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태글리쉬_태권도로 배우는 영어회화
 
 
 
카페 게시글
짐글리쉬 교 수 법 스크랩 영어.체육 통합 수업을 통한 초등 영어의 지도 효과
태글리쉬 추천 0 조회 293 06.07.22 01:36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영어■체육 통합 수업을 통한
초등 영어의 지도 효과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the Integration of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목     차
   
     국 문 초 록..........................................................................................................ⅰ

Ⅰ. 서 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용어의 정의...............................................................................................3
    4. 연구의 제한점...........................................................................................5

Ⅱ. 이론적 배경................................................................................................6
1. 내용 통합 교육과정..................................................................................6
2. 내용 통합 방법........................................................................................12
3. 내용 통합 모형........................................................................................14
4. 교과별 내용지도를 통한 외국어 능력 신장 효과..........................18
5. 내용 통합 교수법의 교수-학습 전략.................................................30
6. 관련 연구...................................................................................................34

Ⅲ. 연구의 실제..............................................................................................36
    1. 연구 대상.................................................................................................36
    2. 연구 방법.................................................................................................37
    3. 학습 내용 선정과 배열.........................................................................39
    4. 수업 계획 및 교수-학습의 실제........................................................45
    5. 영어■체육 통합 교수활동...................................................................59
    6. 평가............................................................................................................67
    7. 설문조사...................................................................................................67
Ⅳ. 결과 분석 및 논의...............................................................................68
1. 영어 성취도 분석....................................................................................68
2. 영어 학습 태도 분석..............................................................................86

Ⅴ. 결론 및 제언...........................................................................................92
    1. 결 론.........................................................................................................92      2. 제 언.........................................................................................................93

참 고 문 헌..........................................................................................................94

부록 1. 진단 평가용 수행평가 기준안..........................................................97
부록 2. 실험반 학습 지도안(통합차시).......................................................101
부록 3. 단원별 수행평가 문항과 평가기준................................................111
부록 4. 영어 학습에 관한 설문지................................................................126

Abstract...............................................................................................................128

 

 

 

 

표 목 차
<표 Ⅲ-1> 조사 대상자....................................................................................36
<표 Ⅲ-2> 영어를 제외한 타교과목에 대한 흥미도.................................37
<표 Ⅲ-3> 영어과 교수요목............................................................................40
<표 Ⅲ-4> 체육과 교수요목............................................................................42
<표 Ⅲ-5> 차시별 교수-학습 기본 모형 비교...........................................45
<표 Ⅲ-6> 실험반■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1차시)...................47
<표 Ⅲ-7> 실험반 영어-체육 통합 수업 지도안(2차시).........................50
<표 Ⅲ-8> 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2차시)....................................51
<표 Ⅲ-9> 실험반 영어-체육 통합 수업 지도안(3차시).........................53
<표 Ⅲ-10> 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3차시)..................................54
<표 Ⅲ-11> 실험반■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4차시).................56
<표 Ⅳ-12> 1~8 단원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68
<표 Ⅳ-13> 말하기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69
<표 Ⅳ-14> 듣기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70
<표 Ⅳ-15> 읽기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70
<표 Ⅳ-16> 각 단원별 두 집단에 대한 영역별 성취도 비교.................71
<표 Ⅳ-17> 9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2
<표 Ⅳ-18> 10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3
<표 Ⅳ-19> 11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3
<표 Ⅳ-20> 12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4
<표 Ⅳ-21> 13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4
<표 Ⅳ-22> 9단원의 듣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5
<표 Ⅳ-23> 10단원의 듣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5
<표 Ⅳ-24> 11단원의 듣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6
<표 Ⅳ-25> 12단원의 듣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6
<표 Ⅳ-26> 13단원의 듣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7
<표 Ⅳ-27> 9단원의 읽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7
<표 Ⅳ-28> 10단원의 읽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8
<표 Ⅳ-29> 11단원의 읽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8
<표 Ⅳ-30> 12단원의 읽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9
<표 Ⅳ-31> 13단원의 읽기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79
<표 Ⅳ-32> 말하기 영역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80
<표 Ⅳ-33> 듣기 영역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81
<표 Ⅳ-34> 읽기 영역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83
<표 Ⅳ-35> 실험반의 단원별 합계................................................................84
<표 Ⅳ-36> 비교반의 단원별 합계................................................................85
<표 Ⅳ-37> 종합적 언어 능력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85
<표 Ⅳ-38> 영어 공부 시간에 대한 의견....................................................87
<표 Ⅳ-39> 영어 공부 중 가장 재미있는 활동..........................................87
<표 Ⅳ-40> 1학기때와 2학기 영어 시간 비교............................................87
<표 Ⅳ-41> 교실과 운동장 중 더 재미있는 수업.....................................88
<표 Ⅳ-42> 교실 활동이 더 재미있는 이유................................................88
<표 Ⅳ-43> 운동장 활동이 더 재미있는 이유............................................89
<표 Ⅳ-44> 운동장에서 하는 활동 중에서 재미있는 순서.....................89
<표 Ⅳ-45> 학교에서 배운 영어 활용 정도................................................90
<표 Ⅳ-46> 길에서 외국인을 만났을 경우..................................................90
<표 Ⅳ-47> 앞으로 영어 공부에 대한 계획................................................91

그 림 목 차
<그림 Ⅱ-1> 언어 과업의 변화......................................................................10
<그림 Ⅳ-2> 말하기 영역에  대한 그래프..................................................81
<그림 Ⅳ-3> 듣기 영역에 대한 그래프........................................................82
<그림 Ⅳ-4> 읽기 영역에 대한 그래프........................................................83
<그림 Ⅳ-5> 종합적 언어능력에 대한 그래프............................................86
국 문 초 록


영어■체육 통합 수업을 통한 초등 영어의 지도효과


  세계화■정보화의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7차 교육과정이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7차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생들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따라서 초등 영어 교육도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학생들의 능력, 적성, 흥미, 개인별 특성에 맞게 교육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렇게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면서 자연스러운 목적 의식을 가지고 언어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법의 하나로 내용 통합 교수법이 있다. 이 교수법은 외국에서 제 2언어를 학습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많이 주었는데, 우리 나라 현장에도 적용해 보아 영어 교육의 효과를 논의해 보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먼저 내용 교과를 선정하는 데는 아동들이 가장 좋아하는 체육과의 내용을 택했고, 영어 수업의 전체 4차시 중 2차시와 3차시에 통합을 실시하였다. 그런 후 체육 내용을 통합한 영어능력의 성취도가 일반 수업을 했을 때의 성취도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에 따른 구체적 실험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의로 두 학급을 선정하여 학습자들에게 영어 외 다른 교과의 선호도 검사와 진단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이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에 있어 동일한 집단으로 나타났고, 교과 선호도 검사결과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과는 체육교과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이 가장 흥미 있어 하는 체육 내용을 영어와 통합하여 수업하기로 결정하였다.
  둘째, 실험반에는 체육과와 통합한 수업을 2차시와 3차시에 적용하고 비교반에는 일반 영어 수업을 전 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단원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그 영역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에 비해 말하기, 듣기, 읽기 등 세 영역에 있어 모두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통합 수업을 하였을 때 일반 수업을 한 것보다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에서 모두 높은 성취도를 나타낸다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 동안 영어를 학습하고 난 후의 소감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학습자의 정의적인 면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실험반은 영어 학습에 높은 흥미와 관심을 보였고, 앞으로도 더욱 열심히 공부하겠다는 적극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 수업이 실제 보이는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내적인 즐거움을 주고, 매 시간 기대를 갖게 하며,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분위기와 자신감을 갖게 하므로 정의적으로도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요약하면, 체육과와의 통합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의 말하기, 듣기, 읽기 성취도가 일반 영어 수업을 실시한 비교반보다 높게 나왔으며, 통합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해 본 결과도 매우 높게 나왔다. 따라서 지식 위주의 교과를 좀 더 단순화시켜서 창의적이며 활동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영어와 통합한 수업을 실시한다면 영어 능력이나 흥미면에서 높은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된다.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다가오는 21세기는 날로 가속화되고 있는 첨단 과학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는 하나의 지구촌을 형성하는 동시에 정보화, 개방화의 시대로 우리 아동들은 필연적으로 세계를 무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 경쟁력을 높이려면 국제적 공용어이자 세계인의 필수 생활 도구인 영어를 알아야 할 교육적 필요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의 급속한 정보화,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세계어로서의 영어를 통한 의사 전달 능력의 배양은 매우 절실한 과제라 하겠다. 따라서 초등 영어 교육은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인력을 확보하는데 기초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에 우리 나라에서도 기존의 영어 문법이나 독해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말하기, 듣기의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교육을 초등학교에서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렇게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여기는 교수방법은 제 2언어/외국어 습득 및 교수법에서 다양하게 발달해왔다. 그 중 1970, 80년대에는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목표어의 모국어 화자와 자연스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언어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려고 하였다. 이런 의사소통 언어 능력을 강조하는 분위기 속에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여 가르치는 ‘내용 통합 교수법’이 발달하였다. 이 교수법은 1960년대 성행한 몰입 프로그램에서 도입된 것으로, 캐나다에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에게 불어로 수업을 했는데, 학습자들이 불어와 정규 교과목을 성공적으로 습득하게 되자 이 몰입 프로그램이 다른 학교에도 퍼져 나가기 시작하면서 발전했다. 1971년 스페인어 몰입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에는 미국에서도 초등 교육 기관과 초기 2차 교육 기관에서 내용 통합 언어 지도를 하였는데, 그 결과 이러한 교수 방법이 유치원생부터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Genesee(1987)는 내용 통합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지식과 함께 외국어의 유창성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고, Krashen(1984)은 제 2언어 습득은 단어를 암기하거나 문법 연습을 할 때가 아니라 특정 언어로 전달되는 의미를 이해할 때 그 언어를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해 가능한 입력 자료를 더 많이 주는 교수 방법이 더 성공적일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내용 통합의 언어지도는 Krashen이 말한 것처럼 형태가 아니라 의미 즉, 특정 분야의 내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내용 통합 교수법이 발달한 배경과 실제로 적용된 외국의 현장을 간단히 예로 들었는데, 이렇게 외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은 내용 통합 교수법을 실제로 우리 나라 현장에 적용해 보아 영어 교육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 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 내용 중 학습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체육과와 영어를 통합하여 수업을 해보고 내용 통합 교수법을 적용한 실험반과 일반 영어 수업을 실시한 비교반의 성취도의 차이와 통합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2. 연구의 내용

   내용 통합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통합에 관한 배경과 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실제 다른 교과와 통합해 놓은 예시를 이론적 근거에 의해 제시한 후 지금까지의 교과 통합에 관한 관련 연구를 찾아보았다.
  둘째, 실제 실험에 들어가기 전 학습자들에 대한 사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에는 내용통합 때 참고할 영어를 제외한 다른 교과의 선호도 검사와 실험반과 비교반의 동일성 검증을 위한 진단평가를 실시하였다.
  셋째, 4학년에서 동질 집단 두 개반을 선정해서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고, 실험반에는 체육과와 통합한 수업을 2차시와 3차시에 적용하고, 비교반에는 일반 영어 수업을 전 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넷째, 각 단원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4차시 중 2, 3차시를 체육과와 통합해서 수업한 실험반과 일반 영어 수업을 실시한 비교반의 수행평가 점수를 각 단원별로 누가 기록하여 말하기, 듣기, 읽기 결과를 영역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동안 영어를 학습하고 난 후의 소감을 실험반에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내적 흥미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3. 용어의 정의
 
가. 내용(content)
 
  Brinton et al(1989)과 Crandall(1987)은 내용(content)이란 ‘일반 교과 내용을 기초로(content-based)'라는 말을 사용할 때나 내용 ‘영역(content area)등에서와 같이 복합어로 쓰일 때는 일반적인 의미의 교과’를 가리킨다고 하였고, Snow(1991)는 외국어 교수법의 흐름에 따라 내용을 다르게 정의했는데, 문법 번역식에서의 내용은 목표 언어의 구조들 그 자체로 정의했고, 구두■청각적 교수법에서의 내용은 문법적 구조들, 어휘, 혹은 대화 형식에서 제시되어지는 소리 양식들로 구성된다고 정의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교수법에서의 내용은 화자가 외국어를 사용하기 위한 의사소통적 목적을 나타내는 것이고, 가장 최근의 내용에 대한 정의로는 외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이용되는 주요 소재라고 정의하였다. 이때 주요 소재는 학습자들이 흥미 있어 하거나 필요로 하는 것 혹은 학습자들이 최근 배우고 있는 교육과정 재료로서 매우 한정적(특수한)인 화제나 주제로 구성되어진다.
  Mohan(1986)은 ‘학습에서의 주된 문제는 학습의 매개로서 언어의 역할을 간과하는 것이다. 또한 언어 학습에서 우리는 내용이 의사소통 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다’고 말함으로써 언어를 가르치기 위해 의사소통 되어지는 내용을 중요시하였다. 
  위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 영어 교과는 학습자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간단하며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주는 교과로 의사소통 능력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본 연구에서 쓰인 내용은 「외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매개가 되는 것으로 학습자가 흥미 있어 하는 다른 교과목」으로 정의한다.  

