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서 론
[1] 신학의 분류 (신학의 구성,신학의 내용)
성서신학 : 성서의 메세지와 형성과정,저자,기록시기,장소,동기,원본과 사본,정경 화 문제등을 연구하는 학문
조직신학 : 성서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신앙생활의 다양한 체험과 여러가지 학문 등을 상호연관 시켜서 신이 가르쳐준 우주의 진리를 종합적이고 체 계적이면서 논리적이고 주관적인 형식으로 교리를 검토하고 재평가 하는 학문이다.
역사신학 : 교회가 걸어온 발자취를 더듬으면서 교회가 성서의 가르침에 충실했 는지 고려하는 동시에 신학의 반절 교리의 형성과정 검토,역사륽 통 하여 하나님의 뜻이 어떻게 계시되었는지를 연구하는 학문.
실천신학 : 성서의 가르침과 교리가 신자들의 실생활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어 떻게 하면 신자가 하나님의 뜻에 부합되는 신앙생활을 연구하는 학 문.
[2] 조직신학의 구조 (교의학의 구분)
① 서론 ②신론 ③ 인간론 ④ 기독론 ⑤ 성령론 ⑥ 구원론⑦교회론 ⑧ 종말론 ⑨ 삼위일체론 ⑩기독교 윤리를 포함하기도 한다.
[3] 신학의 개념
신학이란 절대적 존재인 하나님에 관하여 사람이 이해한바를 조직적이고 논리적으로 표현한 체계를 의미한다.
[4] 신학의 목적
성서를 통하며 주시는 복음의 내용, 즉 신언의 내용을 사람에게 알게하여 그들이 구원에 관한 진리를 알고 예수를 믿어 구원을 체험하고 하나님의 백성이 되어 행복하고 보람있는 삶을 살도록 하는데 있다.
[5] 신학의 기능
① 실존적(교회적)기능 : 신학은 교회의 기능이다. 신학은 교회에 봉사해야한 다. 바르트는 신학은 신앙하는 행위, 즉 기도하는 자 세로 할때 가능하다고 함.
재생(재생산)의 기능
신학의 생산적(재해석)의 기능
합리적 기능
개혁자들의 신학의 3가지 모토
① 오직 성서
오직 은총
오직 믿음
[6] 신학의 근거와 규범
①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그것은 하나님 말씀이기 때문이다.
예수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자기계시 이기 때문이다.
십자가 사건이다.
[7] 신학의 대상과 방법
(1) 대상 : 신학의 본질적인 연구대상은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이루기 위 해 활동 가운데 있는 하나님과 이 하나님과 관계된 인간과 그의 세계를 지칭한다.
(2) 방법 : 위로부터의 방법 : 하나님으로부터 시작→인간의 문제를 다루는 전통적 방법(몰트만,바르트)
아래로부터의 방법 : 세계안에 있는 인간의 경험,종교적 감정이 나 실존적 문제를 분석하므로서 시작→하 나님 존재와 기독교 진리를 논하는 방법. (틸리히)
[8] 신학의 통일성
신학의 각 분야들은 하나님의 말씀,곧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연구하고 이 에 근거하여 그리스도교의 신앙과 교회의 삶의 제반 실제적 문제들을 다루 어 나가는 여기에 하나님의 통일성을 가진다.
[9] 신학의 과제
(1) 신앙을 위한 과제
(2) 교회를 위한 과제
(3) 성서적 과제
① 반복적 과제 : 이것은 성서에 기록된 진리의 순수성을 지키고자하는 과 제이다. 신학은 성서의 반영이며 반복이다.
창조적 과제 : 이 과제는 성서의 사실과 그 시대의 상황과의 관계성을 중요시 한다. 그리하여 성서를 오늘 우리 시대에 있어서 하나님의 "살아있는 말씀"으로 체험하고자 한다.
(4) 기독교 진리의 변증을 위한 과제
(5) 학문적 과제
[10] 신학의 학문적 특성
신학이 신야이라는 전제를 가지면서도 학문성이 부인되지 않고 신야의 대 상인 하나님과 인간과의 실존적인 관계성을 가지는 인식의 학문성이라는 데 신학의 특수성이 있다.
[11] 신학과 과학의 관계
(1) 과학
① ·과학의 방법은 분석적 실증적이다.
·자연법칙 발견후 이용하여 인류생활과 다가오는 재난의 미연방지에 도움을 준다.
(2) 신학
① ·현상 또는 사건의 이유를 묻고 동시에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묻는 다.
·외부적인 도움이 아니라 정신생활과 영적생활에 도움을 준다.
[12] 신앙과 이성의 관계
두 가지 견해가 있다.
① ·이성주의자 : 이성이 독자적으로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신앙주의자 : 신앙한 것을 이해하는 방식으로만 이성을 가질수 있다고 함. 즉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신앙한다는 것이다. 신앙주 의자라고 해서 이성이 완전히 무능하다고는 하지 않는다. 이성이 자율적인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즉 계시없이 능동적으로 발견한다고 하는것에는 반대한다.
[13] 조직신학과 성서신학의 관계
조직신학은 성서신학에 의존하면서도 독자적인 입장을 취함.
성서신학 : 단편적,분석적,귀닙법(구체적→종합적)
조직신학 : 종합적으로 이해,연역적(종합적→구체적)
[14] 신학의 역사 약술
① ·신학의 시작 : 신약성서 기록후부터 (베드로 신앙고백 효시)
·교부 : 성서,예수 그리스도,삼위일체논쟁
·중세 : 신학의 기초는 철학
·종교개혁 : 신학의 기초는 성서
·근대 : 합리주의,자연과학과 타협
·현대 : 자유주의,과학주의,유물,보수,신정통주의
[15] 자유주의,신정통주의,근본주의의 관계
자유주의 : 보수주의와 정반대, 전통에 대한 재해석,가치판단,기준은 자기
신정통주의 : 스콜라 신학에 이은 계몽주의에 반기를 듬. 바르트,브루너 중심, 정통주의 재강조+ 신학의 재해석,어거스틴 칼빈 부흥
운동이라고도 한다.
근본주의 : 19C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프로테스탄트를 지배하고 있을때, 미국의 일부 보수주의자들이 몇가지 근본 교리를 설정하여 지 킬려고 함. 성서의 무오성,예수의 신성,동정녀 탄생,대속적죽 음,육체적 부활
[16] 판넨베르그의 자연신학의 방법론
① 철학적 인간학의 면에서, 현존의 의미성의 면에서, 계시로서 역사의 면에 서 시도된다.
제 2 장 성 서 론
[1] 정경의 기준
① 정경의 내용핵심이 그리스도를 증거하는가?--그리스도 중심성을 묻는다.
사도성 : 사도들이 직접 쓴 것인가? 아니면 그들에게 직접 들은 내용인가? 성령의 내적 증거 : 성령께서 그 내용이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증언하고 있 는가?
[2] 성서의 가치와 권위
성서 형성사를 볼 때 66권이 가장 가치있고 권위있다고 판단 결정
로마 카롤릭 교회 : 성서의 권위는 교회의 권위 밑에 있다고 주장.
로터. 칼빈 : 위의 주장이 아니라 교회가 그 책을 성서로 인정 할 수 밖에 없었던 가치를 이미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교회가 그 권위 를 추후 인정 할 수 밖에 없었다고 주장.
[3] 성서의 신언성
사람의 손에 의해서 사람의 말로 기록되엇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신언이라 고 하는 이유는?
1. 하나님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기자들에게 명령,
2. 하나님 자신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이라른 사실
3. 성서는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
4, 신언 자체이신 예수가 성서를 통해 역사.
5. 하나님이 성령을 통해 성서안에서 역사하신다는 사실
* 대체로 이런 뜻에서 신언이라고 한다.
[4] 성서의 영감설
근거 : 딤후 3:16 성서는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
축자(기계)영감설 : 성서의 기자들이 성서를 기록할 때 성령의 절대적 영향 아래 있었기 때문에 어휘의 선택이나 표현 방법이나 숫 자에 있어서 한글자도 틀리지 않는다.
유기(목적 영감설) : 기록자의 능력, 자질, 환경에 따라 어휘,문장 표현 방법 에서 다양성을 갖게됐으나 성서 전체적으로 유기적 관 계를 가지고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이라해도 무관하다.
[5] 성서의 무오설
성서는 신앙과 인류구원이라는 하나님의 뚯울 멀할때에는 오류가 없다는 것이다.(블로슈)
[6] 성서의 특징
흘라츠,게르하르트,바이어에 의하면 성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권위
① ·원인적 권위 : 성서의 내용에 동위하도록 작용하는 권위
ⓐ 성령의 내적 증거
ⓑ 내적 표시
ⓒ 외적 표시
·규범적 권위 : 신앙과 신학에 있어서 가지는 성서의 규범성
(2) 완전성 혹은 충분성
성서는 구원을 위하여 알아야 할 것을 완전하고 충분히 포함하고 있다.
(3) 명확성 혹은 확실성
성서는 구원을 위하여 필요한 내용들을 명확하고 확실하게 말한다.
(4) 작용성
성서가 가진 구원의 작용성을 말한다.
[7] 성서의 해석사
(1) 구약 시대 : 랍비적 해석 방법(율법서를 매절마다 조직적으로 해석)
(2) 초대 교회 : 알래고리 방법
(3) 중세 시대
① 성서의 무오론 확립
이원적 해석 : 문법적,알래고리적
성서를 교회 또는 윤리생활의 교본내지 율법의 책으로 성격화 하였다.
(4) 종교 개혁자들
·성서 자체가 성서를 해석하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성서 해석 사상 특
이한 방법을 강구함. 설교를 위한 성경 연구
·그리스도 중심적인 해석
· 축자 영감설
(5) 현대신학자
성서를 언어적으로,문학적,역사적,종합적,또는 비판학적으로 해석.
불트만은 성서의 신화적요소를 제거키 위해서 비신화화 방법으로 해석 함.
유형학적 해석 방법 : 구약에는 이미 신약의 내용이 나타나 있는데 구 약의 사건이 신약의 어떤사건의 예표인가? 하는 것을 밝혀 해석하는 방법.
실존주의적 해석 방법 : 성서는 언제나 인간이 당하는 구체적인 삶에 대한 메시지로서 이해 되어야 그리고 이것을 위해서 전이해가 있어야 하며 전이해가 있기 위해서는 양식 비평과 비신화화 방법필요.
[8] 성서관
(1) 초대교회 성서관
초대교회는 여러 이단의 출현으로 성서의 정경화에 박차를 가하여 4세기 후반에 27권을 정경으로 확정하였다. 정경화에 이론적 배경이 된 것은 유수틴 이후 인정된 영감성이며 오리겐 이후 은유적 해석을 통하여 권위 를 인정받았다.
1) 오리겐의 성서의 의미 3가지
① 문리적 의미 : 문법적이고 주석학적으로 축자적 의미
심리적 혹은 도덕적 의미
영적 혹은 은유적 의미
2) 어거스틴의 성서의 4가지 의미
① 역사적 의미
원인적 의미
유비적
은유적 의미로 구분한다.
(2) 종교개혁새대 성서관
① 루터는 은유적 해석을 거부하고 문자적 이해를 주장(4중적 해석 거부)하 였으며 성서는 성서가 해석한다.
교회와 전통이 해석하는 것 거부하고,복음 즉 그리스도가 없는 성서는 성서로 취급하지 않음(야고보서)-성서의 권위강조
복음서 보다 바울서신 가치우위성 강조
성서에 가치의 상위성이 있음을 보았다.
(3) 개신교 정통주의 성서관
정통주의 신학의 성서론은 성서가 하나님의 말씀이며 성서기자들이 성 서를 기록할 때 어휘선택,표현방법,숫자,글자에 있어서도 영감으로 기록 하였다.(즉 축자 영감설 주장)
(4) 계몽주의 성서관
계몽주의시대는 성서를 다른 책과 같이 역사적인 책으로 규정하여 역사 적으로 해석되어야 한
다고 주장함. 성서의 권위는 상실되고 인간이성과 종교적 자기의식이
등장하고 성서 비판적 연구가 크게 발전함.
(5) 현대 성서관(바르트)
종교개혁자들의 성서관 그대로이다. 축자 영감설 입장에서 볼때는 차 이가 있으나 루터교 입장에서 볼때는 차이가 없다.
제 3 장 계 시
[1] 계시의 정의
계시란 지금까지 숨겨져 있었던 것,알려지지 않았던 것을 가면을 벗어버 리고 드러내는 것을말함. 곧 이세상 안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과 근본적으 로 다른 것, 새로운 것, 피안의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이것은 역사의 종 말에 완전히 드러날 하나님의 나라의 비밀인 그리스도를 가리키며 하나님 의 인간 안에 인간이 하나님 안에, 있는 존재 즉 예수그리스도의 은혜의 사건이다.
