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족의 명절 가운데 가장 큰 명절인 설과 함께 대표적인 명절이다.
추석은 다른 말로 한가위, 가베, 중추, 중추절 등으로 불려진다. 한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의미를 가진 ‘가위’와 ‘크다’라는 의미를 가진 ‘한’이 합쳐져서 ‘가운데 가장 큰’이라는 뜻이다.
추석의 달은 1년 중 가장 크다. 중추절(仲秋節)이라는 말은 가을의 중간이라는 말인데 ‘중(仲)’은 가운데라는 뜻도 있지만 ‘두번째’라는 의미도 있다 음력8월이라고 하지만 우리의 계절에 대한 감각적 느낌은 이제 막 가을이 시작된 느낌인데 사실 우리의 감각과 계절의 변화는 조금 차이가 있다.
음력으로 7,8,9월을 계절상 가을로 보는데 그중 8월은 두 번째이고 가운데 이다. 그 두 번째 가을의 가운데이니 중(仲)이라고 한 것이다. 단순히 가을의 중간에 있어서 ‘중(中)’이 아니고 가을의 두 번째 달에 있기에 ‘중(仲)’이라고 하는 이유가 그것이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데, 가배(嘉俳)라는 말은 추석을 일컫는 고어(古語). ‘가위’라는 우리말을 이두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추석날 아침 가장 중요한 행사는 추석차례(秋夕茶禮)를 지내는 일이다. 각 가정은 미리 준비한 제물을 차려놓고 차례를 지낸다. 이 날은 설날과는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술을 빚고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낸다.
가을에 첫 수확을 한 햇곡식을 조상님께 먼저 천신(薦新-새로운 것을 조상님께 올리는 일)하고 천신차례가 끝나면 차례음식으로 온 가족이 음복(飮福)을 하며 아침을 먹는다.
아침식사를 마치고 미리 풀을 깎아 벌초를 해 놓은 조상님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하는데, 추석이 되어도 벌초를 하지 않은 무덤은 자손이 없어 임자 없는 무덤이거나 자손은 있어도 불효하여 조상의 무덤을 돌보지 않는 경우여서 남의 웃음거리가 된다.
추석은 공휴일로 제정되어 많은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교통의 혼잡을 이루지만 고향에 돌아가는 것은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기 위해서이다. 추석명절에 차례와 성묘를 못 하는 것을 수치로 알고, 자손이 된 도리가 아니라고 여기는 것이 우리나라 사람의 기본적인 의식구조이다.
추석 무렵은 날씨가 좋고 풍요로운 때이고 농번기가 끝난 한가로운 때이기에 즐거운 마음으로 여러 가지 놀이를 한다. 마을에서는 농악을 치고 노래와 춤으로 서로 어울리는데, 사람들이 마을을 돌면서 놀 때에 소놀이·거북놀이를 하게 된다.
소놀이는 두 사람이 한지로 만든 소를 뒤집어쓰고(후대에 멍석으로 만들어 씀) 앞사람은 방망이를 두개 들어 뿔로 삼고, 뒷사람은 새끼줄을 늘어뜨려 꼬리를 삼아 농악대를 앞세우고 이집저집 찾아다닌다. 일행을 맞이하는 집에서는 많은 음식을 차려 대접한다. 마당에서 술상을 벌이고 풍물을 치고 춤을 추면서 한때를 즐긴다.
전국 각지에서 전승되어 내려오던 소놀이굿이 이제는 경기도 양주지방에서만 전승되어지고 있는데 <양주소놀이굿>은 집안의 우환을 거두어 달라는 우환(憂患)굿이나 망자(亡者)의 죽음을 달래고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진오귀(陳五鬼)굿과는 달리, 재수(財數)와 운수(運數)를 비는 경사(慶事)굿에 속하는 것으로 오락·예능적인 기능이 강하다.
이 소놀이굿은 단독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제석(帝釋)거리에 이어서 노는데, 내용과 진행 방식은 소놀이굿이 제석거리에 종속된 일부가 아니라 독립된 하나의 굿거리임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소놀이굿은 제석거리의 연장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독자적 형식의 ‘소놀이굿’이라는 놀이가 경사굿의 제석거리와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소놀이굿이 굿거리 중에서 특별히 제석거리와 결합하게 된 이유는, 제석거리가 자손창성과 수명장수를 비는 것이며, 제석항아리의 곡신적(穀神的) 성격에서도 볼 수 있듯이 농경의례적인 요소에서 등장하는 ‘소’의 의미가 한자어 ‘소(素)’의 의미가 합쳐진 의미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제석신(帝釋神)은 고려 말 승려 일연의 ‘삼국유사’의 ‘기이편’에 나오는 ‘석제환인(釋帝桓因)’의 ‘하느님(환인은 하느님의 한자표기 즉 이두표기로 본다)을 의미 하는데 하느님은 소신(素神), 즉 하늘의 깨끗한 신이다.
소(素)라는 의미는 히다(하얗다)-소백분(素白粉), 깨끗하다-소복(素服), 근본적이다-원소(元素), 소립자(素粒子)등등의 용례에서 보듯, 가장 근원적이고 깨끗한 존재를 의미 하는데, 소신=천신(素神=天神)의 등식이 성립하고, 그 소신이 하느님이고 제석님이다. 그때 소(素)가 소와 만나게 된다.
제석님은 곧 우리의 하나님을 의미하는데 일연이라는 승려가 삼국유사에서 하느님을 환인이라고 한 것은 하느님의 이두식 표현이 <하느님-한님-환님-환인>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우리민족은 하늘을 섬기고 조상을 섬기던 민족이다. 삼국유사의 단군기록에서도 보이듯 우리민족은 하느님의 아들과 땅의 여인인 웅녀가 만나서 단군을 낳았고 그 단군이 우리민족의 선조임은 어느 누구도 부정하지 않은 사실이고 역사다.
추석의 진정한 의미는 먹고 즐기는 ‘공휴일’이 아니고 하늘과 조상에 감사하고 가족의 화합을 다지는 민족명절이다.
하늘에 감사하고 조상님을 기리는 즐거운 추석과 건강한 추석이 되도록 안전한 고향길을 다녀 오세요.
하늘맞이무속대학 정법사(010-4254-8581)
상기 기사는 경기도 광역주간신문 서부뉴스 2013년 9월16일자(제193호)와 포털싸이트 daum(뉴스-안산), 경기도 지방일간신문 경인매일에도 함께 보도돼 언론의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습니다.
가장 빠른 뉴스로 시민의 알권리를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안산인터넷뉴스는 공공기관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중심의 운영체제로 언론의 자유를 중시합니다. 시민의 눈과 귀로 함께 만드는 언론이 되겠습니다.
제보 : kyunsik@hanmail.net
※ 저작권자 ⓒ 안산인터넷뉴스-서부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