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민요는 전라남북도를 비롯하여 충청도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의 민요이다. 판소리와 산조를 키워낸 남도의 민요는 음악구조가 단순하고 가락이 서정적인 다른 지역의 민요에 비해 보다 풍부하고 극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낮은 소리는 떨어주고 중간소리는 평으로 내고 높은 소리는 꺾는 목을 쓰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표현력이 풍부하며 극적이고 구성진 분위기를 자아낸다.
널리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새타령> <육자배기> <잦은 육자배기> <농부가> <잦은 농부가> <흥타령> <진도아리랑> <날개타령> <까투리타령> <개구리타령> <강강수월래> 등이 있으며 음계는 <떠는 목> <평으로 내는 목> <꺾는 목> 의 3음으로 구성되며 발성법은 경기의 서정성. 서도의 콧소리에 비하여 극적이고 굵은 목을 쓴다. 장단은 중모리로 <흥타령>, <긴 농부가> 등이 있고 중중모리에는 <개구리타령>, <잦은 농부가> 등으로 굿거리와 혼용하여 많이 쓰이고 있으며 진양조에는 <육자배기>, 자진모리에는 <까투리타령>이 쓰이기도 한다. 대체로 느린 노래는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노래는 구성지면서도 경쾌한 느낌을 준다.
특히 <육자배기>는 호남 민요의 최고봉으로 꼽을 수 있는데 그만큼 유명하고 음악적, 문학적으로 뛰어나게 갈고 닦여진 것이다. 남도 민요의 특징들이 모두 '육자배기 토리'라고 설명될 수 있을 정도로 전라도 민요를 대표하는 육자배기는 가락이 아름답고 시김새가 짙으며 정겨움이 물씬 흘러 넘친다. <흥타령>은 제목과는 다르게 아주 애절한 노래이다. '아이고 데고 흥 성화가 났네'라는 후렴구가 붙은 것은 험난하고 힘겨운 인생살이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 전라북도 민요
전북 민요가 생성된 자연환경 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선 그 지리적 조건으로 보아 이 지역의 동남부는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뻗쳐 있어 산간지역(무주, 장수 지역을 비롯)을 이루고 있고, 그 양쪽 서북사면(전주, 익산 군산 등)과 동남사면(임실, 남원, 순창 등)에는 평야지역이 펼쳐져 있으며 그 평야 바깥쪽에는 서해 도서지역(위도, 선유도 등)이 자리잡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으로 노동요가 발달했고 특히 타지역에 비해 전작노동요와 도작노동요가 압도적이다.
전북지역의 민요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동부산간 전·도작노동요 혼합권(무주, 장수, 진안)으로 '메나리토리'로 '모찌는 소리'와 '모심는 소리'를 다채로운 사설에 담아 왕성하게 부른 반면 '논매는 소리'는 별로 발달하지 않았다. 이 지역 민요의 가창방식은 '교환창'이 중심을 이루며 밭매는 노래나 모숭구는 노래를 모두 동일한 교환창의 가창방식으로 부른다. 두 번째는 서부 평야 도작노동요권(전주, 완주, 익산, 군산, 김제, 정읍, 부안, 고창)으로 모찌는 소리를 제외한 거의 모든 종류의 논농사관련 민요가 채록될 정도로 논농사가 성한 곳이고, 동시에 농요도 풍성한 곳이다. 이 지역 노동요의 가창방식은 거의 모두가 일정한 후렴이 있는 '선후창'이 지배적이다. 