따라서 기독교 계시는 인간의 실존을 변화하는 사건 곧 예수그리소의 계 시인 것이다.
[2] 계시의 종류
(1) 자연계시 : 하나님이 창조하신 자연과 피조물들을 통하여 자신을 계시 하는 것(이성을 통해 수용)
(2) 초자연계시 : 하나님과 인간은 절대 타자이기에 인간 편에서는 하나님 을 알 수 없고 하나님이 보여 주셔애 일 수 있는데 즉 예 수 그리스도와 성서를 통해 자신을 계시는 것을 말한다. (신앙으로만 수용) 이것을 오늘날에는 일반계시와 특별
계시로 나누는데 일반계시는 보편적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계시하는 것을 말하며 특별 계시는 제한적으로 하나님이 특별히 정하신 사람들에게만 계시하는 것. 그리고 일반계 시는 창조의 목적을 알게하며 특별계시는 하나님의 인간구 원을 알게 하며 그리고 스콜라 철학자들인,부르너,판넨베르 크,틸리히,죤 벨키 같은 학자는 일반계시가 가능하다고 하 며 칼빈,바르트, T.F.토란스,W.니첼,벌콥등은 특별계시만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3] 계시의 필요성
(1) 하나님을 알기위해서다. : 하나님과 인간은 절대 타자이기에 인간의 이성으로는 하나님을 알 수 없고 하나님이 계시해 주셔야 할 수 있다.
(2) 계시가 벗이는 자기자신을 알수 없기 때문
(3) 구원을 얻기 위해서 : 구원의 길은 하나님만 아시기에 계시가 없이는 구원을 얻을 수 없다.
[4] 계시의 내용
㈎ 전통적으로 계시의 내용은 유일한 구원자이신 예수그리스도안에 나타 나는 하나님의 은혜와 이방인들과 유대인들에게 나타나는 하나님의 분 노로 대별되는데 구체적 내용은 예수그리스도를 통한 인간성의 계시
㈏ 신성계시
㈐ 하나님의 새로운 세계
㈑ 약속으로서의 계시
[5] 계시의 의미
신약성서에 있어서 "계시"라는 말은 지금까지 숨겨져 잇던 것이 나타나는 것을 뜻한다. 또한 "너울을 벗는다"는 의미와 인간의 힘으로 도달할 수 없는 것이 인간에게 전달되는 것을 뜻한다.
(1) 종말의 새로운 것이 나타남으로써의 계시
(2)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계시
(3) 하나님의 행위 은혜의 사건으로서의 계시
(4) 구원의 사건으로서의 계시
[6] 자연신학과 계시신학
계시신학 : 특별계시인 성서에 기록된 예수그리스도의 계시로만 하나님을 알 수 있다는 주장으로 대표자는 바르트를 들 수 있다.
자연신학 : 일반계시 즉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 시를 알 수 있다는 주장으로 대표자는 브루너
[7] 계시와 이성
계시와 이성의 관계는 성서에 언급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또한 관심을 가 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복음이 희랍사상이 지배하는 세계로 들어오면서 이 두 관계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계시와 이성의 관계를 가장 깊이 연구한 학자는 어거스틴이었으며,어거 스틴의 영향을 받아 중세기는 계시와 이성의 종합체계를 형성하였다. 그 러나 종교개혁은 중세기의 <종합의 체계>를 거부하고 하나님과 인간,신학 과 철학,계시와 이성을 엄격히 구분하였고 멜랑히톤은 분리된 양자를 서 로 종합시키고자 꾀하기도 하였다.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은 20세기 전반기의 신학 특히 바르트를 중심으로 한 신정통주의 신학 역시 계시와 이성을 엄격히 구분함으로써 격열한 토의의 대상이 되었다. 이뭏튼 계시 에 대한 신앙은 이성의 인식을 필요로하며, 이성의 인식은 계시에 대한 신앙을 필요로 한다.
[8] 계시에 대한 역사적 고찰
(1) 초대교회 시대 : 성서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만을 인정하고 자연계 시는 거부되었다.
(2) 정통주의 : 일반적 자연계시와 특별한 초자연 계시로 구분
(3) 계몽주의 : 하나님의 일을 통한 간접적 자기 계시 독일관념론은 하나님 의 직접적 자기계시에 강조점.
(4) 바르트의 계시이해 : 삼위일체 사건으로 이해하여 성부를 계시자, 성자 를 계시,성령을 계시의 능력(전달내용)으로 표현하 였다.
(5) 판넨베르그의 계시 :일반계시와 초자연 계시를 구분하지 않고 역사적으 주장하는데 (역사 속 계시) 그리스도의 계시는 초 자연적 계시가 아니라 역사로서 일어나는 모든 계 시의 전체.
제 4 장 신 론
[1] 성서의 신관특징
① ·근원적인 다른 존재로서 전적타자
·초월,거룩,우월하신 하나님이시지만 인간과 관계하고자 하는 하나님.
·사랑과 공의의 하나님
· 역사의 하나님
· 구체적인 사역을 하시는 분
· 창조의 하나님
⑦· 철저한 유일신관
[2] 신인식론
신인식론이란 : 신을 알수 있는가? 알 수 있다면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신인식의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피조물을 통한 신인식과(자연적 신인 식) ② 계시를 통한 신인식(계시적 신인식)이다.
(1) 피조물을 통한 신지식
① ㈎ 존재론적 증명(안셀름) : 신의 관념이 신의 실제와 직결,인간은 신 관을 생득적으로 갖고있다.(신무한히완전한 존재) 따라서 신은 존재한다.
㈏ 우루론적 증명(토마스 아퀴나스) : 모든 결과는 원인에서 기인한다. 우주 최초 원인이 신이다. (최초 원인 정신 : 유심론)
㈐ 목적론적 증명 : 세상의 질서를 결정하는 세계 밖의 어떤존재가 신 (우주 론적 방법 더 확대)
㈑ 도덕론적 증명(칸트) : 인간에게는 누구나 도덕적 현상이 있다. 신 은 도덕법의 기초다.
선은 지고선에서 왔고 그 지고선이 곧 신이 다. (도덕법주관:신)
㈒ 역사적 증명 ; 신관념은 모든 인류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역사 가 증명한다. 그 관념을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것은 신이 실재한다는 것을 말함.
(2) 계시를 통한 신지식
① ㈎ 성서를 통한 신지식
구약성서 : 출애굽 사건을 통해 모세에게 나타난 신은 인간이 가까 이 갈 수 없는 신. 이스라엘 사람에게 알려진 신은 우주 의 창조자, 주관자.
신약성서 : 숨겨진 야웨신이 분명히 계시,공관복음,신국과 예수의 나타나심 결부.
요한: 예수가 곧 신의 계시자다. 신자신이다.
㈏ 그리스도를 통한 신지식]
야웨와 예수그리스도의 관계,처음부터같이 계셨다. 예수를 통한 신 지식을 취득하는 방법은?
(1) 그리스도를 보고 믿고 그 안에 거함.
(2) 이성의 논리가 아닌 신앙의 논리
(3) 지식과 사랑을 결부(하나님의 사랑을 예수그리스도 통해 이해)
(4) 예수그리스도와 일치를 시킴으로써(길,진리,생명)
* 신지식은 예수그리스도 통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3〕존재 자체로서의 신
모든 존재는 그 존재의 원인과 근거를 타자에 의존,피조물(불완전,유한) 성서는 하나님을 출 3: 14에서 "스스로 있는자" 틸리히-신은 모든존재의 근원,존재 자체라고 부른다. 아리스토델레스,토마스 아퀴나스-신은 제 1 원인이며 타자로부터 그의 존재를 받는것이 아니라 존재자체다.
존재 자체란 무엇인가? (틸리히)
1. 하나님은 자신의 존재 근원을 자신안에 가지고 있다. (스스로 존재 : 자존성)
2. 하나님은 완전한 존재란 의미다.(절대적 완전)
3. 하나님은 자족적 존재다.(무엇이 필요치 않음) 부족한 것이 없다.
4. 하나님은 모든 존제의 근원이 되신다.(무 → 우주만물 창조)
5. 하나님은 모든 존재의 존재목적이 된다.(인간의 목적 : 가치있는 삶 → 목적적)
결론 : 야웨는 존재자체로서의 본질을 갖고 계시고 모든 피조물과 밀 접한 관계를 가짐.
〔4〕 신의 본질 (영성,자존성,광대무변성,영원성)
영성 : 비물질적이고,무형체적 존재,불가시적 존재,살아계신분(생명,영생 의 근원),인격적인 존제.
자존성 : 자신 안에 존재의 근거를 갖고 계심.
광대무변성 : 공간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신의 무한성 의미,하나님은 모든 곳에 본질 그대로 존재하고 전체로서 존재한다.
영원성 : 시간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무한성 의미, 시간제약 받 지 않으면서 구체적 관계 가짐.
〔5〕 신의 섭리와 사역
(1) 섭리 : 예견한다.(Provideo)의 뜻, 미리 아시고 보시고 대책을 세운 다는 뜻. 신의 모든 권능과 속성을 가지고 장차 일어날 모든 일들을 신의 뜻에 맞게 일어나게 하신다는 뜻.
① 유지 : 그가 창조한 사물을 그가 그것들에게 수여한 속성과 능력과
함께 지탱하시는 하나님의 사역을 말한다.
동반 : 그의 모든 창조물과 협력 하시어 그들로 하여금 그들의 일을 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사역이다.
인도 : 하나님이 목적을 달성하도록 사물을 합목적적으로 지배하시 는 하나님의 계속적인 활동을 말한다.
(2) 섭리론의 종류
① 일반섭리 : 세계 전체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
특별섭리 :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
가장 특별한 섭리 : 선택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
일상섭리 : 자연의 법칙에 따라서 즉 제 2원인을 통해서 하나님이 역사 하시는 섭리.
비상섭리 : 제 2원인을 통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이 직접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섭리.
(3) 사역
하나님이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어떻게 행하시느냐 하는 것을 설명 하려는 교리.
ⓐ 일회적 사역
창조사역 : 전능하시고,영원하시고 공의로우신 야웨 하나님의 완전한 사 역.
창조사건 이후 일어나는 모든 현상은 이 사역의 결과로 발전
십자가사역 : 인류 구원의 모든것이 일회로 충족됨.
(가톨릭은 미사(성만찬)가 속죄의 계속적 사역임을 말한다.)
ⓑ 계속적 사역
하나님이 만드신 피조세계를 한시라도 버려두지 않으시고,언제든지 계 속해서 감시하고,도와주시고,인도하시는 사역.
[6] 하나님의 속성
본질이란 : 하나님 자신과의 관련된 부분
누구도 흉내낼수 없는 속성을 말한다. 피조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절대적인 속성.
속성이란 : 하나님이 인간과의 관련된 부분.
인간이 하나님과 비슷하게나마 가질수 있는 보편적 속성.
㉠ 비공유적 속성(절대적 속성)
자존성,무한성(절대완전성,영원성,무량성),불변성,유일성(단수성,단 순성)
㉡ 공유적 속성(보편적 속성)
영성,지성적 속성(하나님 지식,하나님 지혜,하나님 진정성),도덕적 속성(선,거룩,의)주권적 속성.
(1) 하나님의 절대적 속성(하나님의 본질
①ⓐ 하나님의 자존성 :하나님은 그 자신으로부터 나온다. 그러기에 그는 변 하지 않는다.
ⓑ 하나님의 불변성 : 하나님은 절대적으로 변하지 않 는다. 그러나 부동 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하나님의 무한성 : 제한이 없으신 하나님이시다.
㉠ 절대적으로 완전하신 분이시다.
㉡ 시간에서 영원하신 분이시다.
㉢ 공간적으로도 영원하신 분이다.
④ 하나님의 통일성 :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유일하신 분이시다.
㉡ 내적으로 분활이 없다.
⑤ 창조자 : 무에서 유를 창조하신 분이시다.
(2) 하나님의 보편적 속성
① 거룩하심 : 하나님이 거룩하다 할때 2가지 뜻이 있다.
㉠ 하나님께서 그의 피조물과 절대적으로 다르다.
㉡ 도덕적 악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② 의로우심 : 의로우심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인간에게 법을 주시고 지키는 자에게는 상,어기는자에게는 벌을 주신 다는 법을 주셨다 는 것이다.
㉡ 상을 주시되 인간의 절대 목적이 아니라 약속에 따른 상을 주신다.
㉢ 법을 어긴자는 벌하신다.
③ 사랑 : 아가페를 말한다.
