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골프 열풍이 뜨겁다 - 골프저널
작년에 이어 올해도 파크골프 열풍이 뜨거운 가운데, 파크골프를 둘러싼 논란도 점점 커지고 있다.
파크골프 조성 붐
파크골프 열풍이 뜨겁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파크골프 열풍이 멈출 줄 모르는 가운데, 파크골프를 둘러싼 논란도 점점 커지고 있어 무작정 급성장할 게 아니라 더욱 견실하게 성장할 방법이 무엇인 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때이다.
파크골프 열풍은 과장된 표현이 아니다. 2021년 7월 한 달간 언론 보도만 살펴봐도 파크골프 열풍이 과장이 아님을 실감할 수 있다. ‘화천군 하남면 거례리 파크골프장 새 단장’, ‘완도 고금면 9홀 파크골프장 조성’, ‘장성 황룡강변 파크골프장 완공’, ‘여주 36홀 파크골프장 개장’ 등 새로운 파크골프장 조성, 계획, 완공 소식은 말 그대로 쏟아지고 있다.
국민스포츠 가능할까?
파크골프가 단순한 인기 스포츠를 넘어 지자체도 큰 관심을 기울이는 ‘국민 스포츠’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는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 7월 1일 여주 파크골프장 개장식에는 이항진 여주시장이 참석했고, 전남 완도에서는 신우철 완도 군수가 최경주의 골프철학과 파크골프를 결합한 공간을 만들어 전 세계적인 명소가 되었으면 바란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장성군 파크골프장도 지역 사회의 민선 7기 공약사업의 일환으로 착공되어 무사히 완공되는 등, 파크골프는 더는 몇몇 개인이나 소수의 동호인들을 위한 종목을 넘어 지자체의 지원 속에 나날이 저변을 넓히며 ‘국민 스포츠’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지자체의 사정
또한, 파크골프가 지역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는 ‘신성장동력’의 자리를 노리고 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앞서 소개한 전남 완도의 파크골프장 조성 계획에 ‘최경주의 골프철학과 파크골프를 결합해 전 세계적인 명소로 만들고 싶다’라는 청사진을 그린 것이 좋은 예이다. 청사진을 넘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 곳도 있다.
화천 하남면 거례리 파크골프장이 대표적이다. 7월 10일 화천군은 최문순 군수와 이금용 대한파크골프협회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파크골프 발전 및 양 기관의 우호 증진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파크골프협회 관계자들은 거례리 파크골프장의 코스 공인인증을 위한 시설 규모 측정도 함께 진행했다. 현재 거례리 파크골프장은 18홀 규모이며, 18홀 추가 조성을 준비 중이라 계획대로 완공 시 총 36홀 규모의 거대한 파크골프장이 들어서게 된다.
파크골프장 규모를 확대하는 건 물론, 군과 파크골프장의 업무 협약에 따라 전국 규모의 대회를 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성장 및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겠다는 게 화천군의 계획이다. 현장을 찾은 파크골프협회 임원진들이 “북한강과 아름다운 수목공원을 낀, 이처럼 아름다운 천연잔디 코스는 전국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높이 평가하고 있어 장래가 크게 기대된다는 평이다.
새롭게 부각되는 문제들
이처럼 파크골프 열풍은 전국적인 현상이며, 시설이 많이 생기고 성장하는 수준을 넘어 ‘국민 스포츠’, ‘신성장동력’의 자리까지 넘보고 있다. 하지만 어떤 종목이든 규모가 커지면 그만큼 문제가 함께 생겨나는 법이다. 이 문제는 규모를 더욱 키운다고 자연스럽게 해결되지는 않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올바른 해결책을 찾고 실행해야 드러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종목이 견실하게 성장할 수 있다는 건 수많은 스포츠 종목들이 보여준 바 있다. 파크골프 역시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가 온 것이다.
먼저 환경 문제를 꼽을 수 있다. 규모가 큰 파크골프장을 짓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자연 파괴는 불가피하며, 이로 인한 반발이 크다. 파크골프장이 계획되거나 건설되면 과정에서 환경 단체가 반발하는 건 이제는 흔한 풍경이 되었다.
나아가 최근 전주 만경강에 조성된 파크골프장은 환경 파괴는 물론 환경영향평가를 제대로 밟지 않았다는 논란에 휩싸여 환경 단체에서 시설을 원상복구 할 것을 요구하는 등 거대한 논란으로 번졌다. ‘형제’라 할 수 있는 골프장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겪고 있는 환경 논란을 파크골프장도 역시 고스란히 겪고 있는 셈이다.
부산 파크골프장 유료화 문제
파크골프 시설이 늘어나면서 이를 둘러싼 금전적인 문제 또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최근 부산에서 벌어지고 있는 파크골프장 유료화 논의가 좋은 예다. 아직은 사회적인 논란이라기보다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논의에 가깝지만, 전국 각지에서 파크골프장이 건설되는 시점에서 이러한 논의는 주목할 가치가 크다.
지난 7월 13일 부산 시의회에서 열린 임시회의에서 낙동강 관리본부에서 운영하는 파크골프장 유료화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대체로 유료화에 찬성하는 의견이 많은 가운데 정영란 낙동강 관리본부장은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면서 “당연히 유료화를 해야 한다. 어린이들도 수영장 시설 이용료를 2,000~3,000원씩 내고 있는데 생활의 여유가 있다고 판단하는 어르신들도 내야 한다”라며 파크골프장 유료화에 전면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회의에 참석한 김재영 시의원은 “어느 날 갑자기 무료로 이용하던 것을 유료화하겠다고 하면 옳고 그름을 떠나서 시민의 상당한 민원이 발생할 것”, “현수막을 통해 시민들에게 유료화 계획을 알리고 자연스럽게 추진해야 한다”라며 유료화는 반대하지 않았지만, 더욱 신중한 정책 추진을 주문했다. ‘환경 논란’, ‘시설 유료화’ 등 파크골프장을 둘러싼 여러 문제는 본격적으로 도마 위에 올랐고,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 두고두고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파크골프 열풍은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국민 스포츠’, ‘지역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하지만 어떤 스포츠 종목이든 성장하고 규모가 커지면 그만큼 문제가 뒤따랐고, 파크골프도 예외는 아니다. 아직 국내에서 신생 종목에 속하는 파크골프가 좀 더 견실한 형태로, 또 사회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성장할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할 때가 아닐까. GJ
출처: 골프저널 2023. 09. 01일자
|
첫댓글 선배님 반갑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
수고 많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