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의 제자들 2” 소개
오원탁 옮김, 경서원(010-3245-7121), 2011년 9월 20일
....................................................................
들어가는 말
2007년에 밍군 사야도의 책 『The Great Chronicle of Buddhas』 중의 일부를 번역한 『부처님의 제자들』 다음에, 계속해서 위빠사나 명상센터인 호두마을의 계간지에 연재하던 글, 그리고 몇 가지를 더 번역하여 『부처님의 제자들2』를 펴내게 되었습니다. 사야도의 책에 있는 79명의 제자들 이야기 중에서 재미있어 보이는 것을 선택하였습니다.
그렇게 고른 것이 가장 먼저 깨달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나이도 많았기 때문에, 상수제자인 사리불과 목건련이 불편해 하는 것을 알고 숲속으로 가서 여생을 마친 꼰단냐(교진여) 마하테라(대장로), 왕족으로 너무나 풍요롭게 자라서 “없다”는 것을 모르고 자랐지만 출가하여 천안 제일인 비구가 된 아누룻다(아나율) 마하테라, 꼰단냐 존자의 가르침만으로 아라한이 되었으며 아난다에게 설법하여 수다원이 되게 한 만따니뿟따 뿐냐 마하테라, 다문 제일이며 경전의 제일차 결집에 지대한 기여를 한 부처님의 시자 아난다 마하테라입니다.
또한 비구니 중에서 아나함이 된 남편에 자극받아서 출가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아라한이 되었으며, 출가 전 남편의 질문에 정확하게 대답하여 설법 제일 비구니가 된 담마딘나 테리(비구니 장로), 죽은 아들을 살려내는 약을 주십사고 부처님을 찾아갔다가 죽음이란 모든 사람에게 찾아오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비구니가 된 끼사고따미 테리 이야기도 수록하였습니다.
남자 재가불자 중에서는 기원정사를 보시한 수다원이었지만 임종시의 고통에 사리불 존자가 법문하자 눈물을 흘리면서 그렇게 훌륭한 법문을 왜 이제 해 주냐고 말한 아나타삔디까(급고독) 장자, 여자 재가불자 중에서는 7세에 이미 수다원이었으며 이교도에게 시집가서도 굴하지 않고 결국에는 시부모를 부처님의 제자가 되게 했으며 녹모(鹿母) 강당을 기증한 위사카의 이야기를 실었습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주해를 달았고, 무색계와 색계를 포함해서 불교의 31가지 세계를 보여주는 ‘존재의 세계’, 계청정과 심청정 등의 일곱 가지 청정이 계발됨에 따라 위빠사나 16단계의 지혜가 어떻게 계발되는지를 보여주는 ‘칠청정과 지혜의 향상’을 첨부하였으며, 참고서적과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기재하여 관련 자료를 추가로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난다 존자로 하여금 수다원이 되게 한 만따니뿟따 뿐나 존자의 법문 일부를 간단히 옮기면서 들어가는 말에 가름합니다.
“아난다여, 갈망과 사견과 함께 ‘나는…’이라는 자만이 일어나는 것은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을 원인으로 자만이 일어나는가? 몸을 원인으로 자만이 그 부수물인 갈망과 사견과 함께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느낌과 지각과 반응(상카라, 行)과 의식을 원인으로 자만이 그 부수물인 갈망과 사견과 함께 일어난다.
예를 들어, 젊고 잘 생긴 남자(혹은 여자)가 깨끗한 거울에 비친 자기 얼굴의 ‘영상’을 보는 것은, ‘얼굴’과 ‘거울’이라는 두 가지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몸과 느낌과 지각과 반응과 의식을 원인으로 해서, 자만이 그 부수물인 갈망과 사견과 함께 일어난다. 그러한 원인이 없다면 일어나지 않는다.”
2008년 4월
옮긴이
...............................................