㉠ 은총과 은혜를 통해서
㉡ 자비와 긍휼을 통해서
㉢ 오래 참으심으로 나타난다.
④ 지식과 지혜
㉠ 지식 : 원형적,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
㉡ 지혜 : 어떤상황에서 주어진 지식을 가장 잘 활용할 지식
⑤ 진실성 : 하나님이 진실하다 할 때 무엇을 의미하는가
㉠ 참 하나님을 말함.
㉡ 하나님은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
㉢ 하나님은 사물을 그 사실 그대로 아신다.
㉣ 약속을 기억하시고 그가 맺은 언약을 다 이루신다는 것을 의미
⑥ 전능하심
하나님께서 모든것을 다 하신 것을 의밓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비로 결 정하신 것을 무엇이든지 다 이루신다는 것이다.
〔7〕 존재를 부정하는 견해
(1) 무신론
실제적 무신론 : 종교를 무용지물로 보고 사는것.
이론적 무신론 : 공개적으로 무신론 주장.(맑스,포이에르바하,하이데거)
(2) 불가지론 : 인간의 지식을 상대적 불확실한 것으로 봄. 만물의 본질이나 실 재의 참 모습을 인식할 수 없다고 주장.
인간 경험을 초월하는 문제에 대해 결론을 보류,거부함.
① 회의론 : 보편적 인식의 성립은 부정-지식을 경험한 사실의 범위 안에서 한정함.
② 불가지론
콩트의 실증주의 : 실험,실증되는 예실이 아닌 것은 부정.
·J.듀이의 실용주의 : 경험 중시,하나님의 궁극적 실재에 대한 인간의 이 성한계 인정.
·다신론 : 단일신론에서 발전.
(3) 범신론 : 자연과 신이 같은 것으로 곧 자연의 모든것이 신이다.
유물론적 범신론 : 물질이 생명과 정신적인 것들의 원인.
물환론 : 물질의 작은 부분이 물질의 속성 외에 생명의 원리를 가지고 있다.
중립론 : 궁극적 실체는 정신도 물질도 아닌 중립적인 것.
(4) 이신론(Deism)
유물론 세속주의에 대항하여 호교적 목적으로 일어남.
하나님은 우주를 창조,자연법칙을 주어 운행되도록 자신을 초월.
신은 자연에서 완전히 초연해 있다고 함.
# 범신론: 하나님의 내재성 강조.
# 이신론: 하나님의 초월성 강조.
(5) 부정신학(Theologia Negative)
"우리는 신을 절대자요,창조자요,영원자로 믿는다. 그러나 우리 눈으로 직접 볼 수는 없다.
따라서 어떤 신학이던 신을 알거나 확신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갈망을 풀 어준 사건이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이다. 그러나 상대적이며, 죄인인 인간은 직접 신을 볼 수 없다. 인간의 언어로 절대자이신 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표현이 불가능하 다. 따라서 인간은 신에 대하여 "아니다","모른다",라는 말로 표현한다.
부정신학 처음 도입: Origen희랍 철학 영향,신→절대자,한분으로 생각.
합리적 이론으로 봄. 그리므로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을 동일성으로 봄. 그는 부정을 통한 신지식이라고 한다.
〔8〕창 조
(1) 창조의 이설
① 이원론: 이 세상에 두가지 원리(신적,물질)가 존재했다. 즉 신적인 것에 병행하여 물질이 있었다. 이 두가지가 합해져서 세상이 창조되 었다.
주장 이유: 무로부터는 무밖에 나올 수 없기 때문에
② 유출설: "세계라는 것은 필연적인 신적 유출이다."라는 것이다. 세계는 하나님의 현상적인 현상적인 현시이다.
③ 진화신학(진화론): 부록 참조
④ 유신론적 진화론: 진화의 출발점은 하나님의 창조에서 시작되고 그 다음 에 진화의 과정을 통해서 세상을 창조해 나갔다고 하 는 것.
(2) 창조의 목적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기 위해서(사 43:7,60:21,61:3,눅 2:14 등)
(3) 창조사역
㈎ 창조교리의 의의
㉠ 하나님이 직접 창조자의 위치에서 그의 계획대로 모든 피조물을 창조 하셨다.
㉡ 창조주 하나님이 모든것의 창조주라는 것을 의미한다.
㉢ 하나님이 창조했기 때문에 모든 계획과 섭리에 따라 통치하신다.
㉣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는 특권이 있 음.
㉤ 창조의 목적-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 무로부터 창조의 의미
㉠ 아무것도 없는데서 유를 창조.
㉡ 모든 소유는 하나님의 것
㉢ 모든 존재의 생의 목표가 야웨 하나님이시라는 뜻
㉣ 하나님의 완전한 자유가 전적 섭리를 뜻한 것이다.
㈐ 인간 창조: 하나님의 형상
(4) 창조 신앙
㈎ 시작을 가진 세계
세계는 하나님과 다른 존재다. 세계는 무로부터 있게 된것이요,하나님께 서 지으신것 곧
하나님께서 지으신것 곧 하나님의 피조물에 불과하다. 시간도 창조와 함 께 있게된 것임.
㈏ 세계의 비신격화
하나님은 세계를 신적인 것으로 창조하지도 않았지만 반신적인 것으로 창조 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자기자신과의 일치성과 평화속에서 그의 계 획에 따라 그의 행위에 무대와 도구로 그의 기쁨의 대상으로 그리고 그 의 기쁨에 참여 하도록 창조하였다. 창조신앙으로 세계를 비신화시키며, 비신격화시킨다.
㈐ 하나님이 긍정한 세계
세계는 무의미에 내맡겨진 세계가 아니라 하나님이 긍정하신 세계이며 하나님의 파트너이다. 세게에 대한 하나님의 긍정이 세계의 영속성을 형 성한다.
㈑ 하나님 앞에 서있는 세계
하나님은 세계앞에 세계와 대칭하여 서 있고, 세계는 하나님앞에 하나 님과 대창하여 서 있다. 하나님은 세계 속에서 언제나 내재하며 있는 것 이 아니라 세게앞에 계시면서 성령 가운데서 이 세계 안으로 오신다. 그리고 그는 이 세계 속에서 새로운 것을 불러 일으킨다.
㈒ 개방된 역사로서의 세계
기독교의 창조신앙은 고정된 세계관을 거부하고 세계를 역사로 이해한 다.
제 5 장 삼위일제론
〔1〕삼위일체 교리
삼위일체론이란 하나님은 본질적 존재에 있어서는 한분이시나 이 한분 안 에는 성부,성자,성령의 삼위(세인격)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신적인 본질이 세인격안에 있다." 또는 "하나님은 하나의 본질이며 세인격 안에 있다."라는 명제로 표현할 수 있다.
그 역활을 보면
①㈎ 성부 : 창조,역사종말,심판과 신국완성
㈏성자 : 역사 안에서 구체적인 인체를 가지시고 나타나 십자가를 지시 고 죽으시고 부활하심.
㈐ 성령 : 그리스도가 승천하시 후 세상에 남아서 그리스도 복음을 전하 는 신도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역사하시며 그의 몸된 교회를 성장시키신다.
교회는 삼위일체가 사람의 이해를 초월하는 신비적이라고 고백한다.
삼위일체사역에는 두 가지 (내재적 삼위일체사역,경륜적 삼위일체사역)가 있으며 세 인격들을 표현하는 전통적 개념을 정유와 순환의 개념이 있다.
〔2〕삼위일체론의 의미
1. 성부,성자,성령이 모든면에서 동일하다.
2. 성부,성자,성령은 신존재 시작부터 삼자 관계를 갖고 존재한다.
3. 삼위는 각위가 하는 일이 구별되어져 있다.
4. 삼위는 동시적으로 사역한다.
성부,성자,성령이 시간적,능력적,서열적으로 인간과의 관계에서 완전하나,기 능을 발휘할 때 양태만 다르게 나타난다.
〔3〕삼위일체의 타당성
1. 제자들의 체험과 고백,성서의 증언
2. 논리적 가능성
3. 성령의 사역
〔4〕삼위일체의 의의
삼위일체는 무엇때문에 형성되었고,무엇을 말하는가?
(1)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구원의 사건에 있어 하나님의 하나되심을 고백코자 한다.
(2) 성령을 통하여 오늘도 일어나고 있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님이 하나되심을 고백.
(3) 예수그리스도 안에 나타나서 활동하는 하나님이 오셧음과 현재적 오심 과 미래에 오실것임을 동시에 고백.
〔5〕삼위일체의 형성과정
(1) 배경
㈎ 유대교의 전통을 이어받아 기독교는(유대교-로마적 경향(통일성 강 조),희랍적-아리스토텔레스적 경향(다양성 강조) 유일신론적 신앙을 가져왔다. 십계명중 제 1계명은 절대 불변의 신앙조항으로 믿어왔 다.(예수 제자들,Paul도 그렇게 가르침)그런데 문제는 "예수 그리스
도와 성령"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있었다.
처음문제는 말키온부터 시작→영지주의 영향→예수가 가르친 사랑 의 신만 강조.
㈏ 다음에 일어난 반 삼위일체론은 "군주신론자"들에 의해 강조(통일 성 강조)→이단규정됨.
동력적 군주신론(데오도투스,사모사타의 바울)
야웨신의 유일신성을 강조,예수그리스도는 본성적으로 신이 아니 라 신적 능력이 주어져 이적기사를 실천했다. 그 결과로 보아 신 적 존재라 부름,본성은 신이아닌 인간이었다.
종속적군주신론(노에투스,프락세아스,사벨류스)-양태론-야웨신은 본체를 가진 존재이나 아들과 영은 본체가 없고 형용사적으로 말 할 수 있다.
㉠ 이위일체론: 성부수난설(삼위일체 대신)
구속사역은 성부성자가 하나가 되어 성취했다고 주장.
㉡ 양태론: 삼위는 별개의 실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현현 양태 만 의미. 본질은 한 분 하나님,세 인격은 한 하나님 의 활동양식으로 격하.
(2) 초기 논쟁(삼위를 강조한 견해)
① ㈎ 경세적 삼위일체론(Economic Trinity)
종속개념(아리우스,군주론)을 반대하고 세위가 가진 고유기능을 강 조하는 주장.
터툴리안 : 신의 통일성을 강조 동시에 삼위의 기능을 인정하려는 견해.
이레니우스 : 성육신 사건의 중요성 강조,삼위의 고유한 위치와 기 능 강조. (삼위의 본성적 통일성을 충분히 강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후 신학사에 영향이 적음.)
몰트만에 의해서 사회적 삼위일체론으로 재현(각광을 받은 경향이 있다.)
㈏ 사회학적 삼위일체론
하나님의 존재방식이 인간역사 고난에 참여 하는 방식.
㉠ 몰트만
하나님: 아들을 내어줌으로 "인간고난에 참여하는 주권자"
아 들: 성부에 순종하므로 "인간고난에 참여자"
성 령: 희망 속에서 "통합하는
그는 "희망의 신학"을 종말론의 관점에서 이해,하나님 나라 실 현 위해 세계변화 촉구.
㉡ 오리겐
영원한 산출 : 아버지오하 아들의 절대동등(아다나시우스,알렉산 더)
종 속 : 제 2의 하나님(아들) (아리우스)
㉢ 아리우스
성부가 성자출생(첫번 피조물),성자가 성령출생9성자의 첫피조 물),성자,셩령의 신성부인.
(3) 중기 논쟁
㈎ 니케아 회의(325)
아리우스 : 종속 사상 영향
알렉산더 : 영원한 산출 영향→하나님과 예수그리스도 본질상 동질.
알렌산더→아리우스 정죄 "예수그리스도는 아버지와 한 본질이다. 알렉산더 후임으로 아다나시우스 등장.
아다나시우스→삼위일체론적 도식 완성.
후에 아리우스 득세,아리우스 분열과 "카파도기아"의 3교부(바실리 우스(329-379),닛사의 그레고리,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 카파도기아의 제 3교부에 의해 삼위일체가 옴.
㈏ 알렉산드리아 회의(362)]
아리우스 성령은 성자의 피조물 언급,아다나시우스 회의 소집 "성령 은 성부와 동질" 언급, 성령위치 확고히.
㈐ 콘스탄티노플 회의(381)
"성령은 아버지와 동질이다." 알렉산드리아 회의 확정
삼위의 상호관계에 있어 "성부에 의해 성자,성부에 의해 성령 출생" 공식선언 논쟁 끝.
㈑ 톨레도 회의(589)
아들로부터 동.서방 교회 분열의 불씨
동방: 성령이 아버지에게서
서방: 아들에게서 나온다.
