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만 | 向晩 | 向xiàng 晩wǎn | ●● | 1)저녁 무렵 2)저녁 때 |
의불적 | 意不適 | 意yì 不bù 適shì | ●●● | 1)마음이 불쾌하다. 2)마음이 편치 않다. |
고원 | 古原 | 古gǔ 原yuán | ●○ | 옛 언덕. <낙유원>을 가르킴. |
지시 | 只是 | 只zhǐ,zhī 是shì | ●● | 1)다만, 단지. 오직. 오로지 |
<樂遊原낙유원>
長安의 남쪽에 있는 언덕으로 장안에서 제일 높은 곳. 사방의 조망이 넓고 시원하여 매년 3월 삼진날, 3월 初九日이면 장안의 士女들이 이곳에 올라와 놀았다 함.
<李商隱이상은의 登樂遊原등낙유원>
등낙유원 시는 이상은이 낙유원에 올라 석양이 지는 것을 보고 감상한 바를 적은 시로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특히 끝 두 구는 驚句경구로, 含意함의가 넓기로 유명하다. 단순히 저물어가는 석양의 광경을 안타까워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도 있고, 자신이 늙어지고 신세가 나빠진 것을 슬퍼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고, 晩唐만당이 쇠미해지는 것을 걱정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도 있으니, 이처럼 言外에 담긴 詩意시의가 무궁해야 좋은 시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문 교재>
<李商隱에 대하여>
이상은의 생애와 시의 배경.
몰락한 귀족가문 출신인 이상은李商隱(813~858)은 어려서부터 다방면에 재능이 뛰어났던 천재시인이었다. 약관에 그는 당시 유력한 정파인 영호令狐씨 문파의 영수였던 영호초令狐楚에게 뛰어난 재주를 인정받아 막부의 巡官순관에 발탁되었고, 당시로서는 매우 젊은 나이에 진사과에 급제하였다. 그러나 이상은은 돌연 영호초와는 정적관계에 있었던 왕무원王茂元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당시 치열하게 당쟁을 벌이고 있던 상황에서 일어난 이 돌발적인 사건에 대해 영호초 일파는 이상은의 행위를 배은망덕으로 규정하여 맹렬히 비난하였다.
이후의 정세는 이상은의 예측과는 달리 전개되었다. 왕무원의 정치적 지위는 얼마 안가 흔들리기 시작하였으며 이상은이 30대에 들어서면서 영호초의 아들인 영호도令狐綯가 권력을 장악하고 장기집권의 가도로 들어서고 말았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이상은은 채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해 보지도 못하고 몰락하게 되었다. 장안을 떠난 그는 이전에 친분이 있었던 지방의 고위관리나 유지들을 찾아가 막료 생활을 하면서 각지를 떠돌게 되었다. 이상은은 실의에 찬 유랑생활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말았으며 끝내 의욕과 희망을 찾지 못하고 40대 중반에 세상을 떠났다. 이상은의 불행한 일생은 정치적 입신을 위해 정계에 뛰어들었던 야망에 가득찬 한 유능한 젊은이가 당시 정계에서 겪었던 좌절과 허탈감등을 잘 보여 준다. 그의 시에는 파란만장한 짧은 생애 동안 혹은 불운에 의해 혹은 스스로 자초하여 직면하게 되었던 갖가지 사건들과 그로부터 비롯한 감회가 잘 나타나 있다.
이상은의 시의 내용과 특성
이상은의 시는 그의 내면세계를 상징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의 시 가운데 가장 특색있고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작품들은 당시로서는 매우 특이하게 제목이 붙어 있지 않은 이른바 무제시無題詩, 자기의 감회를 특정한 사물에 대한 묘사를 통해 우회적으로 표현한 영물시詠物詩, 자기의 생각을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서술을 통해 표현한 詠史詩영사시이다.
그의 시에는 대상조차 명확하지 않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애정, 이루지 못한 젊은 날의 꿈과 포부에 대한 미련, 화려한 지난 날에 대한 회상과 희한 등이 복합적으로 표현되고 있어서 일견 주제가 명료하지 않다. 이렇게 모호할 정도로 복합적이고 복밥한 주제를 표현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고 절묘한 표현방법과 기교가 그의 시에는 성공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첫댓글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