釋惠現(석혜현) : 중 혜현(惠現)은 百濟人(백제인) : 백제 사람이다. 小出家(소출가) : 어려서 중이 되어 苦心專志(고심전지) : 애써서 '뜻을 모아 誦蓮經爲業(송연경위업) : <법화경(法華經)>을 외는 것으로 업을 삼았으며 祈禳請福(기양청복) : 부처께 기도하여 복을 청해서 靈應良稠(령응량조) : 영험한 감응이 실로 많았다. 兼攻三論(겸공삼론) : 삼론(三論)을 배우고 染指通神(염지통신) : 도를 닦아서 신명(神明)에 통하였다. 初住北部修德寺(초주북부수덕사) : 처음에 북부 수덕사(修德寺)에 살았는데 有衆則講(유중칙강) : 신도가 있으면 불경을 강론하고 無즉持誦(無즉지송) : 없으면 불경을 외었으므로 四遠欽風(사원흠풍) : 방의 먼 곳에서도 그 풍격을 흠모하여 戶外之履滿矣(호외지리만의) : 사문밖에 신이 가득했다. 소厭煩擁(소염번옹) : 차츰 번거로운 것이 싫어서 遂往江南達拏山居焉(수왕강남달나산거언) : 마침내 강남(江南) 달라산(達拏山)에 가서 살았는데 山極嵒險(산극암험) : 산이 매우 험준해서 來往艱稀(래왕간희) : 내왕이 힘들고 드물었다 現靜坐求忘(현정좌구망) : 혜현(惠現)은 고요히 앉아 생각을 잊고 終于山中(종우산중) : 산속에서 인생을 마치니 同學擧嵓置石室中(동학거암치석실중) : 동학(同學)들이 그 시체를 운반하여 석실(石室) 속에 모셔 두었더니 虎啖盡遺該(호담진유해) : 범이 그 유해를 다 먹어 버리고 唯骸舌存焉(유해설존언) : 다만 해골과 혀만 남겨 두었다. 三周寒暑(삼주한서) : 추위와 더위가 세 번 돌아와도 舌猶紅軟(설유홍연) : 혀는 오히려 붉고 연하였다. 過後方變(과후방변) : 그 후 변해서 紫硬如石(자경여석) : 자줏빛이 나고단단하기가 돌과 같았다. 道俗敬之(도속경지) : 중이나 속인들이 그를 공경하여 藏于石塔(장우석탑) : 이를 석탑(石塔)에 간직했다. 俗齡五十八(속령오십팔) : 이때 나이 58세였으니 卽貞觀之初(즉정관지초) : 즉 정관(貞觀) 초년이었다. 現不西學(현불서학) : 혜현(惠現)은 중국으로 가서 배운 일이 없고 精退以終(정퇴이종) : 고요히 물러나 일생을 마쳤으나 而乃名流諸夏立傳(이내명류제하립전) : 이름이 중국에까지 알려지고 在唐聲著矣(재당성저의) : 전기(傳記)가 씌어져 당나라에서도 그 명성이 높았다.
夫又高麗釋波若(부우고려석파약) : 또 고구려의 중 파약(波若)은 入中國天台山(입중국천태산) : 중국 천태산(天太山)에 들어가 受智者敎觀(수지자교관) : 지자(智者)의 교관(敎觀)을 받았는데 以神異(이신이) : 신이(神異)한 사람으로 間山中而滅(간산중이멸) : 산중에 알려졌다가 죽었다. 唐僧傳亦有章(당승전역유장) : <당승전(唐僧傳)>에도 또한 실려 있는데 頗多靈範(파다령범) : 자못 영험한 가르침이 많다.
讚曰(찬왈) : 찬(讚)해 말한다
鹿尾傳經倦一場(녹미전경권일장) : 녹미로 설법함도 한바탕 수고 去年淸誦倚蕓藏(거년청송의운장) : 지난 해, 외던 불경 구름 속에 있다 風前靑史名流遠(풍전청사명류원) : 세상의 역사에 길이 이름 남겨 火後紅蓮舌帶芳(화후홍련설대방) : 사후에는 연꽃처럼 혀가 꽃다웠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