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BC (적혈구) : 적혈구 수 확인 |
증가 시 탈수, 심폐질환, 다혈구혈증, 쇼크, 신장암, 구토, 설사 등 의심 감소 시 빈혈, 출혈, 골수 진환, 면역 질환, 독극물 섭취로 인한 적혈구 파괴 |
HCT (Hematocrit) : 헤마토크릿 |
혈액 중 적혈구 (RBC)의 비율로 빈혈과 수화상태를 확인 증가 시 적혈구 증가증, 선천성 심질환, 진성 적혈구 증가증, 탈수 감소 시 빈혈, 출혈 적혈구 수가 정상이어도 이 수치가 낮으면 빈혈을 의미 |
HB (Hemoglobin) and MCHC 헤모글로빈 and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
적혈구에 들어있는 산소를 운반하는 색소 증가 시 탈수 감소 시 빈혈, 출혈, 철분 결핍을 의미하며 낮으면 몸에 산소를 제대로 운반하지 못함 |
GRANS(granulocyte:과립구) L/M(lymphocytes/monocytes:임파구/단핵구) |
특정 백혈구 종류 |
EOS (eosinophils : 호산구) |
특정 백혈구 종류로 주로 알러지 또는 기생충 감염시 증가 |
Band Cell (미성숙 호중구) |
염증과 관련된 백혈구 종류, 심한 전심 염증시 크게 증가 |
PLT (platelet count: 혈소판) |
혈괴(Blood clot)를 형성하는 혈구세포, 혈소판수 (피를 응집시켜 출혈을 막는 작용) 증가 시, 골수이상, 스트레스, 급성출혈 후를 의미 감소 시 출혈, 면역 질환, 기생충 감염 |
RETICS(reticulocytes : 세망적혈구) |
미성숙 적혈구, 세망적혈구가 많을 경우 재생성 빈혈을 지시 |
백혈구(WBC) : 백혈구의 수
증가 시 흥분, 스트레스, 염증, 암, 백혈구 증가증, 알러지 등의 의심
감소 시 범백혈구 감소증, 백혈병을 의미
WBC-Lymph (림프구) |
증가 시 바이러스, 세균감염, 임파 육종(암) 감소 시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골수에 영향을 주는 바이러스 감염 |
WBC-Mono (단핵 백혈구) |
증가 시 결핵감염, 단핵구성백혈병, 만성적 감염 감소 시 약물치료, 스테로이드 처방 중 |
WBC-Segs (분절 호중성 백혈구) |
증가 시 바이러스, 세균감염 / 감소 시, 패혈증 |
WBC-Eos (산호성 백혈구, 호산구) |
증가 시 알레르기 또는 기생충 감염 |
WBC-Baso (호염기성 백혈구) |
증가 시 심장 사상충 감염, 특정 기생충 감염 |
WBC-Granulocyte (과립구) |
|
혈청화학검사 (Serun Chemistry)
혈청화학검사는 간, 신장과 같은 장기의 기능, 전해질 상태, 호르몬 농도 등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특히 노령 반려동물, 구토, 설사, 독성물질 노출, 오랫동안 약물치료를 받은 경우, 마취 전 건강상태 체크에 매우 중요합니다.
