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락-오바마가 해결해야할 7가지 경제과제들-
[경기부양책, 모기지 대책 등 7가지 과제 우선 추진해야]
뉴욕타임스6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당선자가 해결해야할 경제 우선순위로 △ 경기부양책 △ 모기지 대책 △ 연방 규제(월가 규제 포함) △ 자동차 산업 지원 △ 건강보험 △ 기술 정책 △ 에너지 절약 대책 △ 무역정책 등을 꼽았다.
오바마처럼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를 떠안고 임기에 들어선 대통령은 거의 없었다면서 오바마가 더욱 빨리 움직여야할 것이라며 이 같이 전했다.
1. 경기부양책
빠른 경기부양책이야 말로 오바마가 최우선으로 고려해야할 상황이다. 의회는 2차 경기부양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의 반대로 금액이 큰 부양책은 시도하기 힘들 전망이다.
그러나 오바마가 대통령으로 취임할 경우 의회에 추가 부양책을 만들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선거직전까지 의회에서 논의돼온 2차 경기부양책은 1500억~2000억달러 규모였다. 1차 부양책 1680억달러와 유사한 수준이다.
하원 금융위원회 한 멤버는 "현재 문제를 고치기 위해서는 최소한 2000억달러를 2년간 쏟아부어야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민간 소비가 줄어들고 있어 정부 주도 지출이 필요한 상황이다. 케빈 하셋 아메리칸 기업 연구소 경제정책연구 책임자는 "지금 미국 경제는 깊은 침체에 들어섰다"면서 "공공지출이 아닌 감세를 통해 경기부양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바마의 측근들은 의회가 600억달러 규모의 즉각적인 식량배급, 고용혜택확대, 보조금 등의 부양책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가 이를 거부할 가능성도 있다.
오바마는 연봉 25만달러 미만의 사람들에 대해선 세금 인하를 확대할 방침이다. 그리고 주택 보유자들을 위한 새로운 세금 감면과 더불어 예금계좌, 대학 학자금, 농업 등에 대한 세금 감면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대신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 부자들에 대한 증세와 자본소득과 배당금 소득에 대한 세금 부과액을 올리기로 했다.
세금정책센터는 오바마의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10년간 2조9000억달러의 재정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2. 모기지 대책
오바마는 주택 압류 위기에 처한 주택 보유자들을 돕기 위한 공약을 내세웠다. 그러나 압류가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재빠른 정책을 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일부에서는 직접적 지원을 주장하고 있지만 비용이 문제다. 오바마는 개인 파산법을 변경시켜 사람들이 집을 잃지 않도록 도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부시 행정부와 모기지 업체들이 달가워하지 않은 방법이다.
오바마는 파산법원 판사들에게 주요 거주지에 대한 주택 대출에 대한 조건을 완화하는 권한을 부여하길 원한다. 현행법에서는 판사들이 모기지 대출을 줄이는 것이 금지돼 있다. 이 같은 방식은 수백만명의 주택 보유자들이 주택을 유지토록해 주택 위기가 확산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금융기업들과 모기지 업체들은 대출에 대한 손실이 확대될 수 있다.
부시 행정부와 대출업체들은 파산법의 변경은 모기지대출 금리를 끌어올리고 주택시장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오바마는 7000억달러의 구제금융과 이 중 2500억달러의 은행지분 매입에 대해 지지해왔다. 그러나 오바마는 나머지 4500억달러의 자금을 어떻게 사용해야할 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오바마는 이 자금으로 주택 보유자들을 도울 것으로 예상된다.
3. 연방 규제(월가 규제)
오바마는 금융 규제 시스템의 대폭적인 구조조정을 요구할 계획이다. 우선 금융규제시스템의 통합이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서부터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이르기까지 규제기구를 능률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나 오바마는 어떠한 기구가 통합되고 사라질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오바마는 보다 엄격한 유동성, 자본 및 공시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그리고 헤지펀드, 모기지 브로커, 파생금융상품 등 규제받지 않는 금융기관에 대한 연방감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오바마는 시장 조작과 사채 등에 대한 벌칙을 강화하고 새로운 금융시장 감독위원회를 설립하겠다고 약속했다.
4. 자동차 산업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빅3"는 15년래 최악의 자동차 매출 부진으로 현금이 바닥이 난 상황이다. 연방정부의 지원이 없을 경우 빅3의 부도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부시 행정부는 연료효율적인 차량을 만드는데 250억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을 뿐 지금껏 GM, 포드, 크라이슬러에 대한 지원을 거부해왔다. 오바마는 빅3의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250억달러의 추가 대출 프로그램을 논의할 계획이다.
의회 민주당 후보들도 가능한한 빠른 현금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5. 건강보험
최근 큰 경기침체로 건강보험이 빠르게 변경되기는 힘든 상황이다.
오바마의 공약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건강보험의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현재 미국민 가운데 4500만명이 보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오바마는 암 투병 중 보험사와 분쟁을 벌인 자신의 할머니 사례를 들면서 환자나 가난한 국민에 대한 보험사의 차별을 금지하겠다고 약속해 많은 국민의 지지를 받았다. 기존 가입자의 보험료를 인하하고 비가입자의 보험적용을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은 고소득층 증세와 행정비용 절감 등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6. 기술 정책
기술기업들은 전세계 경제에서의 경쟁을 위해 똑똑한 기술자들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오바마 당선자는 취업 비자를 확대 적용할 것을 요구하는 기업들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H-1B 비자는 현재 6만5000명의 해외 숙련 기술자들에게만 발급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들이 미국인들의 잃자리를 빼앗고 있다는 지적 때문에 더 많은 비자를 발급하는 것도 벽에 부?H힐 수 있다.
기술산업은 새로운 대통령의 등장을 반기고 있다. 오바마는 초고속인터넷 접근망을 늘리겠다고 했다. 이는 온라인상거래, 온라인광고, 웹에 기초한 사업모델 등이 탄력ㅇ러 받을 수 있다. 기술산업은 초고속인터넷을 확대하지 않으면 미국이 16세기 사회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7. 에너지 정책
오바마는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정책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은 기후변화법안은 경제가 회복될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바마는 향후 10년간 1500억달러를 친환경 에너지원 개발에 투자, 500만개의 친환경 일자리, 이른바 "그린 칼라"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8. 무역 정책
오바마 당선자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개정 추진 등 보다 보호무역적인 색채를 강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세계가 가뜩이나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보호무역주의 색채가 강해질 경우 무역은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오바마는 G20 정상회담에 당선자 신분으로 참석해 첫번째 해외 협력에 관한 시험을 받을 예정이다. 한국, 콜럼비아, 파나마 등과의 자유무역협정도 비준에 난항을 겪을 수 있다.


각 분야별로 테마중 빠진종목도 많으나,업종 대표종목으로 관심편성하여 관리하는 종목들 입니다.
이제는 기술적 반등이후 기본적 분석으로 옥석 가리기를 메이저들은 준비 할겁니다.
환율

리보금리

CDS금리

환율 안정적 기조로 진행중이며,리보금리+CDS프리미엄 진정 기미를 보며 환율하락 수혜주[항공][철강][건설][은행]오바마 테마로 압축하여 수익 전쟁을 준비를 해야 될겁니다.
압축에서 빠진 테마중 헬스케어+LED+탄소+풍력+태양광+제약+바이오+하이브리드카+전선중 추가종목은 계속적으로 관찰후 올려 드리겠습니다.
