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 |
일정 |
소주제 |
키워드 |
강사진 |
비고 |
참고문헌 |
제1부 공교육의 역사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
|
1
|
5/21(목) 13:00-15:30
|
근대 공교육의 형성과 발달과정 탐색
|
유럽의 공교육운동/미국의 보통교육운동/교육권, 공공재 vs. 사유재/무상의무교육제도/교육의 기회균등 |
이윤미 (홍익대)
|
. |
. |
2 |
6/04(목) 13:00-15:30
|
시장 우위의 사회와 교육 계급(층)화의 경향성
|
국가 그리고 시장/계층 및 인종간 교육불평등/공교육과 사교육/사다리 걷어차기
|
성열관 (경희대)
|
. |
. |
3 |
6/18(목) 13:00-15:30
|
한국교육의 현황과 문제의 본질
|
교육 계급(층)화의 가속화/계층대응적 학교 서열화, 학업성취도 격차, 사교육비 격차 등/계층대응적 대학서열화
|
성기선 (가톨릭대)
|
. |
. |
제2부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4 |
7/02(목) 11:00-13:30
|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도입 경위와 목적
|
‘문민정부’,교육개혁위원회,5.31교육개혁안/ 공교육재정 감축/교육의 사사화 전략: 공교육 시장화,학교민영화(학교 선택 전략 포함)
|
김용일 (한국해양대)
|
연강
|
. |
5 |
7/02(목) 14:30-17:00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전개과정과 현황
|
‘문민정부’에서 ‘이명박 정부’까지/정책수입 → 무비판적 계승 → 방향 선회 좌절 → 시장만능론의 전면화
|
김용일 (한국해양대)
|
연강 후 중간평가
|
. |
6 |
7/16(목) 13:00-15:30
|
예정된 실패 : 영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영국의 보수당 정부와 노동당 정부/미국의 NCLB 정책과 오바마 정부의 방향 선회 천명
|
김용일 (한국해양대)
|
|
. |
제3부 교육 본연의 가치, 지속가능한 사회 건설, 그리고 실천과제
|
7 |
9/03(목) 13:00-15:30
|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전면화에 대한 반대전선의 공고화(소극적 대안)
|
4.15 학교자율화 조치의 본질과 대응전략/ 대학자율화 조치의 본질과 방어전선 구축의 과제 등등
|
한만중 (남서울중)
|
. |
. |
8 |
9/17(목) 13:00-15:30
|
교육정책 대안 마련을 위한 상상력 기르기: 핀란드와 스웨덴의 교육
|
핀란드 교육의 성공에 비추어 본 한국 교육개혁의 비전과 전략/공교육의 방향, 철학, 원칙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
안승문 (전 서울시 교육위원)
|
. |
. |
9 |
10:15(목) 13:00-15:30
|
세계적인 수준의 지식교육과 인간교육 (적극적 대안)
|
우리 모두의 자녀를 위한 교육 본연의 가치/ 지속가능한 사회, 교육의 공공성과 민주화를 위한 실천전략
|
김용일 (한국해양대)
|
. |
. |
10 |
10/29(목) 13:00-15:30
|
교육과정과 평가는 어떻게 가져가야하나?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일제고사파동/ 학업성취도 및 수능 성적 공개/ 대안 제시
|
박도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
. |
. |
제4부 절망의 시대, 학부모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 (숙박교육입니다)
|
11
|
11/13(금) 15:00-
|
|
- 발제1 :소비자주권론(수요자 중심 교육론)
|
한만중 (남서울중)
|
발제 각 30분
|
. |
- 발제2 :교육주체론과 교육민주화 운동
|
강순원 (한신대)
|
12 |
11/14(토) -13:00 |
학부모운동에 대한 점검과 새로운 과제 탐색 참학 아카데미 수료식 |
- 교육시민사회단체 현황/ 5년후의 참학 그려보기/ 참학 20주년과 미래과제/ 우리가 만드는 학부모운동
|
참학
|
모둠별토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