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문화·예술인의 자세 - 김관식 문학평론집
* 저 자 : 김관식
* 분 량 : 320쪽
* 가 격 : 12,000원
* 책 크기 : 148mm x 225mm
* 초판인쇄 : 202년 01월 31일
* ISBN : 979-11-94200-61-1 (03810)
* 도서출판 명성서림
<저자소개>
● 학력
- 광주교육대학 졸업(1974년)
- 조선대학교 경상대학회계학과 졸업(1984년)
- 조선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회계학전공 경영학석사(1986년)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교육사회학과 교육학석사(1998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2012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문예창작콘텐츠학과 문학석사(2015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졸업(2017년)
- 숭실대학교 대학원문예창작학과 박사과정 수료(2019년)
● 등단
- 전남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입상(1976년)
- 계간 『자유문학』 신인상 시 당선(1998년)
● 저서
- 동시집 『토끼 발자국』(1983) 외 17권
- 시집 『집』 『가루의 힘』(2014) 외 20권
- 좋은동시재능기부동시집(2020~현재) 5권
- 문학평론집 8권, 시창작론 『현대시 창작방법과 실제』(2021) 외 1권
- 기타 전설집, 명상칼럼집 각1권
● 수상
- 2009년 한국시 문학대상 수상
- 2016년 제7회 백교문학상 대상 수상
- 2017년 황조근정 훈장
- 2019년 김우종문학상 문학평론 부문 본상 수상
- 2021년 문예창작 문학상 대상 수상
● 문학 단체 활동 상황
- 한국문인협회 회원, 한국산림문학회 회원
- 백교효문화선양회 회원
- 국제펜 한국본부 이사
-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 서초문인협회 이사
- 한국문학협회 자문위원
<작가의 말>
수준 높은 문화예술 환경을 기대하며
고향 나주의 집필실과 서울을 오가며 생활한지도 어언 여섯 해가 되
었다. 그동안 애향심으로 눈에 거슬리는 것들을 바로잡고자 지역신문
에 발표한 칼럼과 한국좋은동시재능기부사업회의 재능기부동시집 발
간과 기증 사업을 다섯 번째 실천해오면서 재능기부동시집의 서문에
썼던 글과 아동문학전문지의 계평, 그리고 고대시가와 동심에 대해 쓴
칼럼, 평문집을 한데 묶어 펴낸다. 문학평론집이라기 보다는 칼럼과 평
론을 뒤섞어놓은 잡문집이다.
광주전남의 여러 지역에 공익성을 고려하지 않는 행정기관의 불합리
한 행정 결과를 바로잡고자 뒷북을 쳤다. 특히 혈세로 세운 엉터리 시
비 문제와 특정인의 탐욕이 드러난 인물의 우상화 문제는 고장의 명예
실추는 물론 후손들에게 부끄러운 짓일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바로 고쳐
져야 마땅할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시대에 구시대적인 발상으로 추악한 탐욕을 감추려
는 어리석음은 향토사회를 병들게 하고 대대로 내세운 인물에 대한 비
난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예술의 고장이라는 전통을 이어받아 우리 고장 광주전남 출신 두
분이 노벨평화상과 문학상을 수상했다. 우리고장의 격상된 문화수준
에 못 미치는 부끄러운 것들은 빠른 시일 내에 바로 잡아 수준 높은
문화예술 환경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0 2 5 . 22. 1
山 齊 에香서 김관식 드림
<목차>
제1부 문화·예술인의 자세
신숙주의 생가 유감 13
문화·예술인의 자세 18
나의 취재 여행기 24
『꿈꿀 권리』의 실현 ― 문학인의 사명 2 9
광주, 전남 자웅동체의 지자체 33
문예지의 순수성과 역할 3 6
지방 문학 풍토의 개선 방안 4 0
문예지원금제도의 허와 실 4 4
문인의 홍수시대, 공정한 문예지원금 제도 절실 49
선진문화의식의 정착과 실천화 53
한국문학풍토의 개선 방안과 대책 57
제2부 문학생태 환경의 개선
강태공들에게 바란다 65
버킷리스트 6 9
고라니 보호구역 지정을 73
우리 고장 전남의 부끄러운 관광지 실태 ― 전장포 시비 사례를 중심으로 7 7
혼을 담은 글쓰기 8 4
기초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성적표 ― 가을 지방 축제 현장을 보고 8 8
농촌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생애교육 92
풀리지 않는 수수께기 9 6
영산강 명소에 세워놓은 시비詩碑 유감 9 9
영산강 명소의 시비詩碑에 대한 제언 103
남도의병역사 박물관 건립에 대한 기대 114
문학의 대중화와 문학놀이꾼들의 활동 118
농촌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생애교육 122
자아실현을 위한 시니어들의 행정복지서비스 12 6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유적지 답사기 13 0
효의 현대적 의미 137
실종된 낚시터의 공중도덕 14 4
신춘문예제도의 역할 14 8
제3부 꽃향기를 찾아서
동서양의 세계관 비교 157
나라꽃 무궁화를 심고 가꾸자 16 6
민주시민의식의 정착에 대한 기대 170
뉴 노멀 시대, 아동문학의 향방 173
동심을 실천하는 아름다운 사람들 18 0
두레정신으로 꽃피운 동심의 향기 182
벌거숭이 심마니 정신으로 캐낸 천종산삼 18 6
좋은동시재능기부사업 5주년 맞이 ― 꽃향기 널리 멀리 18 9
한국문학 중심지 운동의 본질과 의의 192
문학인의 지조 19 8
나의 문학하는 자세와 방향 2 0 9
한국어 속의 일본어 211
문학작품의 창작과 문학활동 215
제4부 동시 창작은 이렇게
동시의 상상력과 적용의 실제 ― 사물, 관념, 생활 동시의 상상력 223
동시 창작 과정에서 묘사와 진술의 원리 ― 동시 창작 표현의 올바른 적용을 위하여 235
동시의 개념, 그리고 동심과 서정적 자아 24 4
창의적인 발상과 형상화 251
한국고대시가와 동심 개념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