참고 사항
테마명 |
LED관련주 |
테마개요 |
휴대전화 키패드광원으로 사용되며 LCD용 백라이트, 자동차 계기판, 브레이크등, 방향표시등으로 활용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LED생산기업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삼성전기(009150) |
기판, 카메라모듈, LED, MLCC등을 생산하는 세계적인 종합전자부품 생산업체 |
LG이노텍(011070) |
Tuner, Power Module, Camera Module, 중소형 TFT LCD, 소형 Motor, 휴대폰 Keypad/LCD Back Light Unit / 조명용 LED 등 종합전자부품업체, LG전자 자회사 |
씨티엘(036170) |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자동온도조절장치 및 LED, PDP SCREEN MASK등을 생산하는 업체, 반도체제조장비업체에서 PDP용 스크린마스크, LED로 사업영역 다각화 (07년7월 라셈텍에서 씨티엘로 상호변경) |
루멘스(038060) |
이동통신장비 및 군통신장비 생산업과 LED사업 영위 (08년2월 엘씨텍에서 루멘스로 상호변경) |
화우테크(045890) |
LED조명제품 및 라이트패널 제품,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장비 생산업체 (2005년11월 화우테크놀로지에서 화우테크로 상호변경) |
엔하이테크(046720) |
LED DISPLAY, BLU(Back Light Unit), Digital Electronic Control Assembly 등을 생산하는 업체 |
서울반도체(046890) |
국내 최대의 발광 다이오드 관련 종합부품업체 |
대진디엠피(065690) |
LED사업과 프린터 부품 제조업 영위 |
에피밸리(068630) |
LED의 원천부품인 Epiwafer와 LED CHIP, 휴대폰용 LCD모듈, 무선가입자망(WILL) 단말기 등을 생산하는 업체 (2007년8월 성일텔레콤에서 에피밸리로 상호변경) |
루미마이크로(082800) |
휴대폰용 LCD 등에 사용되는 백색발광다이오드(LED) 생산 전문업체 |
테마명 |
OLED |
테마개요 |
유기다이오드, 유기EL을 뜻하며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발광형 유기물질을 의미함.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얇은 박형으로 제조할수 있어 TFT-LCD를 능가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기기로 기대되고 있음. 특히 휴대폰의 외부창에 유기EL를 채택하는 추세가 급증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생산업체간의 대규격 제품 개발및 양산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음.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코오롱(002020) |
나일론, PET원사, 타이어코드 등 화섬원사 제조업, 필름, 전자재료, 플라스틱 정밀화학, 태양광발전 사업등을 영위 |
삼성SDI(006400) |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전문업체로 CRT, PDP, 소형LCD, OLED, 2차전지등의 제품군을 생산 (1999년 12월 삼성전관에서 삼성SDI로 사명변경) |
큐리어스(045050) |
MP3 제조, CNC컨트롤러, OLED, 자원개발 사업을 영위 (2007년 8월 현원에서 큐리어스로 상호변경) |
LG화학(051910) |
석유화학제품, 건축자재류, 정보전자소재, 태양광 사업등을 영위하는 종합화학회사 |
에스에프에이(056190) |
디스플레이 기기 제조장비, 공장자동화, 물류시스템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
탑엔지니어링(065130) |
TFT-LCD 장비 전문제조업체로 반도체 및 LCD산업은 물론 OLED 및 광모듈 산업도 영위 |
LG전자(066570) |
미디어, 어플라이언스, 정보통신부문의 세계적 기업 |
동아엘텍(088130) |
TFT-LCD 모듈공정의 LCD 검사장비, OLED 및 소형응용장비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체 |
테마명 |
바이오산업투자주 |
테마개요 |
광범위한 의미의 바이오산업에 투자한 기업들. 최근 바이오산업이 주식시장에서 크게 각광 받으면서 적은 금액을 투자해서 기업가치를 높이거나,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바이오기업에 투자한 기업들. 그러나 투자한 신사업 분야에서 실적이 가시화되거나 성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거품논란이 재현될 가능성 상존<본 테마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므로 종목별로는 실제 영위하는 사업내용과 테마내용의 상관관계나 매출비중이 다소 낮을 수 있음.>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삼천당제약(000250) |
항생제, 소화기계, 순환기계 치료제를 주력제품으로 하는 전문의약품 중심 제약업체 |
오리엔트바이오(002630) |
전문 바이오업체로 생물소재, 의료및 실험장비, 신약개발 지원서비스 등 신약개발 전과정의 토탈인프라 제공 (2005년 오리엔트에서 오리엔트바이오로 상호변경) |
폴리플러스(065610) |
ABS 컴파운드 및 마스터 배치 등 제조업체, 면역억제제 개발사업체인 포휴먼텍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
크레아젠홀딩스(067290) |
세포치료제 전문개발업체, 2008년 6월 중외홀딩스에 피인수(08년7월 쓰리쎄븐에서 크레아젠홀딩스로 상호변경) |
크리스탈(083790) |
신개념 항생제ㆍ비만치료제 등 신약을 표적단백질 구조규명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자체 개발하는 업체 |
베리앤모어(088810) |
LCD TRAY, 화장품냉고 사출물등을 제조/판매하는 업체 (08년4월 에스에이치텍에서 베리앤모어로 상호변경) |
부광약품(003000) |
아락실, 파로돈탁스 등 인지도 높은 일반 의약품을 생산하는 중견제약회사, 줄기세포에 기반한 자회사 안트로젠 보유 |
BHK(003990) |
세포치료제 판매업체, MP3플레이어, 모니터 등 IT사업도 영위(2006년 7월 신성디엔케이에서 비에이치케이로 상호변경) |
삼진제약(005500) |
두통약 게보린, 항혈전제 플래리스, 골관절염 치료제 오스테민을 생산하는 중견 제약사 |
옵토매직(010170) |
대한전선 계열사로 광통신케이블용 광섬유를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신약개발 사업도 영위 |
VGX인터(011000) |
미국 VGX파마수티컬스의 자회사, 섬유심지, 신약 사업 영위 |
에스티씨라이프(026220) |
화장품 제조, 줄기세포사업 영위업체 (2006년11월 에스엔씨에서 에스티씨라이프로 상호변경) |
제일창업투자(026540) |
창업투자회사로서, 일반기업을 발굴하여 투자 및 제반 경영지원의 종합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일반기업을 벤처기업으로 전환시켜, 투자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증권거래소 및 코스닥시장 상장을 통한 미래의 높은 자본이득을 추구하는 벤처투자전문회사 |
A모션(031860) |
조직공학 전문 바이오업체, 아트마켓 진출(2008년10월 리젠에서 A모션으로 상호변경) |
제넥셀(034660) |
의료기기사업(혈당혈압측정기, 전자혈압계 등), 바이오의약사업(탄저균해독제, 치매 질환 치료제, 표적항암제DAAP 등) 영위(2005년 10월, 세인전자에서 제넥셀로 상호변경) |
위즈정보기술(038620) |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자문 공급, 정보시스템 공급 등을 하는 SI업체, RFID, IPv7, Ubiquitous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및 휴게소 사업도 영위 (바이오기업 차바이오텍 지분보유) |
아이비진(039060) |