상세 목차
들어가는 말
Ⅰ. 꼰단냐 마하테라
1. 과거생에서의 서원
마하깔라와 쭐라깔라 형제 이야기
2. 마지막 생에서 고행자 생활
3. 유일무이한 깨달음의 성취
마하테라의 새 이름 “안냐시 꼰단냐”
4. 사성제를 가장 먼저 깨달은 비구
5. 아라한이 된 다음의 안냐시 꼰단냐 마하테라
Ⅱ. 아누룻다 마하테라
1. 과거생에서의 서원
1.1 가섭불의 사당에 등불 보시
1.2 안나바라로서의 생애
1.3 여신의 칭찬
1.4 장자가 된 안나바라
2. 마지막 생에서 고행자 생활
2.1 아누룻다의 출가
⑴ 석가족 왕자 1,000명의 출가
⑵ ‘없다’는 말을 모르는 아누룻다 왕자
⑶ 밥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모르는 왕자들
⑷ 세속 일에 피곤해진 아누룻다 왕자
⑸ 여섯 명의 왕자와 우빨리의 출가
2.2 아라한의 지위 성취
3. 천안 제일인 비구
4. 천인이 보시한 가사용 넝마
Ⅲ. 만따니뿟따 뿐나 마하테라
1. 과거생에서의 서원
2. 마지막 생에서 고행자 생활
3. 법문 제일인 비구
Ⅳ. 아난다 마하테라
1. 과거생에서의 서원
2. 마지막 생에서 고행자 생활
2.1 아난다의 수다원과 성취
2.2 부처님의 시자가 됨
⑴ 아난다에게 주는 여덟 가지 상
⑵ 아난다의 부처님 시중
3. 다섯 가지 면에서 제일인 비구
4. 아라한의 지위 획득
4.1 숲 수호신의 충고
4.2 아자따삿뚜 왕이 보시한 거대한 임시 건물
4.3 행주좌와가 아닌 자세에서 얻은 아라한의 지위
4.4 마하가섭의 칭찬을 받은 아난다
4.5 경전의 결집
4.6 율장을 위임 받은 우빨리 존자
5. 아난다 마하테라의 반열반
6. 두려움 게송
Ⅴ. 담마딘나 테리
1. 과거생에서의 서원
왕실 재산관리인의 부인으로서의 전생
끼끼 왕의 일곱 공주 가운데 한 명으로서의 전생
2. 마지막 생에서 비구니 생활에 전념
2.1 담마딘나의 화려한 출가
2.2 남편이었던 위사카의 교리에 대한 질문
3. 비구니 중 교리 설명 제일
Ⅵ. 끼사고따미나 테리
1. 과거생에서의 서원
끼끼 왕의 딸로서의 생애
2. 마지막 생에서 비구니 생활에 전념
2.1 과거생에서 위대한 공덕을 쌓은 끼사고따미
2.2 장자의 며느리가 된 끼사고따미
2.3 끼사고따미의 슬픔을 진정시키기 위한 부처님의 방편
2.4 아라한의 지위 성취
3. 가장 낡은 가사를 입는 비구니
Ⅶ. 아나타삔디까(급고독) 장자
1. 과거생에서의 서원
2. 사위성의 장자로 태어남
2.1 부처님과의 만남
⑴ 수호신의 격려
⑵ 수다원과의 성취
⑶ 왕사성에서 승가에 공양
2.2 기원정사 보시
⑴ 기원정사(祇園精舍) 부지 선정과 구입
⑵ 제따 태자의 진입로용 땅 기증
⑶ 기원정사 건립
⑷ 사위성을 향한 부처님의 여행
⑸ 육군비구로 인한 계율 제정
⑹ 숭배해서는 안 될 10가지 사람
⑺ 공경해야 될 3가지 사람
⑻ 성대한 기원정사 헌정식
① 수마나 공주
② 아나타삔디까 자신의 화려하고 웅장한 환영 행사
③ 물 뿌리는 의식으로 기원정사를 승가에 헌정
④ 사원 보시에 감사하는 다섯 개의 게송
⑤ 아홉 달 동안 계속된 축제
3. 보시자 중 제일인 아나타삔디까
4. 아나타삔디까에 대한 가르침의 경
4.1 아나타삔디까의 죽음
4.2 도솔천에 재탄생
4.3 세존께 바치는 사구게
Ⅷ. 녹모(鹿母) 강당을 기증한 위사카
1. 과거생에서의 서원
2. 장자의 딸로 탄생
2.1 위사카의 결혼
⑴ 일곱 살에 수다원이 된 위사카
⑵ 위사카 가족의 사께따 이주
⑶ 약혼식에 꼬살라 왕이 참가하는 영광
⑷ 위사카의 사위성 도착
⑸ 시댁에서의 결혼 피로연
⑹ 미가라가 머리끝까지 화가 나다
⑺ 위사카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다
⑻ 문제를 철저히 논의하여 해결하다
⑼ 위사카의 승리
⑽ 미가라 장자가 수다원이 되다
⑾ 미가라의 부인도 수다원을 성취하다
⑿ 위사카가 시아버지로부터 선물을 받다
⒀ 위사카의 특이 사항
2.2 녹모 강당 보시
⑴ 목건련 존자의 감독으로 사원을 9개월 만에 건설
⑵ 4개월간 계속된 기증식
⑶ 승가에 네 가지 필수품을 보시
⑷ 자신의 선행에 대한 위사카의 환희
3. 제일가는 여신도로 지명
첨부 1. 존재의 세계
2. 칠청정과 지혜의 향상
주 석
...................................................
이 책은 미얀마의 삼장법사이신 밍군 사야도의 『부처님들의 위대한 생애(The Great Chronicle of Buddhas)』 중의 Volume Six, Part One 가운데 “꼰단냐 마하테라, 아누룻다 마하테라, 만따니뿟따 뿐나 마하테라, 아난다 마하테라” 그리고 Volume Six, Part Two, 가운데 “담마딘나 테리, 끼사고따미 테리, 아나타삔디까 장자, 녹모 강당을 기증한 위사카”에서 발췌 번역한 것입니다. (extracted from “The Great Chronicle of Buddhas”, The State Buddha Sasana Council's Version, by The Most Venerable Mingun Sayadaw, Translated by U Tin Lwin, U Ko Lay & U Tin Oo(Myaung). Volume Six, Part One, & Volume Six, Part T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