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 수입대체산업 정책으로 제조업과 기술협력 진출 외 단순 수출로는 시장진출 어려워 -
- 다년간 점진적으로 진출한 다국적 기업 사례와 현지 제조사 경험을 통해 한국 기업 진출 도모 필요-
□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변화
ㅇ 2015년 3월, 러시아 산업통상부는 의료기기 및 기자재의 수입대체화 계획을 발표(정부명령 #655)
- 산업통상부의 의료기기 수입대체화 대상은 111개 품목으로 일회용품도 포함
- 2020년까지 111개 품목의 수입의존도를 평균 50%까지 낮추겠다는 게 목표
의료기기 품목별 수입대체 프로젝트
(단위: %)
품목 | 추진기간 | (프로젝트 전) 수입의존도 | (2020년까지) 수입의존도 |
Probes 및 bougies(요도 좌제) | 2012-2020 | 100 | 50 |
상지(손, 어깨, 팔뚝) 인공 보철, 셀프 케어 기기, 어깨 절단용 인공 보철 | 2015-2020 | 92 | 24 |
하지(발, 종아리) 인공 보철, 다리 절단용 인공 보철 | 92 | 55 | |
의안(치료 및 보호 제품 등 포함) | 89 | 54 | |
장기 대체용 휴대 및 착용 기기 | 67 | 25 | |
전동 휠체어 | 65 | 20 | |
뼈 연결용 제품 | 62 | 50 | |
심전도 | 64 | 10 | |
혈압 측정계(sphygmomanometers, tonometers, oscillometers) | 96 | 85 | |
복사열 측정계,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 80 | 10 |
자료: 의료산업 수입 대체 계획(https://gisp.gov.ru/plan-import-change/)
ㅇ 러시아 산업통상부가 수행해 온 의료기기 수입대체화 프로그램은 ‘국가 산업발전 및 경쟁력 제고’의 일환
- 2017년 의료기기 수입대체화 프로젝트는 Medbiopharma(의료기기 및 의약품) 5건으로 정부출자 펀드 16억 루블(약 2500만 달러) 투입
- 2013-2020 보건산업 발전프로그램(2014년 도입)을 통해 2020년까지 26조6000억 루블(약 4222억 달러) 조성 전망
러시아 의료기기 현지화 계획
제품 유형 | 외국산 부품 허용치 |
단층사진 촬영 장치, 유방 엑스선 사진, 형광 방사선 투과사진, X선 및 기타 전자 뢴트겐(roentgen) 장비, 청각보조기, 심장자극기(cardiostimulators) , 심전계, 혈압계, 치과교정용 임플란트, 소모품(주사기 제외), 인공 심장 판막, 수술대, 전동휠체어, 심폐소생 장비, 인공기관 | 2019년 1월 1일자로 제품 가격의 50% 이하 |
주사기, 심혈관계 수술용 기구, 부인과 및 비뇨기과용 기기 | 2019년 1월 1일자로 제품 가격의 30% 이하 |
치과용 제품 | 2019년 1월 1일자로 제품 가격의 40% 이하 |
자료: 의료산업 수입대체 계획(https://gisp.gov.ru/plan-import-change/)
ㅇ 2018년 기준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은 약 39억 달러로 세계 시장의 1.1% 비중
- 2015~2018년 전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약 5%대 성장을 보였고 러시아는 해당 기간 약 6%대 성장을 보임.
- 러시아 의료기기시장은 크게 1) 소모품(소모성 기자재), 2) 진단영상기기, 3) 치과용 기기, 4) 정형외과용 기기 및 보철, 5) 보조기기, 6) 기타로 구분
ㅇ 2018년 기준 러시아 의료기기 중 영상 진단기기 시장 비중은 36%
- 영상 의료기기는 수술 대체 기기에서부터 미용기기까지 사용도가 다변화됐고 IT 기능이 필수이다 보니 첨단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의료기기임.
- 한편, 러시아 영상진단기기 환자 이용률은 선진국 대비 2~3배 낮은 수준
ㅇ 러시아 정부 보건복지 지원정책은 2005년부터 대거 개편되면서 2005~2015년 ‘즈다로비에’ 보건정책이 실시됐음.
- ‘즈다로비에’ 프로그램으로 1차 보건의료기관들이 새로운 의료설비, 응급 수송수단을 갖추게 됐고 의료 인력의 임금인상, 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프로그램이 확대됨.
- 국가 보건의료 프로그램 2020(2013년부터) 추진으로 보건의료분야 인프라 및 의료서비스가 크게 개선되고 진단, 예방, 치료 방법과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대거 도입
· 해당 정책의 주요 목표는 신생아 사망률 감소, 흡연율 감소, 인구 대비 의사 수 증가, 평균 기대수명 74.3세, 의료인력 임금 인상 등임.