인터루킨-2와 베타인터페론 등 유전자재조합 단백질치료제를 중점 개발하는 연구중심의 생명공학 벤처기업, 생물의약사업과 바이오 제네릭 제품 개발 생산에 집중하고 있음(08년7월 인바이오넷에서 아이비진으로 상호변경) |
에스티큐브(052020) |
ABS, 이지체크 브랜드의 정보조회 단말기, OEM방식으로 PP수지를 생산하는 중소업체, 바이오사업도 영위 (08년5월 에스켐에서 에스티큐브로 상호변경) |
GK파워(054020) |
IC카드(RF카드, 스마트카드), 자원개발사업 영위업체, 줄기세포 개발 바이오 벤처 (주) 임젠에 출자 (07년4월 KDN스마텍에서 GK파워로 상호변경) |
뉴젠비아이티(054650) |
해외주요업체로부터 반도체와 전자부품 등을 수입하여 국내업체에 공급하는 vender업체, 뉴젠팜과 주식교환을 통해 바이오산업 진출(2006년4월 신화정보에서 뉴젠비아이티로 상호변경) |
지코아이엔씨(058370) |
반도체 고주파 장비업체, 노우앤킵유어제니스와의 합병을 통해 유해물질 제거 필터사업 진출 (08년9월 에이에스이에서 지코아이엔씨로 상호변경) |
이큐스팜(058530) |
PCB 생산장비 전문제조업체, 신약 및 신기능생물소재 개발업체인 아이디알이 우회상장 (2005년 12월 한송하이테크에서 이큐스팜으로 상호변경) |
모코코(058900) |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통합(EAI) 및 휴대폰 솔루션업체, 바이오 업체인 마이진과 DNA칩 제조업체인 바이오메드랩 인수 |
야호(059720) |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를 주매출원으로하는 컨텐츠(5782)제공, 위치기반 서비스, 지능형 로봇, 바이오 사업 영위 |
제이콤(060750) |
방송 및 무선통신기기(GPS모듈, GPS수신기, 내비게이션, 생활무전기 등) 제조업체, 2008년 8월 의약품 원료 도소매업체인 비티캠과 합병 |
휴바이론(064090) |
CCTV 카메라와 DVR 등 CCTV 시스템 전문 제조/판매 업체, 생물농약 및 친환경제제 등 바이오사업도 영위(2006년4월 선광전자에서 휴바이론으로 상호변경) |
바이오니아(064550) |
유전자 연구개발 관련 기초 재료 및 장비생산업체 |
굿센(065270) |
식음료용, 산업용, 공업용 피팅(Fittings, 연결구) 제조업체, 자회사 굿셀라이프를 통해 바이오사업 영위 (2006년8월 바오밥에서 굿센으로 상호변경) |
테마명 |
온실가스관련주(탄소배출권) |
테마개요 |
국제 기후변화 협약인 교토의정서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받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주목되고 있는 관련주. 온실가스를 감축할수 있는 저감장치나 탄소 배출권 사업 영위하고 있는 기업군.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이건산업(008250) |
합판, 원목, 제재목 등의 생산업체, 에너지사업 진출 |
KC코트렐(009440) |
대기관련 환경 설비분야 전문업체로서 산업폐기물 처리사업 등 환경서비스사업도 영위, 자회사를 통해 태양광발전사업 영위 (08년4월 한국코트렐에서 KC코트렐로 상호변경) |
한솔홈데코(025750) |
가구용 소재인 MDF, PB 및 인테리어 소재인 강화마루, 몰딩재 등을 생산하는 자재 전문 생산업체 |
세종공업(033530) |
차량용 머플러(소음기)와 배기가스정화기 등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
포휴먼(049690) |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관련 하드웨어 판매사업과 환경사업(디젤자동차배기가스저감장치) 영위 (2006년 4월 아이필넷에서 포휴먼으로 상호변경) |
지엔텍홀딩스(065410) |
용접사업, 에너지 사업 등을 주력으로 하는 사업지주회사, 지엔텍(환경사업부문 영위)과 지엔텍리소스(자원개발부문) 자회사로 둠 |
휴켐스(069260) |
남해화학에서 분리된 화학제품 전문기업으로 DNT, 질산, 메탄올, 암모니아 등 화학제품의 원료를 생산, 오스트리아 카본사와 공동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보유 |
후성(093370) |
퍼스텍의 화학 신소재사업 부문을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할, 신설된 업체, 냉매가스, 발포제, 자동차매트, 청정개발체계(CDM) 사업 등을 영위 |
테마명 |
원자력관련주 |
테마개요 |
2008년2월13일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원자력 육성정책을 발표하면 생성된 테마주. 이명박정부에서 국내 원자력 발전 기술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할 경우 프로젝트개발사, 엔지니어링, 기자재 공급, 건설 담당등의 컴소시업 형태로 수출이 이뤄질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그 파급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효성(004800) |
국내 최대 종합화섬업체로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무역, 건설, 발전등의 사업을 영위 (1998년 10월 효성티앤씨에서 효성으로 상호변경) |
보성파워텍(006910) |
송변전제품, 배전선로제품, 지중선로제품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전문업체, 대체에너지사업 진출 |
케이아이씨(007460) |
제철관련 하드페이싱(Hardfacing), 플랜트 단열공사, 가열로의 제조와 원자력 보온재인 누콘시스템 제조업 영위 |
LS산전(010120) |
전력기기 및 자동화기기, 금속가공 관련 제조업체 |
성광벤드(014620) |
조선, 중화학플랜트, 발전설비 산업 등에 쓰이는 관이음쇠류 전문 제조업체 |
한국전력(015760) |
전력판매 부문에서 독점적 위치를 차지하는 기업, 전력 IT분야, 자원개발 등해외사업도 영위 |
광명전기(017040) |
수,배전반 및 배전제어장치 등을 생산하는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 |
모건코리아(019990) |
화력/원자력/수력 등의 발전소와 정수장의 주요 부품인 전동액츄에이터를 생산하는 업체 |
태광(023160) |
산업용 배관자제 및 반도체용 Fitting Valve 등 관이음쇠 전문 제조업체로 국내대형 조선소, 건설업체, 화학, 원자력 발전소, ENG회사 등 배관산업 전 분야에 걸쳐 국내외 납품 (2001년 4월, 태광벤드공업에서 태광으로 상호 변경) |
우리기술(032820) |
정보통신사업부문(복합형 디지털 케이블셋탑박스, AV리시버 등), 시스템사업부문(분산제어시스템, 원전관련 제어계측시스템 등), 로봇사업부문(청소로봇, 안내로봇, 홈로봇)을 영위하는 업체 |
두산중공업(034020) |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수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화 플랜트, 환경설비, 운반하역설비 등 제작 공급하는 발전설비 전문업체 |
금화피에스씨(036190) |
플랜트 전문 건설업체로서 수력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석유비축기지 등을 대상으로 한 기계설비 공사와 경상정비 공사에 주력 |
HRS(036640) |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용 실리콘 고무와 원자력 발전소나 건물에 사용되는 실리콘 방화제 제조업 영위 |
조광아이엘아이(044060) |
원자력발전설비, 조선선박설비, 석유화학플랜트설비 등에 사용되는 특수밸브와 일반밸브를 생산,판매하는 업체, 미국의 인공간 제조업체인 헤파호프의 지분 1.95%를 보유하고 있음 |
한양이엔지(045100) |
반도체/TFT-LCD 설비공사, 화학약품 공급장치 및 메모리모듈 제조업과 원자력 발전사업 영위 |
한전KPS(051600) |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로 한국전력의 자회사 |
티에스엠텍(066350) |
티타늄 가공기술기반의 화학/석유화학, 발전 장비 및 부품류 생산업체 |
범우이엔지(083650) |
보일러, 복수기, 열교환기구(발전부문)와 공기예열기(제철부문)을 생산하는 업체 |
비엠티(086670) |