이 일정한 곡조의 후렴은 대집단의 두레 노동의 집단적 신명을 불러일으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노래의 가사를 창조하는 능력이 없는 사람도 쉽게 노래의 가창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창자들이 모두 남성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 지역의 문화가 동부산간지역에 비해 훨씬 남성 중심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세 번째는 남동부 산간분지 도작노동요권(임실, 남원, 순창)으로 같은 산간분지인 전남의 곡성, 담양과 거의 유사한 민요권을 이룬다. 이 지역은 두 패로 나누어서 부르는 가창방식과 다양한 종류로 분화된 '논매는 소리'가 압권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선후창과 교환창과 제창이 함께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제창, 그 중에서도 한 사람이 먼저 어떤 가사의 첫 부분을 내놓으면 나머지 사람들이 그 가사를 함께 제창하는 '선입후제창' 방식이 자주 발견된다. 가창자들은 역시 남성들이며 창법은 '동편제 토리' 즉 가성을 잘 쓰지 않고 목을 바짝 긴장시며서 통성으로 거세게 내어 지르는 식의 발성법을 많이 쓰고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노동요는 전북의 어느 다른 지역의 민요보다 넓은 음역을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 네 번째로 서해 도서 어업노동요권(위도, 식도, 무녀도, 선유도, 장자도 등)이 있는데 대력적 어요로서 '배치기소리'나 '그물당기는 소리', '고기 퍼담는 소리' 등으로 분화되어 있다. 이 지역의 가창방식은 선후창인데 후렴구에의 의존도가 높다. 예를 들어 '그물당기는 소리'와 같은 것을 보면 그 노동의 특성으로 인해 메기는 소리보다는 받는 소리, 후렴에의 의존도가 거의 절대적이다. 그만큼 억센 노동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이 이 지역의 어업노동요이다. 음색 및 창법은 '섬토리'라고 부를 만한, 매우 강렬하고 역동적이고 직정적인 음색과 창법을 구사하고 있다.
전북 민요의 대부분은 2박자계의 3.4.6박자와 3박자계의 2.3.4.6박자로 되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마도 공동 노동을 할 때 이러한 유형의 박자가 많이 사용되는 것은 일과 노래의 호흡관계 때문인 것 같다. 또한 논매는 소리나 모심는 소리에서는 일의 성질상 불규칙박자와 변박이 대부분이다. 속도는 논매는 소리나 밭매는 소리, 상여소리 등 대부분 느린 노래가 많고 서해 도서 노동권에서 고기를 잡을 때의 노래 등은 매우 빠르게 부르고 있다.
1. 농요
논농사 : 물푸는 소리, 논가는 소리,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논매는 소리, 벼베는 소리 등등
밭농사 : 밭가는 소리, 따비질 소리, 밭밟는 소리, 밭매는 소리, 보리
타작소리 등등
목축.퇴비 : 말모는 소리, 소모는 소리, 풀베는 소리, 풀등짐 소리,
풀써는 소리 등
2. 어요
어획 : 뱃고사, 닻올리는 소리, 시선배젓는 소리, 그물당기는 소리,
갈치낚는 소리, 고기퍼담는 소리, 풍장굿, 미역따는 소리, 등
기타어촌노동 : 줄꼬는 소리, 배올리는 소리, 강배끄는 소리, 고기세는
소리, 줄메고 가는 소리 등
3. 기타노동요
길쌈 : 삼삼는 소리, 물레질소리, 베짜는 소리 등
수공 : 양태겯는 소리, 바느질소리 등
육아 : 자장가, 아이 어르는 소리 등
기타 : 가마메는 소리, 빨래하는 소리, 지게목발소리 등
4. 의식요
장례의식 : 축원소리, 운구소리, 상여소리, 가래소리, 달구소리 등
세시의식 : 지신밟긴래, 액맥이타령, 고사풀이 등
<무주 모찌는 소리> (교환창)
가 : 들어내세 들어내세 요 모자리 들어내세
나 : 둘러 짜세 둘러나 짜세 요 모자리 둘러 짜세
가 : 남우야 가락 세 가락에 날른 가락 들어내세
나 : 늦어 가네 늦어나 가네 정심 참수 늦어 가네
가 : 질과 같은 쌀독에서 쌀 퍼다가 늦었다네
나 : 석산에다 상추를 부어 상추 솎다 늦었다네
