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번 |
선별 |
대상역 |
일 평균 실적 |
근무 인원 (명) |
여객열차정차 (회) |
운전취급 |
비 고 | |
수입 (천원) |
승강인원(명) | |||||||
1 |
호
남
선 |
원정 |
- |
- |
- |
- |
복선 자동 |
’04. 7.16. 영업중지 |
2 |
신도 |
- |
- |
- |
- |
〃 |
’04. 7.16. 영업중지 | |
3 |
다산 |
- |
- |
- |
- |
〃 |
’04. 7.16. 영업중지 | |
4 |
신흥리 |
- |
- |
- |
- |
〃 |
’04. 7.15. 영업중지 | |
5 |
옥정 |
- |
- |
- |
- |
〃 |
’04. 7.15. 영업중지 | |
6 |
전라선 |
동순천 |
- |
- |
- |
- |
단선 연동 |
’04. 7.15. 영업중지 |
7 |
장 항 선 |
주산 |
- |
- |
- |
- |
〃 |
’04. 7.15. 영업중지 |
8 |
기동 |
- |
- |
- |
- |
〃 |
’04. 7.15. 영업중지 | |
9 |
삼산 |
- |
- |
- |
- |
〃 |
’04. 7.15. 영업중지 | |
10 |
경북선 |
두원 |
- |
- |
- |
- |
〃 |
’04. 4. 1. 영업중지 |
11 |
양정 |
- |
- |
- |
- |
〃 |
’04. 4. 1. 영업중지 |
주) 일 평균 실적은 2005년도 상반기 실적 기준임
ㅇ 폐지계획 대상 역 2004년도 수입 현황
연번 |
선별 |
대상역 |
수입실적(원) |
비 고(영업일 수) | |
2004년 |
일일 평균 | ||||
1 |
호
남
선 |
원정 |
113,700 |
577 |
’04. 1. 1~7.15(197일) |
2 |
신도 |
699,500 |
3,551 |
’04. 1. 1~7.15(197일) | |
3 |
다산 |
313,800 |
1,593 |
’04. 1. 1~7.15(197일) | |
4 |
신흥리 |
336,100 |
1,715 |
’04. 1. 1~7.14(196일) | |
5 |
옥정 |
177,700 |
907 |
’04. 1. 1~7.14(196일) | |
6 |
전라선 |
동순천 |
73,700 |
376 |
’04. 1. 1~7.14(196일) |
7 |
장 항 선 |
주산 |
292,500 |
1,492 |
’04. 1. 1~7.14(196일) |
8 |
기동 |
110,000 |
561 |
’04. 1. 1~7.14(196일) | |
9 |
삼산 |
24,200 |
123 |
’04. 1. 1~7.14(196일) | |
10 |
경북선 |
두원 |
- |
- |
’04. 1. 1~4. 1(90일) |
11 |
양정 |
- |
- |
’04. 1. 1~4. 1(90일) |
ㅇ 폐지계획 대상 역 주변현황 및 대체교통수단
연번 |
선별 |
대상역 |
역 주변 현황 및 대체교통 수단 |
비 고(인구) |
1 |
호 남 선 |
원정 |
소규모 농촌지역으로 농업이 주업이며 노선버스 16회(왕복) 운행중임 |
대전시 서구 원정동 일대 약 550명 |
2 |
신도 |
아파트 단지와 계룡대 등이 있으며, 대전↔논산 직행버스 78회, 논산↔대전 직행버스 78회, 논산↔계룡대 아파트 25회 운행중임 |
논산시 두마면 엄사리 약 250명 | |
3 |
다산 |
역세권 등의 주변환경이 열악하며, 인근부락 함열․익산방면 시내버스 약 5분 간격 운행중임 |
익산시 함열읍 용지리 일대 7개 부락 약 850명 | |
4 |
신흥리 |
역세권 등의 주변환경이 열악하며, 노선 버스가 10회(왕복) 운행중임 |
장성군 북일면 신흥리 일대 약 50명 | |
5 |
옥정 |
역세권 등의 주변환경이 열악하며, 노선 버스가 6회(왕복) 운행중임 |
장성군 황룡면 옥정리 일대 약 30명 | |
6 |
전라선 |
동순천 |
역세권 등의 주변환경이 열악하며, 노선 버스가 20회(왕복) 운행중임 |
순천시 조곡동 일대 약 360명 |
7 |
장 항 선 |
주산 |
주요시설은 주산초․주산종합고․주산면 사무소 등이 있고 직행버스 편도 26회, 노선버스 편도 37회 운행중임 |
주산면 일대 약 1,000명 |
8 |
기동 |
주변 여건으로는 임야, 전․답 외 주요시설 없으며, 노선버스 30회(왕복) 운행중임 |
종천면 지석리 일대 약 200명 | |
9 |
삼산 |
주변 여건으로는 임야, 전․답 외 주요시설 없으며, 노선버스 30회(왕복) 운행중임 |
서천읍 삼산리 일대 약 400명 | |
10 |
경 북 선 |
두원 |
주요시설로는 신애정신병원․중생원 등이 있으며, 노선버스 일일 10회 운행중임 |
약 100명 |
11 |
양정 |
지방기념물과 청암서원등의 문화유적이 있으며, 주요기관으로는우체국․농협․학교․파출소 등이 있고 직행버스 150회(상주․김천․대구․점촌․예천․영주행 정차), 시내버스 60회(상주․점촌행 정차) 운행중임 |
양정면 일대 약 1,600명 |
ㅇ 폐지계획 대상 역 연혁
연번 |
선명 |
대상역 |
주 소 |
연 혁 |
1 |
호남선 |
원정 |
대전시 서구 원정동 359 |
1955.12.01 : 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70.02.20 : 보통역으로 승격 | ||||