빠른 검사시간, 최대 30가지 항목검사 가능, 대사증후군 분석 가능
(간효소, 체내노폐물, 단백질, 혈당,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칼슘, 인 등)
효소 - GOT, GPT, GGT, CPK, LDH, ALP, AMYL, LIP
일반 - GLU, VUN, CRE, UA, T-CHOL, HDL-C, LDL-C, TG, T-BIL, CA, IP, TP, ALB, NH3, Mg, D-BIL, HB
전해질 - NA, K, CL
간손상, 간기능 저하, 담즙정체, 질소혈증(탈수, 신장기능저하), 알부민, 글로블린, 단백질이상, 고혈당(당뇨), 저혈당, 고지혈증 등 체크
ALB (albumin : 알부민) |
알부민은 혈청 단백질로 수화상태, 출혈, 장간, 신장의 질병을 평가하는데 도움 , 간손상에 예민함 증가 시 간기능 장애, 신장질환, 영양실조 감소 시 만성 감염증 |
ALKP (alkaline phosphatase) |
ALPK 수치 증가는 간손상, 부신피질기능항진증(쿠싱) 또는 어린 동물의 뼈성장을 나타내며 검사는 특히 고양이에서 매우 민감함 |
ALP (알카린 포스티제 : 담도의 상피세포) |
뼈 말단의 세포에 포함된 효소 증가 시 간염, 담도질환, 골절 항생제에 의해 상승될 수 있음 |
ALT (alkaline aminotrnasferase), GPT |
간손상이 있는지의 민감도 높은 검사이지만 원인은 알수 없음 증가 시 간염, 간경변, 약물중독, 스트레스 |
AMYL (amylase : 아밀라제) |
아밀라아제 수치의 증가는 주로 췌장염 또는 신장 질병을 지시함 |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 |
간, 심장, 골격근의 손상 시 증가 간장 내 함유되어 있는 효소의 양 증가 시 간염, 간경변, 간암, 약물중독, 심장질환, 골격근 송상 |
A/G (알부민/글로블린) |
알부민과 글로블린의 비율로 증가시 간 장애 |
BUN (blood urea nitrogen : 혈액요소질소) |
신장 기능을 나타냅니다. 혈액요소 질소가 증가하는 경우 고질소혈증(azotemia)이라 하며 신장, 간, 심장질환, 요도폐쇄, 쇼크, 탈수 시에 나타남 |
Ca (calcium : 칼슘) |
칼슘의 증가 감소는 다양한 질병을 나타냄 종양,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신장 질환, 저알부민혈증 등이 있는 경우 칼슘의 수치가 변화함 증가 시, 신장질환, 종양/암 감소 시,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CHOL (cholesterol : 콜레스테롤) |
갑상선 기능저하증, 간 질환, 부신피질기능항진증(쿠싱), 당뇨병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
CL (chloride : 염소농도) |
증가 시 탈수 증세 감소시 구토 또는 부신피질기능저하증(에디슨병) 염소 농도는 나트륨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
Cortisol (코티솔) |
코티솔은 부신피질에서 합성하는 내인성 호르몬으로 부신피질 기능항진증(쿠싱) 또는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디슨) 진단을 위해 측정 |
CREA (creatinine : 크레아티닌) |
신장기능을 반영, 신장에 의한 BUN증가와 신장 외적인 이유에 의한 BUN 증가를 구분하는데 도움 |
CK (creatine kinase : 근육효소) |
근육 수축을 돕는 근육 효소 증가시 염증, 외상, 전염병, 심장 손상을 포함한 근육 손상 |
GGT (gamma glutamyl transferase) |
간 질환 또는 스테로이드 과다를 나타내는 효소 증가 시 간질환, 신부전, 스테로이드 과다 |
GLOB (globulin : 글로불린) |
혈청 중 면역 단백질로 만성적 염증 또는 특정 질환에서 증가 증가 시 만성염증 |
GLU (glucose : 혈당) |
높은 혈당은 당뇨병을 나타내기도 하며 일시적 흥분상태, 낮을 경우 기절, 발작, 혼수 유발 (저혈당) |
K (potassium : 칼륨) |
