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를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지난 주말이 후딱 지나갔을 것이다.
금요일에서 토요일로 이어지는 깊은 밤 김연아와 월드컵 조 편성 중계방송을 보느라
텔레비전 앞에서 떠날 줄을 몰랐을 것이기 에 그렇다.
이들에게 지난 주말은 '아날로그 세상' 이었다.
스케이팅은 모나지 않고 둥글었으며, 월드컵 조 추첨은 슈퍼컴퓨터 흔한 세상임에도 항아리(포트)에서 뽑아냈기 때문이다.
월드컵 조 추첨 방송을 두고 뒷말이 없지 않다.
ㅅ 방송에서 동시통역을 했던 이가 몇 마디 엉뚱하게 통역했던 까닭이고
조 편성의 음모론은 여전히 사그라지지 않았으니 말이다.
'조 추첨 사전 조작설'은 말이 안되는 것으로 보인다.
추첨방식을 지켜보니, 유리 항아리에서 뽑는다-건네준다-펼쳐보인다 이렇게 딱 세 단계이기에 그렇다.
텔레비전 화면에 비친 국제축구연맹(FIFA)의 나라 이름을 영어를 쓰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그것과 거의 일치한다.
몇 나라 이름은 그렇지 않았다.
멕시코(메히코), 스워철랜드(스위스), 혼두라스(온두라스), 아르젠티나(아르헨티나), 벨지움(벨기에),
알제리아(알제리) 등이다.
괄호안 표기가 그 나라 언어에 가까운 제 이름이다.
호주(오스트레일리아), 독일(도이칠란트), 미국(유에스에이)은 은 우리가 한자음으로 쓰는 국명이다.
국제 무대에서 중국이 자기 이름을 '중궈라 표기하고, 일본이 'Nippon' (닛폰)이라 쓰기도 하니 우리도 그렇게 하자는
얘기가 아니다.
국명을 제 나라 언어로 불러주자는 것이다.
영어를 따른 것이라면 더욱 그렇다.
'에스파냐'(스페인)가 대표적이지만 터키도 한가지다.
2002년 월드컵때 형제국으로 여겼던 터키의 방송인이 '세계방송인대회'에서 볼멘소리 했던 기억이 새삼스럽다.
""터키(Turkey)는 영어로 '칠면조'와 뜻이 같다.
미국(영국)도 아닌데 굳이 그 나라 따라 터키라 할 이유가 있는가?
제 이름 '튀르키예(Turkiye)로 불러달라." 일리있는 얘기 아닌가 터키는 터키어를 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 아나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