나. 통합
 
  통일성 또는 전체성의 의미를 인식함으로써 비롯된 통합의 개념은 19세기 초 독일의 J. B. Gracer가 神, 자연 및 사회의 융합이라는 입장에서 통합 교육을 주장하면서부터 주목을 끌게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유광찬(1997)이 통합의 의미를 과거 경험과 현재 경험을 통합시켜 가는 일, 아동과 교사의 경험을 연결시켜 통합시키는 일, 교육 내용간의 연계 및 통합, 학교와 지역사회 생활간의 통합, 아동 개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개념을 통합 재구성하는 일, 아동 발달의 영역간의 통합, 영역별 활동간의 통합을 통한 전인교육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또한, 곽병선(1983)은 통합 교육과정 구성을 제시하였는데 통합은 교과간의 경계를 가로질러 중심이 될 만큼 중요한 사상, 원리, 방법을 중심으로 관련 내용을 여러 분야에서 가져다 통합적으로 구성한 것으로 보고, 주제 중심 통합, 문제 중심 통합, 기초 기능 중심 통합, 탐구 중심 통합, 경험 중심 통합, 표현 활동 중심 통합, 흥미 중심 통합으로 나뉜다고 보았다. J. B. Ingram(1979)은 교육과정 통합의 기본적 유형화를 통해 교육과정 통합 형태의 원리를 밝히고, 이를 통해 통합 교육과정의 계획이나 평가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과정 통합 유형을 제시하였다. 통합 유형은 교육과정 내에서 지식의 구조를 재구조화한 구조적 통합과 지식을 통합적 경험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으로 간주하는 기능적 통합으로 나뉜다. 구조적 통합은 다시 각 학문의 구조가 존중되며 각 학문이 독립적으로 통합에 기여하는 양적 통합과 학습 자료가 어떤 공통의 구조적 원리에 기초해서 재조직되는 질적 통합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의 통합은 「아동의 흥미와 관심이 많은 다른 교과의 내용을 영어 학습에 도입하여 영어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다른 교과의 내용도 보충■심화하는 교육 내용간의 연계」라고 정의한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4학년 실험반과 비교반이 각각 한 개반에 제한되고, 10주 동안 5단원만 적용해서 실시한 수업이므로 영어를 학습하는 전국의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적용하거나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영어 한 단원의 4차시 수업중 2, 3차시만 체육과와 통합하여 수업하였으므로, 영어와 다른 과목의 전차시의 통합에 관한 연구 후속 과제로 연구되었으면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내용 통합 교육과정 (Content-Based Curriculum)

가. 배경
 
  내용 통합이 외국어 프로그램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은 1960년대 캐나다와 미국에서 몰입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확립시킨 데 있다. 몰입 프로그램에서는 수업이 목표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수학이나 음악과 같은 교과내용과 목표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다. 이것은 초기의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이하 ESL이라 함)환경에서 영어 구사력이 낮은 소수 민족 학습자들이 학교에서 영어로 진행되는 정규 교육과정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려는 의도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이하 EFL이라 함) 환경의 영어 교사나 연구가들에게도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발달되기 시작했다. 이런 교육과정을 통해 Genesee(1987)는 내용 지식과 높은 수준의 외국어의 유창성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유창성 중심의 외국어교육은 목적 있는 의사소통을 하는 동안 언어를 가치 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실생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데 있어서나 실제적인 생활에서 또는 그것과 유사한 경우에서도 의사소통 할 기회들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유창성 중심의 접근법에서는 언어 기능을 중시하고 언어를 사용할 때 목적 있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학습의 욕구를 잘 만족시킨 것이 내용 통합 교육과정이다.
  ESL에서의 내용을 통합한 프로그램은 일반 언어 교육과정에서보다 더 많은 내용들이 가르쳐지고, 제 2언어의 매체를 통해 교육과정의 내용을 향상시키면서 언어 능력도 향상시킨다(Cantoni-Harvey 1987; Crandall 1987; Mohan 1986). 오늘날 미국의 FLES(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이하 FLES라 함) 교육과정은 더욱 내용 중심 접근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FLES 교육과정은 최소한의 문법이 포함되고 어휘 단위가 주제 중심적으로 조직되었고, 연습 활동은 학습자들이 게임이나 노래, 극화 활동, 그림이나 필름스크립 등과 같은 매체의 시각물과 함께 흥미 있게 대화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FLES 교사들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언어 연습과 활동을 하는데 좋은 학습자료와 소재로 생각하게 되었다.

나. 정의
 
  Met(1991)은 내용 통합 교수법이란 전체적 또는 부분적 몰입 프로그램에서 교육과정의 일부나 전체가 외국어를 통해 지도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는 불어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한 두개의 과목을 모두 불어로 가르치는 전체적인 몰입 프로그램과 부분적으로 가르치는 부분적인 몰입 학습 프로그램이 있다.
  내용 통합 교수법에서 언어 지도는 언어와 내용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 통합하느냐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내용을 기초로 하여 언어를 가르치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있고, 둘째,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내용을 가르치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있고, 마지막으로 내용과 언어를 가르치는 것을 모두 강조하는 경우가 있다.
  Mohan(1979)은 이런 세 가지 기준을 근거로 하여 내용을 기초로 한 언어 지도를 세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의 교수에 의한 언어 교수(language teaching by content teaching)이다. 이는 다른 과목의 내용을 가르침으로써 목표어를 가르치는 경우로, 학습자는 목표어로 진행되는 수업을 통해 목표어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다. 다른 교과목을 불어로 가르치는 몰입 프로그램을 예로 들 수 있다.  
  둘째, 내용의 교수를 위한 언어 교수(language teaching for content teaching)이다. 이는 다른 과목을 가르치기 위해 목표어를 사용하는 경우로, 특정 목적을 위한 영어 교수(English as a Specific Purpose)가 있다.     
  셋째, 내용의 교수와 동시에 실시하는 언어 교수(language teaching with content teaching)이다. 이는 목표어와 다른 교과목을 동시에 가르치는 경우로, 수업은 내용 학습의 순서를 따르고, 언어 학습의 순서는 내용 교과에 맞게 조정된다. 영어와 수학을 동시에 학습하는 ESL 수업을 예로 들 수 있다. 

다. 특성

  내용 통합 교수법은 여러 가지 특성이 있지만 여기서는 그 필요성과 효과성을 중심으로 알아보겠다.

1) 내용 통합 교수법의 필요성
  앞장에서도 언급했듯이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와 같은 환경을 EFL환경이라 하는데, 이런 EFL 환경에서는 영어를 배우기에 여러 가지 상황적인 제약이 많다. 내용 통합 교수법은 이런 EFL상황의 제약을 극복하는데 꼭 필요한 교수법 중의 하나인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EFL 환경에서는 특별히 미국인 친구나 개인적으로 영어 학원을 다니지 않으면 정규 영어 시간외에는 자연스럽게 영어를 사용할 기회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영어 외 다른 교과와 영어를 통합하여 학습함으로써 영어 시간이 아니어도 자연스럽게 영어로 말할 기회를 갖도록 하거나 다른 교과의 내용을 영어로 표현하여 학습한다면 폭넓은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둘째, 다른 교과의 내용을 가지고 영어를 수업하면 학습자들의 필요와 수준에 적합하고 다양한 형식의 생생한 자료를 수업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과와 영어과를 통합한다면 교통시설을 주제로 하는 사회과를 이용해서 각 나라 이름이나 교통 등을 영어로 말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교통시설과 관련된 용어를 영어로 연습하여 익히게 된다.
  셋째, 내용 통합 교수법은 영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준다. 기계적이고 반복적으로 흐르기 쉬운 영어 수업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기회를 만들어 주어 기계적이고 무의미한 반복이 아닌 의식적이고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하면서 연습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 통합 교수법은 영어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는데 있어 지루하지 않고 흥미 있게 이끌어 가는데 필요하다고 하겠다.
        

2) 내용 통합 교수법의 효과성
  Met(1991)은 내용을 통한 언어교수(언어를 통한 내용 교수)의 가장 큰 효과로 자연스런 환경에서 개념과 언어습득을 함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학습자들은 일반적인 지식과 동시에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만일 수업시간에 이웃나라 환경에 대해 학습한다면 그것에 대해 의사소통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환경과 그에 관련된 언어도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이렇게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하는 학습자들은 본능적으로 높은 언어습득의 자극을 받는다. 의미 있고 목적 있는 생활 활동들에 참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하고 내용 지식을 학습하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 학습에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을 통해 학습된 언어는 단지 단어뿐만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생각이 의사소통에 반영되기 때문에 더 고차원적인 사고와 통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LES프로그램에서 내용 통합 교수법을 통해 지도를 받은 학습자들은 놀이에서의 언어뿐만이 아니라 학습에서의 언어 기능도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을 통합한 외국어 교수법은 단순한 묘사나 정의를 넘어 설명, 분류, 비교, 평가와 같은 기능을 표현하는 기회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언어 교수 방법보다 더 넓은 범위의 언어 기능을 발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용 통합 교수법은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인지적인 것이 많이 요구되고 주변적 단서가 적은 학습을 하는데 용이하다. Cummins(1981)는 학습자 개개인은 기본적인 인간의 언어기술인 사회적 언어와 학문적 언어를 발달시킨다고 보고, 이런 언어의 발달은 학습자가 처한 환경과 과제의 인지적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고 하였다. 이것을 사분면에서 보면 <그림 Ⅱ-1> 같다.

<그림 Ⅱ-1> 언어 과업의 변화


  A는 학습자가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인지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적고 주변의 상황적인 단서는 많은 활동이다. TPR, 시범, 예시, 음악, 미술, 간단한 대화나 게임 등이 이에 해당된다. B는 인지적으로 요구되는 것도 적고 주변 상황도 단서가 적은 경우로 전화로 하는 대화나 표, 예시 없이 제품에 쓰여진 제품설명서 등이 이에 포함된다. C는 인지적으로 요구되는 것도 많고 주변의 상황적 단서도 많은 경우로 수학 계산이나 과학 실험, 지도 활동 등의 사회 연구 과제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D는 인지적으로도 많이 부담되고 주변에서의 단서도 적은 것으로 표나 예시가 없는 교과목 내용 설명이나 삽화 없는 수학 단어 문제, 새로운 추상적인 개념 설명, 표준화된 시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외국어 학습자는 사회■상호간의 언어를 꽤 빨리 습득하는데, 그 이유는 일상생활에서 쓰는 언어는 인지적으로 덜 부담되고 의미를 전달할 때 이해하기 쉬운 상황이 되는 몸짓이나 배경지식, 실제 사물들을 통해 다양한 단서를 제공하는 등 주변 상황이 포함(context-embedded)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주변상황이 덜 포함(context-reduced)된 경우는 인지적으로 부담되고 학습자들이 이용 가능한 단서나 상황이 많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외국어를 이해하는데 어렵다. 즉 위의 사분면에서 보면 D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내용 통합 교수법에서는 D에서처럼 학습자에게 인지적인 요구가 많아지고 주변적인 단서가 적은 학문적 용어 등 학습자가 언어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도 언어 학습이 용이하다.  
   또한 Krashen(1984)에 의하면 내용 통합 교수법에서의 핵심은 형식이 아니라 과목 내용(subject matter)으로, 방법보다는 말해지는 내용 그 자체이다(“What is being said rather than how"). 따라서 외국어의 습득은 단어를 암기하거나 문법 연습을 할 때가 아니라 이해 가능한 입력 자료(input)를 받았을 때 일어난다(Krahsen 1984). 즉, 학습자들은 특정 언어로 전달되는 의미를 이해하는 동시에 그 언어를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를 가르칠 때 학습자들이 이해 가능한 입력 자료와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내용 통합 언어 교수는 Krashen이 말한 것처럼 형태가 아니라 의미, 즉 특정 분야의 내용에 초점을 두므로 학습할 때 필요한 학문적인 언어의 의미 있는 사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Swain(1985)은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학습자들이 의미 있게 외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져야 하고, 메시지를 전달할때도 일관성 있고, 정확하게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내용 통합 교수법은 이렇게 의미 있는 언어를 사용할 기회가 많고, 정확하고 일관성있게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이다.
 
라. 내용 통합 수업을 계획하는데 고려할 점

  내용 통합 수업을 계획할 때 교사가 고려할 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되는 교과 내용을 적절하게 다루기 위해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선택한다. 이것은 내용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content-obligatory) 언어라고도 한다(Snow, Met & Genesee 1989). 예를 들어 과학 시간에 영어와 통합을 하려면 학습자는 가설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중에 충분하게 영어로 말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학습자가 아직 이런 언어 기능이 없다면 이 수업의 통합은 잘못된 것이다.
  둘째, 교과내용을 지도함으로써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내용의 학습과 양립가능(content-compatible)한 언어목표를 설정하는 것으로(Snow, Met & Genesee 1989), 예를 들면 과학 시간에 암석의 형태에 대한 수업을 한다면 이 수업 주제에서는 암석에 대한 묘사나 비교의 언어사용이 제시되어 학습자들이 묘사나 비교의 표현을 학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셋째, 내용 통합 수업을 함으로써 언어가 교과 주제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잘 나타낼 수 있는지 본다. 통합을 했을 때 내용 교과에나 영어 학습에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넷째, 문화적인 정보와 경험들도 통합할 수 있는지 고려한다. 이는 외국어 교육이 단순히 언어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도구로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보는 7차 교육과정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다섯째, 내용과 과제가 의미 있고 흥미 있는 가치를 지녔는지 고려한다. 아무리 통합이 잘 되었더라도 학습자가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성취 효과는 떨어질 것이다.

  2. 내용 통합 방법

   다른 교과와 통합하여 영어 수업을 할 경우에는 먼저 통합할 영어 단원과 다른 교과와의 공통점을 찾는다. 이렇게 공통점을 찾을 때는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각각의 목표를 살펴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목표를 무시하고 통합하기 쉽다고 해서 무계획적으로 통합하였다가 영어나 다른 교과의 목표 달성을 하지 못한다면 진정한 통합교육이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영어과의 목표와 다른 교과목의 목표를 비교해 본 후 비슷한 항목이 있으면 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조화한다. 예를 들면, 사회과와 영어를 통합할 때 가족과 관련된 영어 기능과 문화지식은 범위가 가족에 한정되므로 고학년보다는 저학년에서 지도되면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업 목표가 학습자 수준에 맞게 재구조화 되었으면 그 시간에 사용될 영어 표현을 추출하여 적어보고, 내용 통합 활동들을 구체적으로 계획한다(Met 1991).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는데 있어 Snow(1991), Met(1991), Genesee(1987)는 언어 목표 설정에 따른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언어와 내용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외국어 교과과정, 다른 학문 분야의 교과과정, 그리고 학습자의 요구분석 및 학습자의 발달 과정의 평가에 의하여 내용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content-obligatory) 언어 목표와, 내용의 학습과 양립가능(content-compatible)한 언어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과 학습 내용을 위해 필수적인 언어 목표들은 주어진 내용 영역에 대해서 의사소통하고 학습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반드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언어를 말한다. 예를 들면, 식물성장을 주제로 한 과학수업에서 학습자들은 구체적인 식물어휘(예; 식물, 씨앗, 물, 토양, 태양) 없이 내용을 배울 수 없기 때문에 이 어휘들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이에 반해 내용을 통해 가르쳐질 수 있는 언어 목표들은 특정한 내용의 학습 상황내에서 충족될 수는 있지만 내용을 학습하기 위해 반드시 학습자가 알 필요는 없는 내용-양립적인 것이다. 즉, 내용-양립적인 언어 목표들이란 내용 교과를 학습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영어 어휘가 아니라 주어진 내용 교과에서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것들이다. 예를 들면, 과학 실험에서는 학습자들이 원인과 결과를 설명하는 기회가 많을 것이다. 이때 원인과 결과를 간단히 because를 사용하여 표현하거나 if-then절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이 원인과 결과의 언어 기능들은 학습자가 내용 학습을 할 때 꼭 알아야 하는 어휘가 아니라 부가적으로 선택되어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3. 내용 통합 모형

  외국어와 제 2언어를 가르치는 교실 환경에서 실시되는 내용을 기초로 한 언어 지도(content-based instruction)는 1960년대에서부터 1980년대 사이에 개발된 내용을 기초로 한 언어 지도 모형의 초기 형태인 몰입프로그램(immersion program), 내용 강화 외국어 수업(content-enriched 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주제 중심 모형(theme-based model), 분리 모형(sheltered model), 통합 모형(adjunct model)의 5가지 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각 모델은 교육적 환경, 프로그램 목표 등 각각 함축된 것이 다르지만 언어교수의 통합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Snow 1991).

