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동요
당고삼형제 (だんご 3兄第)
串にささって だんご だんご
(쿠시니 사삿떼 당고 당고)
꼬챙이에 꽂혀진 경단 경단
3つならんで だんご だんご
(미잇쯔 나라안데 당고 당고)
3개로 늘어선 경단 경단
しょうゆぬられて だんご だんご
(시요우유누라레떼 당고 당고)
간장 묻힌 경단 경단
だんご 3兄第
(당고 산쿄오다이)
경단 3형제
いちばん上は 長男
(이찌방우에와 쵸오난)
가장 위는 장남
いちばん下は 三男
(이찌방시타와 산난)
가장 아래는 삼남
あいだにはさまれ 次男
(아이다니하사마레 지난)
가운데 낀 차남
だんご 3兄第
(당고 산쿄오다이)
경단 3형제
弟思いの 長男
(오또우또오모이노 쵸오난)
동생들을 생각하는 장남
兄さん思いの 三男
(니이상오모이노 산난)
형들을 생각하는 삼남
自分がいちばん 次男
(지분가이찌바앙 지난)
자기가 최고 차남
だんご 3兄第
(당고 사안쿄오다이)
경단 3형제
こんど生まれてくるときも
(콘도우마레떼 쿠루또끼모)
이다음 태어날때에도
ねがいはそろって 同じ串
(네가이와소로옷떼 오나지쿠시)
바라는건 모두가 같은 꼬챙이
できれば こんどは
(데끼레바 콘도와)
된다면 이번에는
こしあんの
(코시안노)
팥이
たくさんついた あんだんご
(타쿠상쯔이따 안당고 당고)
많이 붙어있는 팥경단
だんご!!
(당고)
경단
ある日、兄弟けんか けんか
(아루히교오다이켄카 켄카)
어느날 형제 싸움 싸움
こげ目のことで けんか けんか
(코게메노꼬또데켄카 켄카)
눌은것에싸움 싸움
すきまのあいだ だんご だんご
(스끼마노아이다 당고 당고)
틈사이 경단 경단
でも,すぐに仲なおり
(데모,스구니나까나오리)
하지만, 곧 화해
今日は戶棚でひるね ひるね
(쿄오와또다나데히루네 히루네)
오늘은 찬장에서 낮잠 낮잠
3人そろってひるね ひるね
(산닌소로옷떼히루네 히루네)
세명 모두가 낮잠 낮잠
うっかりねすごし 朝が来て
(웃까리네스고시 아사가키떼)
깜빡 늦잠자서 아침이 왔고
かたくなりました
(카따쿠나리마시따)
딱딱하게 되어 버렸어요
春になったら 花見
(하루니낫따라 하나미)
봄이 되면 꽃놀이
秋になったら 月見
(아끼니낫따라쯔끼미)
가을이 되면 달맞이
一年とおして だんご だんご
(이찌넹토오시떼 당고 당고)
일년지나고 경단 경단
だんご 3兄第
(당고산쿄오다이)
경단 3형제
だんご!!
(당고)
경단
-- 단어(単語) --
串(くし) 꼬챙이
刺す(さす) 찌르다. 꽂다
並ぶ(ならぶ) 일렬로 세우다. 나란히 하다
間(あいだ)사이, 가운데
~思い(~おもい) ~을 생각하는 마음
願い(ねがい) 소원
漉し餡(こしあん) 삶은 팥을 으깨 설탕과 소금을 섞어 만든 팥소
付く(つく) 붙이다
けんか 싸움
こげ目(こげめ) 눌은 자국
隙間(すきま) 틈 사이
仲直り(なかなおり) 화해
戶棚(とだね) 찬장
昼寝(ひるね) 낮잠
うっかり 깜박
固い(かたい) 단단하다
花見(はなみ) 꽃놀이
月見(つきみ) 달맞이
通す(とおす) 지나가다
-- 문법(文法) --
ぬられて = ぬる(칠하다)+られる(~되다/수동형)+て(~해서,~이고/이유,열거) = 칠하게 되어서, 칠한 , 묻힌
ねすごし = ねる(자다)+すごし(すごす의 명사형, 지나치다) = 늦잠
かたくなりました = かたい(단단하다)+~なります(~이 됩니다)+た(~였다, 과거형) = 단단하게 되었습니다.
** ~い로 끝나는 형용사는 なります와 만나면 い가 く로 변합니다.
** ~だ로 끝나는 형용사는 なります와 만나면 だ가 に로 변합니다.
春になったら = 春(봄)+になる(~이 되다)+~たら(~라면, 가정형) = 봄이 된다면
-- 연습문제 --
1) 稼(かせ)いだ金をおとうとの大学費につかうなんて本当に弟___だね。벌어둔 돈을 남동생의 대학비로 쓰다니 정말로
동생을 지극히 생각하는 구나.
2) ___眠(ねむ)ってしまった。 깜박 잠들어 버렸다.
3) けんかしたら早く謝って____しなさい。 싸웠으면 빨리 사과하고 화해하세요.
4) 소원
5) 단단하다
--연습문제 답--
1) 思い(おもい)
2) うっかり
3) 仲直り
4) 願い(ねがい)
5) 固い(かた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