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비 우산 아래 활짝 핀 상사화의 꿈
<분당사계절 2019년 제38차 영광 불갑산 특별산행>
■ 산행개요
♣ 산행일시 : 2019년 9월 21일 (토) 태풍 비
♣ 산 행 지 : 불갑산(佛甲山 518m) 및 상사화 축제장 방문
♣ 소 재 지 : 전남 영광군 불갑면 함평군 해보면
♣ 산행코스 : 구수재→ 전망대→불갑산(연실봉) → 해불암갈림길 → 불갑사 → 불갑사 주차장 ⇒ 약 10 km
♣ 산행방법 : 성남산우애산악화 차량 동행
♣ 산행시간 : 약 3시간 10분(11:30~14:40)
♣ 산행참석 : 사계절 참여 회원 총 23 명
♣ 산행회비 : 25,000 원
♣ 산행회식 : 불갑산 주차장 “할머니식당“
■ 산행자료
▣ 불갑산(佛甲山 518m)
높이는 516m이고, 주봉은 연실봉이다. 원래는 아늑한 산의 형상이 어머니와 같아서 '산들의 어머니'라는 뜻으로 모악산이라고 불렀는데, 백제시대에 불교의 '불(佛)'자와 육십갑자의 으뜸인 '갑(甲)'자를 딴 불갑사가 지어지면서 산 이름도 불갑산으로 바꿨다고 한다. 숲이 울창하고 산세가 아늑하며, 참식나무와 상사초 같은 희귀 식물들이 자생군락을 이루고 있다. 많은 인파가 북적이지 않아서 조용한 산행을 하기가 좋으며, 특히 가을에는 아름다운 단풍이 유명하다. 2019년 1월 10일 불갑산 일대인 불갑면과 묘량면 일원이 도립공원으로 지정·고시된 바 있다.
산행은 불갑사에서 시작하여 저수지·동백골·해불암을 거쳐 정상에 이른 다음 노루목·법성봉·전일암을 거쳐 참식나무 군락을 따라 불갑사로 내려오는 코스가 있는데, 산행시간은 3시간 30분 걸린다. 정상인 연실봉에서는 서쪽으로 바다가 보이는데 서해 낙조의 아름다움은 토함산의 일출과 함께 널리 알려져 있으며, 내륙 쪽으로는 광주 무등산과 담양 추월산이 보인다. 불갑사 일원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꽃 무릇이 자라는데 해마다 9월 중순 초가을에 불갑산꽃무릇축제'가 열린다.
▣ 불갑사(不甲寺)
불갑사의 창건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며, 중국의 승려 마라난타가 서해를 건너서 맨 처음 도착한 법성포와 가까운 곳에 창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오랜 역사만큼 많은 전설을 간직하고 있으며, 보물 제830호 대웅전, 보물 제1377호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보물 제1470호 불복장전적 등을 비롯하여 팔상전, 칠성각, 만세루, 범종루, 천왕문 등 귀중한 문화재들을 품고 있다. 불갑사 경내에는 또한 절 뒤에는 각진국사가 심었다고 전해지는 수령 700년 정도 된 참식나무(천연기념물 112)가 있다.
1908년에 의병대장 이대극(李大克)·이백겸(李伯謙)·김남수(金南洙)·김관섭(金寬燮) 등이 이곳과 장사산(長沙山)을 중심으로 영광·무장·고산·함평·고창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 산행후기
▶ 사계절 탄생 이후 처음으로 타 산악회에 동승하여 장거리 산행을 나서는 날을 손꼽아 기다렸지만 일주일 전부터 예보된 태풍이 제주도를 엄습하여 북상 중인데 약속한 회원이 빠짐없이 참석하였으나 출발부터 비가 뿌리는 날씨는 남도를 갈수록 빗줄기가 굵어진다. 오늘은 산행도 산행이지만 지금 만개한 상사화를 감상하며 낭만의 시간을 열어 놓는 것도 좋을 것 같은데 굵은 비 내리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축제장을 찾아온 차량의 홍수로 인하여 불갑사 주차장 진입이 어려워 산행대장의 판단으로 들머리를 구수제로 산행차량을 돌렸다.
▶ 11시 25분 상사화가 만발한 구수제 저수지에서 빗속 산행은 시작되고 몸속으로 또 등산화 속으로 빗물이 스며들 때쯤 등산로 바닥에 서서 간식을 때우고 연실봉으로 올라섰으나 수많은 인파의 물결에 밀려 정상 인증숏을 포기하고 해불암 갈림길을 택하여 하산을 하는데 길바닥이 돌자갈이 어지럽게 널려 있어 로변에 아름답게 핀 상사화의 자태를 가슴으로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 뿔뿔이 흩어진 산우들을 찾지 못하고 몇몇 산우들만 오후 2시 1010분쯤 불갑사 입구로 하산하여 그나마도 함께 식사를 하지 못하고 혜숙이와 은하수와 같이 비빔밥집에서 허기를 면하고 태풍으로 만신창이가 된 상사화 축제장을 돌아보며 자연의 위대한 힘 앞에는 스스로 주저앉아버리는 인간의 능력을 직감하면서 산우애산악회 산행차량에 올라 긴 시간 먼 길을 지루하게 귀가하였다..
■ 산행사진
※ 사진은 모두 http://cafe.daum.net/jungang4050에서 산행안내는 다음 카페에서 가져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