가. 몰입 교육(Immersion Education)

  이 몰입 유형은 1965년에 Canada, Montreal 근교에서 처음으로 시행된 것으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이 불어를 모국어로 하는 교사로부터 불어로 반나절 동안의 수업을 받았다. 이 학습자들이 불어와 정규 교과목을 성공적으로 습득함으로써 시행된 몰입 프로그램은 다른 학교에도 퍼지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1971년에 스페인어를 몰입프로그램으로 하는 것을 시작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 몰입 유형은 내용 통합 접근법의 전형으로, 학습자들이 배우고자 하는 제 2외국어를 매개체로 수업을 받는다. 예를 들어 제 2외국어로 읽기를 배우고, 수학문제를 풀고, 과학실험을 한다. 몰입 유형은 가장 면밀하게 연구된 제 2외국어 프로그램 중 하나로, 해당학년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수준으로 언어를 구사하게 되고, 그들은 언어발달과정에 있어서도 하나의 언어를 배운 학습자들과 동등하며 실제로 일정수준이 지나면 두 가지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

나. 내용 강화 외국어 수업
 (Content-Enriched 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초등학교에서 외국어 프로그램이 미국 전역에서 유행했다. 이때는 객원 외국어 교사(traveling language teacher)들이 외국어 교수를 위해 20~30분씩 한 주에 몇 번씩 수업을 실시했는데 이는 외국어의 형식적인 학습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외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하게 하는데 실패하였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통적인 FLES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내용을 통합한 언어 지도법을 도입한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 이것이 바로 외국어 교수의 한 방법으로 정규 교육과정에서 주제를 발췌해내어 내용을 강화시킨 외국어 교육과정이다. 이 모형에서 교사는 외국어 교수의 언어 목표와 부합되는 내용을 다른 교과목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고, 학습자들이 내용을 학습하는 동안 부수적으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양립가능한 언어를 가르친다.
  내용을 강화시키는 접근방식은 전통적인 FLES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다. 첫째, FLES학습자들은 언어학습에 있어 의미 있는 문맥 속에서 좀 더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둘째, 학습자들은 모국어로 이미 내용을 배웠기 때문에, 외국어 수업에서는 내용 보충이 되고, 의미전달을 위해 더 많은 문맥을 사용하여 외국어로 학습할 수 있다. 셋째, 교사는 정규 교과목으로부터 외국어 교수와 통합될 수 있는 자료를 얻기 때문에 수업을 위한 특정 자료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다. 주제 중심 모형(Theme-Based Model)

  1980년대 이후의 기본 모형인 주제 중심 모형은 ESL/EFL 수업에서 내용과 주제를 발췌하는 내용을 통합한 언어지도의 한 형태이다. 선택된 주제는 모든 언어 기능(language skills)과 체계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고 학습자들에게 독해나 작문과 같은 높은 단계의 언어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해준다. 즉, ESL/EFL 교수자들은 내용이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주제에 맞는 언어활동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광고에 대한 주제는 학습자들에게 소비자들의 태도를 비교■대조하게 하고, 시장조사의 결과를 그래프로 그리게 하고, 시장조사를 계획■조정하게 하는 등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활동을 하게 해준다.
  주제 중심 모형은 제도적 장치 및 학습자들의 능숙도 측면에서 융통성이 많아 별다른 제약 없이 어떠한 교육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주제를 통해서 여러 가지 언어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는  학습자들의 흥미를 조사하여 학습자들의 특정한 언어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주제와 자료 및 학습 활동을 선택해야 하고, 언어와 내용을 균형 있게 통합하여 지도해야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모형에서는 미리 정해진 언어 목표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특정 주제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라. 분리 모형(Sheltered Model)

  분리된 교수과정(sheltered course)은 현재 미국과 캐나다의 중등교육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이다. 분리(sheltered)란 용어는 원어민으로부터 제 2외국어 학습자들을 완전히 격리함으로써 유래한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외국어 수업의 대안으로 1980년대 초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Stephen Krashen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Krashen 1982). 분리된 교수과정은 목표어에 능통한 교사가 특정한 학문 분야의 내용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ESL 수업대안으로 소수학습자들에게 제공된다. 분리된 수업을 받는 학습자들은 보통 수준의 교육과정을 따르지만 다양한 교수전략과 내용을 통한 교수법으로 학습자들의 제 2외국어 습득 수준에 맞게 짜여진다. 분리된 교수과정이 적절히 실행되었을 때, 제 2외국어를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없는 ESL학습자들에게 통합언어와 내용교수에 효과적인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최근에 분리 모형은 캐나다와 미국의 중등 교육 기관과 고등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이 모형은 주제 중심 모형과는 달리 목표어에 능통한 교사가 특정한 학문 분야의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고등학교나 대학교와 같은 교육 환경에서 적용되고, 수업이 진행될 때는 제 2언어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게 교재선택이나 언어적 발화면에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진다.
 고등 교육 기관 분리 모형의 대표적 예로 캐나다 Ottawa대학교의 모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영어와 불어를 제 2언어로 학습하는 학습자들은 분리 과정인 심리학 수업을 받았다. 그리고 제 2언어 학습자와 전통적인 ESL/EFL 수업에 참가한 학습자들의 심리학 수업을 비교한 결과 분리된 그룹의 학습자들은 제 2외국어를 전혀 배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제 2외국어 학습효율에서 전혀 차이가 없었다. 더구나 교과 내용면에서 있어서도 모국어 수업으로 듣는 학습자들과 학업 성취도가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분리된 학습자들은 분리된 수업에 참여한 결과로 제 2외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상당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마. 통합 모형(Adjunct Model)
 
   통합 모형에서 학습자들은 동일한 내용을 공유하고, 서로 관련된 과제를 부과함으로써 도움이 되는 언어 과정과 내용 과정을 동시에 학습한다. 따라서 언어와 내용을 가르치는 교사가 다르다면 교수 자료나 학습 활동, 평가면에서 많은 의논을 하고 수업을 계획해야 한다. 이런 모델은 언어와 내용을 관련시키거나 보충하기가 쉬운 중등교육 이후에서 효과적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내용 수업에서의 학습자들 요구가 언어수업의 활동(형태)을 결정한다는 의미에서 언어 수업을 할 때 내용에 근거를 두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 모형은 언어와 내용이 효과적으로 잘 통합되면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효과적으로 언어와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다른 모형과는 달리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그 적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4. 교과별 내용지도를 통한 외국어 능력 신장 효과
 
  초등학교 모든 교과영역에 걸쳐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여 수업할 수 있는데, 각 과목별로 구체적 사례를 들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가. 수학
 
  수학 교수-학습은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을 발전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NCTM 1980), 그것은 복잡하고 구체화된 언어 요소도 역시 포함한다. 따라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할 때 가장 효과적인 영역중 하나가 아마 수학일 것이다(Met 1991). 학습자 개인이 직접 문제해결을 하는 수학활동은 언어와 관련된 개념(수학 내용)과 연결되기 때문에 외국어 통합을 쉽게 할 수 있고, 교사들이 수학 내용에 영어를 도입하여 가르쳤을 때 학습자들은 수학 연산을 연습하면서 영어도 익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아래는 표준적인 측정과 비표준적인 측정에 관계된 수학 내용을 영어와 통합했을 때를 나타낸 것으로, 학습자들이 수학 학습을 하는 동안 영어 어휘를 반복하여 연습함으로써 단순한 반복이 아닌 의미 있는 연습을 하여 자연스럽게 어휘를 학습할 수 있다.

■언어 목표 : 어림하기(estimation)와 측정하기(measurement)의 뜻 알기
■수학 목표 : 어림하기
■활동 내용 :  학습자들은 비표준적인 측정 단위나 표준 측정 단위(inches,                centimeters)를 이용해서 교실에 있는 사물의 크기를 어림해                보고, 교사의 책상에서 문까지의 거리 등 교실에서의 거리도                어림해 본다.
               학습자가 어림한 크기나 거리를 실제와 비교해보고, 수학에                서의 어림하기와 측정을 정의한다. 그리고 이것을 영어로 어                림하기(estimation)와 측정(measurement)을 말해준 후 그 뜻                을 구분하도록 한다.
               이번에는 교실 사물들의 무게를 비표준 측정과 표준 측정                 단위를 이용해서 알아본다. 이렇게 측정과 함께 반복되는 활                동들은 학습자들에게 어림셈의 정확성을 길러주고 자연스럽                게 영어로 어림하기와 측정의 어휘를 구분할 수 있으며, 어                림과 측정활동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의미 있고 목적 있                    는 언어 연습도 하게된다.

  위와 같은 활동 외에도 물리적으로 학습자들이 수학 기능 연습을 블록을 조작하면서 할 때, 수학적 개념을 얻으면서 TPR같은 활동 등을 통해 언어를 배울 수 있다(Chmot, O'Malley 1987).

나. 과학

  과학과목도 영어와 통합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할 수 있는데, 특히 사물을 비교하고 분류하는 활동이 많은 과학 수업에서는 교집합의 개념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언어기능과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학과 영어시간에 봄, 가을과 같은 계절의 특성을 학습할 수 있다. 과학 시간에 계절의 특성을 학습하기 위해 계절의 그림을 보면서 온도(temperature)나 강우량(rainfall)을 나타내는 기후나 축구(football)나 야구(baseball)와 같은 활동적인 것, 또는 잎 색깔의 변화(changing of leaf colors)에 따른 계절적인 것 등을 외국어로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봄과 가을의 그림을 분류해보고, 그 특성을 말한 후 그것을 두 개의 교차하는 원(벤다이어그램)에 놓고, 봄과 가을의 공통점을 영어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계절의 특성과 함께 자연스럽게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다.
  교집합의 개념은 동물을 학습하는 단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동물과 관련된 목표의 과학 수업에서는 동물이름과 간단한 특성을 학습한다면, 영어수업에서는 단순히 동물이름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들이 사는 곳, 생긴 모습, 움직이는 방법, 먹고사는 것 등을 자세히 학습할 수 있다. 이런 지식은 과학 수업에서의 목표와 공통점이 많다. 이렇게 수업함으로써 학습자들은 과학과 언어적 지식을 함께 얻고, 벤다이어그램과 다른 도표 조직을 통해 지식을 조직하고 도표로 나타낼 수 있다. 실제로 교집합의 개념을 이용한 수업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언어 목표 : 각 동물 몸의 명칭 알기 
■과학 목표 : 각 동물의 특성 알기
■활동 내용 : 교사가 다음을 말해준다. “The lion and the elephant are                   both animals. They both have four legs. They both have                 tails. They both live in the zoo."
              계속되는 문단에서는 각 동물의 독특한 성질을 설명한다.
               “The lion is very fierce. It eats other animals. The lion's                 color is gold. It has a mane. The lion is the king of the                 jungle."
               사자를 주제로 마인드 맵을 만들고, 각 그룹의 발표자는 대                 표적인 사자의 특성을 분류하고 발표한다. 이때 학습자들이                 설명하는 글에서 배우는 중요한 개념의 하나는 보통 문장이                 주제문장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 문단은 세부적인 보충사항                 이라는 것이다.
               "The lion has a body. It has four legs. It has a mane. It                  has a tail. The  lion's fur is the color of gold."

다. 읽기/언어 과목

  통합될 수 있는 내용은 수학과 과학뿐만이 아니라 읽기/언어 과목도 가능하다. 분명히 학습자들은 쓰기 활동을 위해서 사고를 조직하고, 배운 것을 글로 표현하기 시작하며 소재가 다양한 글을 읽을 것이다. 그러나 초기 읽기 과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지식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초기 단계에서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영어를 읽을 필요는 없으나, 그 내용을 들었을 때는 빨리 이해하도록 읽기 소재가 제한되어야한다. 이러한 읽기 소재에 효과적인 것 중의 하나가 언어-체험 이야기(language-experience story)이다(Crandall 1987).
 
1) 학습경험으로부터 도입한 읽기 소재의 예
  과학, 수학, 사회등 교과시간이나 교실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상황에서의 읽기 소재들은 다음과 같다.

■읽기 소재 : 과학시간의 경험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the same in the autumn and             spring. We can play outside. We can go on picnics, etc."
■읽기 소재 : 수학시간의 경험
       “We counted 24 jelly beans in our cup. Six jelly beans were             red. Four jelly beans were white. Our cup had more jelly                beans than the teacher's cup."
■읽기 소재 : 사회과에서의 경험
       “A map shows boundaries. We made a map of our class. We            used red crayon to show the boundaries. We saw a map of the          world. We saw the boundaries of many countries."
■읽기 소재 : 좋아하는 이야기를 말하기, 교실에서 다시 말하기, 경험하고         난 후 학급에서 다시 이야기되어지는 것과 같은 언어경험자체
       “There is a house in the woods. Three bears live in the house.          They have three bowls of soup. They have three chairs. They           have three beds."

  이와 같이 학습자들에게 경험은 학습되는 언어를 내면화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해 주므로 학습자들이 경험했던 것을 읽기 자료로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국어 학습에서 사용되는 읽기 전이나 쓰기 전의 전략은 영어 수업에서도 똑같이 유용하다. 국어에서 어려운 문장을 보았을 때 학습자들의 경험을 가지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듯이, 영어에서도 학습자들은 배경지식으로 영어 문맥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즉,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영어로 된 신문의 머릿기사를 보고, 그에 따른 사전지식을 이용하여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인스토밍이나 마인드 맵과 같은 쓰기 전 전략들은 국어나 영어에서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을 향상시켜주는 도구가 된다.

2) 아동문학, 시, 리듬, 전설을 활용한 외국어 문화 수업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읽기/언어 과목 목표를 효과적으로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 목표 언어의 문화에서 도입한 아동문학, 시, 문학작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새로운 문학적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언어연습과 언어학습을 위해 목표문화의 문학작품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접근에서의 문학은 독자에게 이해와 감상뿐만 아니라 언어발달을 돕는 수단이 된다(Stern 1985).
  예를 들면, ‘돼지 3형제’와 같이 아동들에게 친근한 이야기는 언어발달뿐만 아니라 사회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통해 내용 통합 활동의 출발점이 된다.
■가능한 학습자활동 
 - 벽돌로 집을 지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 교사의 구두설명을 기초로 하여, 학습자들은 다른 집들의 유형을 각각       적당한 기후에 연결해 본다.
 - 학습자들이 주어진 기후 조건에 적당한 집을 구두로 설명하고 직접 디      자인해본다.
 - 단순히 교사의 지시에 따라 그려보는 활동을 한다.

  위에서 보듯이 학습자들은 문학작품이나 그들에게 친숙한 경험을 통해 영어를 학습할 수 있다. 이때 모국어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학습자들은 이야기, 설명, 설득, 진행하기와 같이 네 가지 담화의 유형으로 읽도록 학습할 필요가 있다. 설명하는 담화 능력은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고, 친숙한 상품을 위한 그들 자신의 광고를 쓰고 읽는 것을 통해 학습자들은 영어로 설득하고 담화를 이해하는 기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과학 실험이나 요리법에 따른 지시사항에 의해 읽기를 학습할 수 있다.
  학습자들의 외국어 읽기는 산문적인 문장뿐만 아니라 내용 통합 수업에서 간단한 시를 지어봄으로써 쓰기 기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국어 시간에 편지 쓰기를 실시할 때 학습자들이 외국의 문화에 알맞은 인사말과 끝맺음, 겉봉투에 주소 쓰는 형식을 배움으로써 외국어와 함께 통합되어질 수 있다.