러시아 국가 의료혜택 개발사업 목표
지표 | 2020년 목표 |
GDP 비중 | 0.16% |
시장가치 | 4500억 루블 |
국산품의 국내시장 점유율 | 40% |
국내 생산품의 수출비중 | 16% |
수출액 | 380억 루블 |
국내 제조사 중 혁신기술업체 비중 | 50% |
노동생산성 향상(1인당 생산량) | 2012년의 2배 |
자료: 2020 의료산업 발전전략, 2013-2020 국가 의료혜택 개발사업
ㅇ 한국 의료제품은 가격 대비 우수한 품질이라는 시장인식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러시아 내 시장 점유율이 소폭 낮아졌음.
- 2018년 러시아 의료기기 수입 대상국 중 한국은 5위 수준(2014년 7위, 2015년 9위, 2016년 8위)
- 2016년 대비 순위가 높아진 품목은 수술 및 치과용 기자재, 카테테르, 초음파기기, 치과공구, 전자식 진단기기 등임.
대러시아 2016년 및 2018년 주요 품목별 한국 제품 순위
HS 코드 | 제품명 | 2016년 순위 | 2018년 순위 |
9018 | Instruments and Appliances for Medical Use, Surgery, Dental Treatment, etc. | 8 | 5 |
901890 | Medical, surgical or dental instruments and appliances; n.e.c. in heading no. 9018 | 14 | 11 |
901839 | Catheters, cannulae and the like | 31 | 29 |
901812 | Ultrasonic scanning apparatus | 3 | 2 |
901831 | Syringes, with or without needles | 13 | 19 |
901850 | Ophthalmic instruments and appliances | 5 | 5 |
901849 | Dental instruments and appliances; other than dental drill engines | 5 | 4 |
901819 | Electro-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apparatus for functional exploratory examination or for checking physiological parameters) | 15 | 13 |
901813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 12 | 14 |
901832 | Tubular metal needles and needles for sutures | 7 | 7 |
901841 | Dental instruments and appliances; dental drill engines, whether or not combined on a single base with other dental equipment | 10 | 7 |
901820 | Ultra-violet or infra-red ray apparatus | 6 | 12 |
901811 | Electro-cardiographs | 10 | 10 |
901814 | Scintigraphic apparatus | - | - |
자료: GTA, 러시아 관세청
□ 러시아 의료기기 전문가 및 기업 인터뷰
ㅇ 러시아 기업 인터뷰(1): Smith Healthcare(의료기기 개발 및 유통업)
- (회사개요) Smith H.사는 글로벌 기업(Philips, Abbott, Drager, B.Braun, Jonson&Jonson 등) 제품들을 주로 유통
- (인터뷰 결과) 의료기기 분야에서 아직 한국과 협력하고 있지는 않으나 한국의 첨단의료기기 기술 협력을 희망
·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로 러시아 의료기기 및 기자재 제조가 활발함. 다만, 전통적인 기술력이 아닌 정밀의료기기 등을 현지화하기에는 아직 기술적으로 불가능함. 정밀의료기기의 러시아 현지화를 위해 완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는 높이고 부품에 대한 수입 관세를 낮춰 현지 제조업을 육성을 위해 노력 중임. 그러나 현재 의료기기 완제품 수입이 현지에서 기술 개발 및 제조 비용 보다 이득이 큼. 경제특구(SEZ)에 한정되지 않고 외국 기업들이 현지에 진출해 제조업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적 지원이 확대돼야 할 것
ㅇ 러시아 기업 인터뷰(2): D사(의료기기 제조 및 유통)
- (기업개요) 2005년부터 2000개 이상의 의료기기를 유통하는 기업으로 외국 협력사로는 Heinemann, Heine, Kawe(독일), Welchallyn, 3M, JJ(미국), MKT, Omega, Unicos, Huvitz(한국), 기타 중국 기업 등이 있음.
- (인터뷰 결과) 한국 기업과 10년 이상 거래를 지속하고 있음. 한국 기업과의 오랜 거래 경험으로 러시아 시장에서 유통은 매우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있음. 다만 러시아의 의료기기 인증절차는 러시아 유통사에도 복잡하기 때문에 인증절차가 간소화된다면 한국 제품 유통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함.
