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4-1,[61]
 (심) 마음


4-1,[61]
 (심) 마음


|
자원(字源) : {象形字} 갑골문에서는 심장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고대에는 현재 뇌[머리]가 수행하는 생각하는 기능을 심장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바탕으로 심장을 본뜬 글자임. 부수의 활용은 '생각', '감정' 등 '마음'이라는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변형으로 한자의 변에 사용되는 것과 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모양이 변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6자 0) 心 (심) 마음 : 切齒腐心, 丹心 1) 必 (필) 반드시 : 必修, 何必 3) 忌 (기) 꺼리다 : 禁忌, 忌憚 3) 忍 (인) 참다 : 忍耐, 不忍之心 3) 志 (지) 뜻 : 意志, 志士, 志向 3) 忘 (망) 잊다 : 忘却, 忘失, 健忘 3) 忙 (망) 바쁘다 : 忙中閑, 奔忙 4) 忠 (충) 충성 : 盡忠報國, 忠烈 4) 念 (념) 생각 : 念慮, 紀念, 默念 4) 忽 (홀) 문득 : 忽然, 소홀하다 : 疏忽 4) 快 (쾌) 쾌하다 : 快擧, 痛快,快感 5) 怒 (노) 성내다 : 喜怒哀樂, 怒濤 5) 思 (사) 생각 : 思索, 思想 5) 怠 (태) 게으르다 : 懶怠, 怠慢 5) 急 (급) 급하다 : 緊急, 焦眉之急 5) 怨 (원) 원망 : 怨恨, 宿怨 5) 性 (성) 성품 : 性善說, 理性 5) 怪 (괴) 기이하다 : 奇怪, 妖怪 6) 恥 (치) 부끄럽다 : 不恥下問, 恥辱 6) 恐 (공) 두려워하다 : 恐怖, 恐喝 6) 恕 (서) 용서하다 : 忠恕, 容恕 6) 恣 (자) 방자하다 : 恣意,放恣,恣行 6) 恩 (은) 은혜 : 結草報恩, 謝恩 6) 息 (식) 쉬다 : 姑息之計, 休息 6) 恭 (공) 공손하다 : 恭敬, 恭遜 6) 恒 (항) 항상 : 恒常, 恒産, 恒星 6) 恨 (한) 한하다 : 悔恨, 怨恨 7) 患 (환) 근심 : 內憂外患, 患難 7) 悠 (유) 멀다 : 悠悠自適, 悠久 7) 悅 (열) 기쁘다 : 喜悅, 悅樂 7) 悔 (회) 뉘우치다 : 後悔, 悔恨 7) 悟 (오) 깨닫다 : 覺悟, 悟性 8) 悲 (비) 슬프다 : 悲觀, 悲壯 8) 惑 (혹) 미혹되다 : 惑世誣民, 誘惑 8) 惠 (혜) 은혜 : 恩惠, 惠澤 8) 惡 (악) 악하다 : 性惡說, 惡毒 (오)미워하다 : 憎惡, 惡寒 8) 情 (정) 정 : 雲雨之情, 非情 8) 惜 (석) 아끼다 : 愛惜, 惜別 8) 惟 (유) 생각하다,오직 : 思惟, 惟獨 |
9) 愛 (애) 사랑 : 愛情, 愛撫 9) 感 (감) 느끼다 : 感想, 性感 9) 想 (상) 생각하다 : 想念, 回想 9) 愁 (수) 근심 : 愁心, 哀愁, 鄕愁 9) 愈 (유) 더하다,낫다 : 愈愈 9) 意 (의) 뜻 : 意思, 意志, 意見 9) 愚 (우) 어리석다 : 愚民, 愚昧 9) 惱 (뇌) 괴로워하다 : 煩惱, 苦惱 10) 慈 (자) 사랑 : 慈烏反哺, 慈愛 10) 態 (태) 태도,모양 : 態度, 世態 10) 愧 (괴) 부끄러워하다 : 慙愧 10) 愼 (신) 삼가다 : 謹愼, 愼重 11) 慶 (경) 경사 : 慶事, 弄璋之慶 11) 憂 (우) 근심 : 憂患, 杞憂 11) 慙 (참) 부끄러워하다 : 無慙 11) 慧 (혜) 슬기 : 知慧, 慧敏 11) 慮 (려) 생각하다 : 考慮, 思慮 11) 慰 (위) 위로하다 : 慰勞, 慰安 11) 慾 (욕) 욕심 : 慾望, 慾心 11) 慕 (모) 사모하다 : 思慕, 愛慕 11) 慘 (참) 아프다 : 悲慘, 慘酷, 悽慘 11) 慢 (만) 게으르다 : 傲慢, 慢性 11) 慣 (관) 익숙하다 : 慣例, 慣習 11) 慨 (개) 슬퍼하다 : 慨嘆, 憤慨 12) 憲 (헌) 법 : 憲法, 憲章, 官憲 12) 憎 (증) 미워하다 : 憎惡, 愛憎 12) 憐 (련) 불쌍히여기다 : 可憐, 憐憫 12) 憤 (분) 성내다 : 憤慨, 憤怒 12) 憫 (민) 불쌍히여기다 : 憐憫, 13) 懇 (간) 정성 : 懇切 13) 應 (응) 응하다 : 應答, 應諾, 應當 13) 憶 (억) 생각하다 : 記憶, 追憶 15) 懲 (징) 징계하다 : 勸善懲惡, 懲戒 16) 懸 (현) 달다 : 懸板, 懸隔 16) 懷 (회) 품다 : 懷抱, 懷柔 18) 懼 (구) 두려워하다 : 悚懼 19) 戀 (련) 사모하다 : 戀慕, 悲戀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8) 悽 (처) 슬퍼하다 : 悽絶, 悽慘 ▽12) 憩 (게) 쉬다 : 休憩室 |
4-2,[62]
 (과) 창 |
자원 : {象形字}손잡이가 달린 긴 자루 끝에 갈고리 모양의 칼날을 붙인 '창'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가 있고, 또는 주살의 옆에 날[一]을 달아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도 있음.{ 양쪽에 날이 붙은 것은 '戟(극)'이라 함 } 부수의 활용은 '창'과 관련된 '무기', '전쟁' 등이나 그것을 사용하는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9자 1) 戊 (무) 다서째천간 : 戊夜 2) 戌 (술) 열한째지지 : 甲戌 3) 成 (성) 이루다 : 大器晩成, 成功 3) 我 (아) 나 : 我田引水, 自我實現 3) 戒 (계) 경계하다 : 齋戒, 一罰百戒 4) 或 (혹) 혹 : 或者, 或是 |
7) 戚 (척) 겨레 : 姻戚, 外戚 12) 戰 (전) 싸우다 : 戰爭, 戰慄 13) 戱 (희) 희롱하다,놀다 : 戱弄, 遊戱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0) 戈 (과) 창 : 干戈, 戈劍 |
