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간(黃澗) 전씨(全氏)
본관 연혁
황간(黃澗)은 충청북도 영동군(永同郡) 일원의 옛 지명이다. 신라 때에는 소라현(召羅縣)이라 불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간현(黃澗縣)으로 고쳐서 영동군의 관할로 두었고,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경산부(京山府: 星州)에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 경상도로부터 충청도로 이관되었고, 1414년(태종 14) 청산현(靑山縣)과 병합하여 황청현(黃靑縣)이 되었다가 1416년 분리되었다. 황계(黃溪)로도 불리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황간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북도 황간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황간군 황간면으로 축소되어 영동군에 통합되었고, 1940년 영동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성씨의 역사
도시조(都始祖) 전섭(全聶)은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로 BC 18년 온조(溫祚)가 백제를 개국할 때 오간(烏干), 마려(馬藜),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간(屹干), 곽충(郭忠), 한세기(韓世奇) 등 9사람과 함께 공을 세워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전씨(全氏)는 도시조인 전섭으로부터 18본이 분적되었으며, 우리나라 전씨는 단본이라 할 수 있다.
황간전씨(黃澗全氏) 시조 전익(全翼)은 도시조 전섭(全聶)의 26세손으로 고려 때 문과에 합격하여 광록대부(光祿大夫) 형부전서(刑部典書)에 올랐다. 1231년(고종 18)에 몽골군이 침입했을 때 형인 성산군(星山君) 전흥(全興)과 함께 이를 토벌하는 공을 세워 황간군(黃澗君)에 봉해졌다. 이후 후손들은 황간(黃澗)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주요 세거지
함경북도 은성군 남양면 풍리동
함경북도 은성군 남양면 향당동
함경북도 은성군 영와면 용남동
함경북도 은성군 영와면 송북동
함경북도 은성군 영충면 북창평동
[출처] 황간(黃澗) 전씨(全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