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졸업장보다 독서하는 습관이 더 중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사 창업주 빌 게이
트의 이 말은 독서의 중요성을 강
조하는데 부족함이 없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좋은 대학으로 일
컬어지는 대학의 졸업장보다 스스
로 책을 읽는 일이 더 중요하다는
것은 그만큼 독서가 인간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뜻 입니다.
그는 하루 한 시간씩, 주말에는 서
너시간씩 꼭 책을 읽는 독서광 이
었습니다.
그는 디지털시대의 선도자 이면서
도 "컴퓨터가 책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내가 살던 마을의 작은 도서관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라고 말합
니다.
굳이 빌 게이츠의 말을 예로 들지
않더라도 책과 독서에 관한 명언
은 수없이 많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명언, '책속에 길이 있다.'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에서 부터 '밥은 거지를 만
들고 책은 부자를 만든다.'
'책이 없는 백만장자가 되기보다
차라리 책과 더불어 살 수 있는 거
지가 되는게 한결 낫다'
'책 두 권을 읽은 사람은 책 한 권
을 읽은 사람을 지배한다'
'책 읽을 시간이 없으면 책을 쓰다
듬기라도 하라'
'구해놓은 책을 읽지 않으면 저승
가서 그 책들을 두 손으로 높이 들
고 서 있어야 한다.'
'책을 천하게 여기는 것은 아버지
를 천하게 여기는 것과 같다'
'나는 한 시간의 독서로 시들어지
지 않는 그 어떤 슬픔도 경험하지
못했다' 등에 이르기까지 일일이
더 열거할 수 없습니다.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책의 소중함과 독서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명언 입니다.
오늘 저는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
울 수 있는 여러 인물중에서 제가
존경하는 우리나라의 인물 세 분
의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조선시대의 위대한 문장가 김만중
은 아버지 김 익겸이 1637년 정
축호란 중 강화도에서 순절하고 어머니 해평윤씨가 만삭의 몸으로
피난선을 타고 피난 갈 때 갑판 위
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머니 윤씨는 아버지 얼굴도 모
르고 자라는 아들을 볼 때마다 무
엇보다도 엄한 독서교육이 필요하
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제때 배우지 않고 사는 것
은 빨리 죽는 것보다 못하다"면서
아들에게 책을 통해 세상의 이치
를 깨닫게 해 주려고 노력 했습니
다.
결코 넉넉한 살림이 아니었지만
아들에게 필요한 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라면 값의 고저를 묻지 않
았습니다.
이웃에 사는 홍문관 서리에게 책
을 빌려 손수 필사본을 만들기도
하고 들에 나가 곡식을 거둔 돈으
로 <논어> <맹자>등의 고서를 구
하기도 하고 직접 짠 명주를 팔아
<춘추좌씨전 >을 사서 아들에게
읽히기도 했습니다.
스승을 구할 형편이 못돼 <소학>
<사략> <당율>등을 직접 가르기
도 했습니다.
손끝에 피멍이 맺힐 정도로 고된
일에 잠 못 이루는 날도 많았지만
그럴수록 마음을 다 잡으며 아들
에게 당부 했습니다.
"너는 남과 다르니 배움에 한층 깊
어야 한다. "
이런 어머니의 헌신적인 가르침 속에서 자란 김 만중은 훗날 <구
운몽> <사씨남정기>등의 소설과
<서포만필>등의 평론집으로 우리
나라 역사에 이름을 남겼습니다.
김 만중이 이렇게 한국고전 문학
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불후의 명
작을 남기게 된 것은 바로 독서의
힘 때문입니다.
어릴 때 어머니가 심어준 독서의
힘이 김 만중의 일생을 뜻 깊게 만
들어 준 것입니다.
만일 김 만중이 책 읽기를 게을리
했더라면, 오늘날 한국 고전 문학
사의 한 획을 긋는 인물로 남지 못
했을 것입니다.
1910년 3월 26일 오전, 사형 집행이 있기 전 , 안 중근 의사의 마
지막 소원은 읽던 책을 마저 읽게
해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사형이 선고된 후 안의사는 여순
감옥에 수감되어 있었습니다.
안 의사는 항소를 포기하고 그곳
에서 <동양평화론>을 저술하여
후세에 거사의 진정한 이유를 남
기고 싶어 했습니다.
그래서 <동양평화론> 집필을 끝
낼 때까지 사형집행을 연기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일본은 이를 무
시하고 사형을 집행 했습니다.
사형을 집행하기 전에는 사형수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것이 관
행이어서 사형집행인이 안 중근
의사에게 "마지막 소원이 무엇입
입까?" 물으니 "5분만 시간을 주
십시오, 책을 다 읽지 못했습니다
" 하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아무것도 남길 유언은 없
으나 다만 내가 한 일은 동양평화
를 위해 한 것이므로 한 일 양국인
이 서로 일치 협력하여 동양평화
의 유지를 도모할 것을 바란다"라
고 했습니다.