4-3,[63]
 (호) 지게문 |
자원 : {象形字} 문짝의 한쪽 부분을 본뜬 글자로 보거나, 여닫는 외문짝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활용도 '문', '집'이나 그에 부속된 것들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단독 글자의 의미로도 '출입문'이나 '가옥' 등의 의미로 쓰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0) 戶 (호) 집 : 戶主, 家家戶戶 |
4) 房 (방) 방 : 閨房, 茶房 4) 所 (소) 바 : 所謂, 所聞 |
4-4,[64]
 (수) 손

4-4,[64]
 (수) 손
 |
자원 : {象形字}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손의 각 부위 명칭이나 동의 동작, 행위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글자의 변에 사용될 때 부수의 모양의 변하고 통칭 '재방변'이라 불리는 것은 '才(재)'와 글자 모양이 비슷해서 생겨난 용어지만 의미와 관련이 없는 잘못된 명칭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65자 0) 手 (수) 손 : 手足, 袖手傍觀 0) 才 (재) 재주 : 天才, 秀才 2) 打 (타) 치다 : 投打, 打者 3) 托 (탁) 받치다 : 托子 4) 承 (승) 잇다 : 繼承, 承服 4) 扶 (부) 돕다 : 扶養, 相扶相助 4) 批 (비) 비평하다 : 批評, 批准 4) 技 (기) 재주 : 技能, 技術, 技巧 4) 抄 (초) 베끼다 : 抄本, 抄錄 4) 抑 (억) 누르다 : 抑揚, 抑制 4) 投 (투) 던지다 : 投稿, 投手 4) 抗 (항) 대항하다 : 抗爭, 抗拒 4) 折 (절) 꺾다 : 骨折, 夭折 ▲4) 把 (파) 잡다 : 把握, 把手 5) 拜 (배) 절 : 拜禮, 歲拜 5) 抱 (포) 안다 : 抱負, 懷抱 5) 抵 (저) 막다 : 抵抗, 抵觸 5) 抽 (추) 뽑다 : 抽出, 抽籤 5) 拂 (불) 떨치다,치르다 : 拂拭, 支拂 5) 拍 (박) 손뼉치다 : 拍手, 拍掌大笑 5) 拒 (거) 막다 : 拒絶, 拒逆 5) 拓 (척) 열다, 開拓 (탁) 박다 : 拓本 5) 拔 (발) 빼다 : 拔本塞源, 拔群 5) 拘 (구) 거리끼다 : 拘束, 拘碍 5) 拙 (졸) 졸하다 : 拙稿, 拙作 5) 招 (초) 부르다 : 招待, 招來 ▲5) 押 (압) 누르다,운을달다 : 押釘, 押印, 押韻 6) 拳 (권) 주먹 : 拳鬪, 拳銃 6) 拾 (습) 줍다 : 習得, 收拾 6) 持 (지) 가지다 : 持病, 持續 6) 指 (지) 손가락 : 指呼之間, 指紋 6) 挑 (도) 돋우다 : 挑發 |
7) 振 (진) 떨치다 : 振興, 振動 7) 捉 (착) 잡다 : 捕捉 7) 捕 (포) 잡다 : 捕獲, 捕縛, 捕繩 8) 掌 (장) 손바닥 : 孤掌難鳴, 分掌 8) 捨 (사) 버리다 : 取捨選擇, 喜捨 8) 掃 (소) 쓸다 : 灑掃, 掃地, 淸掃 8) 授 (수) 주다 : 授業, 敎授 8) 排 (배) 물리치다 : 排擊, 排泄 8) 掛 (괘) 걸다 : 掛圖 8) 掠 (략) 노략질하다 : 掠奪 8) 採 (채) 캐다 : 特採, 採鑛 8) 探 (탐) 찾다 : 探究, 探索 8) 接 (접) 접하다 : 接觸, 接待 8) 推 (추) 옮기다 : 推戴, (퇴)밀다: 推敲 9) 提 (제) 끌다 : 提供, 提示, 提携 9) 揚 (양) 날리다 : 揭揚, 止揚 9) 換 (환) 바꾸다 : 交換, 轉換, 換錢 9) 揮 (휘) 휘두르다 : 指揮, 揮毫 9) 援 (원) 돕다 : 援助, 後援 10) 損 (손) 덜다 : 損害, 損失 10) 搖 (요) 흔들리다 : 搖籃, 搖動 10) 携 (휴) 가지다 : 携帶, 提携 ▲10) 搜 (수) 찾다 : 搜索, 搜所聞 11) 摘 (적) 따다 : 摘發, 摘芽 12) 播 (파)뿌리다,달아나다 :播種,播遷 13) 擊 (격) 치다 : 鼓腹擊壤, 攻擊 13) 擇 (택) 가리다 : 選擇, 擇日 13) 操 (조) 잡다,지조 : 志操, 貞操 13) 擔 (담) 메다,맡다 : 擔任, 負擔 13) 據 (거)의거하다 : 雄據,據點,證據 ▲13) 擁 (옹)안다,돕다 : 抱擁, 擁壁, 擁立 15) 擴 (확)넓히다 : 擴大,擴張,擴聲器 ▲18) 攝 (섭) 겸하다,당기다: 攝政, 攝理, 攝行 | |
4-5,[65]
 (지) 버티다, 가지 |
자원(字源) : {會意字} 글자 아래 부분의 '손[又]'과 위 부분의 대나무 가지[十]가 결합된 글자로 손으로 대나무 가지를 떼어낸다는 의미임. 현재 '枝(지:가지)'의 본래 의미 글자로 '가지'나 '지탱하다'는 의미로 쓰이지만, 부수의 활용은 거의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0) 支 (지) 지탱하다,주다 : 支給, 地支 |
|
4-6,[66]
 (복) 치다
 |
자원 : {會意字, 形聲字} 글자 아래 부분의 손[又]과 위의 나무가지[卜]가 결합하여 '치거나 때리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때는 회의자이고, 윗 부분의 '卜'의 발음이 '복'이 때문에 형성자로도 설명함. 부수의 의미는 '치다', '때리다' 등이나 '억지로하다'는 의미로 활용됨. 부수 명칭 '등글월문'도 '文'과 유사하다는 이유지만, 역시 잘못 사용된 것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9자 2) 收 (수) 거두다 : 收入, 減收 3) 改 (개) 고치다 : 改過遷善, 改革 3) 攻 (공) 치다 : 難攻不落, 攻勢 4) 放 (방) 놓다 : 放學, 釋放 5) 政 (정) 정사 : 政治, 國政 5) 故 (고) 일,예 : 故事, 無故 6) 效 (효) 본받다 : 效果, 時效 7) 敍 (서) 차례 : 敍述, 敍任 7) 敏 (민) 민첩하다 : 敏感, 敏捷 7) 救 (구) 구원하다 : 救濟, 救援 |