㈒ 동방 다메섹의 요한
동방 삼위일체교리 완성
㈓ 어거스틴(본성적 삼위일체론) 400-416
어거스틴 이전 "힐라리"는 로마를 중심한 서방교회에서 아리우스 그리스도론을 강력히 비판하고 가장 균형잡힌 삼위일체론 "신의 본
성적 통일과 기능적 삼위성을 강조하는 삼위일체론"을 주장했다.
1. 성부,성자,성령의 본성적 동일성 강조 동시에 삼위의 본성적 독 립성 강조.
2. 삼위는 본래 삼위의 이름으로 상호관계성하에 존재하면서 인간과 의 관계에서 삼위로 나타난다.
3. 창조시 성자,성령 동참. 구속시 성부와 성령동참,교회시 성부와 성자 동참.
(4) 종교개혁 이후
㈎ 알미니안 : 종속 교리를 다시 주장. 성부는 질서나 위엄,능력에서 2개의 신보다 앞선다.
㈏ 헤 겔 : 성부-지체안에 있어서의 신,성자-자신을 객체화 한 신. 성령-자신안에 되돌아온 신
㈐ 슐라이에르 마허 : 삼위는 하나님이 가진 상이다.
성부 : 모든것의 기초가 되는 통일체로서의 하나님.
성자 : 인간안에 인격체로 오시는 하나님.
성령 : 교회안에 살아계시는 하나님.
㈑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그의 삼위일체론의 기준은 계시에 있다. 즉 삼위일체론은 예수그리 스도의 계시(기독론)로 부터 시작한다.
㉠ 종속설의 거부이다: 세 요소는 하나님의 신족 존재안에 더하거 나 덜하지도 않는다.
㉡ 양태론의 거부이다: 삼위는 아버지와 함께 신적 존재이다.
따라서 그의 삼위일체론은 그리스도론 적이다.
㈒ 몰트만의 삼위일체론
전통적인 삼위일체 방법론은 하나님은 한분이시며 어떻게 세분이 되시는가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몰트만은 이 전체가 잘못되었다고 하며 세분 하나님이 어떻게 한분이 되느냐고 묻는다면 그답이 나온 다고 하였다. 즉 몰토만은 하나님이 한분이라는 것은 숫자상의 하나 가 아니라 만장일치로 하나라는 것이다. 그는 이것을 헤겔의 사랑의 정의로 대답했는데 하나님은 세분이시면서도 사랑때문에 만장일치로 하나가 된다는 것이다.
㈓ 자유주의자(유니테리안주의)
·예수는 신적인 교사이다. 성령을 내적인 하나님과 동리시.
·삼위일체를 거부함.
⑦ 소지니안파
유일신 강조
예수는 인간이다.
〔7〕삼위일체의 사역
삼위일체의 사역을 내재적 삼위일체의 사역과 경륜적 삼위일체의 사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1) 내재적 삼위일체(본질의 삼위일체)의 사역은 세계가 창조되기 이전부터 영원히 자기 자신안에 계신 하나님의 사역 즉 아버지가 아들을 낳았고 아버지와 아들은 성령을 낳았다는 것을 뜻하며
(2) 경륜적 삼위일체(계시의 삼위일체)의 사역은 하나님의 구원의 경륜에 있어서 일어나는 하나님의 사역 즉 성부의 창조,성자의 구원,성령의 성 화를 말한다.
〔8〕삼위일체론에서 점유와 순환
각자의 고유성을 가지는 동시에 상호 관계속에 있는 신적인 세 인격들의 내적인 일체성과 일체성 속에 있는 세 인격들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전 통적 개념을 점유와 순화의 개념이라 볼 수 있다.
(1) 점유
㈎ 신적인 세 인격들의 속성과 사역은 각 인격에게 점유내지 귀속된다 는 것이다. 즉 창조의 주체는 성부이지만,성자와 성령도 창조자 하 나님이요,구원의 주체는 성자이지만,성부와 성령도 구원자 하나님이 요,성화의 주체는 성령이지만 성부와 성자도 성령의 하나님이다. 그러나 이 공동의 사역들은 각 인격에게 점유 내재 귀속된다는 것 이다. 그러므로 정유의 개념은 일체성 속에 있는 세 인격들의 구분 성을 말하고 있다.
(2) 순환
텔(페리코레시스),라(Circumcessio)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요한네스 디 마스체누스가 첨음으로 말함. 신적인 세 인격들은 서로 구분되어 있으 나 서로 다른 인격들에 참여하고 그들의 삶 속에서 침투하여 하나의 순환 운동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제 6 장 예 정 론
성서는 하나님의 절대성을 강조,동시에 하나님이 인간 구원도 자기의 뜻에 따라 수행.
1) "예정 신앙"은 신이 우리의 구주되시고,우리는 그의 은총에 의해서만 존재한 다는 은총을 강조한 신앙.
2) 선택론,숙명론,운명론,결정론 아닌 그리스도론적 신앙고백이다.
3) 인간의 조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일방적인 은총의 역사.
〔1〕성서가 가르치는 예정론의 특징
(1) 신구약은 분명히 신의 예정역사를 가르친다.
(2) 인간에게 벌을 주거나 멸망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 에 의해서 인간에게 구원을 주시려고 하는 은총의 역사다.
(3) 예정과 선택은 그리스도안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예정은 우리에게 구원에 대한 확신을 준다.
〔2〕예정신앙의 불가피성
(1) 현재 자기가 그리스도안에서 구원을 얻고 있다는 실존적 자아 의식에 서 나온 현실의식이라는 것이다.
(2) 신의 창조성과 절대성을 강조하는 보조적 역할을 하는 교리이다.
(3) 신의 은총의 절대 필요성과 그것의 불가항력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 긴 사상이다.
(4) 더 강한 윤리적 충동을 산출한다.(펠라기우스,에라스무스,피기우스는 예 정론 오해)
(5) 신앙고백의 하나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상적으로나 논리적으로나 생각할 것이 아니라 구체적 경험적으로 자기의 신앙을 검토해 볼때 모든것이 신으로 부터 나왔다는 확신에서 예정신앙이 생기게 된다.(Paul의 신앙이 하나의 표준이된다.)
〔3〕예정론의 역사
(1) 어거스틴
전 제 : 인간의 구원은 신의 은사이다.
자유의지 강조,그러나 자유의지는 신이 주신 은사이다.
신의 영원한 목적은 각 개인에 대한 구원→개인을 일일이 예정하셨다. (강한예정)택함 받은자와 받지 못한자,신이 구별하심.
택 함 : 영원적 부터 고정.
(2) 어거스틴.펠라기우스의 논쟁
어거스틴: 하나님의 예정,불가항력적 은총,아담은 죄로 죽음,원죄(유아 도 죄가 있다.) 유전강조.(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
펠라기우스: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구원,아담은 죽은자로 태어남. 원 죄유전을 부정. (믿음과 율법으로 구원)
논쟁 결과:에베소 회의(431) 펠라기우스 이단으로 처단.
434 빈센트 어거스틴 주장(하나님의 은혜 거부 포함)
529 오렌지회의: 불가항력적 은총의미
(3) 토마스 아퀴나스
예정중시,어거스틴 식,예정원인은 사랑(제 2원인,자연적 원인)
(4) J.칼빈
㈎ 예정을 반드시 구원문제와 연결시킴. 소명이 선택의 증거→그리스도 를 주로 고백.
㈏ 어거스틴의 예정론을 조직적으로 발전시킴.
㈐ 설교의 대상에서 구별,성서안의 예정사상 소개
이중예정 : 하나님은 태초부터 그가 원하는대로 어떤자는 구원,어떤 자는 멸망으로 예정.
반 대 : 영생과 영벌로 구별되어 졌다면 설교할 필요가 어디 있 겠는가?
(5) 알마니안주의 예정론
조건적 예정 주장.
(6) 현대자유 주의자
예정론을 결정론이라 하여 배격한다. 바르트만은 칼빈과 가까울뿐이 다.
성경 어느 곳에서도 이중예정론을 발견할 수 없다고 함.
(7) K.바르트
㈎ 예정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보여줌(그리스도론적이다.)
① 과거의 은총선택 교리가 영원전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으로 이루어 짐을 간과함(그리스도를 고려않는 신의 권능)
㈏ 예수그리스도 안에 계시되지 않은신 : 예수그리스도를 선택자로,사 건통해 예정역사 구체화(결정사상파괴)
㈐ 공동체의 선택이란 의미는 신의 백성을 계약과 대상으로 삼은 사건 이다.
㈑ 개인의 선택은 은총으로,생명으로,우리가 예수그기스도를 끝까지 믿 음으로 그리스도안에서 그리스도의 존재에 동참함으로 그리스돌의 선택안에서 우리가 택함을 받음.→세계도 관심의 대상.
(8) 칼빈과 알미니안의 논쟁(암스테르담:화란,칼빈의 예정론 비판)
칼빈 : 인간의 전적 타락,무조건적 예정,제한적 선택,불가항력적 은총, 성도의 견인(하나님 끝까지 보호)
알미니안 : 자유의지,예지예정,무한선택,가항적은총,성도의 보호 불확실.
논쟁결과 : 도르트 회의(튜울립 선언),알마니안 국외추방,칼빈신조채택, 도르트신조(웨스트민스터 영향)
〔4〕이중예정론
하나님께서는 창조이전에 어떤 사람을 구원과 영원한 생명으로 예정하였 으며,다른 어떤 사람은 저주와 죽음으로 예정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 고 이런 하나님의 결정을 절대적 결정이라고 한다.
〔5〕하나님의 역사
(1) 하나님의 작정 : 장차 발생할 일체의 사건들을 미리 정하시는 하나님의 계획(모든 피조물에 대하여)
(2) 하나님의 예정 : 예정은 모든 이성적 피조물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을 말한다.(인간,천사의 대한 하나님의 계획) 전통주의 예정론
* 칼빈과 어거스틴의 예정론은 절대적이고 이중적인 예정론이다.
㈎ 절대적 예정 : 인간에게 계획은 세울때는 하나님의 자신의 주권만으 로 계획 하시는 것.
㈏ 이중적 예정 : 선택을 예정하는 동시에 유기를 예정하신다는 것이다.
선택이란 :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일정한 수를 택하며 구원얻는자가 되 게 하는 하나님의 영원한 행위
유 기 란 : 하나님께서 어떤 인간들을 간과 하시기를 결정하시고 그들의 죄는 벌하시기로 결정하시는 하나님의 작정이다.
여기서 바르트는 이중 예정론을 특이하게 계시한다. 선택과 유기가 인간 을 위해서는 선택이 예정,하나님 자신을 위해서는 유기가 예정되었다.
전택설 : 선택과 유기의 작정이 창조와 타락 이전에 이미 작정하였다는 것.
장 점 : 하나님 주권강조된다.
후택설 : 창조와 타락 작정하신후 선택과 유기의 작정을 하셨다는 것.
장 점 : 창세기에 나오는 순서를 가진다.
제 7 장 신 정 론
신정이란 하나님의 의인내지,정의를 뜻하며 이 개념이 제기하는 문제는 이 세계의 악의 현실 앞에서 하나님이 과연 어떻게 의로운 분이라고 불릴 수 있 겠는가의 문제이다.
(1) 루터 : 악은 선을 위하여 있다.
하나님은 악을 통하여 선을 요규하며 죄를 통하여 의를 완선한다. 신의 역 사는 본래적 비 본래적 방법이 있는데 악을 도구로 삼는것은 비론래적 방 법이다.
(2) 헤겔
정신으로서의 하나님은 악한것을 부정함으로서 세계를 보다 더 높은 진리 의 세계로 발전 시킨다. 악은 선으로 넘어가는 과정 속에 있으며 악의 요 소가 전혀없는 완전한 선이란 유일한 세계속에 있을 수 없다 악도 하나님 자신에 의하여 정립된다.
(3) 틸리히 : 악은 비 존재다.
악한것도 하나님에게 참여 되어 있다. 그것은 선한것으로 발전되어 가는 과정에 있으며, 일시적으로 악할 뿐이다. 그러므로 틸리히에 있어서 [세 계시란 곧 구원사이며 신정이다](헤겔)
(4) 어거스틴
악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선의 결점이 악이다. 존재하는 것은 존 재한다는 그 이유만으로도 다 선하다.
제 8 장 기 독 론
〔1〕기독론의 발전약사
㈎ 최초의 기독론 : logos 기독론 (져스틴)
㈏ 영지주의자 : 가현설
㈐ 오리겐 : 종속설
㈑ 사모사타의 바울 : 양자설
㈒ 아리우스 : logos 는 피조자이다.