1984.03.01 : 역무원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 | ||||
2004.07.16 : 여객취급 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2 |
신도 |
충남 논산시 두마면 엄사리 225 |
1969.06.12 : 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
1972.07.20 : 역무원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 | ||||
1988.02.06 : 신도역사 철거 | ||||
2004.07.16 : 여객취급 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3 |
다산 |
전북 익산시 함열읍 용지리 |
1968.06.21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
1988.10.06 : 역원배치역 | ||||
1994.09.01 : 역무원 무배치 간이역 격하 | ||||
2004.07.16 : 여객취급 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4 |
신흥리 |
전남 장성군 북일면 오산리 45-10 |
1919.12.20 :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 |
1987.09.01 : 호남선 복선화로 역사이전 | ||||
1995.04.01 : 역무원무배치 간이역 격하 | ||||
2004.07.15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5 |
옥정 |
전남 장성군 황룡면 옥정리 |
1960.06.20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
1980.04.21 : 보통역 승격 | ||||
1988.09.06 : 역무원무배치 간이역 격하 | ||||
2004.07.15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6 |
전라선 |
동순천 |
전남 순천시 조곡동 |
1936.12.16 :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
1982.09.01 :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
1983.07.01 : 역무원무배치 간이역 격하 | ||||
2004.07.15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7 |
장항선 |
주산 |
충남 보령시 주산면 금암리 |
1963.10.01 : 배치 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73.01.01 : 을종 대매소로 변경(역무원무배치) | ||||
2004.07.15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8 |
기동 |
충남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 |
1930.10.22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
1943.12.05 : 간이역 폐쇄 | ||||
1989.01.01 : 역무원무배치 간이역 격하 | ||||
2004.07.15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9 |
삼산 |
충남 서천군 서천읍 삼산리 584 |
1930.10.22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
1943.12.05 : 간이역 폐쇄 | ||||
1967.09.01 : 을종 대매소 운영 | ||||
1989.01.01 : 대매소 폐지 및 무배치간이역 운영 | ||||
2004.07.15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연번 |
선명 |
대상역 |
주 소 |
연 혁 |
10 |
경북선 |
두원 |
경북 김천시 어모면구례2동 697-4 |
1955.08.21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73.12.01 : 보통역으로 승격 | ||||
2004.04.01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11 |
양정 |
경북 상주시 외서면 연봉리 |
1924.12.01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
1972.06.01 : 을종승차권대매소 지정 | ||||
1980.04.01 : 역무원무배치 간이역 지정 | ||||
2004.04.01 : 여객취급중지(전 여객열차 통과) | ||||
합계 |
4개노선 |
11개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