7) 敎 (교) 가르치다 : 敎師, 敎唆 7) 敗 (패) 패하다 : 勝敗, 敗亡 8) 敢 (감) 감히 : 果敢, 勇敢, 敢行 8) 散 (산) 흩어지다 : 散文, 風飛雹散 8) 敦 (돈) 도탑다 : 敦篤, 敦厚 9) 敬 (경) 공경하다 : 敬而遠之, 恭敬 11) 敵 (적) 원수 : 衆寡不敵, 强敵 11) 數 (수) 수 : 數量 (삭) 자주 : 頻數 (촉) 빽빽하다 12) 整 (정) 가지런하다 : 整然, 整列 |
4-7,[67]
 (문) 글월 |
자원 : {象形字} 초기 글자의 성립은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 '채색' 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나 '글'의 의미로 변천됨. 실제 소속 한자는 별로 없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0) 文 (문) 글월 : 文房四友, 文盲 |
|
4-8,[68]
 (두) 말 |
자원 : {象形字} 액체의 용량을 재거나 퍼낼 때 쓰는 도구인 국자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활용은 주로 양을 '재다, '따르다' 등으로 활용되고, 10升(승: 되)에 해당하는 단위로 '斗'가 쓰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0) 斗 (두) 말 : 泰山北斗, 斗量 |
6) 料 (료) 헤아리다,거리 : 料理, 材料 7) 斜 (사) 비끼다 : 斜視, 傾斜 |
4-9,[69]
 (근) 도끼, 날
|
자원 : {象形字} 긴 자루 끝에 도끼날을 단 도끼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혹 현재의 자형(字形)을 두 개의 도끼를 나란하게 포개어 놓은 모습으로도 설명함. 부수의 활용은 '도끼, '자르다', '베다' 등으로 활용됨. 주로 한자의 방{오른쪽}에 사용되기 때문에 명칭도 '날근방'이라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5자 0) 斤 (근) 근 : 斤量 1) 斥 (척) 물리치다 : 排斥, 斥和碑 |
8) 斯 (사) 이 : 斯文亂賊, 斯道 9) 新 (신) 새 : 送舊迎新, 更新 14) 斷 (단) 끊다 : 斷機之戒, 絶斷 |
4-10,[70]
 (방) 모 |
자원 : {象形字} 농기구인 쟁기의 날 부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쟁기를 가지고 농사를 짓는다는 의미에서 '방향', '땅', '곁' 등으로 활용됨. 또는 두 척의 조각배를 나란하게 놓고 이물을 묶어 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나란히 하다'는 의미를 지님. 하지만 많은 수의 글자가 '方'을 발음부호[音符]로 활용하고,[예) 防, 放, 妨, 坊, 芳 등] 현재 '方' 부수의 소속 글자들은 대부분이 '旗(기: 여기에서 오른쪽 아래 其를 뺀 글자임)'의 의미로 쓰여 '깃발'이라는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자 0) 方 (방) 모,방향 : 天方地軸, 方位 4) 於 (어) 어조사 : 於是乎, 靑出於藍 5) 施 (시) 베풀다 : 施行, 布施 |
6) 旅 (려) 나그네 : 旅館, 行旅 7) 旋 (선) 돌다 : 旋盤, 周旋 7) 族 (족) 겨레 : 白衣民族, 族譜 10) 旗 (기) 기 : 旗手, 旗幟 |
4-11,[71]
 (무) 없다 (기) 이미
 |
자원 : {象形字} 사람이 앉아서 뒤를 돌아보면서 입을 벌린 모습을 본뜬 글자로, '배불리 먹고 난 후'를 의미함. 하지만 실제 의미로 활용된 글자는 '旣(기: 이미)'뿐이기에 '이미기방'의 부수 명칭은 다소 부적절함. 대부분 발음부호[音符: 예) 槪(개), 慨(개) 등]로 활용됨. {會意字} 사람[大]의 머리 위에 [一]부호를 더해 머리를 가린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뜻을 지님. {假借字} '无(무)'가 '無'의 간체자이기 때문에 음이 같아 빌려 쓰는 것으로 설명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7) 旣 (기) 이미 : 旣往之事, 旣婚 |
|
4-12,[72]
 (일) 날 |
자원 : {象形字} 태양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태양', '명암', '시간', '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5자 0) 日 (일) 날,해 : 日月山川, 吉日 1) 旦 (단) 아침 : 元旦, 旦夕 2) 早 (조) 일찍 : 早朝, 早晩 2) 旬 (순) 열흘 : 三旬九食, 七旬 3) 旱 (한) 가물다 : 旱時太出, 旱害 4) 昌 (창) 창성하다 : 繁昌, 昌盛 4) 昇 (승) 오르다 : 昇降機, 上昇 4) 易 (역) 바꾸다 : 易地思之 (이) 쉽다 : 難易度 4) 明 (명) 밝다 : 淸風明月,明鏡止水 4) 昏 (혼) 어둡다 : 昏定晨省, 黃昏 4) 昔 (석) 예,접때 : 今昔, 昔日 5) 星 (성) 별 : 日月星辰, 星座 5) 是 (시) 이,옳다 : 是非曲直, 國是 是是非非, 是非之心 5) 映 (영) 비치다 : 映畵, 映像, 反映 5) 昨 (작) 어제 : 昨今, 再昨年 5) 昭 (소) 밝다 : 昭詳, 昭明 5) 春 (춘) 봄 : 四時春風, 一場春夢 |