㈓ 아다나시우스 : 삼위일체주장
㈔ 니게아 회의 승리 : 381 콘스탄티 노플 회의에서 완전히 결말
㈕ 451 : 칼케돈 신조체택 예수 그리스도는 참 하나님 참 인간이시다.(553 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정통교회로 삼음)
〔2〕기독론 논쟁역사
㈎ 325 니케아 회의 : 아리우스와 알렉산더
㈏ 381 콘스탄티노플 : 아폴리나리스의 기독론 논쟁(양성문제)
㈐ 431 에베소 : 네스토리우스의 양성 구분,신모설
㈑ 449 에베소 : 강도회의 (유티케스의 일의론 주장)
㈒ 451 칼케돈 : 혼동,변동,분활,분리가 없다(신성과 인성)
㈓ 553 칼케돈 신조 정통교리 삼음
㈔ 681 단성론 논쟁(이의론 체택)
㈕ 787 화상숭배 인정
㈖ 869 니케아 신조 재 확인
〔3〕성서는 예수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1) 성서는 참 하나님이시라고 하고 있다.
㈎ 그리스도 (메시야)
㈏ 하나님의 아들
㈐ 선재하신 말씀
㈑ 주님
(2) 성서는 참 인간이심을 말하고 있다.
㈎ 인자
㈏ 구원의 맏아들 예수 그리스도
㈐ 화목제물로써의 예수 그리스도
〔4〕예수의 명칭
(1) 예수 : 사적인 이름(일반적으로), 뜻: 구세주를 나타냄
(2) 그리스도 : 공적인 이름, 뜻: 기름부음 받은자(구약: 정치적 메시야,주 의 종,고난의종 예고, 신약: 삼위일체적으로 증언,임마누엘)
(3) 인자: 예수님 자신의 자칭 칭호.
(4) 하나님의 아들 : 직임적 메시야의 의미로 사용.
(5) 주 : 여호와와 동일한 명칭.
〔5〕주요 기독론 논쟁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은 동일한 본체"라는 결론까지의 역사.
보이는 예수그리스도와 보이지 않는 양태로 계신 야웨신과의 관계.
이레네우스,이그나티우스의 신앙고백에서 예수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로 육체를 입었다하나 예수그리스도의 본체가 하나님의 본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별로 설명을 안함.
(1) 니케아 회의(325) : "성부와 한 본체를 가진다."
반 논쟁 이유 : 예수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인데 아버지와 아들이 본체가 동일일수 없다. 그러므로 예수그리스도는 하 나님의 본체의 일부를 가진 완전한 피조자(사람:구원 줄 수 없다.) 그래서 하나님으로부터 능력과 권위를 받아야 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451,칼케돈 회의 열림. 니케아 신조 재확인 그리스도의 신성. "참 하나님이다." 고백.
예수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두가지가 있는데 혼돈,변 동,분활,분리가 없다.
(2) 칼케돈 회의(451)
㈎ 발단
381년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아폴리나리스"가 "단성론"주장.→인 간은 육,혼,영으로 구성. 예수그리스도의 영은 로고스가 인간영을 대신한것.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의 영이 없고 신성만 있 다. 콘스탄티누스가 아폴라나리스를 정죄함.
㈏ 전개과정
㉠ 안디옥 학파의 디오도러스(예수그리스는 한분: 신성과 인성의 도덕적 연합을 주장)가 니케아 교리에 입각 아폴리나리스를 반 대.
㉡ 디오도러스의 제자 네스토리우스가 도덕적 연합을 강조,양성론 강조(인간 예수)
㉢ 알렉산드리아의 씨릴이 네스토리우스 반대 (양성은 나눌수 없 는 통일성, 연속성 강조)
안디옥 : 양자설
알렉산드리아 : 비개성적 인성-신성에 흡수
㉣ 431년 에베소 회의(1차 결론)가 소집되어 서로 정죄함 : 씨릴파 의 승리.
㉤ 콘스탄티노플의 유티게스가 단성론 주장→인성이 신성에 흡수 되거나 변화.
㉥ 플라비안이 438년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유티게스 정죄.
플라비안 : 양성론 주장(교황 레오 1세 동조) 예수 그리스도는 한분이며 두 본성이 있다.
㉦ 씨릴이 뒤를 이은 디오커러스가 유티게스 지지.
디오커러스 : 449년 에베소 총회(레오 1세는 이 대회를 강도대 회라고 비난,인정치 않음)를 열고 플라비안을 이단 으로 정죄.
㉧ 451년 칼케돈 회의 (마르키아누스 황제:레오교서 중심으로 칼 케돈 신조 통과)
칼케돈 : 예수그리스도는 참 인간이요 참 하나님이다.(예수 그 리스도의 의지 문제 등장),죄만 없는가?
㉨ 553년 콘스탄티노플 5차 회의를 유스티아누스 소집,칼케돈 새 해석 정통교회화)
㉩ 680년 콘스탄티노플 6차 회의: 이신론,이의론 채택.
이신론: "1 인격안에 두 본체"
이의론: "예수그리스도의 신적의지와 인간적 의지"
〔6〕그리스도의 이성의 필요성
속죄론의 필수적인것에서 비롯
(1) 인성의 필요성
죄인을 대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류의 한사람이어야 한다. 육체와 영혼의 모든 본질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인간의 모든 허약함을 취할 필 요가 있었다. 그러나 죄는 없다.
(2) 신성의 필요성
무한한 가치의 제사를 드리고 하나님의 율법을 완전히 순종하기 위하 여 하나님의 진노를 구속적으로 받기 위해서는 하나님이셔야만 할수가 있다.
〔7〕그리스도의 품격(그리스도와 인간과의 관계)
(1)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신앙고백
요 1:14, 말씀이 육신이 되었다.
니케아 (325) : 예수그리스도가 사람이 되셨다. 하나님과 한 본체.
칼케돈 (451) : 예수그리스도는 신, 인성을 가졌다. 두 본성이 한 인격 안에 존재한다.
(2) 그리스도 품격에 대한 이단설
한 인격안에 두 인격이 있을 수 없다.
㈎ 가현설(Docetism)
Nostic 주의자 : 헬라적 사고에서 유출
예수 그리스도는 신적인 존재이므로 인간역사에 전적으로 참여함은 불가능하다.
예수그리스도가 육체로 오심을 부인→예수그리스 도의 지상 생활은 환영같은 것으로 육체를 입은것 처럼보였을뿐,진짜 육체를 입은 것은 아니다.
장 점 :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
단 점 : 인성 무시,33년 생애,십자가,부활은 환성적으로 봄.
"가현설 만연시 : 요한복음 기록"
㈏ 순인설(Ebionitism)
유대적 사고방식에서 나옴,가난한 자들. 바울적 그리스도론을 반대 하고,모세의 율법 엄수,예수그리스도의 인성이 진짜 인성임을 주장, 혹 신성이 있다면 세례시 성령이 내림후 부터다. 그러나 본성은 인 성이다.
장 점 : 인성강조로 예수그리스도의 지상 생활과 실재성,구체성 인 정하고 믿는것.
단 점 : 예수그리스도의 성육신,선재,부활,승천을 역사적 사건으로 믿지 않음(신성 삭제)
㈐ 양자설(Adoptionism)
순인설과 비슷,유대적 유일신관에 더큰 비중을 둠. 야웨 하나님의 전적 신성은 인정 그러나 예수그리스도의 전적 신성을 부인,예수그 리스도의 신적 능력은 본성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신으로부터 부여 된 능력이다.(세례시→양자입양)
이 설을 "동력적 군주신론"(사모사타의 바울: 안디옥 학파의 창시 자)이라고도 함. (예수그리스도는 신이 아니라 신적 통일이 있을 뿐)
장 점 : 하나님 유일성,절대성 강조.
단 점 : 삼위일체부인,예수그리스도를 2등 신으로봄.(양자로서의 아 들 칭호). 본질적 신성부인
* 양자설과 비슷한 이단설 가운데 양태설이 있다. 삼위는 다는 형 태로 나타남. 삼위일체 이단(사벨라우스 또는 Sabellianism)
㈑ 3.2설(Apollinarianism)
니케아 후 그리스도의 본체가 야웨의 본체와 동일하다라는 결정이 있은 후에 그리스도가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가지고 있을까?에서 "아폴리나리스"는 예수그리스도는 사람이기는 하나 죄를 범할 수 없다고 생각. 그의 인론(삼 구성설) 육체,영혼,이성에서 이성이 죄 를 범하므로 예수그리스도는 이성대신 로고스를 지녔으므로 예수의 유죄성을 부인함. 그러므로 예수그리스도는 2/3만이 인간이었다.
장 점 : 예수그리스도의 무죄성을 변호하기 위한 노력.
단 점 : 2/3인성,1/3신성 주장으로 괴이한 인간을 말함.
〔8〕속죄론 (십자가 사건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다.)
(1) 배상설(Ransom Theory): 이레니우스
마귀와 거래 결과로 일어난 사건으로 해석. 인간은 (인류) 죄아래 팔 려 있으므로 그를 석방하려면 값을 치러야 한다는 것. 구속을 의미하
는 "아고라조"(희랍어: 시장에서 물건을 산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 하나님의 인간을 마귀에게서 석방시킬 때 마귀에게 일정한 값을 지불 해야만 했다. 마귀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그리스도의 생명요구. 예수는 십자가에 죽으므로 마귀에게 값을 지불했다.
최초 주장: 이레네우스(수육한 로고스 주장), 어거스틴 지지, 루터에 흔 적.
비 판: 인간이 죄를 범했어도 마귀에게 아니라 하나님에게이다. 그 러기에 죄값은 인간이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 그런데 하나 님께서 마귀에게 값을 치러야할 이유가 무엇인가?
(2) 만족설(Satisfaction Theory): 안셀롬
㈎"객관설",이라고도 함. 하나님은 자기의 의를 확립하고 인간의 죄를 벌하고 상처입은 영예를 회복하는 길 택함. 그일을 수행할 수 있는 존 재는 신 외에는 없다. 그래서 하나님의 아들 예수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 십자가 지심. 그러므로 예수의 십자가 공로로 인해 하나님의 명 예회복 ㈏ 죄는 벌 받음 ㈐ 인류가 구원받음. 그러므로 예수그리스도 의 십자가는 사람을 향해서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여 일 어난 사건이요,그 결과는 신에게 만족을 주었다.
장 점
㈎ 하나님의 권위 강조
㈏ 인간이 하나님 축복버림.
㈐ 죄의 값이 없이는 속죄가 있을 수 없다.
㈑ 모든 죄는 보응이 따른다.
㈒ 십자가를 통해 만족하였다.
단 점
㈎ 죄의 형벌을 약화시킨다.
㈏ 예수그리스도의 고난이 인간대속 이라기 보다는 하나님 영광을 위해서 자발적인 헌물로 보고 있다.
(3) 도덕설(Moral Theory): "주관설", 아벨라드
안셀롬의 만족설에 반발, 하나님을 너무 무정하고 냉혹하게 만들었다 고 비난,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는 하나님의 사랑이 얼마나 큰 것인가 를 보여주는 동시에 누구든지 십자가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을 목격 할때 인간의 마음에 하나님의 사랑에 상응하는 사랑이 어나서 자기도 사랑의 생활을 하도록 하기 위한 사건(하나님 만족 아니고 인간에게 사랑과 자비 강화)
장 점
㈎ 인류구속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니미 자비와 사랑이 주 동기가 되 엇음을 강조한다.
㈏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효력이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있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자주성과 인격성의 중요성 을 강조한다.
단 점
㈎ 하나님의 공의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다.
㈏ 죄의 심각성이 강조되어 있지 않다.
㈐ 주관설을 주장하고 있다.
(4) 형벌만족설(Penal Satisfaction)-종교개혁자들
루터나 칼빈은 대체로 안셀름의 만족설을 따랐으나 더 보완함. 십자 가는 단지 하나님께 만족만 아니라, 인간에게 도덕적 감화만도 아니라, 십자가는 죄에 대하여 내려진 하나님의 공의와 심판으로 일어나는 사 건으로 봄.
(5) 통치설(Governmental Theory)
그로티우스 : 신의 통치권 재확립.
종교 개혁자들의 생각을 반대,신의 세계통치라는 각도에서 해석. 인 간의 범죄로 신의 세계통치에 차질→통치권 재확립을 위해서 죄를 벌하 심.
인간은 그 벌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예수그리스도를 보내서(신의 아 들)통치권 재확립을 위해 죄를 벌함. 그길은 십자가의 길이다. 칼빈 과 대립,알미니안 편을 듬.
(6)모범설: 소지니아누스
그리스도의 죽음은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생애를 통하 여 참된 복종을 보여 주었고 끝으로 십자가 위에서 큰 본을 보여 주 었다는 설
문 제 점
㈎① 반 Pelagianism
㈏ 예수를 뛰어난 선생으로 보면서 신성을 무시했다.