정밀 계장용 피팅 및 밸브류 전원분배장치 등을 생산하는 업체 |
일진에너지(094820) |
화공기기, 에너지, 발전설비, 산업기계 등의 플랜트 제작 및 기술 용역 전문업체(08년11월 일진정공에서 일진에너지로 상호변경) |
이엠코리아(095190) |
CNC 선반등의 공작기계, 방산시스템, 발전설비부품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
테마명 |
의료기기주 |
테마개요 |
의료기기 제조/판매업체.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신흥(004080) |
치과의료 장비 시스템 업체, 치과재료 개발, 교정 재료, 교합기, 기공용 기기 등 도소매업체 |
피제이전자(006140) |
생산 전문 기업으로서 초음파진단기, IC card조회기, 보안기기, SMD 가공, 전자부품 제조업체 |
원익(032940) |
의료기등 수입판매 및 투자자산관리의 사업부문을 영위, 아이피에스, 원익쿼츠, 신원종합개발 등을 계열사로 보유(1998년8월 원익석영에서 원익으로 상호변경) |
인포피아(036220) |
자가혈당측정기 및 그 측정에 사용되는 바이오센서를 개발, 제조, 판매하는 업체 |
바이오스페이스(041830) |
체성분 분석기 등의 의료용 기기 제조업 영위 |
자원메디칼(043630) |
체성분분석기, 혈압계, 홈케어 등 전자의료기기 제조업체, 대림쏠라와 합병을 통해 태양광사업 진출 |
휴비츠(065510) |
안과 및 안경점용 진단기기인 자동검안기, 자동렌즈미터 및 근접시력진단기 등을 개발해 생산, 판매하는 업체 |
테마명 |
제대혈테마주 |
테마개요 |
제대혈(출산시 태반과 탯줄에 있는 혈액)이 백혈병과, 혈액암, 심근경색증, 퇴행성관절염 등의 각종 질병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제대혈을 초저온 상태로 보관해 두는 제대혈 은행을 운영하거나 제대혈 관련 연구와 관련된 종목군.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이노GDN(028300) |
전자제품 마케팅, 제대혈보관사업, 줄기세포 치료연구 사업영위업체(2007년12월 라이프코드에서 이노GDN으로 상호변경) |
이노셀(031390) |
면역세포은행, 제대혈은행, 항암치료 관련 진단사업, 네트워크관련 수출입 사업 등을 영위하는 바이오 업체 (2005년2월 서울이동통신에서 이느셀로 상호변경) |
메디포스트(078160) |
성체줄기세포치료제를 전문으로하는 국내 제대혈은행 상위 업체 |
세원셀론텍(091090) |
화학 플랜트기기의 설계, 유압기기, 세포치료제/제대혈 사업 영위, 2006년7월 SC엔지니어링(구 세원셀론텍)에서 인적분할하여 설립 |
테마명 |
줄기세포관련주 |
테마개요 |
바이오관련 핵심테마로서 줄기세포란 후생동물의 조직 분화과정에서 볼 수 있는 세포로, 모든 신체기관으로 전환 할 수 있는 세포를 지칭. 줄기세포연구분야에는 베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분야가 있으며 복제돼지연구관련기업도 테마에 포함되있음. <본 테마는 심리적요인이 크게 작용하므로 종목별로는 실제 영위하는 사업내용과 테마내용의 상관관계나 매출비중이 다소 낮을 수 있음.>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알앤엘바이오(003190) |
동물용 소독제 및 건강보식품등을 기반으로 중장기적으로는 성체줄기세포 연구에주력하고 있는 바이오회사(2005년8월 대원이엔티에서 알앤엘바이오로 상호변경) |
진양제약(007370) |
전문의약품 중심의 중견제약업체 |
선진(014300) |
배합사료 및 식육식품 제조업체, 이종장기 전문업체인 (주)엠젠바이오에 마크로젠과 공동으로 투자하고 있음 |
중앙바이오텍(015170) |
동물용 항생제,영양제 등을 생산하는 동물의약품 전문업체, 줄기세포와 인공장기 개발사업을 영위하는 신생기업인 미라셀에 인수(2005.9)된 후 바이오분야 사업다각화 추진중, 마리아바이오텍, 미래생명공학등에 대규모 투자 |
산성피앤씨(016100) |
골판지 원단 및 상자 제조업과 줄기세포 사업영위 |
이노GDN(028300) |
전자제품 마케팅, 제대혈보관사업, 줄기세포 치료연구 사업영위업체(2007년12월 라이프코드에서 이노GDN으로 상호변경) |
이노셀(031390) |
면역세포은행, 제대혈은행, 항암치료 관련 진단사업, 네트워크관련 수출입 사업 등을 영위하는 바이오 업체 (2005년2월 서울이동통신에서 이느셀로 상호변경) |
조아제약(034940) |
헤포스, 바소크린, 마비스, 엘레멘 등 30여가지의 경구용 앰플 제품을 비롯한 총 200여가지의 의약품 및 건강식품 생산, 공급하는 일반의약품 약국 지배위주의 중소 제약업체, 산학협동으로 EPO(적혈구 조혈 자극 호르몬)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 성공으로 줄기세포 관련 테마에 편입 |
마크로젠(038290) |
유전자 정보 분석 및 DNA칩 관련 산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염기서열분석 대행서비스인 시퀀싱이 주력사업임, 생명공학법인 엠젠바이오 합작 투자 |
메디포스트(078160) |
성체줄기세포치료제를 전문으로하는 국내 제대혈은행 상위 업체 |
세원셀론텍(091090) |
화학 플랜트기기의 설계, 유압기기, 세포치료제/제대혈 사업 영위, 2006년7월 SC엔지니어링(구 세원셀론텍)에서 인적분할하여 설립 |
테마명 |
주요제약업체 |
테마개요 |
국내 제약업체중 산업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제약업체 종목군.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유한양행(000100) |
이세파신, 알마겔 등 높은 시장인지도와 다수 품목을 보유하고 있는 업계 상위 제약업체 |
일동제약(000230) |
항생제 및 비타민제를 강점으로 하는 상위권 제약사, 주요제품으로는 비타민 아로나민골드, 항생제 후루마린, 위궤양치료제 큐란, 습윤드레싱제 메디폼 등 |
동아제약(000640) |
박카스, 판피린, 비겐 등 인지도 높은 일반의약품/의약외품을 보유하고 있는 제약 전문업체 |
중외제약(001060) |
수액, 주사제 등의 필수치료제를 비롯해 항암제, 항생제, 순환기, 소화기용제, 홈케어 등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 제공업체, 헬스케어 사업도 영위 (1982년 12월, 대한중외제약에서 중외제약으로 상호변경) |
종근당(001630) |
국내 5대 대형 제약사중 하나로 면역억제제인 사이폴엔, 펜잘, 항생제, 항고혈압제 딜라트렌, 고지혈증 치료제인 로바스타딘과 심바스타딘등 다양한 의약품 제조, 판매하고 있음 |
부광약품(003000) |
아락실, 파로돈탁스 등 인지도 높은 일반 의약품을 생산하는 중견제약회사, 줄기세포에 기반한 자회사 안트로젠 보유 |
일성신약(003120) |
비만치료제 리덕틸, 항생제인 오구멘틴, 조영제(X선, MRI), 전신흡입마취제등의 의약품을 제조 판매하는 중소형 제약업체 |
영진약품(003520) |
항생제 주력의 제약회사(KT&G 계열) |
녹십자(006280) |
일반의약품 제조업체인 녹십자상아와 전문의약품 제조업체인 녹십자PBM가 합병한 종합제약업체 |
일양약품(007570) |
전립선 비대증치료제 하이트린 등의 전문의약품과 원비디 등의 일반의약품을 제조 판매하는 전문 제약기업 |
한미약품(008930) |
다수의 다처방 전문의약품과 어린이 영양제 등 인지도 높은 품목을 보유하고있는 상위권 제약업체(2003년 4월 한미약품공업에서 한미약품으로 상호변경) |
광동제약(009290) |
청심원, 쌍화탕 등 한방제품 및 건강음료 전문 제약기업, 비타500 , 옥수수수염차의 연이은 히트로 유통업부문의 매출이 급성장 |
LG생명과학(068870) |
의약품(성장호르몬제, 관절염,고혈압치료제 등), 정밀화학(의약중간체, 농약원제등), 동물의약(산유 촉진제, 동물항생제등) 사업 영위 |
대웅제약(069620) |
우루사 등을 보유한 국내 수위 제약업체 |
테마명 |
청정개발체제(CDM)관련주 |
테마개요 |
청정개발체제란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진 선진국이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투자, 그에 따른 감축 실적을 자국의 것으로 계산하고 의무 이행에 활용하는 제도를 의미하여 이러한 청정개발체제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들.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POSCO(005490) |