6) 時 (시) 때,철 : 時時刻刻, 時局 7) 晨 (신) 새벽 : 晨省, 早晨 7) 晩 (만) 늦다,저물다 : 大器晩成, 晩時之歎 7) 晝 (주) 낮 : 晝耕夜讀, 晝夜 8) 景 (경) 빛,경치 : 景觀, 光景 8) 晴 (청) 개다 : 快晴, 晴曇 8) 普 (보) 넓다 : 普及, 普遍 8) 智 (지) 슬기 : 智慧, 機智 9) 暑 (서) 덥다 : 避暑, 暴暑, 酷暑 9) 暇 (가) 겨를 : 休暇, 閑暇, 暇隙 9) 暖 (난) 따뜻하다 : 暖房, 溫暖 9) 暗 (암) 어둡다 : 明暗, 暗中摸索 10) 暢 (창) 화창하다 : 流暢, 和暢 11) 暴 (포) 사납다 : 暴惡, 凶暴 (폭) 나타내다,쬐다 : 暴動, 暴政 11) 暫 (잠) 잠깐 : 暫時 11) 暮 (모) 저물다: 朝三暮四, 朝令暮改 12) 曉 (효) 새벽 : 曉星, 曉得 12) 曆 (력) 책력 : 太陰曆, 曆法 |
4-13,[73]
 (왈) 가로 |
자원 : {指事字} 입[口] 위에 말이 나오는 의미[ㄴ]를 첨가해 '입으로 말하다'는 의미를 만들어낸 글자임. 하지만 부수의 의미는 크게 작용하지 않고 부수로 한자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日(일)'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글자를 '曰(왈)'에 포함시킨 경우가 많음. '가로'라는 훈(訓)은 '가론다'로 '말하다'는 의미의 고어(古語)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0) 曰 (왈) 말하다 : 曰可曰否 2) 曲 (곡) 굽다 : 迂餘曲折, 歌曲 3) 更 (경)고치다,시각: 更迭,甲午更張 (갱) 다시 : 更新, 三更, 更生 |
6) 書 (서) 글,쓰다 : 身言書判, 書簡 8) 最 (최) 가장,제일 : 最先, 最高 8) 曾 (증) 일찍,거듭 : 未曾有, 曾祖父 8) 替 (체) 바꾸다 : 交替 9) 會 (회) 모으다,기회:會者定離,社會 |
4-14,[74]
 (월) 달 |
자원 : {象形字}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항상 차있는 해[日]와 구별해서 차고 기우는 달의 형상에서 이지러지는 달의 모양을 본따서 만듬. 부수의 의미는 '달'이나 '시기', '시간'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肉(육:고기)'의 변형인 '月'은 '육달월'의 명칭으로 사용하는데, '달월'과 구별해야 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0) 月 (월) 달,세월 : 滿月, 年月日時 2) 有 (유) 있다,또 : 有名, 所有 4) 朋 (붕) 벗 : 朋友有信, 朋黨政治 4) 服 (복) 옷,일 : 服裝, 服用, 衣服 6) 朔 (삭) 초하루,북녘 : 朔望, 朔風 |
7) 望 (망) 바라다,보름 : 希望, 望月 8) 朝 (조) 아침,조정 : 朝變夕改, 朝廷 8) 期 (기) 기약하다,때 : 期約, 期待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7) 朗 (랑) 밝다 : 朗讀, 朗誦, 朗朗 |
4-15,[75]
 (목) 나무 |
자원 : {象形字} 나무의 전체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무의 줄기에 가지와 뿌리를 다 표현함. 부수의 의미는 나무의 '종류, 부유, 물건, 상태'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혹 '木'이 발음부호[音符]로도 사용됨.[예) 沐(목) 등] |
기초 한자 - 1800자 중 65자 0) 木 (목) 나무 : 伐木, 木星 1) 本 (본) 근본 : 本質, 本能 1) 未 (미) 아니다,여덟째지지 : 未亡人, 未曾有, 前代未聞, 己未年 1) 末 (말) 끝 : 末端, 微官末職 2) 朴 (박) 순박하다 : 淳朴, 質朴 2) 朱 (주) 붉다 : 朱書, 朱墨 3) 李 (리) 오얏나무,성 : 桃李, 李朝 3) 材 (재) 재목,재능 : 材料, 人材 3) 村 (촌) 마을 : 村落, 農村 3) 束 (속) 묶다 : 束手無策, 約束 4) 林 (림) 숲 : 林野, 森林 4) 杯 (배) 잔 : 乾杯, 杯盤狼藉 4) 松 (송) 소나무 : 松茂栢悅, 松林 4) 板 (판) 널,판목 : 漆板, 板本 4) 析 (석) 쪼개다 : 解析, 分析 4) 枕 (침) 베개 : 木枕, 枕上 4) 枝 (지) 가지 : 金枝玉葉, 枝葉 4) 東 (동) 동녘 : 東奔西走,東問西答 4) 果 (과) 실과,과연 : 因果, 果然 5) 査 (사) 조사하다 : 踏査, 査證 5) 枯 (고) 마르다 : 枯渴, 枯木 5) 柱 (주) 기둥 : 柱石, 電柱, 四柱 5) 柳 (류) 버드나무 : 花柳, 楊柳 5) 架 (가) 시렁 : 書架, 十字架 5) 某 (모) 아무 : 某處, 某種 5) 染 (염) 물들이다 : 染色, 感染 5) 柔 (유) 부드럽다,순하다 : 外柔內剛 6) 校 (교) 학교 : 學校, 校庭, 校閱 6) 株 (주) 그루,주식 : 守株待兎, 株式 6) 核 (핵) 씨,핵심 : 核心, 核武器 6) 根 (근) 뿌리,근본 : 根本, 根性 6) 格 (격) 이르다,품 : 格物致知, 人格 6) 桂 (계) 계수나무 : 月桂樹, 桂冠 6) 桃 (도) 복숭아 : 武陵桃源, 桃源境 6) 栽 (재) 심다 : 栽培 6) 栗 (률) 밤 : 棗栗梨枾, 生栗
|
