덕을 상기하면서 산다면 세상은 맑고 향기로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사람들이 연
감사합니다. 글씨가 정상화 되었다니 다행입니다.![^-^](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연![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구경 잘 했습니다. ![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중의 ![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입니다.부처님의 진리를 상징하는 ![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이니 만큼 뿌리서부터 잎이며 줄기며 뭐하나 버릴거 없이 이로운 ![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입니다. 연화십덕 늘 생가하며 함께하겠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오랜만에 오셨네요. 연화십덕을 품고 산다면 나와 남, 세상을 맑히고 밝히는![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이 되고 빛이 될 것입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와![!](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정말 아름답습니다. 애련설에 이어 연화십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법구경까지... 놀랍습니다. 잘 감상했습니다.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
모두 행복한 모습이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아 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글은 보아 주는 이가 있어 쓰게 됩니다. 보지 않는 글은 천언만어가 있다한들 아무 소용이 없지요. 늘 여여하세요.![^-^](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