가 : 수지야 닷 죽 바가치 닷 죽 시어다가 늦었다네
<남원 논매는 소리> (선후창)
메 : 저 산 너머 소첩을 두 에히고 밤질 걸기 난감허네
받 : 아리씨고나 아 에 허 허어 얼 씨고 졸졸 어리씨구
메 : 점섬때는 제워져 에이고 골곤 손질 춤을 추네
받 : 아리씨고나 아 에허 허어 얼 씨고 졸졸 어리써구
메 : 못 다 맬 밭 다 매고 가 에이고 근봉채를 잃고 가네
받 : 아리씨고 아 에 허 허어 얼 씨고 졸졸 어리씨구
메 : 오란 데는 밤에나 가고 호 동네 술집 낮에헤 가세
받 : 아리씨고나 아 에 허 허어 얼 씨고 졸졸 어리씨구
- 전라남도 민요
전라남도 민요의 특징은 유장함과 유현미가 있다. 또한 질박하면서도 감정표현이 노골적이며 건강한 삶의양태로서 성(性) 의식이 곳곳에 나타난다. 창자에 있어 여성이 압도적이며 유희요와 노동요가 고르게 발달하였다. 전라남도민요의 진수를 가장 잘 느껴볼 수 있는 노래는 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등의 남도잡가이다. 육자배기는 말 그대로 6바가의 느린 가락의 노래로 대표적 남도소리라 할 수 있으며 육자배기만큼 전라도적인 맛을 풍기는 노래도 드물 것이다. 절절한 맛을 풍기는 신세한탄가인 육자배기는 우리민족의 한과 슬픔을 음악적으로 가장 잘 형상화 해낸 노래인 것이다. 한편 남도민요는 타령의 천국이라 할만큼 각양각색의 타령곡들이 많다. 어떤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상에 대하여 자세히 묘사하여 부르는 노래인 타령은 그 성격에 따라 크게 나누어 보면 인간과 인간사에 관한 타령과 동식물타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로는 식구 타령, 중타령, 장모타령, 달거리타령, 방귀타령, 부채타령, 떡타령, 어랑타령 등이 있고, 후자로는 토끼타령, 새타령, 꿩타령, 닭타령, 병아리타령, 이타령 등이 있다.
유희요는 세시유희요, 집단유희요, 이동유희요, 의례의식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유희요는 뭐니뭐니해도 집단유희요라 할 수 있다. 남도의 유희요는 여럿이 빠른 템포로 부르면 흥이 생겨나면서 절로 신명이 난다. 주요 집단 유희요의 종류로는 진도아리랑을 비롯하여 강강술래, 창부타령, 둥당애타령, 장타령, 새타령, 둥가타령, 매화타령, 노랫가락 각종 화전노래 등이 있다.
진도아리랑은 남도지역에서 집단유희요의 대표곡이라 할만큼 사설이 다양하다. 대략 알려진 사설의 종류만 해도 200가지를 족히 넘는다. 사설의 형식은 2행 1연으로 계속 이어지는 짧은 길이의 분장체 장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양식은 농요와 같은 집단노동요의 전형적 가창방식과 일치한다. '문경새재는 왠 고-갠가…'로 시작되는 전통적 내용에서부터 실로 다종다양한 양태를 보여주고 있다. 강강술래는 손에 손을 잡고 빙빙 도는 원무를 기본으로 하여 중간중간에 덕석몰이, 청어엮기, 대문열기 등의 놀이가 진행되며 처음에 느린 가락으로 부르다 점차 빠르게 부르는 노래이다. 선후교환창인 강강술래는 일정하게 사설이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가창자가 얼마든지 가사를 만들어 부를 수 있으며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가사에 농요나 베틀가 대목이 들어가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남도민요의 특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전라남도지역의 민요는 유장한 가락의 남도잡가와 한과 설움을 삭혀낸 부녀요, 어깨춤이 절로 나오는 유희요와 농사일의 고단함을 잊게 한 노동요가 고루 발달한 음악적 감동이 깊으면서도 신명이 넘쳐흐르는 뛰어난 민속음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