러시아 의료기기 유통구조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편집
ㅇ 러시아 진출 한국 기업 인터뷰: S사(의료기기 및 자재 유통)
- (진출 애로) 다양한 의료기기에 대한 양국간 표준이 달라 사전에 양국간 표준 정립이 우선시 돼야 할 것임. 예를 들어 동종골 이식재료 관련 한국에서는 해당 상품을 의료기기로 간주하지 않으나 러시아는 의료기기로 간주하고 있음. 이에 양국간 인허가에 필요한 서류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 기업이 러시아 인허가를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를 추가 작성함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음. 기타 애로사항으로는 타 CIS 국가에 비해 러시아 인허가 기간이 3년정도로 인허가 획득 및 제품·상품 판매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임. (카자흐스탄의 인허가 기간은 6~7개월)
- (건의사항) 한국 보건 시스템 도입을 정부에서 지원해서 의료기기 관리기관과 판매사들의 업무공조가 밀접히 이뤄질 수 있도록 환경개선 요청함. 한편, 의료보험 확대를 통해 연금생활자를 포함한 의료 검진 수혜자 층이 커지길 기대
□ 전망 및 시사점
ㅇ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의 원활한 유통은 공공조달이 가능한 대규모 유통 업체와의 협업 필요
- 러시아 의료기기 유통의 90%가 정부부처 및 기관의 조달을 통한 유통이기 때문에 딜러망과 재판업자의 현지 네트워크 형성이 매우 중요
· 유통업체와 재판매자 등은 정부 공공조달 수주 참여 가능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의 SWOT 분석
강점(S) | 약점(W) |
- CIS 지역 중 최대 인구(1억4700만 명) - CIS에서 최대 부국 - 병원 현대화 가속화 - 정부의 보건 개발 프로젝트 최우선 추진 | - 장비 노후화 및 인프라 부족 - 병원 시스템 비효율성 및 관료행정 - 광활한 지리적 여건으로 비효율적인 정보 공유 - 복잡한 통관 절차 및 인증절차 - 높은 인건비와 노동자 세금으로 투자장벽 높음 - 낮은 1인당 의료비 지출 |
기회(O) | 위협(T) |
- 보건인프라 개선 프로그램 확대(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 민간 보건 산업 발달 - 러시아 주도 EAEU 의료시장 표준화 추진(TRCU) - 기대 수명 평균나이 증가 - 현대화 및 상용화, 수출 증진정책 | - 서방의 경제 제재 - 부정부패, 불투명한 유통구조 - 정치적 불안 - 인구 감소 - 수입장벽 강화- 급격한 수입대체화 정책으로 수입 시장 축소 |
ㅇ 러시아 수입대체산업 정책 기조 하에 단순 기능부터 첨단기술 품목까지 다변화된 제조 분야 진출 필요
- 러시아 진출 다국적 의료기기 기업들의 사례를 보면 단순 소모성 기자재에서부터 첨단 영상기기 기술력 지원까지 다변화 접근방식을 추구하고 있으며, 단기간 내가 아닌 20년 이상의 점진적 진출 경력 기업도 다수임.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진출 다국적 기업(국가) GE Healthcare(미국), Medtronic(미국), ATES Medica Device(이탈리아), BTL(영국, 체코), Chest(일본), Mitsubishi(일본), Fukuda M-E(일본), Labtech(헝가리), Comen(중국), Abbot Medical Systems(미국), Atmos(독일), Biocare Medical(미국), Mirage Heath Group(영국), Nihon Kohden(일본), Toshiba Medical Systems(일본), Siemens Healthineers(독일), Fresenius Medical Care(독일), Royal Philips Electronics(네덜란드) |
- 한국 의료기기에 대한 기술 인지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현지 진출 시 제품 등록 역량이 높은 기업과의 파트너십 제조 진출도 크게 고려해봐야 할 것
자료: 러시아 산업통상부 보고서(2020 의료산업 발전전략, 2013-2020 국가 의료혜택 개발사업), 러시아 제조사 및 진출기업 웹사이트 http://medbuy.ru/rama-dlya-sling-terapii/beka-hospitec-pro, http://medbuy.ru/companies/beka-hospitec, https://www.owler.com 등), 러시아 관세청, GTA,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기업 인터뷰 및 자료 종합
#카자흐스탄 여행 #카자흐스탄, #챠른캐년, #중앙아시아, #텐샨산맥, #카자흐스탄 골프, #트레킹, #침불락, #카자흐스탄 스키투어, #카자흐스탄 패러글라이딩, #알마티, #콜사이호수, #카인디호수, #젠코프성당, #꼭토베, #아씨고원, #빅알마티호수, #이슥호수, #투르겐폭포, #송어낚시, #천산산맥, #투르케스탄, #침켄트, #캅차가이, #카지노, #누르술탄, #바로보예, #쉼켄트, #홍범도장군, #고려인
문의 메일 : zhnna0508@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