국내 철강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종합제철업체(2002년 4월 포항종합제철에서 POSCO로 상호변경) |
이건산업(008250) |
합판, 원목, 제재목 등의 생산업체, 에너지사업 진출 |
한국전력(015760) |
전력판매 부문에서 독점적 위치를 차지하는 기업, 전력 IT분야, 자원개발 등해외사업도 영위 |
휴켐스(069260) |
남해화학에서 분리된 화학제품 전문기업으로 DNT, 질산, 메탄올, 암모니아 등 화학제품의 원료를 생산, 오스트리아 카본사와 공동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보유 |
후성(093370) |
퍼스텍의 화학 신소재사업 부문을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할, 신설된 업체, 냉매가스, 발포제, 자동차매트, 청정개발체계(CDM) 사업 등을 영위 |
테마명 |
체성분분석기관련주 |
테마개요 |
체성분분석기란 비만진단과 예방 위한 계측기로서 체지방과 복부지방도, 기초대사량등 을 측정하는 분석기.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웨빙열풍과 비만에 대한 사회적 관심증가로 향후 고성장이 기대되고 있음.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바이오스페이스(041830) |
체성분 분석기 등의 의료용 기기 제조업 영위 |
자원메디칼(043630) |
체성분분석기, 혈압계, 홈케어 등 전자의료기기 제조업체, 대림쏠라와 합병을 통해 태양광사업 진출 |
테마명 |
치아치료관련주 |
테마개요 |
치과치료와 관련된 종목군. 최근 소득증가와 복지수준향상으로 인해 충치제거, 스케일링은 물론이고 새로운 치아를 심는 임플란트에 미용을 위한 치아교정까지 시장범위가 확대되고 있음.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신흥(004080) |
치과의료 장비 시스템 업체, 치과재료 개발, 교정 재료, 교합기, 기공용 기기 등 도소매업체 |
오스코텍(039200) |
골다공증과 관절염, 치주질환 등과 관련된 합성 신약물질을 개발하는 바이오 업체, 건강식품소재 및 치과용 뼈이식재 사업 등을 영위 |
디오(039840) |
의료기기사업, 자동포장기계 사업, 주차 및 철구조물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08년8월 디에스아이에서 디오로 상호변경) |
바텍(043150) |
시술, 교정진단 등에 필요한 디지털 엑스레이 장비 및 치과운영시스템 전문업체 |
오스템임플란트(048260) |
치과용 임플란트(인공치아) 제조업체 |
메타바이오메드(059210) |
생분해성 봉합사 및 근관충전재 등을 생산하는 의료용 제료업체 |
테마명 |
태양광에너지(건설 및 발전) |
테마개요 |
태양광발전소 건설과 발전사업(태양광발전 후방산업),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거나 태양광발전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들.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삼성물산(000830) |
국내 최대의 종합상사이자 상위권의 대형 건설업체, 삼성전자, 삼성카드, 제일기획등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삼성그룹의 중간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음, 에너지사업 진출 |
혜인(003010) |
건설중장비 및 엔진/발전기 수입판매 전문업체, 자회사 혜인에너지를 통해 태양광발전사업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도 영위 |
LG(003550) |
LG그룹의 지주회사로 영업수익은 LG전자, LG화학 등의 자회사 및 기타 투자회사의 지분법 평가이익등으로 구성 (2003년 3월 LGCI에서 LG로 상호변경) |
효성(004800) |
국내 최대 종합화섬업체로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무역, 건설, 발전등의 사업을 영위 (1998년 10월 효성티앤씨에서 효성으로 상호변경) |
동원산업(006040) |
참치선망선, 참치연승선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원양어업회사 |
현대중공업(009540) |
세계 최대의 조선회사, 플랜트, 엔진기계, 전기전자시스템, 건설장비, 하이브리드카, 태양광발전 사업에도 진출 |
동원시스템즈(014820) |
동원그룹 계열의 건설, 통신장비 업체 |
유니슨(018000) |
교량건설, 플랜트설비사업과 풍력발전사업,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영위(2003년4월 유니슨산업에서 유니슨으로 상호변경) |
이앤이시스템(065160) |
축냉시스템(빙축열, 수축열, 지열 등), 공조환기, 태양광모듈 사업 등을 영위, 나노섬유제조사인 에프티테크놀로지가 우회상장 |
매커스(093520) |
코아크로스에서 인적분할된 신설 법인, 美 자일링스(Xilinx)社의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업체 |
테마명 |
태양광에너지(모듈 및 시스템) |
테마개요 |
태양전지모듈 및 시스템시공(태양광발전 후방산업), 태양전지를 조립하고 모듈을 설치하는 후방 사업은 초기 투자가 크지 않고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많은 업체들이 이 사업에 진입하고 있음.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대한전선(001440) |
국내 선두권 전선업체로 절연금속선 및 케이블제조업체, 남광토건 인수로 건설사업 영위 |
KC코트렐(009440) |
대기관련 환경 설비분야 전문업체로서 산업폐기물 처리사업 등 환경서비스사업도 영위, 자회사를 통해 태양광발전사업 영위 (08년4월 한국코트렐에서 KC코트렐로 상호변경) |
현대중공업(009540) |
세계 최대의 조선회사, 플랜트, 엔진기계, 전기전자시스템, 건설장비, 하이브리드카, 태양광발전 사업에도 진출 |
LS산전(010120) |
전력기기 및 자동화기기, 금속가공 관련 제조업체 |
STX(011810) |
STX그룹 지주회사로 수익이 STX조선, STX엔진, STX Pan Ocean등을 자회사로 보유, 기자재/에너지원료 등의 무역, 선박관리, 태양광 사업영위 |
유니슨(018000) |
교량건설, 플랜트설비사업과 풍력발전사업,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영위(2003년4월 유니슨산업에서 유니슨으로 상호변경) |
디아이세미콘(037240) |
반도체LDI, 인터넷 정보보안 사업 영위업체 (2006년9월 싸이버텍에서 디아이세미콘으로 상호변경) |
이건창호(039020) |
건축시장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시스템창호 전문업체로 건자재 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BIPV) 사업도 영위 |
파루(043200) |
농축산 관련 방역소독기, 온습도 조절기, 태양광위치추적장치등 생산업체 (2002년 4월, 태인테크에서 파루로 상호변경) |
자원메디칼(043630) |
체성분분석기, 혈압계, 홈케어 등 전자의료기기 제조업체, 대림쏠라와 합병을 통해 태양광사업 진출 |
LG화학(051910) |
석유화학제품, 건축자재류, 정보전자소재, 태양광 사업등을 영위하는 종합화학회사 |
미리넷(056710) |
초고속인터넷장비 제조업체로 자회사를 통해 태양전지사업 영위(08년7월 포시에스에서 미리넷으로 상호변경) |
STX엔진(077970) |
STX에서 분할해 설립한 회사로 조선기자재, 방위 사업등을 영위, 자회사인 STX산업플랜트를 통해 풍력/태양광 발전등의 플랜트 사업 영위 |
에스에너지(095910) |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모듈 제조업체, 삼성전자 태양광 사업부로부터 분사 |
한국철강(104700) |
철근, 단조, 강관 등을 생산하는 철강업체, 태양광사업 영위 |
테마명 |
태양광에너지(셀제조) |
테마개요 |