6) 案 (안) 책상,안석 : 案件, 起案 6) 桑 (상) 뽕나무 : 桑田碧海, 桑葉 7) 梅 (매) 매화 : 梅蘭菊竹, 梅實 7) 械 (계) 기구 : 機械, 器械 7) 梁 (량) 들보,다리 : 梁上君子, 棟梁 7) 棄 (기) 버리다 : 自暴自棄, 廢棄 7) 梨 (리) 배나무 : 烏飛梨落, 梨花 7) 條 (조) 가지,조목 : 金科玉條, 條理 8) 植 (식) 심다,두다 : 植民地, 植木 9) 楊 (양) 버들 : 楊柳, 垂楊 9) 極 (극)지극하다,다하다:太極旗, 北極 9) 業 (업) 일 : 創業守成, 業績 10) 構 (구)얽다,이루다:構造,構築 10) 榮 (영) 영화롭다,성하다 : 富貴榮華, 榮枯盛衰 11) 槪 (개) 대개 : 槪念, 槪論, 大槪 11) 樓 (루) 다락 : 摩天樓, 樓閣 11) 標 (표) 표 : 目標, 標本, 里程標 11) 模 (모) 법,본뜨다:規模,模倣,模範 11) 樣 (양) 모양 : 樣相, 多樣, 模樣 11) 樂 (악)풍류:音樂,(락)즐기다:娛樂, (요)좋아하다 : 樂山樂水 12) 樹 (수)나무,심다 :風樹之嘆, 樹立 12) 橋 (교) 다리 : 橋梁, 架橋, 踏橋 12) 機 (기) 베틀,때 : 斷機之戒, 機會 12) 橫 (횡)가로,멋대로:縱橫無盡,專橫 13) 檀 (단) 박달나무 : 檀君神話 13) 檢 (검) 조사하다 :檢査,檢事,點檢 17) 欄 (란) 난간,난 : 欄干, 空欄 18) 權 (권) 권세 : 權不十年,權謀術數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5자) ▽5) 柏 (백) 잣나무 : 松柏 ▽6) 桐 (동) 오동나무 : 梧桐, 桐梓 ▽7) 梧 (오) 벽오동나무 : 梧桐 ▽8) 森 (삼) 빽빽하다 : 森羅萬象, 森嚴 ▽9) 楓 (풍) 단풍 : 霜楓 |
4-16,[76]
 (흠) 하품 |
자원 : {象形字} 사람이 앉아서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본따 입에서 입김이 나오는 모양을 강조한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입을 벌리다', '하품하다' 등에서 확장되어 입에서 나오는 소리나 행위까지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6자 2) 次 (차) 버금,차례,번 : 次例, 目次 7) 欲 (욕) 하고자하다,바라다 : 欲求, 欲速不達, |
8) 欺 (기) 속이다 : 詐欺, 欺瞞 10) 歌 (가) 노래 : 飮酒歌舞, 校歌 11) 歎 (탄) 탄식하다 : 歎息, 感歎 18) 歡 (환) 기뻐하다 : 歡迎, 哀歡 |
4-17,[77]
 (지) 그치다 |
자원 : {象形字} 본래 사람의 한쪽 발이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멈추다', '걷다'는 의미나 시간의 변화와 관련된 의미로도 사용됨. 또는 초목이 싹을 틀 무렵의 뿌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어 '뿌리'의 의미가지 지님. '止'가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음.[예) 祉(지), 趾(지) 등]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0) 止 (지) 그치다 : 禁止, 止血 1) 正 (정) 바르다,본 : 正直, 改正 2) 此 (차) 이,이에 : 此日彼日, 於此彼 3) 步 (보) 걸음 : 五十步百步, 步道 |
4) 武 (무) 호반,굳세다 : 文武, 武力 9) 歲 (세) 해,나이,세월 : 歲月, 萬歲 12) 歷 (력) 지내다 : 歷史, 履歷書 14) 歸 (귀) 돌아오다 : 事必歸正, 回歸 |
4-18,[78]
 (사) 죽다 (알) 뼈앙상하다 |
자원(字源) : {象形字} 죽은 사람의 부서진 남은 뼈를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대부분 '죽음'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부수 명칭은 의미대로 죽을사변으로 보는 것이 마땅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6자 2) 死 (사) 죽다 : 死生決斷, 慘死 5) 殃 (앙) 재앙 : 災殃, 殃禍 5) 殆 (태) 위태하다 : 危殆, 百戰不殆 |
6) 殉 (순) 따라죽다 : 殉葬, 殉國先烈 6) 殊 (수) 다르다 : 特殊, 殊勳 8) 殘 (잔) 남다 : 敗殘兵, 殘留 |
4-19,[79]
 (수) 치다, 몽둥이 |
자원 : {會意字} 오른손[又]과 몽둥이의 결합으로 손으로 몽둥이를 들고 '치다', '때리다', '부수다' 등의 의미로 사용됨. 부수 명칭은 '등글월문[칠복]'과 글자 모양이 비슷하여 '갖은등글월문'이라 하지만 역시 의미와 관련없는 부적절한 명칭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자 5) 段 (단) 조각 : 階段, 段落 7) 殺 (살) 죽이다 : 殺身成仁, 被殺 (쇄) 덜다,세차다 : 減殺, 殺到 |
9) 毁 (훼) 헐다 : 毁損, 毁謗 ▲9) 殿 (전) 큰 집 : 殿閣, 殿下, 宮殿 |
4-20,[80]
 (무) 말다 (관) 뚫다 |
자원 : {會意字} '毋'의 중간 '|'을 뺀 글자가 바로 '女'이기에 정숙하고 얌전한 사람인 여자가 부정이나 잘못을 하지 못하게 안된다, 금지하다는 의미의 '|'를 그어 '하지 말라'는 '毋'가 된 것으로 설명함. {象形字} 본래 '母(모)'와 같이 사용하다가 소전(小篆) 이후 별도로 분리되어 '하지 말라',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글자임. {假借字} 방패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고 '貫(관: 뚫다)'의 음을 빌려 '뚫는다'는 의미로 보는 경우도 있음. 실제 부수의 의미나 발음부호[音符]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부수 분류시에 설정되어 결정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1) 母 (모) 어머니 : 父母, 賢母良妻 |
3) 每 (매) 매양 : 每番, 每年 4) 毒 (독) 독,해치다 : 毒劇物, 酷毒 |
4-21,[81]
 (비) 견주다 |