라. 사회

  내용 통합 접근법에서 내용 그 자체를 빌릴 수 있는 또 다른 내용 영역은 사회과로 사회과의 많은 개념들은 의미 있는 언어 연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몇 십 년 동안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은 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거의 “확장 범위” 개념으로 조직되어졌다. 즉, 학습 순서가 자기 자신에서 가족, 사회, 국가, 세계 각 지역의 나라로 점점 확대되는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렇게 학습자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학습할 때는 자신의 이름을 소개하는 표현("My name is■")이나 자신의 나이를 표현("I am ■ years old")하는 영어 어휘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 자신과 가족을 주제로 하는 내용은 영어 교과와 통합이 잘 된다. 가족이 일하는 곳과 하는 일에 대한 학습은 직업을 말하는 영어 단원과 통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학습자들은 학습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영어 문화에서의 사회와 종교, 주택 등을 우리 나라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
  사회과와 영어 목표들은 매 학년 수준에 따라 나선형화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도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창조하는 기능은 초등학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심화된다. 이때 용어에 대한 해석과 지도를 제작하는 것과 관련된 영어 기능이 발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언어 교육과정에서 들여온 운송수단 변형의 주제는 다음과 같은 사회과 개념과 연결될 수 있다.

1) 수준별로 나선형화하는 사회과 개념
  ■ 운송수단의 주제 변형 (Cummins 1981)
1학년 : 사람들이 음식과 옷을 얻는 방법
2학년 :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
3학년 : 먼 거리의 지역 사람들이 여행하는 방법
4학년 : 우리 지역 운송수단의 어제와 오늘
5학년 : 우리 나라 운송 수단의 어제와 오늘
6학년 : 우리 나라 운송 수단의 어제와 오늘
  운송수단 형태와 그들의 목적지는 학습자들이 여행의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과정을 써 감에 따라 지도■지리 개념과 함께 잘 통합된다. 나선형화되어 수준별로 반복적인 교육과정(유창성 중심의 영어 교육과정이 포함된)은 내용이 점점 복잡해지고 정교해짐에 따라 학습자들의 향상된 지식과 언어기능을 고려하여 더욱 더 복잡한 주제를 제공한다.
 
2) FLES와 FLEX프로그램에서의 문화와 사회과의 통합
가) 지도
  이 기능은 지리, 역사, 사회과학 목표들과 통합하여 영어로 학습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영어로 표현된 곳을 세계지도에서 확인하고, 그들의 교실, 학교, 지역사회, 나라 혹은 영어로 표현된 지역들을 지도에서 기호화하고 빛깔에 따라 구분한다. 초등학교 상급 학습자들은 아메리카 대륙 발견의 단원과 연결하여 그곳의 풍습과 언어, 미국생활을 보고 목표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나) 음식
 이 소재의 단원은 토마토와 같이 인기 있는 재료의 역할을 소개하거나 우리의 일상 요리법에서 발견되어지는 목표 문화의 음식을 설명하면서 학습할 수 있다.

다) 주택
  사회과에서 이 단원은 학습자들이 그들 지역사회의 전형적인 주택과 목표문화에서의 주택을 비교하면서 사회과와 영어를 학습할 수 있다(house vs apartment; number, type, and layout of rooms).

라) 경제
  이 주제에서는 학습자들이 외국과 우리나라의 화폐단위를 비교하면서 이 활동에 필요한 언어기능을 익힐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사회과의 목표, 언어적 기능, 문화적 지식을 학습하는 동안 우리나라와 비교할만한 상품(음료수와 같은)이나 서비스(우편요금 등)가격 등을 알 수 있다.

마) 문화의 상대성
  사회과 혹은 영어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세계사람들이 비슷한 필수품(음식, 옷, 집, 사회조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이해하고, 이런 필수품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충족되고 표현되어진다는 것을 안다. 이 수업을 할 때는 초기에 너무 다른 점을 강조하면 부정적인 태도와 틀에 박힌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은 다른 점보다는 유사점에 강조 점을 두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개념적인 일반화를 강조해야한다. 따라서 영어와 문화 학습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인정하게 되며, 사람들은 가족의 부분이고, 가족은 지역사회의 부분이며, 지역사회는 사람들의 필수품을 만족시키기 위해 조직된 것이라는 것을 배울 것이다. 

바) 지역사회
  학습자들은 지역사회가 학교와 같은 학습 장소와 공원, 극장과 같이 여가를 즐기기 위한 장소 등을 제공한다는 것을 배운다. 영어 목표와 잘 일치되는 이런 개념은 여가활동과 연관된다. 학습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일하는 이유나 지역사회에서의 직업의 종류 등을 학습함에 따라, 그들은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그들의 과업을 설명하고 구분하면서 의미 있는 영어 연습을 할 수 있다.

마. 미술, 음악, 체육 교육
 
  내용 통합 교수법에서 미술, 음악, 체육 등 예체능 과목은 다른 교과에 비해 통합이 쉽다. 그 이유로는 첫째, 이 영역은 다른 교육과정 영역보다 지식의 전달을 덜 중요하게 생각한다. 둘째, FLES와 FLEX에서의 많은 학습자들은 그들의 외국어에서 읽기와 쓰기 기능이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활자화되지 않은 내용 통합 활동(non-print-based)은 언어를 통한 내용과 내용을 통한 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최상의 방법이다. 더구나 외국어 교육과정의 문화 목표들은 이런 내용 영역의 목표들과 관계가 깊다. 마지막으로, 많은 교육자들과 학부모들은 초등학교에서 미술, 음악, 체육에 배당된 짧은 시간을 안타깝게 여긴다. 내용 통합 교수법의 수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음은 미술, 음악, 체육 활동과 통합된 영어 수업의 예를 살펴보겠다.

1) 미술
  미술 활동은 언어 목표와 외국의 문화를 통합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미술 활동과 언어를 통합하는 직접적인 미술활동에서는 전신반응교수법(TPR)을 활용할 수 있다. 교사는 미술과제를 완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일련의 지시를 하고, 학습자들은 지시 활동을 들으면서 행동으로 옮긴다. 학습자들은 활동을 하기전 교사의 지시를 이해해야 하므로 효과적인 듣기 연습이 될 수 있다. 이런 활동들은 언어 목표와 일치되도록 선정되면 학년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 학습자들이 종이 자르는 활동을 통해 “왼쪽, 오른쪽, 직선 (left, right,      straight)"등과 같은 어휘를 학습할 수 있고, 또한 미술 작품을 감상하면     서 색깔, 선 등의 어휘도 학습하고, 다른 과목과도 통합하여 학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국문화 목표와 통합된 미술 수업을 살펴보겠다. 2000년부터 시행될 7차 교육과정에서 영어과의 가장 큰 변화중의 한 가지는 ‘문화’요소를 부각시켰다는 것이다. 이는 외국어 교육이 단순히 언어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도구로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문화에 접근함으로써 학습자의 개인적 시각과 이해의 폭을 넓히고 세계 시민으로서의 적응력과 소양을 기르는 것이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보는 관점을 반영하는 것이다(한국교육개발원 1997). 이렇게 외국 문화교육이 언어와 더불어 중요시됨에 따라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해 미술과 통합된 언어 교수법은  Mexican 마스크를 만드는 것 같은 공예활동들을 통해 외국 문화도 살펴보고 미술 활동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전적인 미술활동에서 미술, 언어, 문화를 모두 통합시킨 것을 보면, 시각적으로 읽고 쓰는 접근법(Feldman 1970)으로부터 도출된 기술들을 이용할 때, 외국어 교사들은 다양한 목표와 기능들을 통합할 수 있다. 교사는 그림을 한 장 보여준 후 학습자들에게 그들이 본 것 모두를 영어로 설명하라고 하면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ⅰ) 교사 : Who are the people you see? (men, women, children, dogs)
            What are they wearing?
            Where do you think they are?(indoors or outdoors?
             a school? a park?) Is it day or night? How can you tell?
  이런 질문 후에 외국어 교사는 색깔, 모양, 선, 색조, 빛의 이용, 상상되는 소리 등과 관련된 감각적인 묘사를 물어본다.

예ⅱ) 교사 : Do you think the princess is happy? Why? Why not?
  학습자들이 충분히 상상할 수 있도록 질문하고, 10분 동안 그림을 본 후 작품의 부가적인 것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의 내용은 외국의 문화적인 내용이 있는 다양한 그림들이면 자연스럽게 외국 문화와 접할 수 있다. 이렇게 내용 통합 활동들은 내용과 문화에 의해 의미 있고 목적 있는 언어 연습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2) 음악
  음악과와 통합된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노래를 부를 때 크게/부드럽게(loud/soft), 빨리/천천히(fast/slow) 등 대조되는 노래 연습을 하면서 음악 수업과 함께 영어 어휘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목소리의 표현 방법을 영어로 말하여 학습자들이 목소리의 어휘 표현을 학습할 수 있다("whispering voice", "calling voice", "talking voice", "singing voice"). 그리고 리듬 악기를 이용해서 학습자들은 수에 관계되는 어휘를 보충할 수 있고 박자를 나타내는 개념도 배울 수 있다.
  또한 문화는 목표 문화의 민속 노래와 고전 음악을 통합하여 학습할 수 있고, 리듬악기 연주에서는 학습자들이 목표 문화 음악의 독특한 리듬 특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경험들을 통해 학습자들은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 문화의 독특함에 대해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동시에 음악과 영어의 수업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3) 체육
  체육활동에서는 TPR활동을 통해서 학습자들이 영어 이해기능과 뛰기(skipping), 달리기(running), 크고 작은 근육 조정(large/small motor coordination)과 같은 신체적 기능을 익힐 수 있고, 게임과 운동 경기를 함으로써 외국어와 더불어 그 나라의 문화도 함께 학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alliwell(1992)이 제시한 체육 활동을 통한 영어 수업의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다.
- 필수 학습 표현 : 신체의 일부와 신체적인 활동
- 학습 준비물 : 녹음기, 음악 tape, 종이
- 학습절차
  첫째, 흔들기(shake), 구르기(roll), 발 구르기(stamp), 구부리기(bend)같은   다양한 행동 단어들을 이용해서 아동들에게 신체의 일부를 상기시킨다.     그리고 아동들은 교사의 행동을 모방하고 그 지시에 따라 한다. 이때 교    사는 ‘Simon Says'게임(교사가 지시를 하기 전에 ‘Simon Says'하고 말하   면 그 지시에 따라하고 ‘Simon Says'라는 말없이 지시만 하면 그대로 있   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처음엔 학급 어린이들을 세워두고 시작하여 그들   이 실수를 할 때 자리에 앉도록 한다.
  둘째, 다음엔 교사가 칠판에 반복되는 춤의 동작을 적어 준다.
■오른손을 네 번 반복하여 흔들어라(Shake your right hand ■ 4).
■왼 손을 네 번 반복하여 흔들어라(Shake your left hand ■ 4).
■발 구르기를 네 번 반복해서 하라(Stamp your feet ■ 4).
■무릎을 네 번 반복해서 구부려라(Bend your knees ■ 4).
  셋째, 음악에 맞춰 아동들에게 칠판에 적힌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
  넷째, 이번에는 짝끼리 4가지 반복되는 동작들을 만들어서 종이에 적도    록 한다. 이때 교사는 돌아다니면서 학습자들을 도와준다.
  다섯째, 만일 오류가 생기면 교사가 체크할 수 있도록 종이 위에 그들의   이름을 적게 한다.
 
  이처럼 체육 수업에서는 교사가 먼저 아이디어를 내어 간단하고 반복적인 동작을 함께 해본 후 아동들이 각각 짝을 만들어 동작을 만들어서 영어로 적어 보고, 그 동작을 다른 아동들에게 가르쳐주면서 실시할 수 있다.  

 

  5. 내용 통합 교수법의 교수-학습 전략

  ESL/EFL 수업에서 교사들은 언어를 연습하고 제시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내용을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내용이 언어를 구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반면에 내용 수업(content class)에서 교사들은 교과목(subject matter)을 교수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몰입프로그램 혹은 분리모형의 교사들은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제시할 의무가 있다. 내용을 가르치는 교사가 할 일은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 체계에 적절한 방법으로 교수법을 수정하고 꾸려 가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교수를 위한 다양한 기술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이 방법은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 입력 내용 수정 (Modifying Input)

  위에서도 말했듯이 주변적 상황 제시가 적으면 적을수록 제 2언어 학습자들은 문맥 이해나 의사소통하기가 어렵고, 생각해야 하는 인지적 요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역시 문맥 이해에 있어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제 2언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고 적당한 단서를 줄 수 있도록 교사의 적절한 지도가 있어야 하고, 제 2언어 학습자의 유창성 수준에 따라 교수법도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수준에 따른 언어 입력을 수정하는 유용한 방법으로는 좀더 느린 속도로 말하거나 분명한 발음으로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나. 상황적 단서 이용

  내용 영역 교사는 제 2언어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다양한 단서들을 제공해야 한다. 어려운 소재들을 이해하는데 말해지거나 쓰여진 단어들은 독립적이지 않기 때문에 상황적 단서를 잘 활용하도록 한다. 이런 문맥적인 단서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몸짓
■역할극, 팬터마임, 얼굴표정을 통한 의미를 극화한 것
■그림, 사진, 슬라이드, 지도, 그래프, 도표들이 포함된 시각자료들
■실제물
■게시판
■단어 은행
■그들이 지시 사항들을 이해할 수 없을지라도 문맥을 보고 학습자들이 이  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과제 제시, 지시 사항, 시작과 끝과 같은 일상   적인 지시 사항들을 예견할 수 있도록 하기 
■반복, 재진술, 예시를 통한 수업에서 보충의 말 훈련시키기

다. 이해 점검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교사가 아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서 제시되고 있는 개념들과 지시 사항에서 사용된 언어를 학습자들이 이해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적어 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가 사실인지 거짓인지 학습자들이 결정하도록 하기
■제시되는 예문들을 학습자들에게 묻기
■중요한 용어를 학습자 자신들의 언어로 바꾸어 말하기
■학습자들이 핵심 정보를 요약하도록 하기
■사실에 입각한 질문(e, g. "Who?, "What?")들과 참고용의 질문("Why?"   and "What would you do if■?■)들을 학습자들에게 하기
■학습자들에게 각각의 질문 하기


라. 수업 계획

  모든 교수법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보다 교사가 그 수업에 알맞도록 적당히 통합해서 사용할 때 높은 효과를 얻을 때가 많다. 효과적인 수업을 계획할 때는 학습자들의 현재 학습 수준들에 유념하고, 특히 내용 통합 교수법에서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수업계획을 할 때 평가를 해야한다.
■어휘 교수 : 제 2언어 학습자들은 전문적이고 학문적인 문맥을 설명하는  어휘가 부족하기 때문에, 어휘 교수를 위한 체계적인 활동들이 계획되어져  야 한다. 
■목적 우선 순위 매기기 : 교사는 학습자들이 이해해야 하는 핵심 단어들  이 무엇인지 결정해야한다. 모든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지 않   기 때문에 가장 유념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으로 도달해야 할 목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배경 지식을 줄 수 있는 활동들 제공 : 배경 지식을 줄 수 있는 방법에는  전 시간 수업 자료들을 다시 본다든지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흥미 있게 함  으로써 배경 지식과 학습 동기를 높여주는 방법이 있다. 학습자들 자신 경  험과 관련된 brainstorming혹은 clustering활동들은 학습자들의 인지적 구조 능력을 발전시켜준다.
■그룹 활동 이용 : 그룹 활동은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각 활동에 맞게 연  결되어야 한다. 학습자들은 짝 활동, 소그룹과 구조화된 협동학습을 통해 상  호 작용과 의사소통력을 발전시킬 수 있고,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다. 특히  오류 수정을 할 때에도 서로 상대방의 발음이나 표현을 듣게 하면서 자신   감과 올바른 표현을 익히게 할 수 있다.