혈청 전해질로 구토, 설사, 과도한 배뇨를 통해 손실됨 혈청 칼륨의 증가는 신부전,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탈수, 요도 폐쇄를 지시함 (감소 시 반드시 보충이 필요) |
LIP (lipase : 리파아제) |
췌장염을 나타내는 효소 , 췌장 장애 |
Ma (Magesium :마그네슘) |
증가 시 칼슘과 마그네슘의 비율을 검토하여 영양부족이 아닌지 의심해야 하며, 감소 시, 식욕부진, 구토, 설사, 신장질환, 심장질환에 의해 낮아짐 |
Na (sodium : 나트륨) |
혈청 전해질로 감소 시 구토, 설사, 신장을 통해 손실되며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일 때 낮아지기도 합니다. 수화 상태 평가에 도움을 줌 |
PHOS (phosphorus : 인) |
증가 시 신장질환, 감상선기능항진증, 응고계 이상을 지시 무기력, 식욕상실 |
SI (serum iron : 철분,미네랄) |
증가 시 용혈성 빈혈, 감소 시 철분결핍 빈혈, 염증성 질병 |
TBIL (total bilirubin : 빌리루빈) |
빌리루빈은 지방산의 흡수를 돕는 담즙의 주요성분 간 질환 또는 용혈성 빈혈시 증가 이 검사는 담도계 이상과 트겅 빈혈 종류를 감별하는데 도움 증가 시, 악성 빈혈, 반성 골수성 백혈병, 선&후천성 용혈성 질환, 약물 중독, 황달 |
TG (triglyceride 트리글리세라이드) |
중성지방은 체내에서 합성되는 지방의 한 형태로 장에서 흡수된 지질에 포함되어 있거나 간에서 생성됩니다. 음식으로 섭취된 과잉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지는데, 평상시에는 지방세포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비만, 운동 부족, 흡연, 과음, 탄수화물 다량 섭취와 같은 생활습관에 의해 상승할 수 있으며, 당뇨병, 만성신부전 등의 질환이나 스테로이드, 베타 차단제와 같은 약제에 의해서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TG, 트리글리세라이드이란? (서울대학교병원 건강검진 FAQ) |
TP (total protein : 총 단백질) |
총단백질 수치는 알부민과 글로불린을 포함 수화상태를 평가하고 간, 신장, 염증성 질환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 증가 시 탈수증, 신장기능손상, 복막염 함체를 만들기 위해 면역 시스템이 자극 받은 경우 |
T4 (thyroxin : 갑상선 호르몬) |
갑상선 호르몬의 저하는 개에서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지시 갑상선 호르몬의 증가는 고양이에서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지시 |
일반 혈액검사 CBC + 세망적혈구 NMB 항목과 해석입니다.
: 아래 검사는 혈액 질환이 의심스러울 때 하는 검사이며 빈혈이나 염증 등을 알아 낼 수 있어 전체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취하기 전 검사로 실시합니다.
(기계마다 정상범위의 오차는 있을 수 있습니다.)
항목 |
정상수치 |
해석 |
RBC |
5.65~8.78 |
증가 시 탈수, 심폐질환, 다혈구혈증, 쇼크, 신장암, 구토, 설사 등 의심 감소 시 빈혈, 출혈, 골수 진환, 면역 질환, 독극물 섭취로 인한 적혈구 파괴 |
HGB |
13.1~20.5 |
적혈구에 들어있는 산소를 운반하는 색소 증가 시 탈수 감소 시 빈혈, 출혈, 철분 결핍을 의미하며 낮으면 몸에 산소를 제대로 운반하지 못함 |
HCT |
37.3~61.7 |
혈액 중 적혈구 (RBC)의 비율로 빈혈과 수화상태를 확인 증가 시 적혈구 증가증, 선천성 심질환, 진성 적혈구 증가증, 탈수 감소 시 빈혈, 출혈 적혈구 수가 정상이어도 이 수치가 낮으면 빈혈을 의미 |
MCH |
21.2~25.9 |
평균 적혈구의 혈색소량,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