(7) 고전설: 아울렌
십자가의 사건은 마귀의 세력과 하나님의 사랑과의 투쟁인데 결국에 는 신의 사랑이 승리했다는 설.
(8) 통전설: 이종성
십자가의 사건은 신과 인간을 모두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것은 구 속적 사건이라고 한다. 가능한한 모든 측면과 차원으르 종합해서 십자
가 사건을 이해하려고 한다.
〔9〕속죄의 범위
㈎ 로마 카톨릭과 루터파의 알미니안
우주적이며 보편적인 속죄를 믿는다.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사람을 구 원하기 위해 고난 당하시고 죽으셨다고 한다. 실제적 구원은 인간 자신 의 선택의 의존하다 그리스도는 구원을 할 가능성만 확립했다고 한다.
㈏ 개혁파 교회
제한 속죄를 믿는다. 그리스도께서는 선택받은 자만을 구원하기 위하 여 고난당하시고 죽으셨으며 그 목적은 실제로 성취되었고 구원을 가능 케 했을 뿐 아니라 실제로 구원하신다.
〔10〕그리스도의 신분
(1) 비하의 신분
우주의 주권적 통치자이신 그리스도가 자신의 신적 위엄을 포기하시 고 종의 형체로 인성을 취하셨다는 사실과 최고 율법 수여자이신 그가 율법의 요구와 저주 아래 있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
(2) 비하의 단계(5단계)
㈎ 성육신(인성,동정녀)
㈏ 고난(생활)
㈐ 죽음(육체적 죽음)
㈑ 장사(죄인 인간과 함께 장사)
㈒ 지옥에 내려가심9상징적 해석)
예수그리스도는 겟세마네 십자가에서 지옥의 고통,죽음의 가장 심 각한 상태를 맛보심.
(3) 승귀의 신분
죄에 대한 형벌을 지불하시고 그리스도의 부활과 함께 시작된다.
(4) 승귀의 단계
㈎ 부활 : 그리스도가 율법요구에 응함→하나님의 선포,성도의 칭의, 중생,최종부활의 원인,상징이 됨.
㈏ 승천 : 부활에 필요한 보충이요 완성.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장소 의 예비(요 14:1)
㈐ 하나님의 우편에 계심 : 권능과 영광의 처소를 말하는 상징적 지 시
하나님의 우편에 계시는 동안 : 예수그리스도는 교회를 다스림. 보 호하심. 우주를 통치하심. 희생에 근거. 백성을 위한 중재의 역할. ㈑ 육체적 재림 : 승귀의 최 절정. 육체적,유형적 재림. 시기 모름. 세상심판,구원,구속 사역의 완전한 승리.
〔11〕그리스도의 직무
(1) 예언자
㈎ 구약의 "나비"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계시를 받는 사람이라는 뜻. 신약의 "프로페미"는 "선포한다"는 뜻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대중에게 선포하는자,그리스도는 구약에 선지자로 일하셨고 지상에 계신동안 선지자의 일. 승천후 성도통해 성령의 역사로 계 속. 예수가 다른 예언자와 다른점.
①자기 말씀을 모세 율법권위 위에 두고 있다.
㈏ 말씀자체이며 하나님 자신이다.
(2) 제사장
㈎ 구약 "코헨",신약의 "히에류스",명예스러운 중책,성별된 사람. 직능 은 백성중에서 그들의 대표로 뽑혀 하나님의 인정받고,백성의 유 익을 위해 활동,속죄위해 재물과 희생,그리스도는 그의 백성을 위 해 대언자적 중재를 하시며스스로가 희생의 제물이 되는 제사장이 다.
예수가 다른 제사장와 다른점
① 예수그리스도는 직접 희생물이 되셨다.
㈏ 이중적인 대리행위-예수는 인간을 대표할 뿐 아니라 화해의 주체 가 되신다.
(3) 왕
㈎ 죽음의 권세를 이긴 그리스도의 왕권
부활로 인류 죽음에서 해방 왕권 다시 선포.
㈏ 영적 세계를 다스리는 영적왕권
그리스도가 지배하는 왕국 구속사업에 의해 터전마련. 하나님에 의해 견고히됨. 성령으로 인도받고,보호받음. 교회안에서 발견.
* 은혜왕국(영적왕국)의 특징
㉮ 구속의 사역에 기초 되어있고
㉯ 영적인 중생에 의해 들어갈수 있고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으 며 성경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이며,세상에 속하지 않는 진 리의 왕국이다.
㉰ 현재적이고 미래적인 왕국이다.
㈐ 세상을 다스리는 그리스도의 왕권
성령을 통해 백성을 다스리고 교회와 세상의 성령을 세력을 다스
린다(간접적인 방법을 통하여서)
〔12〕예수사역의 결실 (왕,제사장,예언자)
㈎ 신과 인간사이의 화해를 성취하였다.(복음의 핵심)
㈏ 사도단 형성- 12제자를 선택하여서 그의 사역을 계속함 교회를 형성하 는데 큰 역할.
㈐ 하나님 나라의 건설.
〔13〕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이설
(1) 허위설
제자들이 실제적으로 무덤에서 예수의 시체를 도적질한 다음 주님이 사셨다고 선포함으로써 고의적인 속임수를 행했다는 것이다.
난 점 : 이설은 최초 증인들과 사도,여자들의 고백에 형제들의 진실성 을 의문시 한다. 그러나 상심한 제자들이 적대적 세계에 대 한 속임수와 희롱이 만무하며 속임을 위해서 계속적으로 고 난을 받으려고 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2) 기절설
예수 그리스도는 기절한 상태에 있었는데 실제적으로 죽으신것으로 간주함. 그러나 많은 사람이 속았다는 것과, 군인이 예수 그리스도를 죽이지 못했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난 점 : 무기력한 상태에서 돌을 굴려내고,예루살렘과 엠마오를 왕복 하실수 있었는가? 제자들이 왜 주님을 환자로 보지않고 생 명과 능력의 주로 보았는가?에 의문이 있다.
(3) 여자들의 무덤 오인설
(4) 환상설-두 형식
㈎ 순전히 사람들의 주관적인 환상들이라고 한다.(극도의 흥분 상태에 서 주님이시라는 지나친 기대감)
난 점 : 제자들은 일상적인 직업에 종사했고 기도나 묵상을 않았 는데 환상이 나타난것과 주관적인 상들이 제 3일에야 나 타났고 많은 사람들에게 동시에 나타난 것은 설명할 수 없다.
㈏ 제자들은 하나님께서 복음 전파를 계속하도록 설득키위해 이적적 으로 보내신 진정한 객관적 환상들을 보았다고 주장.
난 점 : 하나님은 속임수로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려고 했다는 오 류를 범한다.
(5) 신화설
부활이야기가 동양종교들의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 복음 설화
와 이교신화를 연결시키려 했지만(억지) 실패하고 말았다.
난 점 : 성서에서 발견되는 사실들을 극단적으로 무시한다.
〔14〕개혁교회 신학자들의 그리스도의 삼직능(칼빈)
(1) 선포하는 직능 : 그리스도는 말씀 자체인 동시에 신언을 인류와 역사 (율법의 가르침) 에 대해서 선포하는 직능.
(2) 왕으로의 직능 : 신국의 왕권,정신적이고 영적인 왕권,평화,행복,희망, 생명을 주는 왕권.
(3) 제사장의 직능 : 유대인 전통적 제사장과는 다른,자신이 제물이 되심 과 동시에 단번에 모든 제사의 목적을 달성함. 그의 제사는 인류의 전역사를 통해서 효력을 나타내는 제 사.
〔15〕현대 신학의 기독론
칼케돈 신조와 니케아 신조와 함께 그리스도에 대한 충분한 해석을 후세 에 남기지 않았다. "참 하나님이요,참 사람이요"라는 표현은 당시와 현대 에도 이해 못하는 사람이 많았다. 에 대한 현대적 이해를 시도한 신학자 가 바르트와 브루너이다.
(1) 브루너
신적인 그리스도가 성육신(신의 자아운동,역사적 사건이라고함.)을 통해서 사람의 몸을 입게 됨.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적 요소는 인 간적이고,신적요소는 신적이다.(같지 않다.) 그러므로 칼케돈 신조,우 리도 고백해야 함. 그리스도론-인간의 이해 한계 넘어 논리적, 추상 적 설명이 안됨.
(2) 바르트
인간은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하나님을 알 수 있다.(하나님의 계시=그 리스도 이외에는 존재않함)
그리스도안에서 신은 주로 계심(계시), 참 하나님이요, 참 인간인 그 리스도의 존재는 하나님과 그리스도 사이에 성취된 화해의 행동을 말 한다.(부활-하나님께서 예수그리스도의 일을 승인하신것. 십자가 사 건과는 새로운 하나님의 행위. 성육신사건-신의 사건으로 봄.)
(3) 칼라너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보다 성육신과 부활에 중점
신의 신비는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신비안에 집중,그리스도는 인간의 실존 문제를 해석,해결의 관건.
그리스도론 : 오늘의 세계와 인류와 역사에 대한 어떤 의미가 있는가 를 추구.
(4) 판넨베르그
그리스도는 현실을 이해하는데 도움주는 한도 안에서 의의가 있다고 주장. 십자가는 별로 중시 안 함. 부활이 현실의 인간을 (비극)초월 하는 해방의 표본. 십자가는 신의 계시가 아니라 역사 선상에 일어난 단순한 사건으로 본 것이다.
(5) 몰트만
그리스도를 이해하는데 예수의 역사를 중요시 함.
실천을 중시(신학의 모든 내용,실제 문제와 연결) 주요 개념-부활하신 자의 십자가이다. 외형적 정치신학이나 내용으로는 십자가를 중심한 그리스도론적 신학.→십자가와 부활과 생애를 연결시켜 생각한다.-종 말론으로 이어짐
(6) 코페르니쿠스 혁명(John Hick. 현 영국 버밍검 교수)
그리스도교를 그리스도 중심에서 신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
(7) 라틴 아메리카 신학의 기독론
㈎ 라탄 아메리카 신학은 신학자체의 연구나 촉진을 위한 것이 아니 고 정치 신학과 혁명 신학의 실질적인 근거를 찾으려는 데 있다.
해방신학: 신학으로서는 그리스도론적이지만 해방에 관한 한 신학 적인 개념은 조국이다.
㈏ 신국은 그리스도론을 연구하는 해석학적 원칙이다.
㈐ 해방신학의 그리스도론은 변증법적이다.
그리스도를 그들의 관심인 해방에 도움이 되는면에서만 인정.
〔16〕비신화 화(불트만)
1941년 신약성서와 신학이란 논문 발표로 등장.
복음의 본질,곧 케리그마는 신약성서에 부착된 신화적인 요소를 제거,파악 함으로써만이 확증될 수 있다는 것, 성서의 신화는 현과학시대,사고방식하 는 양립 불가,성서를 실존주의적 철학의 테두리 안에서 해석해야 한다고 함.
약 점
㈎ 시적인 은유화의 유형으로서 성서의 역사적인 성실성을 고찰하는데 실패
㈏ 케리그마의 기본적 요소인 역사성을 무시
〔17〕위기신학
신정통 주의를 초기에는 위기신학이라 불렀는데 인간과 인간의 문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뜻하는 신적 위기와 믿음 안에서 하나님 말씀을 듣고 하나님께 돌아가는 것을 뜻하는 인간적 위기가 있다. 이 위기신학 을 달리 "변증신학"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긴장을
예리하게 파헤치기 위해 변증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제 9 장 인 간 론
〔1〕인간의 정의와 기원
Max Scheler의 인간관 5 유형
1) 유대와 기독교적(종교심)
2) 희랍인(이성)
3) 자연주의,실증,실용주의(도구제작)
4) 퇴폐적
5) 초인의 인간관: 인간은 극복되어야 한다.
(1) 인간 기원에 대한 견해
㈎ 창조론
㉠ 인간창조는 삼위일체 신의 협의 결과
㉡ 일반창조는 즉각적,사람은 직접적
㉢ 인간창조는 다른 피조물과 다르게 거룩한 형상대로
㉣ 인간은 두본질(영.육)로 구성
㉤ 인간은 존귀한 입장에 있다.
따라서 인간은 자연 발생적,무목적,무방향이 아니라 인간은 자기 존재 이유와 방향을 가지고 있다.
㈏ 진화론
미생물 : 진화
유인원 : 인간된 자연발생적이다.(인간)
진화론은 물질적 존재인 생물과 신적 존재의 연속성을 주장한다.