마. 교사의 역할
 
  내용 통합 교수법의 영어 교수-학습은 다른 내용 영역의 교육과정에 의해 언어 목표를 배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초등학교 언어 프로그램과 구별된다. 따라서 언어수업에 임하는 교사의 역할도 전통적인 수업과는 다르다. 내용 통합 교수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전반적으로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교사는 제한된 범위에서도 다른 내용 영역의 교육과정과 언어 교육과정을 통합하기 위한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무엇을, 언제,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
  둘째, 교사는 내용 영역에서 개념을 도입하는 활동에 능숙해야 한다. 예를 들면 개념을 얻기 위해서 토의와 추상적인 행위동사에 의존하여 활동하는 것보다 학습자들이 조작하고 실제로 하는 활동들을 하게 하여 더욱 쉽게 내용을 통합한 영어수업을 할 수 있다.
  셋째, 교사는 적당한 언어 경험에서 선택된 내용과 그에 알맞은 소재를 개발하는데 익숙해져야 한다. 따라서 유용한 소재와 친숙해져야 하고 그 소재를 변화시키거나 개발하는데 능숙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에게 자신감을 주는 오류 수정을 해야한다. 학습자들은 제한된 이해력을 지녔기 때문에 그들의 언어적 결과물에 오류가 많을 수 있다. 하지만 오류가 생길 때마다 수정을 해주면 자신감을 잃을 수도 있으므로 오류를 수정할 때 특히 주의할 점은 영어에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항상 칭찬과 격려도 함께 동반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인지활동이 단계적으로 심화되어 가는 언어적 발문을 해야한다. 즉, 제한된 영어의 능력을 가진 학습자들이 대답할 수 있는 인지 활동적인 질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인지적 사고가 적은 언어 학습은 기계적이고 무의미해져서 지루한 반복학습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교사 자신에게 영어 능력과 관심이 있어야 한다. 교사는 영어를 이용해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보충하거나 가르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말로 표현할 필요가 있는 핵심 개념들과 언어 기능들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일곱째, 교사는 다양한 언어적 전략을 이용해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언어적 발화(output)를 단순화하고 정교화하는 언어적 전략을 이용하고 다른 의미전략의 협상을 이용해서 학습자들이 두 가지 언어적 기능을 얻거나 확장시킬 수 있도록 훈련받아야 한다(Curtain 1986).
  마지막으로, 교사는 다른 학교나 교사와 공동적으로 연구하는데 익숙해져야 한다. 대부분 내용 통합 교수법의 프로그램은 각 내용에 대한 보충 교수법이고, 교사는 내용영역에서 학습자들의 교육과정 목표를 성취시키는데 책임이 없다. 또한 내용을 통합한 수업은 우선 모국어로 배웠던 내용을 보충하고 향상시키면서 의미 있고 목적 있는 언어연습의 기회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모국어 교수에서 반복적이기보다는 보충적이 되도록 다른 교사들과 함께 공동으로 작업해야한다. 이것은 인터넷을 이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활동을 교사가 최선을 다해서 할 수 있도록 학교나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 또한 있어야 할 것이다.

  6. 관련 연구

  1960년대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성행한 흡수모형에서 시작하여 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내용 통합 교수법은 우리 나라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초등영어 현장 적용은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먼저 곽혜영(1996)의 「영어 교육과 내용 중심의 언어 지도」를 주제로 이론적으로 제시해놓은 것이 있다. 여기서는 내용 중심 언어 지도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고, 이 접근 방식을 우리 나라의 영어 교육에 적용시키는 문제를 조사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여 가르칠 때 학습자의 능숙도와 관련하여 어떤 기준에 근거하여 교재를 선택하고 교수 자료를 개발, 적용할 것인지 살펴보았고, 언어와 내용의 평가와 내용 중심의 언어 지도를 실제 교실 상황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고 우리 나라 상황에 맞는 모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내용 중심 언어지도를 실행할 때는 교과과정의 설계와 교수자료 선택이 중요하며, 이렇게 교수 환경에 맞는 모형을 적용했을 때는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목표어로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습자가 목표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내용 중심의 언어 지도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주제 중심 모형, 통합 모형 등을 제시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 적용 내용이나 내용 중심 언어 지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교수요목을 재편성하고 수업모형 단계의 구체화 및 교사 학습자의 활동 내용의 다양화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송정미(1997)의 「일반 교과 내용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수요목과 수업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는 우리 나라 초등학교의 영어과 교육 목표에 부합되고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일반 교과 내용에 근거한 영어 교수요목과 수업 모형을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내용 측면을 강조한 1차 실험 연구와 언어활동을 강조한 2차 실험 연구를 하였고, 이 실험 을 토대로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자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수요목과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는 영어 교과와 일반 교과간의 통합으로 일반 교과 내용에 근거한 열린 영어 수업의 형태이다. 이 수업 모형을 3학년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습자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수업 활동에 대한 기대감으로 늘 흥미롭게 활동을 하고, 어휘나 표현들을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학습자 스스로 터득하거나 친구에게서도 배울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1, 2차 실험연구에서 교사 주도형 전통 수업 형식을 이용했는데, 이것이 학습자들의 개별 능력과는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학습자들에게 의미 있는 의사소통 할 기회가 적다는 단점을 지적하며 3차 실험에서는 의사소통의 기회를 더 많이 부여하는 열린 수업 형태의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순수한 내용 통합 교과에 의한 영어 교육의 효과성을 논하는데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고 여겨진다.

Ⅲ. 연구의 실제


  1. 연구 대상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조사 대상의 모집단은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과 동질성을 높이기 위하여 C초등학교의 4학년 2개 학급을 하여, <표 Ⅲ-1>과 같이 1개 학급은 실험반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반으로 나누어 교환수업 형태로 수업을 하였다.

 

   실험반의 구성원은 남자 25명, 여자 18명이고, 주거지의 형태는 90%가 중산층 아파트에 거주하며 생활에 여유가 있어 학부모의 교육열과 관심도가 높은 편이며 영어 학습에도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관심도가 높은 편이며, 타 교과에 흥미 있고 학습에 적극적인 아동은 역시 영어에도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하지만 주지 교과에 흥미 없어 하는 아동도 영어 과목에는 흥미를 가지고 자신감 있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영어 과목이 다른 과목에 비해 놀이와 흥미 중심으로 언어내용을 익히고 학습결과에 대한 중압감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 들어가기 앞서 임의로 두 개의 반을 선정한 후, 1학기 동안 수업했던 내용에 대해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은 말하기, 듣기, 읽기 세 영역에 있어 모두 동일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진단평가지는 <부록 1>에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타 교과의 내용을 선정할 때 기준을 삼기 위해 타교과목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아래 <표 Ⅲ-2>와 같다.

 <표 Ⅲ-2> 영어를 제외한 타교과목에 대한 흥미도
   

  영어를 제외한 타교과목에 대한 선호도는 인지적으로 부담이 적고 활동과 게임, 경기 등이 많은 체육을 가장 선호했고, 그 다음으로는 자연, 수학 순이었다. 대체로 아동들과 많이 상호작용이 많고, 교과 내용을 중시여기는 과목들이 높은 순위에 올랐다. 위의 결과에 따라 영어와 통합하는 교과를 선정할 때 학습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체육과를 선택하였다.
  
   2. 연구 방법

가. 기간

  1999년 7월  1일 ~ 1999년 11월  6일까지(4개월)

■사전 계획 수립 기간 : 1999. 7. 1 ~ 1999. 8. 25
■실제 지도 투입 기간 : 1999. 8. 26 ~ 1998. 11. 6

  실험 사전 계획 기간은 99년 7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두 달 동안 하였고, 교과 통합을 통한 영어 수업을 직접 투입한 것은 8월 26일부터 11월초까지 두 달 동안이었다. 그리고 모두 10주 동안 5개의 단원을 학습하고, 각 단원이 끝날 때는 말하기, 듣기, 읽기의 수행평가를 실시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의 성취도 비교를 실시하였다.

나. 방법

  본 연구는 통합수업이 영어 학업 성취도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반에 영어 한 단원 4/4차시 중 1/4차시와 4/4차시는 일반 영어 수업을 비교반과 똑같이 실시하고, 체육과 영어를 통합한 수업은 2/4차시와 3/4차시만 실시하였다. 그 이유는 통합활동의 대부분이 실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입 차시인 1차시에는 학습자들에게 정확한 발음을 들려주어 듣기 이해를 쉽게 하고, 4차시에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의 정확한 평가와 단원 정리 학습을 하기 위해서이다. 본래의 통합은 두 교과의 수업 시간을 통합 수업으로 운영하여 두 교과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연구자가 비교반의 체육 수업까지 하지 못했고, 실험반과 비교반의 영어 학습 시간이 동일하여야 비교가 가능함을 염두에 두어 본 연구에서는 영어 시간에 체육 교과의 몇 단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택했다. 따라서 체육 교과에는 영어수업이 체육시간의 보충, 심화의 기능을 갖게 되므로 체육과목에 대한 성취도는 본 연구에서 제외시키기로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절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를 제외한 다른 과목에 대해 선호도를 조사하여 영어와 통합할 과목을 체육과로 선정하였다. 둘째, 실험반과 비교반에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두 집단간에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셋째, 비교반에는 4차시 모두 일반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반에는 1/4차시와 4/4차시에 일반 영어 수업을 실시하고, 2/4차시와 3/4차시만 체육과와 통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단원이 끝나면 실험반과 비교반 모두에게 말하기, 듣기, 읽기 수행평가를 실시하여 단원별로 학업 성취도를 비교하였는데, 평가 배점은 각 영역별로 3단계 평가를 하여 상위 수준은 5점, 중간 수준은 3점, 하위 수준은 1점을 부과하였다. 각 단원별 수행평가 문항은 <부록 3>에 제시되어있다. 마지막으로 2학기동안 실시된 통합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영어학습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자세한 내용은 <부록 4>에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적 분석과 처리는 SPSS for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 분석을 하였다.
1) 단원별로 말하기, 듣기, 읽기 등 세 영역에 대해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Pair-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2) 말하기, 듣기, 읽기의 영역별로 두 집단간의 언어능력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서 Pair-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3) 두 집단의 전체적인 언어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ir-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3. 학습 내용 선정과 배열

가. 통합배경

  본 연구를 위한 체육과 내용 선정은 아동의 흥미와 관심도에 따라 선정하여 영어 수업의 자료로 이용하였다. 이것은 학습 전에 미리 아동에게 다른 과목에 대한 선호도 검사를 실시한 후 아동들이 가장 재미있어 하는 체육과 내용을 선정하였다. 학습내용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학습자의 요구와 관심분야이고 다음으로 영어 교수 내용의 목표로 두었다. 이는 학습자 중심적 접근 방식의 내용 통합 교수법의 성격을 최대한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나. 체육 교과의 특성

  체육은 신체 활동을 대상으로 인간의 행동을 올바르게 변화시키는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교육활동의 하나로, 운동 능력의 개발과 동시에 추구하는 학문성과 전문성을 공유하는 특성을 가진다. 체육과의 목표로는 신체 활동 능력, 체력과 건강, 운동 기능과 운동에 관한 지식, 사회적인 발달과 상호 작용, 자아 실현 등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다. 학습내용

  10주 동안 아동들에게 투입했던 영어과 교수 요목은 <표 Ⅲ-3>에, 체육과 교수요목은 <표 Ⅲ-4>에 제시되어 있다.

<표 Ⅲ-3> 영어과 교수요목


<표 Ⅲ-4> 체육과 교수요목

 

 
  위의 교수요목에 따른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시별 세부 기본 모형을 보면  1차시와 4차시는 두 반 모두 같은 수업모형이며, 2차시와 3차시에서 실험반은 체육과와 통합 수업을 하였고, 비교반은 통합하지 않고 일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차시별 도입, 전개, 정리 단계의 수업 내용은 다음 <표 Ⅲ-5>에 제시되어 있다.


<표 Ⅲ-5> 차시별 교수-학습 기본모형 비교


  4. 수업 계획 및 교수-학습의 실제

가. 수업계획

  실험반 수업에서 1차시와 4차시는 수업의 도입과 평가시간으로 일반 수업과 동일하게 하고, 2차시와 3차시만 체육과와 통합하여 실시하였다. 체육활동이 통합된 수업에서는 하나의 체육활동을 통한 어휘 연습이 주요 활동으로 실시되었으므로, 아래에 제시된 지도안에는 도입과 정리 등 일반 수업 지도안에 있는 형식은 제외하고 주요 활동만 수록하였다. 실험수업을 실시한 것 중 본 장에 실을 단원은 「10. I'm hungry.」로, 아동들에게 친숙한 내용의 음식과 반복되는 표현을 지루하지 않고 흥미 있게 지도하기 위해 체육과의 공차기 활동과 장애물 경기를 도입하였다. 일반 영어 수업과 비교하기 위해 먼저 비교반에 적용한 10단원의 수업 1~4차시 지도안(표 Ⅲ- 7, 8 , 9, 10)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비교반과 다른 2차시와 3차시의 통합 지도안(표 Ⅲ- 11, 12)의 내용을 살펴보겠다. 10단원을 제외한 나머지 단원들의 실험반 지도안은 <부록 2>에 제시되어 있다.  

나. 교수-학습 지도안의 실제

  실험반과 비교반에 적용된 세부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의 한 예로 10단원「 I'm hungry.」의 흐름을 보면 아래와 같다.
 
