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에 대하여는 영화 "마지막 황제"의 주인공이었던 부의(溥儀)의 증언을 들
어둘 필요가 있다.
"식사 시간은 따로 없었다. (황제가) 먹고 싶은 생각이 나서 분부하면 내시들
이 줄을 지어 상을
받쳐 들고 오는데 크고 작은 상이 일곱 개였다. 그 중에 고기요리만 두 상이
지만 겨울에는 신선
로(火鍋)를 위한 상이 하나 추가되며 그밖에도 띠엔신(点心, 만두 따위의 간
단한 음식)과 밥, 죽
따위가 세상, 절인 야채가 한상이었다."
"모든 요리는 황금빛 용이 그려진 붉은 색 칠기그릇이나 용과 만수무강(萬壽
無疆)이라는 글자가
그려진 황금빛 그릇에 담아내는데, 겨울에는 은 그릇을 사용하였다."
"모든 그릇에는 독이 들었는지 알아내기 위하여 으느올 만든 작은 막대가 들
어 있었으며 황제가
먹기 전에 반드시 내시 한사람이 모든 음식을 맛보아 독이 들어있는지 없는지
미리 살펴보도록
하였다."
"내가 자리에 앉기 전에 어린 내시가 그릇을 열라고 소리치면 너댓명의 어린
내시들이 은 뚜껑을
열고 음식을 하나씩 담아 내었다."
인간 리트머스시험지를 이용한 암살 예방법이 얼핏보면 완벽해 보여도 어디
중국의 왕조에 음식
에 든 독으로 죽은 임금만해도 그 수는 적지가 않다.
그러나 이렇게 요란한 절차와 형식을 갖추어도 받아들이는 임금에게는 별 것
아닌 모양이다. 부
의의 다음 말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즉, "먹는 것은 하나인데 상에 차린 것은 둘이고, 마음속에 욕심은 셋이다.
(吃一 看二 眼觀三)"
다시 말해서 욕심은 많아도 먹는 것은 조금으로, 다 먹지도 못할 음식을 잔뜩
차림을 뜻하는 말
이다.
청나라때의 임금들은 만주족들의 습관을 유지하고 있었다.
정식은 하루 두 번으로서 정오쯤에 먹는 조선(早膳)과 해지기 전에 먹는 만선
(晩膳)이 있었지만,
아침에 자리에서 일어나면 제비집 스프와 간단한 띠엔신을 주로 먹고 그밖에
도 어느때 어느곳에
서나 배가 출출해지면 내시에게 식사를 준비토록 분부하곤 하였다.
궁중의 일상적인 식사준비에 들어간 재료를 알아보는데는 부의의 태후가 기록
한 것을 참고하면
된다.
돼지 허벅지고기 50근, 돼지 한 마리, 양 한 마리, 닭과 오리 두 마리를 기본
으로 한 각종요리와
각종 과일, 여기에 강소(江蘇)의 조유(糟油), 진강(鎭江)의 준치, 하남(河南)
의 유차(油茶), 절강
(折江)의 꿀대추, 회동(會同)의 흰나무버섯 등등 각 지방의 특산물을 비롯하
여 수십리 떨어진 옥
천산(玉泉山)에서 길러온 물 따위가 그다지 유난을 부리지 않고 보통 먹는 상
선(常膳)의 예라
한다.
음식을 담는 그릇은 어떠한가.
서태후 개인용 주방에는 금은 옥그릇이 1500여종이 있었는데 그중 금그릇만도
무게가 5,816냥
이고 은그릇은 10,590냥이었다 한다.
이상의 진선은 일상의 식사이므로 상선(常膳)이라 한다.
여기에 대하여 연회에 올리는 것은 연연(筵宴)이라고 한다.
잔칫상이라 할 수 있는 연연은 매년 국가에 큰 행사가 있거나 주요명절이 돌
아올 때 베풀었는데,
예를 들자면 설날에 여는 원단국경지연(元旦國慶之宴)이라던가 임금의 생일을
축하하여 여는 만
수정경지연(萬壽正慶之宴) 따위가 그것이다.
이러한 큰 연회는 임금이 직접 주재하는 것이 보통인데 북경 자금성안의 태화
전(太和殿)에서 주
로 열렸다. 연연중에서 청나라 강희(康熙)임금 이후부터 체계가 잡힌 것을 특
히 만한전석(滿漢全
席, 만한취앤시)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