결 론 : 창조설은 존재간의 질적차이를 강조함.→신적 존재에 의 한 창조, 그러므로 상호보완적.
〔2〕인간의 본질과 구조
(1) 인간의 본질
㈎ 인간의 육,정신적 구조에는 우주의 모든것 포함. 인간은 영원한 이 성을 가진다.
㈏ 종교의 보편성을 지닌다. 도덕심은 종교심보다 더 보편적이다. 인 격성이다.
㈐ 미의 감각이 있다. 자유 의지가 인간에게 무한한 발전과 희망을 던 져준다.
(2) 인간의 구조
㈎ 2부분설
㉠ 교회내에 일반적으로 주장되어온 견해-인간은 영,육으로 구성.
㉡ 영과 혼은 다른 2개의 실체가 아니고 상이한 표현-"영혼" 성경 연구 결과.
㈏ 3분분설
㉠ 인간은 "육.혼.영"으로 구성-헬라철학 영향
㉡ 육 : 인간 본성인 물질적 부분
㉢ 혼 : 동물적 삶의 원리
㉣ 영 : 하나님과 관련된 합리적,이성적,불멸의 부분
* 성서는 2,3분설 혼동사용,대부분 2설지지,인간은 Unity한 것으로 보기를 가르침.
〔3〕신학적 인간학(신앙생활을 하는 사람,6가지 근본문제)
일반적 인간론 :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모든 학문들을 내포 인류의 기 원과 역사. 다양한 종족들의 생리적 구조와 심리적 특징, 인종적,언어적,문화적 발전에 관심.
(1) 존재에 대해서
신을 바로 이해함으로 해결
하나님은 전지하시며 자존자시다(출 3:14) p.틸리히 : 신→모든 존재의 근원.
하나님은 본질과 실존의 차이가 없다. 하나님이 존재 자체이므로 인간 존재 문제 해결
(2) 실존에 대해서
예수그리스도의 지상 생활을 이해로 해결
예수그리스도는 이적 보다도 그의 실존적인 삶에(현실적 인간의 생존 양상)충실함. 부활로서 실존족 삶의 참된 해결을 함.
(3) 생의 근원에 대해서
성령의 의해서 해결
인간은 물질적 존재가 아니라 삶의 근원은 영에게 있기 때문이다.
(4) 공동체 삶에 대해서
교회로 해결
인간은 이상적 공동체를 추구한다.→교회다.
교회는 예수그리스도를 머리로 하고 신자가 지체가 되어 예수그리스도
를 중심하면서 사랑의 교제(코이노니아)를 하는 곳.
(5) 사회 윤리에 대해서
기독교의 사랑의 윤리로 해결
(6) 시간과 역사에 대해서
성서,예수그리스도가 해결
시간의 제약 : 예수그리스도의 부활로 무력
영 원 : 성육신으로 구체화,시간화.
역 사 : 신국이 함께 시작함에 따라 의미와 가치 밝혀짐.
역사 완결 : 예수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성취.
〔4〕인간 영혼의 기원에 대한 견해
(1) 영혼 선재설
알렉산드리아 학파
영혼은 이미 Idea세계에 선재해 있었다. 이주 되었다는 사상. 사람이 다 죄인으로 태어난 사실. 자연스러운 설명. 성경고증을 못받음. 아 담의 죄 사건과 모순 그러나 그리스도교 사상에 큰 영향을 줌.
(2) 창조설
㈎ 동방교회의 주된 교리,하나님을 도덕적 창조자로 만듦.
각 개인의 출생 때마다 그의 영혼을 하나님께서 창조하신다는 설 (가장 성서적,가장 높이 평가됨.)
순결한 영+타락한 육→결합. 영육이 따로 창조된다고 봄. 죄는 육 체적인 것으로 보게 됨.
㈏ 순결한 영 : 죄의 구조 속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죄 된것으로 봄.→ 가족 특성의 유전은 설명을 못함. 하나님은 죄에 대해 간접 책임자
(3) 부분 유전설
인간의 영혼은 부모에 의하여 생산됨과 더불어 육체와 함께 번식된다. 부모에 의하여 자녀에게 옮겨진다. 영혼은 분리할 수 없고,부모가 창 조자가 됨. 하나님이 부모를 매개로 창조 하신다고 봄.→성경에 언급 이 없다.
예수그리스도의 무죄성을 변화할 수 없음. "루터교 견해"
초대교회 : 선재설(동방: 창조론(제롬), 서방: 유전설)
종교개혁
루터 : 유전론
칼빈 : 창조론→개혁파 교회의 보편적 견해다.
〔5〕하나님의 피조물으로써의 인간 위치
㈎①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존재 :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존재
㈏ 하나님과 함께 사는 존재 : 하나님을 위한 존재
㈐ 책임적 존재 : 하나님을 알아야 할 존재,순종해야 할 존재
㈑ 사회적 존재 : 이웃과 관계속에서 이웃을 위해 살아야 할 존재
㈒ 만물의 통치자 : 만물의 영장
㈓ 하나님과 다른 존재 : 시간과 함께 하는 존재
폰라드는 "인간은 창조의 피라미드의 가장 높은 단계에서 있다"고 하였 다.
〔6〕신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성서적 근거
성경에 의하면 인간의 본질은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점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인간은 모든 피조물들과 구별되며 그들 위에 있는 존재요 모든 피조 물의 면류관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하나님의 모양대로 창조 되었다고 하고 있다.
창 1: 26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형상의 의미는 두 낱말로 해석된다.
첼 렙 : Imago라고 하는데 "복사한 것'의 뜻.
데뮤트 : 나타남,유사,유비를 말함.
첼렘이 실물과 가깝고 확실한 것을 의미한다면 데뮤트는 덜 구체적인 유사 성을 말한다.
(1) 개혁파 사회의 견해
칼빈의 개혁 사상은 루터파나 카톨릭 교회보다 포괄적이다
·인간의 영혼 안에 있는 단순성,영성,불멸성등 품격에 존재하고 있다.
·지성과 의지에 존재한다.
·지상에 대한 지배권에 존재하고 있다. ⑵① ① ①
(2) 어거스틴
첼렙과 데뮤트를 구별하였는데 첼렙은 인간의 진리를 이해하는 지력 을,데뮤트는 윤리적 속성을 의미한다고 봄,.
육체는 정욕덩어리이므로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다.
(3) Lutherans
원래 인간이 가지고 잇는 의,인간에게 근원적으로 부여된 영적 성질에 한정한다.
(4) R. 카톨릭 교회
하나님께서 창조시 인간에게 영혼의 영성,의지의 자유,육체의 불멸성과 같은 자연적 은사를 부여하셨다. 이것들이 하나님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5) 기타의 견해
· Socinans : 인간들이 하등 피조물을 지배하는 거기에 하나님의 형 상이 있다고 보았다.
·제세례파 : 중생에 의해서만 하나님의 형상이 된다고 했다.
·Pelagianssk Rationalists : 인간의 인격성,합리적,윤리적,종교적 성 격,그리고 하나님과 교제하며 사는 운 명속에 있다. ①
(6) 폰라드의 견해
그는 창세기 연구결과 하나님의 형상을 인간이 세계를 다스리는 통치 권으로 보았다. 따라서 하나님의 형상을 소유한 인간이 해야할 일은 이 세상을 다스리는 것이다.
(7) K. 바르트
하나님의 형상을 관계성으로 보았다. 하나님의 존재의 핵심의 특징이 관계성으로서 존재한다고 보고 인간도 하나님과 자연과의 관계속에 있 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 삼위 하나님의 관계성이 인간속에 나타난 것이 예수 그리스도로서 그만이 완전한 하나님의 형성으로 보았다.
(8) 에밀 브루너
형식적인 형상 : 하나님의 말씀에 책임있게 응답하는 인간의 언어능력, 책임성 등.
실질적인 형상 :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들이고 이웃과 사랑을 나눌수 있는 것으로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거룩성.
〔7〕현대 신학의 인간이해
(1) K. 바르트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어떤 인간학도 불가능. 그리스도론적 인간이해.
1) 인간은 선을 위해서는 무능. 인간은 선악구별 못함.(근원적 죄로 인해 신의 형상 파괴)
2) 인간은 유한하고 상대적 존재
3) 신의 은총의 대상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 그리스도의 인간성에 참 여)
4) 인간은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대상(일반적,신의 계시자로서 그리스 도,하나님안에서 인간은 자아인식)
(2) 본 회퍼 : 사회학적 인간이해
1) 체험 통한 신학적 이해(인간은 비관적,그리스도,하나님과의 관계)
2) 실존적이고 구체적인 문제를 떠나서 인간이나 신학 생각지 않음.
3) 단일적, 통전적 존재
4) 현대인은 신 없이 자존하는 존재로 생각.
(3) 라인 홀드 니이버 : 인간관은 니버의 근본 사상
인간은 자연의 산물이며,하나의 정신으로 이해,인간의 본질은 자유,인 간실재의 모호성이 죄의 분석이 출발점이다. 죄는 근본적으로 불신이 나 죄의 보편성을 강조.
(4) R. 불트만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인간론을 받아들임.
1) 인간의 실존은 언제나 육적이다.
2) 사람은 언제든지 자아와 관계를 가진다.
3) 인간은 두가지 근본적 가능성을 지닌 존재다.(자기와 하나,자아에서 이탈)
4) 신과의 관계에서 이해
5) 인간의 존재 양태,둘로 구분(신앙가진 후,가지기 전)
(5) P. 틸리히
인간의 실존상황은 소외 상태요,죄인 상태요,내적분열의 상태이다. 본 성이 왜곡된 상태이며 구원을 요청하는 상태이다.
(6) 샤르뎅
물질을 정신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인간을 신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는다.
인간은 창조의 정점,모든 생명은 그리스도에 의해 지지 됨. 세계를 그 리스도의 육신으로 본다. 개개의 인간은 어떤 의미에서 그리스도이다. 여교사의 궁극적은 그리스도이며, 인간은 그리스도의 역사과정속에 있 는 존재.
제 10 장 죄 론
〔1〕죄의 정의와 결과
(1) 죄란?
㈎ 하나님에 대한 불신앙과 욕정이다.(아우그스 부르그 신앙고백)
㈏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교만이다.
㈐ 죄는 자기 중심성, 혹은 이기주의를 말한다.
(2) 죄의 결과
㈎ 자기 모순과 상실을 가져옴.
㈏ 자유의 상실
㈐ 고독,불안,죄책감
㈑ 무의미,무희망,자살
〔2〕죄의 본성
인간이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형성
〔3〕죄의 근거
인간의 마음속에 의혹과 불신의 씨를 뿌렸던 뱀의 형태로 가장 한 사단의 시험에 의해서 발생.
(1) 지적인 면 : 불신앙과 자만심을
(2) 의지적인 면 : 하나님과 같이 되려는 욕망을
(3) 감정적인 면 : 실과를 꺽으려는 호기심을 나타내는 것.
〔4〕죄의 본질
(1) 인간이 책임지고,인간정죄의 선고하에 두는 도덕적 악으로 "특별악"이 다.
(2) 선과 악의 대조는 절대적이다.
(3) 하나님의 뜻에 어긋날 때에만 죄이기에 하나님의 뜻에 관계 됨.
(4) 인간으로 하여금 죄책과 도덕적 오염을 내포한다.
(5) 인간의 마음에 있다.
(6) 외부적 행위만 아니라 악한 사상,감정,마음의 악한의도까지 내포한다.
〔5〕죄의 성서적 개념
(1) 죄는 특수한 악이다. 모든악이 죄되는 것은 아니다. 죄는 도덕적 악 이며,윤리적 성격을 가진 악이다.
(2) 죄는 절대적이다.
(3) 죄는 항상 하나님과 하나님의 뜻과 관련되어 있다.
(4) 죄는 항상 마음에 있다.
〔6〕죄의 기원(학자들의 견해)
(1) 이레네우스
에덴동산에서 인간(아담)의 타락 범죄로 기원(자의적)-그노시스 반대
영지주의는?
이원론적 사상으로 인간영혼이 물질과(육) 접촉하면 타락한다고 봄.
(2) 오리겐
영혼선재설 주장. 인간 영혼은 선재 상태에서 자의적으로 범죄,모든 인간이 죄있는 상태로 이 세계에 들어온다.
(3) 펠라기우스
동방 : 아담과 인류가 생명적,유기적,연관이 없다.
(4) 어거스틴
서방 : 아담과 인류가 연관이 잇다. 아담의 부패와 죄책이 연관되어 진다.