- 단원 : 10. I'm hungry.
- 단원목표
  ■ 듣기 : 원하는 음식 묻고 답하는 말 이해하기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대화 듣고 이해하기
  ■ 말하기 : 원하는 음식의 말과 음식 주문의 말하기
  ■ 읽기 : 구별하기 어려운 문자 b, d, h, n, I, l, p, q, v, w 읽기

 

 

- 차시별 지도계획


<표 Ⅲ-6> 실험반■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1차시)

 

<표 Ⅲ-7> 실험반 영어-체육 통합 수업 지도안(2차시)

<표 Ⅲ-8> 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2차시)


<표 Ⅲ-9> 실험반 체육-영어 통합수업(3차시)
<표 Ⅲ-10> 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3차시)


<표 Ⅲ-11> 실험반■비교반 일반 영어 수업 지도안(4차시)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수-학습에 있어서 1차시와 4차시는 비교반과 실험반이 똑같이 지도서에 준하여 일반 영어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비교반은 2차시와 3차시 역시 지도서에 의한 일반 영어 수업을 실시하고, 실험반은 2차시와 3차시만 체육과와 통합을 하였다. 위 내용을 자세히 보면 10단원과 통합된 체육과의 내용은 후프, 매트, 평균대, 뜀틀 등 여러 가지 장애물 넘기와 상대방이 주는 공을 받아 정확히 발로 차서 슛을 하는 활동이다. 장애물 넘기는 여러 가지 장애물을 넘으면서 자신이 무작위로 선택한 문자가 도우미가 보여준 문자와 같으면 앞으로 계속해서 달려가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되돌아가서 같은 문자를 찾아오는 것이다. 이 활동은 달리기를 잘하는 것과는 별로 상관이 없기 때문에 모든 학습자들이 좋아하고 즐겁게 참여한다. 이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영어 문자 인식능력은 물론, 뛰고, 넘고, 앞으로 구르는 신체적 활동을 통해 균형, 협응력, 지구력, 공간에 대한 경험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공을 발로 차서 슛을 하는 공차기 활동 역시 언어 연습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공과 몸의 움직임과의 관계를 인지하며 기초적인 조작 기능을 익히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렇게 체육과와의 통합은 영어 수업을 하면서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체육활동을 하기 때문에 통합수업과 일반영어 수업은 다른 점이 많다.
  첫째, 통합수업에서는 일반 영어 시간의 2, 3차시에 있는 비디오 시청시간이 경기와 게임을 통한 발화 연습 시간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비디오를 보는 시간이 적다. 사실 비디오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그렇게 많지 않은 4학년 학습자들의 특성으로 볼 때는 긍정적인 면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통합 수업과 일반 수업의 다른 점은 통합수업의 많은 부분이 실외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실외 수업은 교사 입장에서 보면 실내에서 할 때보다 아동 통제나 집중면에서 더 힘들고 안전면에서도 신경이 많이 쓰이는 수업이다. 하지만 학습자 입장에서 보면 우선 아동들은 실외로 나간다는 것 그 자체만 해도 흥미있어 하고, 활동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동기나 흥미 유발면에서는 매우 효과가 크다.
  셋째, 통합수업에서는 40분 동안 체육활동과 더불어 영어 표현 연습이 이루어진다. 이 활동들이 진행되는 동안 교사와 함께 개인별 연습을 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교사가 학습자의 능력을 파악하여 어휘 표현을 보충■심화하는데 용이하다. 이는 학습자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차별화, 다양화를 중시하는 7차 교육과정과도 잘 부합된다고 하겠다.
  넷째, 일반 영어 수업은 아동 상호간의 대화가 교사의 지시에 의해 인위적으로 반복적 학습 상황이 많다면 체육과와 통합한 영어 수업은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면서 학습자 스스로 서로 묻고 답하는 활동을 많이 하기 때문에 일반 수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 상호간의 대화의 기회가 많다. 또한 아동 스스로 활동하면서 적극적으로 발화하는 기회를 가져서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되어 스스로 학습하려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는데도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체육과에서 영어 수업과 통합 가능한 내용만 잘 선정하게 되면 별도로 영어만을 위한 학습 자료는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오히려 일반 영어 수업할 때보다 교사가 수업 자료를 준비하는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영어■체육 통합 교수 활동

  다음은 영어와 통합했던 체육활동들을 앞에서 제시한 10단원을 제외한 나머지를 각 단원별로 적어 놓은 것이다. 그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즐거운 여가생활

 - 단 원 : 9. What day is it?
 - 주 제 : 여가 활동을 알아보면서 요일이름과 요일별로 하는 일에 대해              묻고 답하기
 - 체육과 관련단원 : 29. 보람있는 여가생활
 - 학습목표
   ■요일이름과 요일별로 하는 일에 대해 묻고 답할 수 있다.
   ■여가활동의 종류를 알고, 자신에게 알맞은 여가활동을 선택할 수 있다.
 - 필수학습표현
   What day is it?  It's Monday/Sunday/Monday/Tuesday/Wednesday/
  Thursday/Friday/Saturday.
 - 준 비 물 : 학습지, 그림카드, 캐스터네츠
 - 활  동  방  법
   ■ 각 개인별로 요일이 적힌 학습지 배부.
   ■ 요일별로 하는 여가활동을 듣고 빈칸에 해당되는 말 쓰기.
   ■ What do you do on Sunday/Monday/■/Saturday?
      I play baseball/tennis.  I watch TV■.
   ■ 칠판에 그림카드를 붙이면서 반복.
   ■ 두 그룹으로 나눠서 그림카드를 보고 캐스터네츠로 박자를 치면서 한        그룹은 묻고, 한 그룹은 대답하는 게임.

  이 단원은 여가 활동의 의의와 유익한 점을 알고 자신의 여가 생활을 계획하여 실천하도록 하는 체육과의 보람있는 여가 생활과 통합되었다. 주변에서 여가 시간에 보내는 여가 활동을 영어로 말하면서 각종 취미 활동을 영어로 말해보는 연습을 하고, 요일별로 하는 취미 활동도 그림카드를 보면서 말해 보는 활동을 한다.

나. Making Letters

 - 단 원 : 9. What day is it?
 - 주 제 : 소문자 a~z까지 문자를 읽은 후 각 그룹별로 글자 만들기
 - 체육과 관련단원 : 11. 글자 만들기
 - 학습목표
  ■신체 여러 부위를 굽히고, 펴고, 비틀어 알파벳 a~z까지 만들어 보고       문자를 읽도록 한다.
 - 필수어휘 : Make the a ~ z
- 준 비 물 : 문자카드, 매트
 - 활  동  방  법
  ■ a~z까지 문자카드를 보고 읽기.   
  ■ 문자카드를 한 개씩 나눠주면 혼자서 그 문자를 표현해 보기.
  ■ 혼자 하기 힘든 문자는 짝과 함께 하기.
  ■ 각 그룹별로 나눠준 문자카드에 맞게 문자 만들기.
  ■ 한 그룹씩 나와서 문자를 만들면 다른 그룹은 어떤  문자인지 맞추기
  ■ 문자 표현을 쉽게 잘 하고 다른 그룹이 표현한 문자를 잘 맞춘 그룹     이 승리

 이 활동은 실내■실외에서 재미있게 하는 놀이로 처음엔 개인별로 소문자를 만들어 보고, 다음엔 짝끼리 만들어 본다. 심화단계에선 조별로 a~z까지 음악에 맞춰 율동을 만들게 한 후 조별로 a~z까지 몸으로 문자 만들기 발표회를 가지면 학습자들은 무척 즐거워하고 학습에 흥미를 느끼며 자연스럽게 문자도 익히게 된다.

다. Memory game

 - 단 원 : 11. Please help yourself.
 - 주 제 : 공 던지고 받으면서 음식 권하는 말 이어서 하기
 - 체육과 관련단원 : 25. 공 던지고 받기
 - 학습목표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공을 던지고 받을 수 있다.
   ■여러 음식이름과 음식을 권하는 말을 할 수 있다.
 - 필수학습표현
  ■The pulgogi smells nice. ■Please help yourself.
  ■Thanks for coming.      ■Thanks for having me.
- 준 비 물 : 공
 - 활 동 방 법
  ■ 6명씩 한 그룹으로 원 만들기
  ■ 각 조별로 배구공을 들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공을 주고받기 연습
  ■ 그룹의 리더가 공을 주면서 Please help yourself to the cake. 하고 음       식을 권하는 말을 하면 그 다음 아동은 Please help yourself to the        cake, the apple. 세 번째 아동은 Please help yourself to the cake, the       apple, ■. 음식 이름을 하나씩 첨가하면서 말한다.
 
  영어 말하기 능력이 뛰어난 학습자를 그룹 리더로 정하고, 게임을 진행하게 한다. 이 활동도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가능한 것으로 학습자들에게 친숙하고 남■여 모두 흥미 있어 하는 공을 가지고 하기 때문에, 음식 권하는 말을 반복적으로 하면서도 전혀 지루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음식이름을 익힐 수 있다.
 
라. Making a circle

 - 단 원 :  11. Please help yourself.
 - 주 제 :  앞구르기를 하여 음식을 권하는 말 전하기 
 - 체육과 관련단원 : 19. 공처럼 둥글게
 - 학습목표
   ■여러 가지 모양으로 구르기를 하여 상대방에게 음식을 권하는 말을 전       할 수 있다.
   ■앞구르기/뒤구르기/어깨부터 구르기/손 짚고 구르기/옆으로 구르기
 - 필수학습표현 :■The pulgogi smells nice. ■Please help yourself.
- 준 비 물 : 매트
 - 활 동 방 법
  ■ 두 그룹으로 나누기
  ■ 처음 아동에게 전달할 영어 표현을 귓속말로 전해주기.
  ■ 전달할 말을 전해준 후 반대쪽으로 가서 마지막 아동이 교사에게 전       달할 수 있도록 한다.
  ■ 마지막 아동이 정확하고 빨리 전달한 팀에게 점수를 준다.

  매트 위에서 하는 앞구르기 동작은 신체의 조정 능력에 대한 아동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신체 동작에 필요한 근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등을 발달시키기에 좋은 기계운동의 기초적 단계이다. 또 위험성이 적고 연습을 통해서 누구나 쉽게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재미있는 활동으로 기계운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활동에 말 전하기 게임을 겸하여 적당한 경쟁심을 학습자들에게 주었더니 무척 즐거워하고 부담도 느끼지 않았다. 

마. Bowling

 - 단 원 : 12. How's the weather?
 - 주 제 : 막대로 공을 쳐서 깡통을 쓰러뜨린 후 깡통 안에 들어있는 영어            단어를 보고 몸짓으로 표현하기
 - 체육과 관련단원 :  24. 선 따라 공치기
 - 학습목표 :
   ■sunny/cloudy/snowing/raining/cold/warm/cool/hot의 뜻을 안다.
   ■막대로 선 따라 공치기 놀이를 할 수 있다.
 - 필수학습표현 : It's sunny/cloudy/snowing/raining/cold/warm/cool/hot.
- 준 비 물 : 깡통, 문자카드, 막대, 공
 - 활 동 방 법
  ■ 6명을 한 그룹으로 나누기.
   ■ 게임은 한 그룹씩 진행하고, 6명 모두 깡통과 나란히 선다. 그리고 자        기 앞에 있는 깡통을 막대로 공을 쳐서 맞춘다.
   ■ 깡통을 맞추어서 쓰러뜨린 아동은 그 깡통 안에서 종이를 뽑아 그 문        자를 보고 나머지 아동에게 몸짓으로 설명한다. 
   ■ 각각 자신이 쓰러뜨린 깡통 안의 문자를 몸짓으로 설명하고, 맞춘 수        만큼 점수를 준다. 
 
  선 따라 공치기는 기구를 이용하여 공을 치고 굴리는 기본 기능을 익혀 야구, 하키, 볼링, 골프 등의 간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막대를 사용하는 운동의 기초 기능과 이에 필요한 체력 및 사회성이 자연스럽게 길러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수업에서 도입한 활동은 막대로 공을 쳐서 깡통을 쓰러뜨려 깡통 안의 문자의 뜻을 몸으로 표현하는 활동이다. 이때 운동의 기초 기능은 물론 문자의 뜻도 알아야 하고 읽을 수 있어야 하며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는 복합적 기능이 자연스런 게임을 통해서 길러진다.

 바. Hanging

  - 단 원 : 12. How's the weather?
  - 주 제 : 철봉에서 오래 매달리기 하면서 단어 알아 맞추기
  - 체육과 관련단원 : 21. 운동장에서
  - 학습목표
   ■철봉에서 오래 매달리기를 하면서 날씨에 관한 대화를 할 수 있다.
  - 필수학습표현
   ■How's the weather? ■It's sunny/cloudy/snowing/raining.
 - 준 비 물 : 철봉, 매트, 그림카드, 이동식 화이트보드
  - 활 동 방 법
   ■ 두 그룹으로 나누기
   ■ 신호에 따라 두 아동이 동시에 철봉에 매달리기
     (상자나 주머니를 준비하고 그 속에 날씨에 관한 그림카드를 넣는다)
   ■ 그 중 하나를 꺼내 그림카드를 매달려 있는 아동에게 보여준다.
   ■ 먼저 말하는 사람에게 점수를 준다.
   ■ 철봉에서 떨어지면 다음 사람이 매달려 경기를 계속한다.
   ■ 문제를 다 맞춘 점수에 남아있는 아동이 많은 그룹에게 가산점을 준       다.
 
  체육활동의 제재는 손과 팔의 근력을 기르고 재치있게 공간에서 물체를 이용하여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물체를 잡고 매달려 보고, 흔들어 보고, 올라가 보고, 이동하여 보고, 안전하게 내리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영어 능력이나 운동 능력에 있어 학습자의 수준을 보고 교사가 알맞은 보충 설명을 해준다.

사. 균형 잡기

  - 단 원 : 13. What season is it?
  - 주 제 : 평균대 위에서 이동하면서 좋아하는 계절을 묻고 답하기
  - 체육과 관련단원 : 23. 징검다리
  - 학습목표
   ■평균대 위에서 이동하면서 좋아하는 계절을 묻고 답하는 말 이해하기
   ■중심잡고 걷기/ 가볍게 달려보기/ 한 발로 뛰어보기 / 깡충 뛰어 보기
  - 필수학습표현
   ■What season do you like?  I like spring/summer/fall/winter
 - 준 비 물 : 매트, 평균대, 그림카드, 의자, True/False 카드
  - 활 동 방 법
  ■ 두 그룹으로 나누기
  ■ 평균대 위에서 이동하여 도착점으로 오면 교사가 카드를 보고 영어로       말한다. 그 표현이 카드 그림과 맞으면 True의자에, 그림과 맞지 않       으면 False 의자에 앉는다.      
  ■ True/False 의자에 맞게 앉으면 1점씩 주어서 점수가 많은 팀이 승리
 
  본 체육활동 제재는 신체의 평형성과 조정력을 기르는 기계 운동 영역으로 평균대 운동의 균형 잡기에 속한다. 따라서, 평균대 위에서 오르기, 뛰기, 걷기, 방향 바꾸기, 내리기 등의 운동을 경험하게 하여 신체 균형 유지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고 계절에 관한 표현도 익히도록 한다.

아. Run! Run! Run Quickly!

  - 단 원 : 13. What season is it?
  - 주 제 : 달리기를 이용한 게임을 통해 계절을 묻고 답하는 말하기
  - 체육과 관련단원 : 22. 사자와 얼룩말
  - 학습목표
    ■곧은 길과 굽은 길 달리기 게임을 이용하여 계절을 묻고 답하는 말을        할 수 있다.
  - 필수학습표현 : What season is it? It's spring/summer/fall/winter.
 - 준 비 물 : 그림카드, 곧은 길과 굽은 길 그리기
  - 활 동 방 법
   ■ 짝과 한 조가 되고, 출발하기 전 아동에게 그림카드를 보여준다.
   ■ 맞은 편 아동에게 그림카드의 표현을 전달하고, 그 아동은 다시 굽        은 길과 곧은 길을 달려 되돌아온다.
   ■ 전달받은 어휘 표현을 말한다.
   ■ 정확한 표현을 빨리 전달한 팀에게 점수를 준다.
 
