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은 윤활유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규정의 윤활유인지 또는 이물질의 혼입여부를 아는데 필요하며 특히 용량측정시에 중요한 항목이다.
a. 비중 15/4℃ : 15℃의 오일과 4℃의 같은 부피의 순수한 물과의 중량비
b. 비중 60/60℉ : 60℉의 오일과 같은 부피의 60℉의 순수한 물과의 중량비
c. API : 미국석유협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에서 정한 비중이며 물을 10으로 하여 물보다 가벼운 것은 10이상, 물보다 무거운 것은 10이하의 수치로 나타낸다. 즉, APIº = 10일 때 비중이 1이다.
점도(Viscosity)
액체가 흐를 때 그에대해 저항하는 내부 마찰력을 말한다. 이론적으로 절대점도와 동점도가 있어 그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
동점도 = 절대점도/밀도
동점도 = 일반적으로 윤활유에서 점도라 하면 동점도를 말하며, cSt 단위로 된 것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동점도의 단위로서 cSt 이외에 다음의 것 들이 있다.
① cSt (Kinematic Viscosity) 동점도를 C. G. S 단위로 표시한 것을 Stocks 하며 그1/100을 취하여 Centistoke(cSt)로 나타낸다. 측정온도는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점도분류에 의해 40℃와 100℃이며 세계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②°E(Engler Viscosity) 200cc의 대상 시료유의 유출시간을 20℃의 물의 유출시간의 비로 나눈 것, 측정온도는 20℃, 50℃, 100℃로서 주로 유럽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③ SUS or SSU(Saybolt Universal Viscosity) 60cc의 대상 시료유가 유출하는 시간의 비로 나눈 것, 측정온도는 100℉, 130℉, 210℉로서 주로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점도지수(Viscosity Index)
점도지수는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변화를 나타내는 수치 즉, 지수로서 단위를 사용하지 않는다.
U : 시료유 40℃일때의 점도 L : 100℃일때의 시료유와 같은 점도를 가진 VI=0의 표준유의 40℃일때의 점도 H : 100℃일때의 시료유와 같은 점도를 가진 VI=100의 표준유의 40℃일때의 점도
유동점 및 구름점(Pour point & Cloud point)
윤활유를 냉각시키면 점도가 점차 증대되어 유동성을 잃게되고 굳어지기 시작하며 그 때의 온도를 응고점이라 한다. 응고점에 달하기 전의 유동성을 인정할 수 있는 온도를 유동점이라 한다. 한편 냉각시킬 때 파라핀 왁스 (Paraffin wax)나 그 밖의 물질이 석출되어 하얗게 흐리기 시작할 때의 온도를 구름점이라 한다.
인화점 및 발화점(Flash point & Fire point)
오일을 가열해서 발생한 증기와 공기의 혼합가스에 불을 가까이하면 순간적으로 타버린다. 그때의 온도를 인화점이라 한다. 가열을 계속하면 증기발생이 심해지고 그 증기에 점화하면 연소가 계속하게 된다. 그 때의 온도를 발화점 또는 연소점이라 한다. 발화점은 일반적으로 인화점보다 높으며, 발화점이상의 온도에서는 윤활유를 사용할 수 없다.
전산가(Total acid number)
오일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성성분의 양을 나타내며 시료유 1g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성성분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KOH)의 양을 mg으로 나타낸 것, 정제도가 높은 윤활유는 무기산이나 유기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전염기가(Total base number)
전염기가는 윤활유중에 포함되어 있는 염기성(알카리성) 성분의 양을 나타내며, 시료유 1g중에 포함되어 있는 염기성 성분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산과 같은 당량의 수산화 칼륨(KOH)의 양을 mg으로 나타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