자원 : {會意字} 사람 둘을 결합하여 나란하게 서 있는 모양에서 '나란히하다', '비교하다'는 의미를 만들어 냄. 역시 부수의 의미는 크게 작용하지 않고 부수 분류시에 설정되어 결정됨. '比'와 구별해서 'ㅅㅅ(종: 從의 옛자)'은 두 사람이 나란하게 서있지만 '比'와는 서로 방향이 바름. {形聲字} '匕'가 곧 발음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형성자로도 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0) 比 (비) 견주다,비례 : 比肩, 櫛比 |
|
4-22,[82]
 (모) 털 |
자원 : {象形字} 새의 깃털이나 짐승의 털이 위로 향해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짐승들의 털을 의미함. 부수의 의미 역시 '털'이나 '털로 만든 물전'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고 발음부호[音符]로도 사용됨.[예) 耗(모) 등]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0) 毛 (모) 털,풀 : 毛細血管, 不毛地 |
7) 毫 (호) 잔털 : 秋毫, 揮毫 |
4-23,[83]
 (씨) 성, 각시 |
자원 : {象形字} 갑골문의 자형(字形)은 장대 끝에 뱀 등의 상징을 걸어 놓은 모양에서 고대 종족의 상징을 의미하여 '종족 명칭'으로 사용되어 '씨족'의 뜻으로 사용됨. {假借字} 음식을 먹는 숟가락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설명해서 사람이 사는 작은 언덕{阜(부)의 아래 十을 뺀 글자}과 음이 같아 '종족'의 의미로 쓰임. 혹 각시로도 설명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0) 氏 (씨) 성,각시 : 姓氏, 氏族 |
1) 民 (민) 백성 : 民亂, 庶民, 與民同樂 |
4-24,[84]
 (기) 기운 |
자원 : {象形字} 구름이나 김 같은 기운이 위로 피어오르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구름', '수증기', '공기'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부수의 의미로는 '기운'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6) 氣 (기) 기운 : 節氣, 浩然之氣 |
4-25,[85]
 (수) 물


4-25,[85]
 (수) 물


|
자원 : {會意字} 글자 모양 가운데의 물줄기와 양쪽의 흘러가는 물의 모습을 결합한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충실하게 사용되어 '물', '강' 등의 이름이나 물과 관련된 상태나 동작 등과 관련한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위치가 변에 사용되면 부수의 변형{삼수변, 물수발}이 생김. {象形字} 글자 전체가 물이 흘러가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인데, 주역(周易)의 음양 괘(卦)가 [一](양)과 [--](음)으로 설명하기에 물의 형상을 그렇게 표현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91자 0) 水 (수) 물,강 : 水魚之交, 水路 1) 氷 (빙) 얼음 : 氷炭之間, 結氷 1) 永 (영) 길다,오래다 : 永遠, 永劫 2) 求 (구) 구하다 : 苛斂誅求, 求職 3) 汚 (오) 더럽다 : 汚物, 汚名, 汚辱 3) 汗 (한) 땀 : 汗牛充棟, 汗蒸幕 3) 汝 (여) 너 : 汝輩, 汝等 3) 江 (강) 강 : 江湖煙波, 渡江 3) 池 (지) 못 : 池塘, 天池 4) 決 (결) 결정하다: 決心, 決定, 決裂 4) 沈 (침)가라앉다: 沈沒, (심)성: 沈氏 4) 沒 (몰) 빠지다 : 陷沒, 沒落, 沒頭 4) 沙 (사) 모래 : 沙漠, 沙汰 5) 泉 (천) 샘 : 溫泉, 泉石膏 5) 泰 (태)크다,산이름: 泰山北斗,泰平 5) 河 (하) 물,내 : 河海, 河川 5) 油 (유) 기름 : 油然, 油畵, 油田 5) 治 (치) 다스리다 : 治國, 治療 5) 沿 (연) 물따라내려가다: 沿岸, 沿邊 5) 況 (황)하물며,모양:況且,盛況,狀況 5) 泊 (박) 배대다,묵다 : 碇泊, 宿泊 5) 法 (법) 법 : 法律, 法規, 法度 5) 波 (파) 물결 : 波濤, 波紋, 波動 5) 泣 (읍) 울다 : 感泣, 泣血, 泣訴 5) 泥 (니) 진흙 : 泥田鬪狗, 泥土 5) 注 (주) 물대다,뜻두다 : 注入, 注目 5) 泳 (영) 수영하다 : 水泳, 蝶泳 6) 洋 (양) 큰바다 : 遠洋, 大洋 6) 洗 (세) 씻다 : 洗手, 洗濯, 洗面 6) 洞 (동) 골,마을 : 洞里, 洞窟 (통)꿰뚫다 : 洞察 6) 洪 (홍) 크다,성 : 洪水, 洪吉童 6) 洲 (주) 섬,뭍 : 三角洲, 六大洲 6) 活 (활) 살다 : 復活, 活力, 生活 6) 派 (파)갈래,보내다:黨派,派閥,派遣 6) 流 (류) 흐르다 : 一流, 流血 7) 消 (소) 사라지다 : 消却,消化,消火 7) 浦 (포) 개,항구 : 浦口, 浦港 7) 浩 (호) 넓다 : 浩然之氣, 浩蕩 7) 浪 (랑) 물결,허망하다 : 風浪, 放浪, 7) 浮 (부) 뜨다 : 浮萍草, 浮力 7) 浴 (욕) 몸씻다 : 沐浴, 海水浴 7) 海 (해) 바다 : 茫茫大海, 四海 7) 浸 (침) 적시다,잠기다 : 浸水, 浸透 7) 涉 (섭) 건너다,관계하다:干涉, 涉外 8) 涯 (애) 물가,끝 : 天涯, 生涯 8) * 凉 (량) 서늘하다 : 淸凉, 納凉 [본자는 '삼수변'부수 글자. 凉은 속자] 8) 淑 (숙) 맑다,사모하다 : 淑女, 私淑 8) 淚 (루) 눈물,울다 : 落淚, 催淚彈 8) 淡 (담) 엷다,민물 : 淡泊,淡水,冷淡 8) 淨 (정) 깨끗하다 : 淸淨, 不淨 8) 淫 (음) 음탕하다 : 淫蕩, 淫亂 |