RDW |
13.6~21.7 |
적혈구 크기 차이 분포도. 적혈구 끼리의 크기의 차이가 크면 수치가 높고 차이가 작으면 낮게 나온다 |
RETIC |
10~110 |
세망적혈구, 미성숙 적혈구를 나타내고 높을 경우 빈혈을 의미 |
LYM |
1.05~5.10 |
림프구. 증가는 감염, 바이러스 성 질환, 임파유종과 같은 특정암을 의미 감소는 폐혈증, 골수에 영향을 주는 바이러스 감염, 과립구 감소증을 의미 병균의 침범을 막는 항체를 막는 역할을 한다. |
EOS |
0.06~1.23 |
호산구. 증가는 염증성 질환, 알러지, 기생충 감염 의심 감소는 쿠싱, 스트레스 의심 알러지성 질환, 기생충증, 피부질환, PIE증후군 등에서 호산구 증가는 진단에 중요한 소견 |
PLT |
148~484 |
혈괴(Blood clot)를 형성하는 혈구세포, 혈소판수 (피를 응집시켜 출혈을 막는 작용) 증가 시, 골수이상, 스트레스, 급성출혈 후를 의미 감소 시 출혈, 면역 질환, 기생충 감염 |
PDW |
9.1~19.4 |
혈소판 입자 분포 폭, 혈소판 입자의 균일성에 대한 척도를 나타냄 |
PCT |
0.14~0.46 |
혈소판 용적의 백분율. 증가는 보통 악성종양 감소일 땐 별 의의가 없음 |
MCV |
61.6~73.5 |
평균 적혈구 용적. 적혈구 한개의 크기가 얼마인지 나타내는 것으로 적혈구 수와 헤마토크릿 값을 계산하고 빈혈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
MCHC |
32.0~37.9 |
평균 혈구혈색 농도 |
WBC |
5.05~16.76 |
백혈구는 세포들을 탐식하며 면역정보를 전달하며 면역기능을 작용해 생체 방어에 관여 세균 감염증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백혈구수가 증가 하지만 바이러스 감염증인 경우 오히려 감소하기도 한다. |
NEU |
2.95~11.64 |
호중구 |
MONO |
0.6~1.12 |
단구. 증가는 스트레스, 만성염증 의심 |
BASO |
0.0~0.10 |
호염기성 백혈구. 특정 기생충, 심장사상충 감염 시 나타나고 증가는 기생충 감염 의미 |
MPV |
8.7~13.2 |
평균 혈소판 용적 |
종합 혈청 화학 검사 + 전해질 검사의 항목과 해석입니다.
이 검사는 화학적 정량기구를 이용해 혈청을 분석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검사 결과 수치를 통해 종합적 분석, 질병의 진단, 경과, 예후 등의 변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이에 따라 간,신장 등의 중요 장기 기능 확인과 전반적 영양상태 등의 전신 상태 판정도 가능하다.
검사 기계마다 정상수치 범위의 오차는 있을 수 있습니다.
항목 |
정상수치 |
해석 |
Glucose |
74~143 |
혈당 : 증가는 당뇨병 감소는 저혈당(기절,발작,혼수) 유발 |
Creatinine |
0.5~1.8 |
크레아틴 증가 시, 신장질환, 요로폐색, 급성신부전, 만성신부전 감소 역시 신장질환을 나타냄 신장을 반영하는 수치이고 신장에 의한 BUN증가와 신장 외적인 이유에 의한 BUN증가를 구분하는데 도움 |
BUN |
7.0~27.0 |
혈액요소질소 : 신장기능 증가 시 신장장애, 간, 탈수, 요도폐쇄, 쇼크, 심장질환 일 때 나타남 감소 시 간기능 장애, 고단백을 먹었을 때의 일시적 영향 |
Phosphorus |
2,5~6.8 |
인 증가 시, 신장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응고계 이상을 나타냄 증가 시, 식욕감퇴로 이어진다. |
Globulin |
2.5~4.5 |
글로불린 : 혈청 중 면역 단백질 증가 시, 만성적 염증 및 특정질환에서 나타남 |
ALT |
10~100 |
간 손상 확인을 위한 민감도 높은 검사이나 원일을 밝혀주지 못함 증가 시 간질환, 중독 감소 시, 간부전 |
ALKP |
23~212 |
증가는 간송상 / 이 검사는 고양이에게 민감도가 높다 |
Lipase |
200~1800 |
리파아제 : 췌장염을 나타냄 |
Amylase |
500~1500 |
아밀라제 증가 시 췌장염, 신장질환 감소 시 췌장기능 저하 |
