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세차 간지 몇월 간지삭 몇몇일 간지
孝子ㅇㅇ 敢昭告于
효자이름 감소고우
顯妣 孺人 ㅇㅇㅇ氏 歲序遷易
현비 유인 김해김씨 세서천역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饗향
- 부모 합설 기제사 축문: (부모님이 두 분 다 돌아가셨을때 아버님 제사날 어머님 것까지 차리는 경우)
* 어머님 제사 때에는 '휘일부림' 앞의 '顯考'(현고) 를 '顯妣'(현비) 로 바꿔쓰면 됩니다.
維 歲次 ㅇㅇ ㅇ月 ㅇㅇ朔 ㅇㅇ日 ㅇㅇ
유 세차 간지 몇월 간지삭 몇몇일 간지
孝子ㅇㅇ 敢昭告于
효자이름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현고학생부군
顯妣孺人 ㅇㅇㅇ氏 歲序遷易
현비유인 김해김씨 세서천역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饗향
- 축문(祝文)의 구절별 해석:
유 세차 : 세월은 흘러 올해가...(ㅇㅇ년입니다) 의 뜻.
유 세차 ㅇㅇ : ㅇㅇ는 제사 지내는 그 해의 간지. 돌아가신 해의 간지가 아님.
ㅇ월 : ㅇ는 제사 지내는 그 달이 음력으로 몇월 달인가('五' 등 숫자). 돌아가신 그 해 그 달이 아님.
ㅇㅇ삭 : ㅇㅇ는 제사 지내는 그 달 1일(초하루)의 간지. 축문에 月을 표시하는 글자(간지)
로는 그 달의 월건(月建)을 쓰지 않고 관례적으로 삭(朔, 1일의 간지)를 쓴다.
삭(朔) : 초하루(1일)를 뜻하는 漢字.
ㅇㅇ일 : ㅇㅇ는 제사 지내는 그 날이 몇일인가('十五' 등 숫자). 돌아가신 그 해 그 날이 아님.
일 ㅇㅇ : ㅇㅇ는 제사 지내는 그 날의 간지. 돌아가신 그 해 그 날의 간지가 아님.
효자 : 장자(큰아들)을 뜻함. 혹은 상례 절차를 잘 마쳤으므로 효자로 본다는 뜻.
효자ㅇㅇ : ㅇㅇ는 제주(큰아들)의 이름.
감소고우 : 삼가 밝게 아뢰다.
ㅇㅇㅇ씨 : '김해김'씨 식으로 씁니다.(본관과 성씨)
세서천역 : 세월이 흘러 때가 바뀌다.
휘일부림 앞의 '현고' : 가문에 따라서는 '현고학생부군' 으로 쓰기도 한다.
휘일부림 :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다.
추원감시 : 돌아가신 때를 맞이하여 진정한 마음으로 감동하다.
호천망극 : '하늘이 넓고 끝이 없다' 는 뜻으로 '부모의 은혜가 크고 끝이 없음' 을 이르는 말.
청작서수 :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
공신전헌 : 공손히 제물(祭物)을 올리다. 제사를 지내다.
상향 : 흠향하시옵소서.
- 축문은 옛날의 한문 문서 쓰는 방식(위에서 아래로, 우에서 좌로)으로 쓰며, 가문에 따라서 '顯'(현)자와 '饗'(향)자 혹은 '維'(유)자와 '饗'(향)자, 또는 세 글자 다 다른 글자(다른 줄)보다 한 두칸 올려 더 높게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