8) 深 (심) 깊다 : 深海, 水深 8) 混 (혼) 섞다 : 混沌, 混湯 8) 淸 (청) 맑다 : 淸廉潔白, 淸濁 8) 淺 (천) 얕다 : 淺深, 淺薄, 鄙淺 8) 添 (첨) 더하다 : 錦上添花, 添加 9) 減 (감) 덜다,감하다 : 減員, 削減 9) 渡 (도) 건너다,나루 : 渡河, 渡來 9) 測 (측)재다,헤아리다: 測雨器, 臆測 9) 渴 (갈) 목마르다 : 渴而穿井, 渴望 9) 湖 (호) 호수 : 湖水, 江湖, 湖南 9) 湯 (탕) 끓이다 : 金城湯池, 湯藥 9) 港 (항) 항구 : 港口, 空港, 港灣 10) 溫 (온) 따뜻하다: 體溫, 溫故知新 10) 源 (원) 근원 : 拔本塞源, 源泉 10) 準 (준) 법도,표준 : 水準, 準則 10) 溪 (계) 시내 : 碧溪水, 溪谷 10) 滅 (멸)멸망하다,멸하다: 滅亡,消滅 11) 滴 (적) 물방울 : 硯滴, 水滴 11) 滿 (만) 차다 : 充滿, 圓滿, 滿開 11) 漁 (어)고기잡다 : 漁父之利, 出漁 11) 漂 (표) 뜨다,빨래하다 : 漂流,浮漂 11) 漆 (칠) 옻칠,검다 : 漆器, 漆板 11) 漏 (루) 새다,물시계: 漏水, 自擊漏 11) 演 (연) 흐르다, 펴다 : 公演, 演奏,演劇 11) 漠 (막) 사막 : 砂漠, 漠漠, 索漠 11) 漢 (한) 물이름,왕조 : 漢學, 門外漢 11) 漫 (만) 질펀하다, 방종하다 : 散漫, 漫畵 ▲11) 滯 (체) 막히다,머무르다 : 滯症, 遲滯, 滯留 11) 漸 (점) 차차 : 漸漸, 漸次, 漸進 12) 潔 (결) 깨끗하다: 簡潔,純潔,潔白 12) 潛 (잠) 잠기다 : 潛水, 潛伏, 潛在 12) 潤 (윤) 윤택하다,이득 : 潤澤, 潤氣 12) 潮 (조) 조수,밀물 : 潮流, 落潮 13) 澤 (택) 늪,은택 : 恩澤, 德澤 13) 激 (격) 과격하다,격하다:激動,激揚 13) 濁 (탁) 흐리다, 더럽다 : 一魚濁水,濁酒 14) 濕 (습) 축축하다 : 濕氣, 濕地 14) 濟 (제) 건너다,구제하다:經世濟民, 救濟, 濟濟多士 14) 濫 (람) 넘치다,함부로 : 氾濫, 濫獲 14) 濯 (탁) 빨다,씻다 : 濯足, 洗濯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6자) ▽3) 汎 (범) 뜨다, 넓다 : 汎濫, 汎說 ▽4) 沐 (목) 머리감다 : 沐浴 ▽6) 洛 (락) 물 이름 : 洛東江, 洛陽 ▽10) 滄 (창) 큰 바다 : 滄海一粟, 滄波 ▽12) 潭 (담) 못, 물가 : 潭水, 白鹿潭 ▽13) 濃 (농) 짙다, 깊다 : 濃淡, 濃厚, 濃霧 |
4-26,[86]
 (화) 불
 |
자원 : {象形字} 불이 세차게 타오르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역시 불과 관련하여 '불의 성질이나 상태, 작용'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위치가 발{아래쪽}에 사용되면 변형이 되고 '불화발'이라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3자 0) 火 (화) 불,급하다 : 火災, 火刑 3) 災 (재) 재앙 : 災難, 災殃 4) 炎 (염) 타다,불꽃 : 暴炎, 炎症 5) 炭 (탄) 숯,석탄 : 炭鑛, 木炭 6) 烈 (렬) 세차다,굳세다 : 先烈, 烈士 6) 烏 (오) 까마귀 : 烏飛梨落, 烏鵲橋 7) 焉 (언) 어찌,어조사 : 焉敢生心 8) 無 (무) 없다 : 無爲自然, 無慾 8) 然 (연) 그렇다,사르다 : 果然, 自然 9) 煙 (연) 연기,담배 : 喫煙, 煙草 9) 煩 (번) 번거롭다 : 煩悶, 煩惱 9) 照 (조) 비추다,빛 : 照明, 落照 11) 熟 (숙)익다,무르다:深思熟考,熟達 11) 熱 (열) 열, 더위 : 以熱治熱, 熱烈 |
12) 燃 (연) 타다 : 燃燒, 燃料 12) 燈 (등) 등잔: 風前燈火,燈火可親 12) 燒 (소) 불사르다 : 燒酎, 燒失 12) 燕 (연) 제비 : 燕雀, 燕息 13) 營 (영) 경영하다 : 兵營, 經營 13) 燥 (조) 마르다 : 乾燥, 燥渴 13) 燭 (촉) 촛불,등불 : 華燭, 燭光 15) 爆 (폭) 터지다 : 爆發, 爆死 16) 爐 (로) 화로 : 鎔鑛爐, 紅爐點雪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3자) ▽2) 灰 (회) 재 : 灰壁, 石灰, 灰色 ▽9) 熙 (희) 빛나다, 넓다 : 熙朝, 熙笑 ▽17) 爛 (란) 빛나다, 문드러지다 : 燦爛, 爛漫 |
4-27,[87]
 (조) 손톱
 |
자원 : {象形字} 위에서 아래의 물건을 덮어 움켜쥐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잡고 있는 손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손가락 끝의 '손톱'의 뜻으로 사용됨. 부수의 의미도 '손으로 잡는다'는 손의 동작으로 주로 활용됨. '爪'가 한자의 머리에 사용되면 모양이 변하는데, 이를 '손톱머리'라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 자 0) 爭 (쟁) 다투다 : 爭奪, 蚌鷸之爭 |
8) 爲 (위)하다,만들다 : 爲政者, 無爲徒食 14) 爵 (작) 벼슬 : 爵位, 公爵 |
4-28,[88]
 (부) 아비 |
자원(字源) : {會意字} 한 손[又]과 돌도끼{石斧(석부)}의 결합으로 '일하는 남자'나 '집안의 長'을 의미하는 '아버지{부친}'를 도출해 냄. 혹은 손[又]과 채찍[|]의 결합으로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의 의미를 도출해 낸 것으로도 설명함. 자형(字形)의 성립은 본래 윗부분 왼쪽 삐침 획이 돌 도끼의 형상인데, 후에 대칭을 만들기 위해 오른쪽 획을 더함. 부수의 의미도 '부친'이나 '노파'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고 발음부호[音符]로도 쓰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0) 父 (부) 아비 : 父傳子傳, 神父 |