  본 체육활동의 제재는 달리기를 위주로 한 게임 영역으로 신체적 능력의 전면적 향상을 위한 체력 만들기 및 스포츠 기초 기능을 기르는데도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전력 달리기를 통해 달리기에 알맞은 몸의 모양, 빠르기, 힘의 세기 등을 학습자들이 스스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좋아하는 계절을 영어로 표현하는 등 자신감있게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한다. 

  6. 평가
 
  교육과정(교육부 1995)에 제시되어 있는 초등영어 평가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평가는 학습자에게 심리적으로 부담을 최소화하고, 학습한 내용을 중심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방법으로 평가한다. 수업 과정 중에는 학습자의 이해 및 참여 정도를 종합하여 서술적으로 평가하고, 음성 언어 중심으로 평가하되 고학년에서는 제한적으로 문자 언어도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결과는 개별지도 및 교수■학습 계획에 반영하여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으로 각각 나누어 4/4차시에 실험반과 비교반 모두에게 똑같은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단원별 수행평가 문항과 평가 기준은 <부록 3>에 있다.

  7. 설문조사

  실험이 모두 끝난 후 학습자들에게 체육과와 통합된 영어 수업의 흥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영어시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가장 재미있는 활동은 어떤 활동인지 물어보는 등 모두 10문항으로 1학기 때 교실에서 한 영어 수업과 운동장에서 실시된 영어 수업에 대한 비교를 하였다. 자세한 설문은 <부록 4>에 있다.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1. 영어 성취도 분석

가.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1~8단원까지의 평가내용은 동질집단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말하기, 듣기, 읽기 세 영역으로 나누어 진단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의 결과를 가지고 각 영역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동질성 검증은 가설로서 두 집단은 같은 집단이라는 것을 가정하고 있고, 결과는  검증을 통해서 분석하였는데, p ■ 0.05일 때는 두 집단은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p > 0.05일 때는 두 집단은 같은 집단임을 의미한다.
  전체의 동질성 검증 결과는 <표 Ⅳ-12>와 같고, 세부적으로 각 영역별 검증결과는 <표 Ⅳ-13>에서 <표 Ⅳ-15>까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에서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보여준다.
 
1) 1~8단원에 대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다음은 실험반과 비교반의 동질성 검증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이 1~8단원 전체에 대해 동질성 검증을 해 보면 Pearson Chi- Square의 p 값이 0.195로 p 값이 0.05보다 더 크기 때문에 두 집단은 같은 집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2) 말하기에 대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다음 <표 Ⅳ-13>를 보면 말하기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말하기 평가 결과에 대해 양측검증을 실시해보면 <표 Ⅳ-13>과 같이Pearson Chi-Square의 p 값이 0.915로 두 집단이 같다는 가설은 채택된다. 즉, 두 집단은 말하기 영역에 대해서 같은 집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3) 듣기에 대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다음은 듣기 영역에 대한 동질성 여부의 검증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이 듣기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는 Pearson Chi-Square의 p 값이 0.083으로 p 값이 0.05보다 크기 때문에 같은 집단임을 알 수 있다. 즉, 듣기 영역에 대해서 두 집단은 같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4) 읽기에 대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다음 <표 Ⅳ-15>는 읽기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위와 같이 읽기 영역도 Pearson Chi-Square의 p 값이 0.075로 p 값이 0.05보다 크기 때문에 두 집단이 같음을 알 수 있다. 즉, 읽기 영역에서도 두 집단은 같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나. 각 단원별 두 집단간의 비교 분석

  각 단원별로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듣기, 말하기, 읽기의 성취도를 Pair-Samples T-test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는데, 이를 표로 나타내면 <표 Ⅳ-16>과 같다.
 

 
  이때 점수는 말하기, 듣기, 읽기 각 영역별로 5점 만점에서의 평균 점수를 의미한다. 점수 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 기호를 사용했는데, >기호는 실험반의 점수가 더 높으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이며, ≈기호는 실험반과 비교반의 점수가 비슷해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점수 차이가 음수로 나오는 경우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더 낮을 때를 말하고, 양수로 나온 경우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더 높을 때를 말한다. 이를 종합해보면, 말하기 영역에서는 전 단원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그 차이가 유의함을 알 수 있다. 듣기 영역에서는 9단원은 비교반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10단원은 실험반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경우이며, 11단원부터 13단원까지는 실험반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읽기 분야에서도 9단원은 비교반이 높았고, 10단원부터 12단원까지는 실험반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13단원은 실험반이 점수는 높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표를 단원별로 세부적으로 비교한 것이 <표 Ⅳ-17>에서 <표 Ⅳ-31>까지이다.

1) 말하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비교분석
  아래 <표 Ⅳ-17>은 9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이다.


 
  위에서 실험반의 평균이 3.8095로 비교반의 3.2381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p 값도 0.006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9단원의 말하기에 대해서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월등히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표 Ⅳ-18>는 10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위에서 두 집단간 평균 점수를 비교해 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4.1429로 비교반의 3.4286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012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10단원의 말하기에 대해서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11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평균점수로 비교해보면 <표 Ⅳ-19>와 같다.


 
  위에서 실험반의 평균이 3.8095로 비교반의 3.1429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03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11단원의 말하기 점수는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아래 <표 Ⅳ-20>은 12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정리해 놓은 것이다.

 

  두 집단의 평균 점수를 비교해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4.000으로 비교반의 3.2857보다 높고, p 값도 0.02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12단원의 말하기는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 Ⅳ-21>은 13단원의 말하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정리해 놓은 것이다.
 

 
  위의 결과를 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4.0476으로 비교반의 3.1905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00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13단원의 말하기 점수도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9단원에서 13단원까지 말하기의 평균점수를 비교해 보았을때,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2) 듣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비교분석
  다음 <표 Ⅳ-22>는 9단원의 듣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이다.

 

  위의 결과는 실험반의 평균이 3.0952로 비교반의 3.1429보다 낮고, p 값도 0.875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음을 보이고 있다. 즉, 9단원의 듣기에 대해서 비교반과 실험반은 비슷한 점수를 나타내고 있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 <표 Ⅳ-23>은 10단원의 듣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표에서도 나타나듯이 10단원 듣기는 실험반의 평균이 3.9524로 비교반의 3.8095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p 값도 0.645로 p 값이 0.05보다 커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즉, 10단원의 듣기에 대해서 비교반과 실험반은 비슷한 점수를 나타내고 있고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11단원의 듣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보면 <표 Ⅳ-24>와 같다.

 

  11단원 듣기에서는 실험반의 평균이 4.0952로 비교반의 3.5238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012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11단원의 듣기에 대해서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12단원의 듣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는 <표 Ⅳ-25>과 같다.

 

   위와 같이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해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4.1905로 비교반의 3.1905보다 1점 가량 높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12단원의 듣기에 대해서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13단원의 듣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는 <표 Ⅳ-26>과 같다.


 
  13단원 듣기결과는 실험반의 평균이 4.0000으로 비교반의 3.0476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000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13단원의 듣기에 대해서 비교반보다 실험반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9단원부터 13단원까지 두 집단간의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것을 요약해보면, 9단원은 비교반의 점수가 실험반보다 높았고, 10단원은 실험반의 점수가 비교반의 점수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11단원부터 13단원까지는 실험반이 높은 점수를 얻어, 듣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전체적으로 점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3) 읽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비교분석
  말하기, 듣기에 이어 읽기 영역을 각 단원별로 비교해보면 먼저 9단원의 읽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가 <표 Ⅳ-27>과 같다.


 
  위에서 두 집단간 평균을 비교해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4.3810으로 비교반의 4.5238보다 낮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474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9단원의 읽기에 대해서 비교반과 실험반은 비슷한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 <표 Ⅳ-28>는 10단원의 읽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위에서 두 집단의 읽기 점수는 실험반의 평균이 4.7143으로 비교반의 3.6190보다 1점 이상 높았고, p 값도 0.000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10단원의 읽기에 대해서 비교반은 실험반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 <표 Ⅳ-29>는 11단원의 읽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정리해 놓은 것이다.

 

  위와 같이 두 집단간의 읽기 평균 점수를 비교해 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3.7143으로 비교반의 2.6190보다 1점 이상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p 값도 0.004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11단원의 읽기에 대해서 비교반은 실험반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 <표 Ⅳ-30>은 12단원의 읽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결과를 해석해 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3.5714로 비교반의 2.3810보다 1점 이상 높고, p 값도 0.001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12단원의 읽기에 대해서 비교반은 실험반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13단원의 읽기에 대한 두 집단간의 분석 결과를 보면 다음 <표 Ⅳ-31>와 같다.
 


  위와 같이 13단원 읽기에서도 실험반의 평균이 3.3333으로 비교반의 2.7619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p 값은 0.08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즉, 13단원의 읽기에 대해서 비교반과 실험반은 비슷한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9단원부터 13단원까지 읽기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9단원은 비교반이 조금 높았지만 다른 단원에서는 실험반의 점수가 더 높아 전체적으로 보면 읽기 영역도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각 단원별로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이를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에서 비교하여 보았는데, 대부분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각 단원별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 각 영역별 평균에 대한 두 집단간의 비교 분석

  이번에는 각 영역별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이것은 <표 Ⅳ-32>에서 <표 Ⅳ-35>까지에 제시되어 있고, 그에 해당되는 그래프는 <그림 Ⅳ-2>부터 <그림 Ⅳ-4>까지에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별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Ⅳ-32>는 말하기 영역에 있어 두 집단간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말하기 영역을 전체적으로 평균을 구하여 비교해 본 결과, 실험반이 평균 3.9619로 비교반의 3.2571보다 높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p 값도 0.001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나 있다. 즉 말하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을 좀 더 자세히 시각적으로 표현해보면 <그림 Ⅳ-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가로축은 말하기 평균 점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그 평균 점수에 해당되는 학생들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그림 Ⅳ-2>는 말하기 영역에 대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평균 점수를 학생들이 분포되어 있는 점수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굵은 선이 실험반의 점수분포를 나타내고, 가는 선이 비교반의 점수분포를 나타낸다. 그림을 보면 실험반의 경우 3.8점 이상에서 학생들 점수가 대부분 분포하고 있는 반면 비교반의 경우는 4.2이하에서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그림 Ⅳ-2>는 말하기 영역에서 실험반의 학생들이 비교반의 학생보다 고득점자가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듣기 영역에서 두 집단간의 차이를 보면 <표 Ⅳ-33>과 같다.
 


  듣기 영역의 평균 점수를 비교해 보면 실험반이 평균 3.8667로 비교반의 3.3429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p 값도 0.010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나 있다. 즉 듣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 <그림 Ⅳ-3>은 말하기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듣기 영역에 대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역시 가로축은 듣기 평균 점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그 평균 점수에 해당되는 학생들의 수를 나타낸다.

  그림을 보면 실험반의 경우 고득점으로 갈수록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비교반의 경우는 3.4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즉, <그림 Ⅳ-3>은 듣기 영역에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고, 실험반의 학생들이 비교반의 학생보다 고득점자가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읽기 영역에서 두 집단간의 차이를 보면 <표 Ⅳ-34>와 같다.


  읽기 영역에서도 실험반이 평균 3.9429로 비교반의 3.1810보다 높음을 알 수가 있고, p 값도 0.001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나 있다. 즉 읽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을 말하기와 듣기처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Ⅳ-4>와 같다.


   위의 <그림 Ⅳ-4>는 읽기 영역에 대해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실험반의 경우 고득점자로 갈수록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비교반의 경우는 2.6을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즉, <그림 Ⅳ-4>는 읽기 영역에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고, 실험반의 학생들이 비교반의 학생들보다 고득점자가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위의 세 영역을 보면, 말하기 영역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가 0.7048이었고, 듣기 영역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는 0.5238이었으며, 읽기 영역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는 0.7619이었다. 즉, 두 집단간의 차이 중에서 읽기 영역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말하기 영역, 듣기 영역 순으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 종합적 언어 능력에 대한 두 집단간의 비교 분석
 
  위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세 영역에 대해서 두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는데, 종합적인 언어 능력에 대해서는 두 집단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표 Ⅳ-35>는 9~13단원까지의 각 단원에 대한 평균을 구한 후 합계를 산출한 결과이다.

 

  위의 표에서 실험반의 경우 말하기의 합계가 19.930이고, 듣기 합계는 19.186, 읽기 합계는 19.465로 나타나 75점 만점 중 총점수가 58.581으로 나타나고 있다.
  비교반의 경우는 <표 Ⅳ-35>와 같이 말하기의 합계가 16.2855로 나타나 있고, 듣기 합계는 16.7145, 읽기 합계는 16.5905로 나타나 있어 75점 만점 중에 49.5905로 나타나 있다.

 

  결과적으로 각 영역에 대해서 실험반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총합계에 대해서도 약 9점 정도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인 언어능력에 대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는 <표 Ⅳ-37>과 같다.

 

  위의 표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영역별로 5점 만점에 실험반이 평균 3.9238로 비교반의 평균 3.2603보다 높았으며, p 값도 0.000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성취도 평가의 성적이 말하기, 듣기, 읽기의 모든 영역에 걸쳐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좀 더 알기쉽게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 Ⅳ-5>와 같다. 여기서 가로축은 학생 개개인의 말하기, 듣기, 읽기 점수를 합하여 평균을 구한 점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그 점수에 해당되는 학생수를 나타내고 있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굵은선이 실험반의 점수를 나타내고, 가는 선이 비교반의 점수를 나타낸다.


  <그림 Ⅳ-5>는 종합적 언어능력 평가에 대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실험반의 경우 3점 이상에서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으나 비교반의 경우는 3.5이하에서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그림 Ⅳ-5>는 종합적 언어 능력에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고, 실험반의 학생들이 비교반의 학생보다 고득점자가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 영어 학습 태도 분석

  체육과와 통합한 영어 수업을 실시한 후 실험반에 영어 수업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설문 내용은 부록 5 참고). 첫번째로 영어 공부 시간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Ⅳ-38> 영어 공부 시간에 대한 의견

 
  위에서 보듯이, 영어 공부에 대해 35명이 재미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고, 6명은 보통, 나머지 2명이 재미없다고 반응하였다. 두 번째로 영어 공부를 하는 중에 가장 재미있는 활동을 물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Ⅳ-39> 영어 공부 중 가장 재미있는 활동


  영어 시간에 가장 재미있는 활동으로는 밖에서 하는 경기를 21명이 선택해서 가장 재미있는 활동이라고 답했고, 그 뒤로 노래 부르기, 교실에서 하는 게임, 역할극, 비디오 시청, 리듬음악 순이었다. 다음은 1학기때와 2학기의 영어 공부 시간의 흥미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표 Ⅳ-40> 1학기 때와 2학기의 영어 공부 시간의 비교

 
  일반 영어 수업과 통합 활동의 흥미를 비교해 보기 위해 1학기 영어 시간과 현재 영어 시간을 비교하는 질문을 해 보았는데, 이 질문에는 <표 Ⅳ-40>에서 보듯이, 더 재미있어졌다고 긍정적으로 대답한 학습자가 33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1학기와 비슷하다는 답은 9명, 더 재미없어졌다라고 답한 학습자는 1명 이었다.
  그리고 <표 Ⅳ-41>과 같이 영어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이 교실과 운동장 중 어느 곳에서 흥미를 더 느끼는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운동장에서 하는 것이 더 재미있다고 답한 학생들이 31명으로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표 Ⅳ-41> 교실과 운동장 중 더 재미있는 수업
 
  교실과 운동장 중에서 더 재미있었던 수업이 어느 곳인지 묻고 그 질문에 답한 것 중에서 교실에서 하는 활동이 더 재미있다고 대답한 아동은 <표 Ⅳ-42>에 답하고, 운동장에서 하는 활동이 더 재미있다고 답하는 아동은 <표 Ⅳ-43>에 답하도록 하였다.

