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신은 명리 이론에서 가장 쓸모있는 요소이다.
십신을 모르고선 명리를 배웠다고 얘기하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남의 명을 봐주는 역술인이 십신의 명칭만 알고 있고, 정작 십신의 뜻을 거꾸로 알고 있다면, 좀 문제가 될 수 있겠다. 이건 기본과 수준에 관한 문제이다.
비견 겁재는 재성을 분탈하는 십신이다. 즉 재성을 극하는 성분이 비견 겁재이다.
사주에 비견 겁재가 있거나 많으면, 자기 재물을 유지하기 어렵다.
비견과 겁재가 내 재물을 극하는 주체가 되기에 그렇다.
그렇다면 사주에 비견 겁재가 있으면, 남의 것까지 빼앗는 사람이 될까?
말이 안 되는 소리이다.
비견 겁재는 남의 것을 뺏는 십신이 아니다.
"비견 겁재가 있으면 남의 것을 뺏는 사람이다."
바르게 배운 역술인이라면, 이런 황당한 소리를 해선 안 된다.
비견 겁재가 있어서, 남의 것을 뺏는 사람이라면
뺏아서 자기 재산을 불리고, 자기 재산을 불리면 곧 부자가 되기 쉬운 법이다.
그렇다면, 비견 겁재는 '내 재산 불려주는 십신'이 돼야 마땅하다.
그렇지 않은가?
비견 겁재를 '도적'이라 부른다 해서
비견 겁재를 남의 것까지 뺏는 성분으로 취급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며, 비견 겁재가 있는 사람을 도적 취급하는 것도 부당한 일이다.
도적 당하며 사는 사람을 오히려 도적 취급하는 것, 그게 명리일까?
첫댓글 저같은 경우 원국에 비겁이 있고 이에 더하여 행운에서도 비겁이 오면 크게는 사기ㅡ전세사기등ㅡ소소하게는 생각지도 못했던 월급삭감 등으로 금전운에 있어서는 써보지도 못한 돈을 쟁탈? 당하는 불리한 경험을 하였습니다. 인당님 말씀에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