태양전지 셀 부문(태양광발전 전방산업), 태양광발전 사업의 핵심중 하나인 웨이퍼를 가공해 실제로 전기를 생산해내는 셀 제조사 및 기술보유업체. 일본과 독일등이 시장을 선점한 상태에서 기술과 규모의 경제에서 국내업체와 상당한 격차가 벌어져 있는 상태임.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삼성SDI(006400) |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전문업체로 CRT, PDP, 소형LCD, OLED, 2차전지등의 제품군을 생산 (1999년 12월 삼성전관에서 삼성SDI로 사명변경) |
LG화학(051910) |
석유화학제품, 건축자재류, 정보전자소재, 태양광 사업등을 영위하는 종합화학회사 |
테마명 |
태양광에너지(원료 및 장비) |
테마개요 |
태양전지 원료 및 설비/장비 제조업체(태양광발전 전방산업), 태양광발전은 반도체의 일종인 태양전지로 빛을 이용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함. 태양광발전 사업은 태양전지와 이를 만드는 소재, 태양전지 모듈과 변환장치, 시공등 여러 관련 사업이 종합해서 이뤄지고 있으며 태양전지 원료 및 설비 제조업체들은 태양광발전산업의 전방사업으로 기초재료와 태양전지 제조 설비 제조업체들임.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KCC(002380) |
금강과 고려화학이 합병한 건재, 유리, 도료 및 PVC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태양광 발전의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사업 진출 (2005년 3월 금강고려화학에서 KCC로 상호변경) |
동진쎄미켐(005290) |
반도체 및 LCD용 재료인 포토레지스트(PR), 반도체 봉지재(EMC), 발포제와 태양광전지용 부품제조업체 |
현대중공업(009540) |
세계 최대의 조선회사, 플랜트, 엔진기계, 전기전자시스템, 건설장비, 하이브리드카, 태양광발전 사업에도 진출 |
동양제철화학(010060) |
벤젠, 카본블랙, 소다회등 유기 및 무기화학품 생산업체, 태양광발전에 필요한 폴리실리콘 사업영위 (소디프신소재 지분 보유)(2001년 5월, 제철화학에서 동양제철화학으로 상호변경) |
신성홀딩스(011930) |
투자 및 태양전지 사업을 영위(08년9월 신성이엔지에서 신성홀딩스로 상호변경) |
웅진코웨이(021240) |
정수기/공기청정기/비데 등을 생산 및 렌탈하는업체, 수처리, 리빙 사업도 영위 |
미래산업(025560) |
반도체 검사장비(Test Handler)및 표면실장장비(Chip Mounter) 생산업체, 태양광사업 진출 |
소디프신소재(036490) |
반도체,LCD 및 태양광용 특수가스, 2차전지 등의 제조업체 |
주성엔지니어링(036930) |
ALD, LP CVD, PE CVD장치, ETCH(식각장치) 제품을 공급하는 반도체 전공정 장치 업체, LCD 장치, OLED장치 등 디스플레이 장치업과 태양광에너지 사업영위 |
세중나모여행(039310) |
고급 여행상품을 취급하는 여행사업 영위업체, 계열사 이너블루를 통한 태양광사업 영위 (2006년 6월 세중나모에서 세중나모여행으로 상호변경) |
파루(043200) |
농축산 관련 방역소독기, 온습도 조절기, 태양광위치추적장치등 생산업체 (2002년 4월, 태인테크에서 파루로 상호변경) |
아이피에스(051820) |
반도체 전공정장비(ALD/CVD), LCD, 태양전지 장비 전문업체 |
오성엘에스티(052420) |
Display, 반도체장비(신뢰성/Tester 등), 부품,시험제조장비(신뢰성분석장비) 등 제조업체, 태양광사업 영위 |
유비트론(054010) |
TFT-LCD인버터, 자동차용 HID램프소켓 등 TV/전기/전자/자동차용 부품 제조업체, 태양전지용 웨이퍼 사업도 영위 (2005년4월 평화미디어컴에서 유비트론으로 상호변경) |
코닉시스템(054620) |
반도체 및 LCD 장비 전문 제조업체로 태양전지용 장비 사업도 영위, 2008년 9월 위성통신장비 제조업체 아태위성산업과 합병 (2004년1월 앤콤정보시스템에서 코닉시스템으로 상호변경) |
솔믹스(057500) |
반도체 및 TFT-LCD 장비의 소모성 재료로 사용되는 파인 세라믹스 전문업체로 알루미나, 실리콘, 쿼츠 등을 재료로 각종 파인 세라믹스 관련 부품을 생산 (2006년 9월 에스엔티에서 솔믹스로 상호변경) |
티씨케이(064760) |
반도체 공정용 고순도 흑연재, SiC 웨이퍼, Glassy Carbon 전극, 실리콘 전극 등 반도체용 관련 제품과 태양전지 부품제조업 영위 |
빅텍(065450) |
방산관련 전자전시스템 및 특수 전원공급장치 제조,판매업체 |
아바코(083930) |
TFT-LCD 및 PDP 제조업 및 태양전지사업영위 |
한국철강(104700) |
철근, 단조, 강관 등을 생산하는 철강업체, 태양광사업 영위 |
테마명 |
풍력에너지(건설 및 발전단지) |
테마개요 |
풍력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가장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좋기 때문에 각광받는 에너지원임. 풍력발전단지를 직접 설계하고 시공하며 발전단지도 운영하는 업체들.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효성(004800) |
국내 최대 종합화섬업체로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무역, 건설, 발전등의 사업을 영위 (1998년 10월 효성티앤씨에서 효성으로 상호변경) |
유니슨(018000) |
교량건설, 플랜트설비사업과 풍력발전사업,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영위(2003년4월 유니슨산업에서 유니슨으로 상호변경) |
STX엔진(077970) |
STX에서 분할해 설립한 회사로 조선기자재, 방위 사업등을 영위, 자회사인 STX산업플랜트를 통해 풍력/태양광 발전등의 플랜트 사업 영위 |
테마명 |
풍력에너지(발전기 제조업체) |
테마개요 |
풍력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가장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좋기 때문에 각광받는 에너지원임. 풍력발전단지의 핵심인 풍력발전기를 생산하는 업체군.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효성(004800) |
국내 최대 종합화섬업체로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무역, 건설, 발전등의 사업을 영위 (1998년 10월 효성티앤씨에서 효성으로 상호변경) |
보성파워텍(006910) |
송변전제품, 배전선로제품, 지중선로제품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전문업체, 대체에너지사업 진출 |
유니슨(018000) |
교량건설, 플랜트설비사업과 풍력발전사업,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영위(2003년4월 유니슨산업에서 유니슨으로 상호변경) |
두산중공업(034020) |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수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화 플랜트, 환경설비, 운반하역설비 등 제작 공급하는 발전설비 전문업체 |
테마명 |
풍력에너지(부품) |
테마개요 |
풍력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가장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좋기 때문에 각광받는 에너지원임. 풍력발전기에 소요되는 각 부품을 만들어내는 업체.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동국산업(005160) |
협폭냉연강판, 열연강판, 열연아연도금강판 전문생산업체, 윈드타워 업체인 자회사 동국S&C를 통해 풍력발전사업 영위 |
스페코(013810) |
플랜트설비, 방산설비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
유니슨(018000) |
교량건설, 플랜트설비사업과 풍력발전사업,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영위(2003년4월 유니슨산업에서 유니슨으로 상호변경) |
한일단조(024740) |