그리고 5분 동안 읽던 책의 마지
막 부분을 다 읽고 어머니가 직접
지어주신 하얀 수의를 입고는 사
형집행인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이 세상을 하직하셨습니다.
안 중근 의사가 왜 '하루라도 책을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
다'는 휘호를 남기셨는지 깊게 이
해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함경북도 종성 고향땅을 떠나 평
생 분단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다
가 가신 시인 김규동 선생은 1.4
후퇴때 서울 흑석동 산꼭대기 판
잣집에 살고 있다가 피난길에 나
섰는데 그때 책을 지고 나섰습니다.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전쟁과 평화> 폴 발레리 시집<해변의 묘지>
<이 상 선집> 김 기림의 <시론> 임 화 시집<현해탄> 앙드레 말로
의 <인간의 조건> 오 장한 시집<장벽> <나 사는곳> 그리고 성서
한 권 등이 바로 그 책들입니다.
김규동 선생은 2002년 1월호 <생활성서>에 쓴 글에서 당시를 이
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적지않은 책 가운데서 이것만은
어디로 가더라도 짊어지고 가고 싶었다.
아내가 독에 묻어두고 가면 어떻겠냐고 했으나, 나는 설레설레 고
개를 젓고, 두루 필요한 책 약 백
권을 묶어 큰 보따리를 만들었다.
이것을 등에 지고 길을 나서는데,
거리에는 인적을 찾아보기 어렵고
, 중공군의 포성이 서울 시내 상공
을 넘어 강 건너까지 은은히 울려
왔다.
노량진 시장께를 지나려는데 웬
지게꾼 아저씨가 달려들어 이 무
거운 짐을 선뜻 지고 앞장을 서기
시작했다.
"이 난리통에 지게를 지고 벌이를
하는 사람도 있구나" 하는 놀라움
에 우리 내외는 그저 짐작할 따름
이었다.
"아저씨는 피난 안 가요?"하고 물
으니'피 난을 어디로 갑니까?
노모가 누워 있기도 하고요.
노모를 두고 나만 떠날 수도 없고 또 갈 데도 없어요'
노량진 역까지 그는 뛰다시피 해
서 무거운 책자를 져다 주었다.
그 아저씨가 아니었으면 아마 중
간에서 책을 포기 했을 것이다.
그 당시에는 노량진 역에서는 인
천부두까지 가는 군용차량이나
트럭 같은 것이 있었다.
돈만 주면 차편은 아직 구할 수 있
었다.
고생끝에 나는 부산에 닿을 수 었
었고, 부산에서 3년동안 피난살이
를 하는 동안 아저씨가 져다준 책
들을 정신 차려 읽었다.
책을 들 때마다 40대 중반의 햇볕
에 검게 탄지게 꾼아저씨의 초상
이 떠올랐다.
'그래, 그 지게꾼은 톨스토이 보다위대하다'는 감동이 가슴을 치곤
했다.
50여년을 지난 지금에 있어서도
그 아저씨의 모습이 지워지지 않
고 가슴속에 살아 있다.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한 사람 시
인으로서 김 규동 선생이 책을 얼
마나 소중히 여겼는지 알 수 있었
습니다.
선생에게는 한 권의 책은 목숨과
맞바꿀 만큼 소중한 것이었습니
다.
그것은 책이 곧 인간이고, 책이 곧
생명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인간을 만
들고 성장 시킵니다.
저도 읽고 싶은 책 한권만 있어도
제 삶이 기쁨과 생기로 가득 찹니
다.
책을 읽었다는 사실만으로, 책을
읽다가 밑줄을 그었다는 사실만으
로 마음이 따뜻해지고 배가 부를
때가 있습니다.
지하철에 가만히 앉아 있어도 밑
줄친 그 한 구절이 저를 행복하게
해줄 때가 있습니다.
그 행복은 특히 타산지석의 가르
침을 줍니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읽으면서 제
내면의 생각을 성찰하게 합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다양하고 깊이
있게 책을 읽으려고 합니다.
단편적 지식이나 생각은 단편적
사고를 하게 만들고 전문성을 결
여 시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사람은
책을 단 한권만 읽은 사람이라고
합니다.
단 한 권 읽은 책속에 있는 진실만
이 진실이라고 믿게 돼 그만큼 인
생의 진실 범위가 좁아져 버리기
때문입니다.
첫댓글 아쉽지만 이제 책장이란게 집에서 사라지는 날이 올거에요.책을 많이 읽어야되요.
죽을때까지 공부 해야 한다는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