誦經 송경
誦經就是誦念經文,是道教齋醮中最普遍最常見的一種儀式元。
一個道教徒在入道後初習儀式時就要學習誦經。
경전을 암송하는 것은 도교 재초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흔한 의식 요소 입니다.
도교도는 도교에 입학한 후 의식을 처음 배울 때 경전을 낭송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道門通教必用集》稱
"童子長成,教習音韻。
單聲誦念,贊助行持。
傳聞舛差,蹈襲蕪鄙,
悉加厘正,俾就謹嚴",
就是通過誦念經文,幫助"行持",修習道學的意思。
《도문통교필용집》은
동자가 장성하여 음운을 가르친다.
단음으로 낭독하고, 후원을 한다.
소문은 가난하고, 비열한 공격을 반복하고, 더 많은 것을 알고, 엄숙하게 한다
,즉, 경전을 낭송하고, "행지"를 돕고,도학을 연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誦念方法同一般詩文的朗讀不同。
詩文朗讀一般按文意抑揚頓挫,節奏變化,但誦念經文大多呆板平穩,與意無涉,其節奏往往由某種打擊樂器控制。
암송 방법은 일반 시문 낭독과 다르다. 시읽기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리듬 변화이나, 그러나 경전을 읽는 것은 대부분 부드럽고, 의도하지 않으며, 그 마디 속도는 종종 타악기의 일종에 의해 제어됩니다.
誦念時,有個人單獨誦念的,也有多人集體誦念的,有誦念一遍而止者,也有反復誦念多遍的。
암송할 때, 한 사람이 혼자 읽는 사람이 있고, 여러 사람이 집단으로 암송하는데, 한 번 읽고 멈추고, 여러 번 암송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ㅡ 중략
歷代道教科儀文獻,對於誦念經文的選擇、時間安排、同眾術之關係等,多有所闡述。
經文的選擇。道教一直重視《道德經》的誦念。
역대 도교의 문헌은 경전을 낭송하는 경문 선택, 시간안배, 대중의 술과의 관계 등에 대해 많은 것을 설명한다.
경문의 선택이다. 도교는 항상 도덕경 낭독을 중시해 왔습니다.
ㅡ
誦經作為道教齋醮儀式中的一種,往往同道教的一些方術相聯繫,在《無上秘要》中引用的《洞真金房度命經》和《洞真素奏丹靈六甲符經》,都談到誦經要同服符相結合。
송경지음은 도교 재초의식에서 일종으로, 종종 도교의 몇 가지 조리법과 연결되어, "무상비요"에서 인용 된 "동진 금방 도명경"과 "동진 소주 단링 육갑 부경", 모두 암송과 함께 봉사 부적과 결합에 대해 같은 복종입니다.
在誦念《金真金房度命經》十遍後,就要服金房保命符,連續誦念一百遍,即服十次,"此則通神致真,坐見八方,條理百關,節度納靈,萬氣總歸,則能長生壽極,天地三光同年"。
《금진금방도명경》 십번을 낭송한 후, 금방보명부적을 복역하여 연속 백번을 낭송하여, 즉 십번을 복종하고,이 모든 것이 신에게 참되고, 팔방, 조리백관, 절도나령, 만기가 돌아온다면, 장수극을 영생할 수 있을 것이고, 천지삼광은 같은 해이다.
ㅡ
ㅡ
道教初有誦經儀式,可能與佛教的誦念有關。
例如:道教誦經有"三誦":
神誦、心誦和氣誦,即誦經時各用發自上、中、下三丹田不同之氣,隨事之輕重而誦之。
도교의 첫 번째 송경 의식은 불교의 송념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교송경은 "삼송"입니다 : 신송은, 마음송과 기송이고, 즉, 송경 할 때 각각 상, 중, 하 삼단전에서 다른 기운을 사용하여, 일의 경중에 따라 암송합니다.
另有"三祝":心祝、微祝、密祝。心祝指誦經中,心神存意而祝;
微祝則自己可聞其聲;
密祝指口中有音而外人莫曉其聲。
또 세 축이 있습니다: 마음축, 미축, 밀축입니다.
마음축은 송경을 말하고, 마음신이 존재하는 뜻이며 축하하고,
미축은 자기가 그 소리를 듣고,
밀축은 입에서 소리가 있고 외부인은 그 소리를 알 수 없다.
此類區分誦祝的說法與佛教誦念之法的區分相類似。
이러한 구별은 송축의 설법과 함께 불교 송념의 법 구별과 유사하다.
佛教誦念有音聲誦金,即發聲誦念;
金剛誦念,即合口默誦;
摩地誦念,即定心無聲而念;
真實誦念,即定心而觀文字之實相。
불교 송념에는 음성이 금으로 낭송되고, 즉 발성 송념이고,
금강 송념은 입을 모아 묵념 송하고,
모지 송념은 마음을 정하고 소리 없으며 생각한다.
진실송념은 마음을 정하고 글의 실상을 관찰한다.
佛教徒的誦經語腔也是呆板平穩,與意無涉,也與道教誦經類同。
불교도의 송경어 낭독이다 무난하고 평온하며, 뜻과는 아무 것도 관련이 없고, 또한 더불어 도교 송경은 같다.
它們的節奏控制一般均使用木魚和鍾磬。
只是道教的誦經方法同道教教義、規戒和方術以及誦經曲調和漢語音韻結合了起來,最終使道教誦經儀式具有了與佛教不同的鮮明特點。
그들의 리듬 제어는 일반적으로 목어와 종새를 사용합니다.
오직 도교가 가르치는 송성 방법은 도교 교리에 같고, 규칙과 방술뿐만 아니라 송경 곡조와 한자어 음운은 결합되어 오며, 최종으로 도교송경 의식이 불교와는 다른 독특한 특성이 있음이 다릅니다.
ㅡㅡㅡ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