AXLE SHAFT, SPINDLE류 등의 자동차부품, 방위산업용 부품 전문 생산업체, 조선/풍력/항공산업부품 개발사업도 영위 |
태웅(044490) |
국내 최대규모의 자유단조(석유화학 플랜트, 조선, 항공, 발전, 원자력, 산업기계등의 중공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비규격 부품 생산방식) 전문제조업체 |
현진소재(053660) |
선박엔진 구성품/풍력발전에 사용되는 단조제품 제조업체 |
용현BM(089230) |
현진소재로부터 물적분할을 통해 설립된 금속소재 단조(조선 및 풍력 부품/산업기계부품 등) 전문업체 |
평산(089480) |
풍력발전부품인 타워플랜지 및 조선/발전설비/석유화학 플랜트 산업기계 설비부품 제조업체 |
테마명 |
폐기물처리 관련주 |
테마개요 |
환경산업관련 환경오염 폐기물 처리 관련주.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코엔텍(029960) |
울산지역 88개의 폐기물배출업체 및 지역상공인의 참여하에 설립된 산업 폐기물 전문처리업체 |
인선이엔티(060150) |
건설폐기물 처리전문업체로 순환골재 생산 판매, 비계구조물 해체업등도 영위 |
와이엔텍(067900) |
하수처리, 폐기물처리 및 청소관련 서비스, 골프장 사업 영위, 2008년 5월 호남레미콘과 합병으로 건설업 진출 |
테마명 |
하이브리드카관련주 |
테마개요 |
하이브리드카란 내연 엔진과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랑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차세대 자동차를 말함. 일본의 도요타가 프리우스를 양산화 하는데 성공한 영향으로 미국시장에서 하이브리카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음. 테마종목들은 하이브리드카관련 핵심부품인 캐패시터와 콘덴서를 생산할수 있는 콘덴서 관련업체임.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삼화콘덴서(001820) |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 |
세방전지(004490) |
차량룡, UPS용, 오토바이용 축전지 생산업체 |
현대차(005380) |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 최대의 완성차 업체, 해외에서 브랜드 이미지 상승 및 품질 또한 세계적수준으로 도달하여 수출 지속호전 |
삼성SDI(006400) |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전문업체로 CRT, PDP, 소형LCD, OLED, 2차전지등의 제품군을 생산 (1999년 12월 삼성전관에서 삼성SDI로 사명변경) |
대우부품(009320) |
콘덴서, 이동통신단말기, 자동차부품, 노트북 사업 영위업체, 하이브리드카 콘덴서사업 진출 (2006년4월 파츠닉에서 대우부품으로 상호변경) |
삼화전기(009470) |
삼화그룹계열의 전해콘덴서 제조업체로 전해콘덴서, 필름콘덴서 및 적측세라믹콘덴서등의 다양한 콘덴서를 제조하고 있음 |
현대중공업(009540) |
세계 최대의 조선회사, 플랜트, 엔진기계, 전기전자시스템, 건설장비, 하이브리드카, 태양광발전 사업에도 진출 |
삼화전자(011230) |
삼화그룹계열의 TV, 모니터 및 각종 통신기기에 쓰이는 페라이트 코아 전문생산업체 |
뉴인텍(012340) |
가정용 콘덴서, 금속증착필름 등을 생산하는 업체로 AC콘덴서시장에서 절대우위의 시장점유율 확보, 자동차용 콘덴서 제조에 필요한 증착필름 개발 및 특허 취득으로 하이브리드카 부품사업에 본격 진출 |
성문전자(014910) |
콘덴서용 증착필름 생산업체 |
엠비성산(024840) |
하이브리드카등에 적용되는 자동차 전장부품 사업과 비철금속 원료 사업을 영위 (08년1월 한국성산에서 엠비성산으로 상호변경) |
필코전자(033290) |
저항기, 콘덴서 등을 생산하는 업체로 수출이 매출의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전자부품의 경박단소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Chip Type 및 모줄의 새로운 제품군(WCI, SDP, ASM, BTM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중 |
테크노세미켐(036830) |
국내외 반도체 및 LCD용 화학약품을 제조/판매하는 기업 |
넥스콘테크(038990) |
노트북 및 휴대폰과 2차전지 보호회로와 하이브리드카에 적용되는 BMS 개발업체 |
성호전자(043260) |
Desk Top PC용 PSU와 디스플레이용 필름콘덴서 전문제조업체로서 국내 필름콘덴서 업체 중 내수 점유율 상위기업 (주요거래처:LG전자, 삼성SDI) |
파워로직스(047310) |
2차전지용 보호회로(PCM)생산 업체 |
LG화학(051910) |
석유화학제품, 건축자재류, 정보전자소재, 태양광 사업등을 영위하는 종합화학회사 |
테마명 |
환경오염진단/복원관련주 |
테마개요 |
환경산업관련주들. 환경산업이란 오염물질의 측정, 사전적인 절감, 사후적인 처리등에 투입되는 모든 제품이나 설비,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을 의미함. |
관련종목 |
기업개요 |
예신피제이(047770) |
페수처리장치를 제조하는 환경사업, 디자인용품의 제조및 유통사업등을 영위하는 업체, 리더스피제이와 합병을 통해 의류사업 진출 (2008년8월 디앤에코에서 예신피제이로 상호변경) |
에코솔루션(052510) |
토양오염 진단 및 복원, 수자원복원 등의 환경 관련사업과 팜 오일을 이용한 대체에너지(바이오디젤) 사업 등을 영위 |
자이엘정보(053980) |
IT컨설팅 사업 및 IT 토탈솔루션 제공, CAD/CAM/CAE/PDM S/W 솔루션으로 자동차, 항공, 철도차량, 조선업등의 설계 엔지니어링 등에 적용됨, 2008년 6월 무역업 및 포장재 생산업체 오비트 인수 (2004년 4월, 엔에이씨정보시스템에서 자이엘정보로 상호변경) |
[테 마 명] 환율하락수혜주 |
[테마개요] 외화 부채가 많거나 원재료 수입비중이 높아 환율하락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가 큰 기업군 |
고려아연 (010130) |
농심 (004370) |
대상 (001680) |
대한제당 (001790) |
대한제분 (001130) |
대한항공 (003490) |
|
대한해운 (005880) |
동국제강 (001230) |
동원F&B (049770) |
모두투어 (080160) |
사조해표 (079660) |
삼양사 (000070) |
|
삼양제넥스 (003940) |
아시아나항공 (020560) |
오뚜기 (007310) |
오리온 (001800) |
풍산홀딩스 (005810) |
하나투어 (039130) |
|
하이트홀딩스 (000140) |
한국가스공사 (036460) |
한국전력 (015760) |
한국제지 (002300) |
한진해운 (000700) |
현대상선 (011200) |
|
현대제철 (004020) |
혜인 (003010) |
CJ제일제당 (097950) |
LG석유화학 (012990) |
POSCO (005490) |
SK에너지 (096770) |
|
S-Oil (010950) |
11/7일 테마 상승률 업종상승률
테마명 |
종목수 |
전일대비 |
상승 종목수 |
하락 종목수 |
최근3일간 등락률 |
테마구성 주요성분 |
풍력관련주 |
7 |
13.75% |
7 |
|
2.28% |
태웅,평산 |
탄소배출권 관련주 |
3 |
12.65% |
3 |
|
1.47% |
휴켐스,후성 |
조선관련주 |
19 |
11.08% |
19 |
|
4.21% |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
방위산업주 |
11 |
9.76% |
11 |
|
2.99% |
한화,풍산홀딩스 |
쿄토 의정서 |
13 |
9.21% |
13 |
|
4.46% |
서희건설,한솔홈데코 |
대북 송전 관련주 |
11 |
8.98% |
11 |
|
0.20% |
제룡산업,이화전기 |
발코니확장 관련주 |
5 |
8.91% |
5 |
|
2.72% |
중앙디자인,국보디자인 |
태양열관련주 |
17 |
8.89% |
16 |
1 |
3.38% |
티씨케이,소디프신소재 |
인천부동산 소유기업 |
4 |
8.87% |
4 |
|
3.09% |
한진중공업홀딩스,동양제철화학 |
보험 |
4 |
8.40% |
4 |
|
2.93% |
LIG손해보험,삼성화재 |
대체에너지 관련주 |
8 |
8.35% |
8 |
|
3.64% |
대우인터내셔,SK |