Calcium |
7.9~12.0 |
칼슘 증가는 비타민 D과잉, 악성종양,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신잘질환, 저알부민 혈증 감소 시 부갑상선 기능저하를 나타내지만 칼슘의 증가 감소는 다양한 질병을 나타냄 |
Albumin |
2.3~4.0 |
알부민 : 혈청 단백질 환자의 수화상태, 출혈, 장, 간, 신장의 질병을 평가하는데 도움 |
AST |
0~50 |
증가 시 간, 심장, 골격근 손상 의미 |
GGT |
0~6 |
증가는 담즙울체, 소화기 질환을 나타냄 간질환 신부전 또는 스테로이드 과다를 의미 |
K+ |
3.5~5.8 |
칼륨 : 혈청 전해질 증가 시 신부전, 부신피질기능저하, 탈수, 요도폐쇄 감소는 구토, 설사로 손실됨 |
Cl- |
109~122 |
염소농도 증가는 탈수시 신질환, 대사이상 감소는 위질환에 의한 구토,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디슨) 일때 나타남 |
Na+ |
144~160 |
나트륨 : 혈청 전해질 구토, 설사, 신장을 통해 손실되어 감소함 |
감사합니다 :)
첫댓글 오!!!!!! 완전멋져요언닝♡♡♡♡ 유용하게 잘 보면서 관리하겠습니다. 정리하시고 표만드느라 고생하셨어요!!!!!!! 감사합니다
쌈디군 잘 지내고 있죠~? :)
프린트해야겠어요~
아무리봐도 돌아서면
기억에서 사라지니ㆍㆍㆍㆍ
머리좀좋아지고싶네요~~
맞아요~ 저는 병원에서 혈액검사 결과지 이메일로 받아서 헷갈리는거 다시 보려구요 :)
와우 봉구엄마 최고!!!! 당뇨 3개월차에 이런걻해내시다니 정말 대단하세요 전 아직도 매일 울고 멍하게만 있는데..:너무너무 감사합니다
8월 초 한동안 혈당이 안잡혀서 원인을 알아내려고 찾았던것 같아요. 칼륨과 염소 수치가 계속 걸려서 쿠싱을 의심했고 그래서 ACTH검사도 하고 했던 것 같아요.
너무 많이 울지 말아요, 힘들잖아요;_; 곰이 지켜줄 수 있는건 곰이 엄마뿐이니까 같이 화이팅해요 !
와 놀라워라~~~ 고생하셨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당세기에서 공지글 보시고 공부하시면 괜찮으실거에요..! 처음이라 많이 놀라고 힘드시겠지만 잘 해내실거에요:)
같이 힘내요 !
최고네요~!!!!!!!!!!!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많앗는데
눈에 딱들어오네
덕분에 잘봣어요
정말 좋은정보 최고입니다. 감사해요~~
항상 혈액검사하고 나면 항목 하나하나 검색해서 찾는게 쉽지 않았는데...
이렇게 깔끔하고 자세하게 정리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북마크에 추가하겠습니당 ㅎㅎ
어제 입원하고 혈당체크하고 곡선도 그리고 했는데 결과가 넘 좋게 나왔어요^^
높기만 하던 간 수치도 정상범위에 들어왔고, 번 수치도 정상범위에 있고
당도 현재 잘 유지되어가고 있고 항상 지금만 같아라~ 루비에게 주문걸고 있어요~ㅎㅎ
봉구맘님이 올려주신 항목표와 어제 뽑아온 결과지를 놓고 보니 답답하던 가슴이
뻥~뚫리는 기분이에요. 진심 감사하단 말 전해 봅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좋네요~^^
루비의 결과가 좋아서 너무 다행이에요 !! 앞으로도 루비가 건강하길 진심으로 바랄께요 !
@제주봉구엄마 감사합니다~ 봉구맘님 글 항상 챙겨 읽고 많은 도움 받고 있네요^^
봉구맘님과 봉구도 늘 건강하길 바랍니다~
@제주봉구엄마 작년 8월 당뇨 쿠싱 췌장염 진단 받고 검사 항목봐도 일일이 찾아도 헷갈리고 이번 검진에도 그랬는데 봉구 엄마님 깔끔한 정리에 인쇄인쇄들어갑니다!! 너무~ 감사해요!! 병원에선 좋다고 하는데 아마 쿠싱약 맞게 조율 되면 수치 높은 애들도 좋아 지겠죠 ㅠㅠ 블로그 에서도 항상 예쁜 봉구 보면서 봉구 엄마 자연식 레시피 보면서 저희 쿠키도 너무 해주고푼게 많았는데 큰도움 받아가요🤡
최고..👍👍 정말 좋은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혈액 검사한거 뽑아서 하나씩 공부중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