4-29,[89]
 (효) 점괘, 사귀다
|
자원 : {指事字} 나무가지를 서로 엇갈리게 놓은 모양으로 점을 칠 때 사용하는 점괘의 의미로 사용되는 글자인데, 부수의 의미는 크게 작용하지 않고 부수 분류시에 설정되었으며, 혹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됨. |
기초 한자 - 해당 한자 는 없고, 주로 사용되는 한자로 [爽(상)시원하다, 爾(이)너,뿐] 등이 있음. |
4-30,[90]
 (장) 조각나다 |
자원 : {象形字} 나무를 반으로 쪼갰을 때의 왼쪽 조각 모양을 본뜬 글자로, '침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牀(상)'의 본래자임. 부수의 의미는 '나무조각'으로 활용되지만, '片(편: 조각)' 부수가 더 많이 활용됨으로 인해 소속 글자가 별로 없으며 발음부호[音符]로 다수 사용됨.[예) 壯(장), 狀(장), 將(장) 등] 부수 명칭으로 '장수장'이라 불리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13) 牆 (장) 담 : 越牆, 牆垣 |
|
4-31,[91]
 (편) 조각 |
자원 : {象形字} 나무를 반으로 쪼갰을 때의 오른쪽 조각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무를 쪼개어 만든 물건'의 의미임. 부수의 의미도 주로 '조각'이나 '나무판' 등의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0) 片 (편) 조각,쪽 ; 一片丹心, 一葉片舟 |
4) 版 (판) 널,판목 : 版圖, 板權 |
4-32,[92]
 (아) 어금니 |
자원 : {象形字} 입을 다물었을 때 위아래의 어금니가 서로 맞물린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어금니'의 의미지만 속한 글자가 별로 없고, 혹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됨.[예) 芽(아), 雅(아) 등]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0) 牙 (아) 어금니 : 牙城, 象牙, 齒牙 |
4-33,[93]
 (우) 소
 |
자원 : {象形字} 긴 뿔을 가진 소의 머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는 소의 종류나 사육 등의 의미로 활용됨. 변에 사용되면 변형이 되고 '소우변'으로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5자 0) 牛 (우) 소,별이름 : 矯角殺牛, 牛角, 牛耳讀經, 牽牛星 4) 牧 (목) 치다,기르다:牧民心書,牧師 |
4) 物 (물) 만물, 물건 : 萬物, 鑛物 6) 特 (특) 유다르다 : 特殊, 特別 ▲7) 牽 (견) 끌다 : 牽引, 牽牛, 牽强附會 |
4-34,[94]
 (견) 개
 |
자원 : {象形字} 꼬리를 위로 감아 올린 개의 모습으로 설명하거나 개가 옆으로 보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개'나 '개와 유사한 짐승류' 등의 명칭이나, 짐승들과 관련된 행위나 상태, 수렵 등의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위치가 변으로 사용될 때는 변형이 되는데, 이를 '개사슴록변'이라 불리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3자 0) 犬 (견) 개 : 犬馬之勞, 犬猿之間 2) 犯 (범) 범하다,범인 : 犯法, 犯罪 ▲3) 狂 (광) 미치다 : 狂犬, 狂亂, 狂風 4) 狀 (장) 문서 : 賞狀, 狀啓, (상) 형상 : 狀況, 狀態 5) 狗 (구) 개 : 喪家之狗, 鷄鳴狗盜 8) 猛 (맹) 사납다,날래다 : 猛烈, 猛獸 苛政猛於虎 |
9) 猶 (유) 오히려,같다 : 猶不足, 過猶不及 10) 獄 (옥) 옥,송사: 獄死, 監獄, 地獄 13) 獨 (독) 홀로,외롭다 : 獨立, 獨斷, 惟我獨尊 14) 獲 (획) 얻다 : 獲得, 捕獲, 漁獲 ▲14) 獵 (렵) 사냥 : 狩獵, 獵銃, 獵奇 15) 獸 (수) 짐승 : 人面獸心, 猛獸 16) 獻 (헌) 드리다 : 獻身, 獻納, 獻血 |
|
|
");
}
else {
document.writeln(" ");
}
//-->
|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EF%A7%94%E5%BF%97";
rurl = "http://cafe45.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MyAvatar?TYPE=POPUP&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친구 앨범
function popupAlbum() {
mname = "%EF%A7%94%E5%BF%97";
rurl = "http://cafe45.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Album?TYPE=POPUP&EUSERID=OE8_GyqPnfk0&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찜목록
function popupZim() {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WishList?TYPE=POPUP&EUSERID=OE8_GyqPnfk0&MNAME=%EF%A7%94%E5%BF%97&URL=http://cafe45.daum.net/reload.htm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