 <표 Ⅳ-42> 교실 활동이 더 재미있는 이유(교실활동이 더 재미있는 아동)


  교실에서 하는 활동이 더 재미있다면 무슨 이유 때문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위와 같은 질문을 하였는데, 이 답 중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기타 의견으로, 교실에서 하는 게임이 더 재미있고 운동장은 먼지가 나서 싫다, 밖에서 하니까 잘 들리지 않는다 등이 차지했다.
 
<표 Ⅳ-43> 운동장 활동이 더 재미있는 이유

 
  운동장에서 하는 수업을 더 좋아하는 이유로는 각종 경기나 게임을 하면서 영어를 공부하니 이해가 더 잘 된다고 답한 아동이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영어 수업과 함께 하는 게임과 경기가 재미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10명으로 많았다. 차례를 기다리면서 연습하는 시간이 있어서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답한 아동도 3명이나 되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머리가 확 풀리고 상쾌하다, 체육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재미있다, 밖에서 하니 신난다, 친구와 협동심을 가질 수 있다, 운동과 공부를 함께 할 수 있다, 운동장에서 하는 것이 재미있고 하루 종일 기억이 된다 등의 의견이 나왔다. 이 기타 의견은 아동들이 적어 놓은 것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이다.
 
<표 Ⅳ-44> 운동장에서 하는 활동 중 재미있는 순서


   위의 <표 Ⅳ-44>는 가장 재미있었던 활동부터 순위를 매겨 놓은 것으로 1등은 9점, 2등은 8점, 3등은 7점■, 9등은 1점까지 점수를 주어 43명의 점수를 합계해서 점수가 낮은 것부터 정렬해 놓은 것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그러니까 장애물달리기 활동을 겸하는 영어 시간이 학습자들에게는 가장 재미있었던 시간을 말한다. 다음은 학교에서 배운 영어를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질문을 한 것에 대한 반응이다. 

 <표 Ⅳ-45> 학교에서 배운 영어활용정도

 
  학교에서 배운 영어를 실제 생활에서는 어느 정도 쓰고 있는지 물어보는 질문에는 <표 Ⅳ-45>와 같이 활용한다고 긍정적으로 답한 아동이 31명으로, 많은 아동이 실제 생활에 영어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알아보기 위해 길에서 우연히 외국인을 만났을 경우 어떻게 하겠느냐고 물어보았더니 아래와 같이 배운 영어를 활용해 보겠다고 긍정적으로 대답한 학생들이 많았다.
 
<표 Ⅳ-46> 길에서 외국인을 만났을 경우

   
  다음 <표 Ⅳ-47>은 학습자들에 적용했던 내용 통합 교수 방법이 앞으로의 영어 학습 태도에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앞으로 영어 공부에 대한 계획을 질문해 본 결과이다.

             <표 Ⅳ-47> 앞으로 영어 공부에 대한 계획


  앞으로의 영어 공부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는 <표 Ⅳ-47>에 나타난 바와 같이, 32명의 아동이 계속해서 열심히 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는 그 동안의 영어 학습이 타율적이고 수동적인 학습 시간이 아니라 자율적이고 능동적이며 자신감을 심어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 수업이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는 정규 영어 시간외에는 영어를 사용할 기회가 적은 EFL환경의 학습자들에게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에서 언어 연습을 할 수 있는 내용 통합 교수법을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실험반과 비교반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실제 실험에 들어가기 전 학습자들에게 영어 외 다른 교과의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실험반에는 체육과와 통합한 수업을 2차시와 3차시에 적용하고 비교반에는 일반 영어 수업을 전 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또한 각 단원 마지막 차시에는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점수를 각 단원별로 누가 기록하여 말하기, 듣기, 읽기 결과를 영역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동안 영어를 학습하고 난 후의 소감을 실험반에 설문조사를 해서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내적 흥미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평가 결과 임의로 선정한 두 집단이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에 있어 동일한 집단임이 증명되었고, 교과 선호도 검사 결과 학습자들은 체육 교과를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이 가장 흥미있어 하는 체육 내용을 영어와 통합한 수업을 실험반에 적용하였고, 비교반은 일반 영어 수업을 하였다.
  둘째, 평가결과를 각 단원별로 종합해서 비교해 보고, 말하기, 듣기, 읽기 로 나누어 두 집단의 성취도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세 영역 모두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말하기, 듣기, 읽기 분야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었다는 사실은 내용 통합 교수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능력이 아닌 학습자의 정의적인 면을 알아보기 위해 영어 학습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 높은 흥미와 관심을 갖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열심히 공부하겠다는 적극적인 생각을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교실과 운동장에서 하는 활동 중에서는 운동장에서 학습한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하고 실제 내적 동기도 매우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가장 재미있었던 활동은 장애물 달리기, 공 이어주기, 평균대 운동 순서로 나타났고, 많은 학습자들이 1학기 때보다 내용 통합을 한 2학기 영어 수업이 훨씬 재미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통합 수업이 실제 보이는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내적인 즐거움을 주고 매 시간 기대를 갖게 한다는 의미에서 정의적으로도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2. 제 언

  본 연구는 영어교육에 있어 내용 통합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반에는 체육 교과와 영어를 통합한 수업을, 비교반에는 일반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험반과 비교반이  각각 한 반으로 제한되어 있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음에는 좀 더 많은 집단을 조사 대상에 포함시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통합 내용에 있어 체육교과만 적용을 했는데 다음 연구에서는 영어과와 다양한 타교과와의 통합 수업을 실시한 후, 통합하지 않은 집단과 성취도, 흥미면에서 비교를 함으로써 내용 통합에 좀 더 발전을 가져왔으면 좋겠다. 또한 2000년도에는 6학년까지 영어수업이 확대되므로, 내용 통합 수업을 3■4학년에게 적용했을 때와 5■6학년에게 적용했을 때의 성취도 및 흥미도 등을 비교하여 대상에 따라 내용 통합 교수법의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참 고 문 헌

곽병선 (1983).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곽혜영 (1996). 영어교육과 내용중심의 언어지도.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부 (1995).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6-7호.
교육부 (1996).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 체육. 한국교육개발원.
김진철■고경석■박약우■이재희■김혜련 (1998). 초등영어 교수법. 서울 :         학문사.
김진철■고경석■박약우■이재희■김혜련 (1998). 초등영어 교재론 . 서울 :        학문사.
김진철 외 (1999). 초등영어지도법. 서울 : 한국문화사. 
배두본 (1997). 초등학교 영어 교육-이론과 적용. 서울 : 한국문화사.
송정미 (1997). 일반 교과 내용에 근거한 초등 학교 영어 교수 요목과 수업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 논문, 한국 교원대학교. 
이민호■이종영■임호열 (1998). 초등학교 영어 지도서 4학년. 서울 : 재능        교육.
유광찬 (1997). 통합교과 운영. 서울 : 교육과학사.
정동빈 (1997). 어린이 영어 교육-이론적 토대와 다양한 수업 방법. 서울 :         홍익미디어.
한국교육개발원 (1997).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 방문사.

Hughes, A. (1989).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Brinton, D. M., Snow, M. A., & Wesche, M. B. (1989). Content-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New York : Newbury House.
Cantoni-Harvey, G. (1987). Content-area language instruction :                approaches and strategies. Reading, MA : Addison-Wesley.
Celce-Murcia, M. (1991).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New York : Newbury House.
Chamot, A. U., and O'Malley, J. M. (1987). The cognitive academic            language learning approach : A Bridge to the Mainstream.
      TESOL Quarterly, 21(2). 227-49.
Crandall, J. (1987). ESL through content-area instruction : mathematics,        science, social studies.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Cummins, J. (1980b). The exit and entry fallacy in bilingual education.          NABE Journal, 4(3). 25-60.
Cummins, J. (1981). The role of primary language development in              promoting educational success f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in Schooling and Language Minority Students : A Theoretical           Framework. Los Angeles : California State University, Eval‎uation,        Dissemination, and Assessment Center. 3-49.
Curtain, H. A. (1986). Integrating language and content instruction.             ERIC/CLL News Bulletin, 9(2). 8-9.
Curtain, H., & Martinez. L. (1989). Integrating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to the foreign language class : Hint for the FLES           teacher.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5823
Feldman, E. B. (1970). Becoming human through art : Aesthetic                Experience in the School.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Genesee, F. (1987). Learning through two languages. New York:               Newbury House.
Halliwell, S. (1992). Teaching English in the primary classroom. London        : Longman.
Harold, S. M. (1983). Techniques in testing.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New        York : Pergamon.
Krashen, S. (1982).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ew York : Pergamon.
Krashen, S. (1984). Immersion : Why it works and what it has taught         us. Language and Society. 12. 61-64.
Krashen, S. (1985). The input hypothesis : Issues and implications.             New York : Longman.
Met, M. (1991). Learning language through content : Learning content          through language.  Foreign Language Annals. 24(4). 281-295.
Mohan, B. A. (1979). Relating language teaching and content teaching.          TESOL Quarterly. 12(2).
Mohan, B. A. (1986). Language and content. Reading, MA :                    Addison-Wesley.
Snow, M. A., Met, M., & Genesee, F. (1989).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ontent in second/foreign             language instruction. TESOL Quarterly. 23(2).
Snow, M. A. (1991). Teaching language through content. In                    Celce-Murcia, M. (1991).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pp.315-328). New York : Newbury House.
Stern, S. L. (1985). Teaching Literature in ESL/EFL : An integrative           approach.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6, 1547A-2176A.         (University Microfilms No. DER85-13164)
Swain, M. (1985). Communicative competence : Some roles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In Gass, S. M., & Madden, C. G. (Ed.).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pp.235-253). New York : Newbury         House.


  부록 1. 진단 평가용 수행평가 기준안

 

 

  부록 2. 실험반 학습 지도안(통합차시)

 

 

 

 


 
 부록 3. 단원별 수행평가 문항과 평가 기준

 

 

 

 

 

 

 


  부록 4. 영어 학습에 관한 설문지

1. 영어공부 시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      )
① 매우 재미있다.  ② 조금 재미있다.  ③ 보통이다. 
④ 재미없다. ⑤매우 재미없다.
2. 영어 공부 중 가장 재미있는 활동은 어떤 활동입니까? (    )
① 노래 부르기 ② 역할극 하기 ③ 비디오 보기 ④ 리듬음악 ⑤ 게임
⑥ 밖에서 하는 경기
3. 1학기 때보다 영어 공부 시간은 어떻습니까? (       )
① 더 재미있어졌다. ② 1학기와 비슷하다. ③ 더 재미없어졌다.
4. 영어 공부를 할 때 교실과 운동장에서 하는 것 중 어디에서 하는 것이 더 재미있습니까?  (    )
① 교실  ② 운동장
 
  ■ 교실에서 하는 영어 공부가 재미있는 사람만 적으세요.
5. 만약 영어 공부가 교실에서 하는 것이 더 재미있다면 왜 그런지 골라보고 알맞은 말이 없으면 직접 적어보세요.
① 밖에 나가는 것이 귀찮아서
② 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③ 교실에서 하는 비디오 보기나 역할극이 더 재미있어서
④ 기타 (                                         )
 

  ■ 운동장에서 하는 영어 공부가 더 재미있는 사람만 적으세요.
6. 운동장에서 하는 수업이 더 재미있다면 왜 그런지 골라보고 알맞은 말이 없으면 직접 적어보세요.
① 게임과 경기를 하면서 영어를 공부하니 더 이해가 잘 된다.
②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영어 어휘 연습을 더 할 수 있어서 머리에 더 오래 남는다.
③ 게임과 경기가 재미있어서 좋다.
④ 기타(                                                           )
7. 운동장에서 게임과 경기를 하는 것 중 어떤 활동이 가장 재미있었는지 자신이 재미있었다고 생각되는 순서대로 번호를 써보세요.
① 공 이어주기 (    )  ② 장애물달리기 (     )
③ 평균대 운동 (    )  ④ 막대로 공치기 (     )
⑤ 철봉에서 오래 매달리기 (    )  ⑥ 달리기 (     )
⑦ 글자 만들기 (      )  ⑧ 앞으로 구르기 (     )
⑨ 공차기 (    )
8. 학교에서 배운 영어를 실제 생활에서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습니까?(  )
① 자주 활용한다.  ② 가끔 활용한다.  ③ 보통이다.  ④ 활용하지 않는다. 
9. 길에서 외국인을 만나 말을 걸어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       )
① 알고 있는 영어를 적극 활용해 열심히 답하겠다.
② 자신은 없지만 용기를 내어 말을 대답하겠다.
③ 모른 체 하겠다.
④ 자신이 없고 부끄러워서 피해 가겠다.
10. 앞으로 영어 공부에 대한 계획은 어떻게 하겠습니까? (        )
① 계속해서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
② 조금만 더 하겠다.
③ 지금 정도로 할 것이다.
④ 별로 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

ABSTRACT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the Integration of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preparing students for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applies from 2000 year. The core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in the maximization of educational efficiency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 learners' potentials through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abilities, aptitudes, needs and interests of students.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which place priority to students' interest, and thus enable students to practice language with fun. This instruction has proved to be an effective way of learning second language. The present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by teaching English through the integration of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Since a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subjects of the study liked Physical Education most, this study decided to integrate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Experimental procedure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diagnostic test was given to the students in order to select two homogeneous groups. Then a questionnaire on the students' preference of subjects was given to the selected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lesson plans for the integrated classes of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were prepared.
  Second, on the 2nd and 3rd periods, the integrated instruction of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usual English class was taught to the control group. After finishing each unit, the students were tested for their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content-based instruction made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that of general class in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Finally, with respect to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surveyed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instruction given to them. According to this result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level of interest and concern, and showed independent attitudes that they were going to study harder in the upcoming future. This results confirm‎ that the content-based curriculum not only improves students' linguistic abilities but also enhances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which we should develop further in the 21st century. More research on integration models and teaching techniques needs to be done in the future. Also, more flexible curriculum administration should be permitted in school settings.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06.07.22 01:36

    첫댓글 인터넷 검색해서 나온 자료 입니다. 작성자를 알 수는 없으나 교육학 석사 논문 입니다. 참고 자료가 되시길...

  • 07.05.21 01:28

    자세한 표가 없는게 아쉽네요.. 그래도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