증권 |
23 |
8.14% |
23 |
|
5.70% |
삼성증권,대우증권 |
나노 관련주 |
5 |
7.70% |
5 |
|
4.21% |
김종학프로덕션,웰크론 |
지능형로봇 |
7 |
7.28% |
7 |
|
5.01% |
에이디칩스,우리기술 |
생체인식 관련주 |
4 |
7.26% |
3 |
1 |
2.36% |
테스텍,GK파워 |
줄기세포 |
15 |
7.19% |
14 |
1 |
4.77% |
산성피앤씨,마크로젠 |
항공우주관련주 |
10 |
7.17% |
9 |
|
3.75%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
비료관련주 |
4 |
6.85% |
3 |
1 |
5.08% |
남해화학,조비 |
매연저감장치 테마주 |
5 |
6.58% |
5 |
|
1.88% |
일진홀딩스,세종공업 |
LCD 장비 관련업체 |
11 |
6.56% |
10 |
1 |
3.84% |
탑엔지니어링,에스에프에이 |
중저가 옐로우칩 |
18 |
6.56% |
17 |
1 |
4.63% |
삼성물산,한솔제지 |
유가하락 수혜주 |
14 |
6.51% |
12 |
2 |
3.13% |
대한항공,한진해운 |
반도체 장비 |
16 |
6.28% |
13 |
2 |
3.93% |
이오테크닉스,신성홀딩스 |
셋톱박스주 |
7 |
6.05% |
7 |
|
6.39% |
휴맥스,현대디지탈텍 |
전쟁 테러관련주 |
10 |
5.94% |
10 |
|
4.60% |
풍산홀딩스,휴니드 |
원자력발전 |
8 |
5.87% |
8 |
|
5.20% |
보성파워텍,범우이엔지 |
여행 |
11 |
5.87% |
9 |
1 |
3.93% |
자유투어,하나투어 |
지주회사 |
9 |
5.77% |
8 |
1 |
4.24% |
LG,한화 |
남북경협 수혜주 |
20 |
5.70% |
17 |
2 |
2.85% |
삼성물산,현대상선 |
동물질병관련주 |
6 |
5.56% |
6 |
|
6.13% |
제일바이오,중앙바이오텍 |
화학 철강 등 소재주 |
49 |
5.48% |
41 |
7 |
5.62% |
LG화학,POSCO |
광케이블관련 기업 |
5 |
5.46% |
5 |
|
3.61% |
LS,대원전선 |
모바일디스플레이관련주 |
9 |
5.42% |
9 |
|
6.34% |
에이스디지텍,디스플레이텍 |
은행 |
8 |
5.26% |
7 |
1 |
7.91% |
신한지주,우리금융 |
바이오디젤 |
5 |
5.23% |
3 |
|
2.60% |
제강,KCI |
하이브리드카 |
7 |
5.16% |
5 |
1 |
3.99% |
엠비성산,삼화콘덴서 |
달러 강세 수혜기업 |
50 |
5.11% |
42 |
7 |
3.40% |
삼성전자,현대차 |
MP3플레이어 관련주 |
6 |
5.03% |
5 |
1 |
0.03% |
코원,레인콤 |
시스템 SI업체 |
5 |
4.93% |
4 |
1 |
5.78% |
포스데이타,신세계 I&C |
조류독감(방역 백신) |
16 |
4.92% |
14 |
1 |
5.75% |
파루,중앙백신 |
M&A 관련주 |
24 |
4.92% |
18 |
4 |
6.04% |
대우건설,대우인터내셔 |
행정수도 이전 |
16 |
4.91% |
14 |
2 |
1.89% |
계룡건설,SG글로벌 |
자동차 관련주 |
22 |
4.82% |
20 |
2 |
3.84% |
기아차,현대차 |
환경관련주 |
6 |
4.75% |
6 |
|
5.84% |
CTC,웅진코웨이 |
농업관련주 |
11 |
4.69% |
8 |
3 |
2.96% |
경농,동방아그로 |
홈네트워크 관련주 |
19 |
4.69% |
15 |
3 |
3.68% |
아이레보,우리기술 |
LCD 부품 등 |
25 |
4.67% |
21 |
4 |
5.97% |
모빌링크,아모텍 |
U헬스관련주 |
4 |
4.54% |
3 |
1 |
6.77% |
인성정보,비트컴퓨터 |
주정제조사 |
5 |
4.51% |
5 |
|
0.11% |
보해양조,풍국주정 |
건설경기 활성화 수혜 |
14 |
4.44% |
13 |
1 |
6.09% |
현대건설,GS건설 |
제약업 |
50 |
4.37% |
43 |
4 |
3.94% |
LG생명과학,한미약품 |
중계기 |
5 |
4.29% |
4 |
|
9.17% |
쏠리테크,C&S마이크로 |
여름관련주 |
18 |
4.27% |
13 |
5 |
3.71% |
빙그레,롯데삼강 |
황사관련주 |
10 |
4.24% |
9 |
1 |
5.06% |
솔고바이오,크린앤사이언 |
달러 약세 수혜기업 |
45 |
4.19% |
36 |
9 |
3.93%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
카지노 관련기업 |
6 |
4.16% |
6 |
|
4.94% |
강원랜드,파라다이스 |
IPTV 관련주 |
20 |
4.07% |
17 |
2 |
6.21% |
셀런,휴맥스 |
새만금수혜주 |
7 |
4.05% |
6 |
|
7.75% |
DM테크놀로지,토비스 |
유선통신장비 |
5 |
3.95% |
4 |
|
7.34% |
다산네트웍스,코위버 |
바이오 관련 기업들 |
20 |
3.93% |
17 |
3 |
4.96% |
마크로젠,솔고바이오 |
윈도우 비스타 수혜주 |
6 |
3.86% |
5 |
1 |
5.87% |
제이엠아이,다우데이타 |
교육 관련주 |
10 |
3.85% |
7 |
3 |
5.75% |
웅진홀딩스,포넷 |
이동통신 장비업체 |
12 |
3.82% |
9 |
3 |
6.32% |
케이엠더블유,에이스테크 |
2차 전지 등 건전지 |
13 |
3.72% |
8 |
4 |
5.05% |
삼성SDI,아트라스BX |
광우병 및 구제역 |
27 |
3.55% |
23 |
4 |
5.44% |
동원F&B,백광소재 |
DMB/와이브로:중계기외 |
11 |
3.54% |
10 |
1 |
5.88% |
기륭전자,현대디지탈텍 |
반도체 재료 |
7 |
3.50% |
5 |
2 |
5.31% |
동진쎄미켐,코미코 |
카메라폰 관련주 |
11 |
3.49% |
9 |
2 |
5.85% |
한성엘컴텍,삼성테크윈 |
저출산 대책 수혜주 |
6 |
3.45% |
5 |
1 |
0.56% |
아가방컴퍼니,보령메디앙스 |
자산주 |
19 |
3.30% |
13 |
5 |
4.88% |
경방,성창기업 |
인터넷 솔루션 |
12 |
3.12% |
9 |
2 |
6.03% |
핸디소프트,이네트 |
12월결산 배당관련주 |
26 |
3.12% |
20 |
5 |
4.14% |
부산가스,계룡건설 |
전자태그(RFID) |
19 |
3.07% |
14 |
5 |
5.54% |
현대오토넷,기륭전자 |
내수 소비 관련주 |
11 |
2.93% |
7 |
2 |
3.25% |
신세계,현대백화점 |
DVD |
6 |
2.90% |
3 |
2 |
4.50% |
디브이에스,DM테크놀로지 |
휴대폰 부품주 |
10 |
2.75% |
6 |
3 |
5.25% |
유아이엘,KH바텍 |
보안관련 기업 |
7 |
2.73% |
4 |
2 |
5.31% |
안철수연구소,디아이세미콘 |
조류독감(수산주) |
9 |
2.53% |
7 |
2 |
7.15% |
사조대림,동원산업 |
화폐변경 관련주 |
8 |
2.44% |
7 |
1 |
4.51% |
청호컴넷,한네트 |
인터넷 게임관련주 |
18 |
2.43% |
12 |
6 |
4.85% |
엔씨소프트,NHN |
UCC 테마주 |
24 |
2.42% |
17 |
5 |
7.04% |
NHN,SK컴즈 |
블루투스 관련주 |
11 |
2.31% |
9 |
2 |
7.78% |
모빌링크,아모텍 |
엔터테인먼트 |
25 |
2.16% |
14 |
6 |
4.55% |
에스엠,스타맥스 |
무선인터넷 |
8 |
2.15% |
5 |
2 |
4.33% |
인프라웨어,지어소프트 |
반도체 패키징 |
4 |
2.10% |
3 |
1 |
6.42% |
STS반도체,하나마이크론 |
경기 방어주 |
8 |
1.80% |
6 |
2 |
0.05% |
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 |
건강식품 |
6 |
1.30% |
5 |
1 |
4.54% |
대상,엔알디 |
PCB 생산업체 |
12 |
1.27% |
8 |
4 |
1.84% |
대덕GDS,대덕전자 |
스마트카드 전자화폐 |
10 |
0.95% |
5 |
4 |
3.10% |
케이비티,하이스마텍 |
방송법관련주 |
6 |
0.86% |
4 |
2 |
6.69% |
CJ홈쇼핑,GS홈쇼핑 |
창투사 |
12 |
0.76% |
6 |
5 |
5.31% |
한국기술투자,무한투자 |
중간배당 관련주 |
13 |
0.69% |
6 |
6 |
4.43% |
삼성전자,한국가스공사 |
디지털 음원 관련주 |
7 |
0.26% |
5 |
2 |
5.42% |
예당,로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