(5) Semi-Pelagius
연관을 인정하나,부패만 인정
(6) 종교개혁자
어거스틴 사상(안셀름)
소지니안 : 펠라기우스 사상
알미니안 : Semi-Pelagius 사상
(7) 현대의 죄의 관념
악의 개념으로 대치하여 해석(악 : evil)
㈎ Kant : 악을 초감각적 영역으로 설명(인간이 알수 없는 영역)
㈏ Leibnitz : 우주의 필연적 제약때문에 생긴일
㈐ 슐 마허 : 인간의 감각적 본성에서 죄의 근원을 찾음.
㈑ Rictschl : 무지에서 기원
㈒ Barth : 죄의 기원은 예정의 신비로 언급. 죄는 원죄로 생겼으나 원 죄는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원역사에 속함
〔7〕죄의 기원에 관한 성경의 내용
성경에는 인간이 하나님의 법을 어긴 범죄자로 나타나 있으며 본성적으로 죄인이라고 되어있다. 그리면 인간은 어떻게 하여 그런 본성을 갖게 되었 나?
㈎ 하나님을 죄의 본성에 창조자로 볼수 없다.
㈏ 죄는 천사의 세계에서 기원했다.(사단)
㈐ 인간 안에서의 죄의 기원
㈑ 처음 범죄는 뱀의 유혹에서 일어났다.
〔8〕원죄
모든 사람은 아담과의 관계로 인해서 타락후 죄의 신분과 상태에서 태어났 다. 이 상태를 원죄라 하며 이것은 인간 생명을 더럽히는 모든 본죄와 내 적 근원이다.
※ 원죄라고 하는 이유는?
㈎ 인류의 원 뿌리에서 기원이 되고
㈏ 출생시부터 각 개인의 생활에 존재하고 있으며 모방의 결과는 아니다.
㈐ 이것이 사람의 생활을 더럽히는 죄의 내재적 뿌리이다. 죄가 인간성 의 본래적 구성에 속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원죄라고 한다.
(1) 원죄에 대한 사적고찰
㈎ 초대교부 Greek church→Pelagianism에 영향→원죄 부정,죄책부정.
44
㈏ Latin church(Tertullian)→유전적 죄 오염으로 보고 전적 부패 부 정.
㈐ Augustine : 사람의 성질은 육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아담의 죄로 말 미암아 전적으로 타락되고 다라서 죄이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Semi-Pelagianism : 전 인류가 아담의 타락에 내포되어 있으며 인 간성은 유전적 죄로 오염되고 또한 모든 사람 들은 본래적 악으로 기울여 지는 경향을 가지 고 있을 뿐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를 떠나서는 어떤 헹동도 완성시킬수 없다는 사실은 인정 하나 전적 타락,원죄의 허물과 의지의 자유의 상실은 부인함.
㈒ Anselm 은 Augustine와 일치. 토마스 아퀴나스는 원죄를 죄의 유 형적 주체적 요소로서는 정욕을, 형식적 요소로소는 근원적 의의 결핍으로 보았다.
㈓ 종교 개혁자들은 일반적으로 Augustine과 일치한다. 소지니안스는 원죄부인.
(2) 원죄의 두 요소
①㈎ 원 죄책(근원적 죄책)-죄의 형벌이다.
㉠ 지워지지 않는 죄책(책치적 죄책 : 용서에 의해서도 제거되지 않 는다.)
인간의 죄는 그가 의롭게 된 후에도 병적인 벌이 남는다. 이러 한 의미에서의 죄책은 이 사람에게서 저 사람에게로 이전되진 않는다.
㉡ 벌치적 죄책(칭의에 의해서 제거된다.-대속가능-)
신학에서 말하는 죄책이 이것인데 인간의 자아 결정적으로 하나 님의 법을 어긴 죄에 대한 죄책. 이 죄책은 이 사람에게서 저 사람으로 이전될 수 있다.
Semi-Pelagianism과 옛 Arminians는 원죄가 죄책을 내조한다 는 것을 부인한다.
㈏ 원오염(근원적 오염)
근원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의를 상실하는 것. 적극적으로 악이 현 존한다는 것이다.
㉠ 전적 부패 : 인간이 부모로 부터 물려받는 계속적인 오염을 말 하는데 이는 인간 본성의 모든 부분에 퍼졌고, 선
을 찾을 수 없고 오직 약화뿐이다.
㉡ 전적 무능력 : 중생되지 못한 죄인은 영적인 선을 행할 힘이 없 다는 것.
(3) 정통교리의 원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원죄는 우리가 설명할 수 없는 비밀이다.
2) 원죄는 죄의 불가피성을 말한다.
3) 원죄는 죄에 있어서 우리가 서로 결속되어 있음를 말하고자 한다.
4) 원죄는 죄의 사회성과 세계성을 말하고자 한다.
〔9〕본죄
외부적 행위의 죄뿐 아니라 원죄로 인해서 일어ㅏ는 의식적 생각,욕망,결심 등을 말함. 본 죄는 한 개인이 행동한 죄,자기의 고유한 성질과 경향과는 구별.
(1) 본죄의 구분
㈎ R.카톨릭에서는
소죄 : 용서 받을 수 있는 죄
대죄 : 용서 받을 수 없는 죄→고해성사에 의해 용서됨.
㈏ 성경
고의적인 죄(고범죄) : 희생 제물로 사할 수 없다.
과실죄 : 희생 제물에 의해 사함을 받는다.
(2) 죄의 형벌
㈎자연적 형벌 : 하나님이 형벌을 내리기전 죄의 자연적 결과로 오는 형벌.
㈏ 적극적 형벌 : 하나님이 범죄자에게 내리신 형벌.
〔10〕원죄와 본죄와의 차이점
원죄는 하나,본죄는 여럿(교만,질투,증오...)
원죄의 실재성은 광범위하게 부정되고 있고
본죄는 일반적으로 인정.
〔11〕아담의 죄와 후손의 죄악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1) 실재설
하나님께서 본래 하나의 일반적 인간성을 창조 하셨는데 이 인간성 은 시간의 흐름속에서 각 개인으로 분류되었다. 아담은 죄를 지었고 그러므로 모든 개인적 인간성도 죄책과 오염을 지니게 되었다.
(2) 직접전가설(대표설) : 개혁주의 견해
하나님께서는 인류의 시조인 아담과 언약관계를 맺으셨으므로 모든 후손의 대표자이다. 아담이 범죄함으로 죄는 인류에게 전가되어졌으며
그 결과로 모든 인류는 부패한 상태에서 탄생하였다.
(3) 간접 전가설
아담의 죄책은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는다고 주장.
아담의 후손들은 그들의 육적 부채를 자연적 생성과정을 통하여 아담 으로부터 받는다. 나누어 받은 그 고유한 부채를 기초로 해서,아담이 지은 배신의 죄를 지은것으로 간주된다. 그들은 아담 안에서 유죄하 였기 때문에 부패하게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부패하기 때문에 유죄하 는 것이다.
·펠라기우스는 아담의 죄와 그 후손의 죄의 연관성을 부정한다.(인간 은 절대적 자유의지와 선을 행할 능력을 가지고 있기에)
·반펠라기우스는 전 인류가 아담의 타락에 내포되어 있으며 인간은 유전적 죄로 오염되었는것을 인정함.(그러나 전적 타락 부인)
·종교 개혁자들은 (특히 칼빈) 아담은 인류의 조상일 뿐 아니라 그 뿌리였기에 후손들은 부패한 성질을 가지고 출생한다고 함.
여기서 바르트는 자유주의의 면에 반대하면서도 인류의 보편적 죄악 성은 아담의 죄의 결과로는 간주하지 않고 있다.
제 11 장 성 령 론
〔1〕성령이란
성령은 하나님의 능력인 동시에 인격인에 계신 하나님 자신이다. 즉 생명 의 힘이시고,구원사의 수행자시며,하나님의 백성의 삶의 힘이시고,새 창조 를 일으키는 종말론적 능력이시다.
〔2〕신적 인격으로서 성령
1) 성서는 성령을 인격적 대명사로 부른다(여 16:7)
2) 인격적 존재만이 할 수 있는 일로서,말씀하시고 도우시고,친히 기도하신 다. 가르치신다. 증거하신다. 인도하신다. 지도하신다. 선택하신다. 위로, 근심하신다.
3) 성령은 인격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지성,감성,의지 등)
〔3〕성령에 대한 이론
(1) 자유주의 신학과 성령
성령의 인격(3위)을 무시하고 신적현현의 기능으로만 이해하였다. 하 나님의 초월성과 인격성을 부인,내재성만 강조하고 성령의 영감을 무시 한다.
(2) 칼 바르트와 성령
바르트는 성령을 절대적 신성의 하나님으로 창조주,말씀안에 성화의 사역을 통해 인간과 하나님의 화해자로 그리고 구속주로 본다.
(3) 신정통주의 성령
성령의 구별된 인격을 부인하고 다만 신의 현현이라고 하여 신성을 긍정한다. Hendry는 성령의 증거는 성경기록 자체서가 아닌 말씀안에 서 나타난다. 교회가 말씀의 증거를 받아들여 자신이 믿음의 증거로 고백할 때 나타난다.
제 12 장 구 원 론
〔1〕인간의 구원(율법과 복음과의 관계)
(1) 율법
신의 명령에 반항하여 범죄한 인간을 당장에 멸하시지 않고 참으시다 가 결국에 그 죄와 죽음의 길에서 구출의 길을 열어주셨다. 그것이 곧 이스라엘 민족과 맺은 계약인데 이것을 때로는 율법이라 한다. 그러므 로 계약을 맺는 일이나 율법의 정신은 신의 사랑과 자비이다.
(2) 복음
인류의 구원을 위해 주셨던 율법이 잘 지키지지 않고 오히려 인간들 에게 무거운 짐이 됨으로 인하여 그 목적이 사실상 무능해지고 만다. 그러나 신은 사랑이시기 때문에 다시한번 인류 구원을 위한 제 2의 계 약을 맺게 된다. 이것이 바로 복음(신약)인 것이다.
그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어 십자가의 죽음,부활의 사건을 통하여 인간을 향한 깊고 넓은 사랑을 나타내셨다. 때문에 우 리는 이 십자가의 사건과 부활을 믿음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면 구원을 받을 수가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복음이요,사랑이다.(신의 사랑)
〔2〕구원의 서정
(1) 소명
㈎① 외적 소명 : 모든 자를 위한 소명,영접하라는 포고,제한이 없음.
㈏ 내적 소명 : 효과적 소명,내면적으로 소명에 응답하도록 나타냄. 불 가항력적 은혜.
(2) 중생
소명이 하나님 편인것 처럼 중생도 하나님의 권능안에서 가능(펠라기 우스,알미니안 부정). 하나님의 주권적 능동적 은혜로 그 부름에 응답 할 수 있도록 물,성령으로 거듭나게 하시는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
(3) 회개 : 회심
신앙을 전제로 하고 회개후 확신가능. 회개는 의식적 행위를 통한 죄 로부터의 전인격적 변화이다. 2중적 사역이다. 우리의 일상이 도덕적 으로 초 물리적으로 살 수 있도록 붙잡아 주신다.
(4) 칭의
하나님의 자비로운 자기의 법정 행위이다. 하나님 앞에서 용납되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의"로 인한 "의"
근 거 : 하나님의 자신의 의지,자비,그리스도의 객관적 중보의 사역.
결 과 : 사죄와 양자됨의 권리 취득
(5) 성화
죄와 관련된게 아니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과 관련
㈎ 결정적 성화 : 본질적으로 죄가 없음→그리스도가 완성시켜 놓았음.
㈏ 점진적 성화 : 본질적으로는 완전성화이나 그리스도와의 형상의 불 일치로 계속 이끌림 받는것.
성화의 대리자,대행자 : 성령,성령의 내주함이 드러남→사랑.
(6) 견인
성도의 견딤의 교리,믿음으로 끝까지 보호하심. Dort회의(1618-19) : 전적 타락,무조건적 선택,제한적 구원,불가항력적 은총,성도의 견인.
(7) 영화
그리스도와 연합,그리스도의 사역에 동참한다는 의미
영적연합(전인적 결합,그리스도의 신령한 몸과 신비적 결합)
〔3〕신앙의 역사적 개념
(1) 초대교회
포괄적인 개념으로 진리에 대한 지적 동의이다.
(2) 중세교회
권위의 신앙 교회의 신앙과 결부된다. 진리의 동의로 보고 그 좌소를 오성과 지성에 둠. 특히 교회가 제시하는 신앙의 내용에 승인함.
(3) 종교개혁
인격적인 신뢰로서의 신앙을 주장함.
(4) 정통주의
신앙을 지식,승인,신뢰의 3단계로 구분함.
(5) 바르트,부르너
하나님의 말씀에 대하여 인간안에서 일어나는 신적 응답이다.
(6) 계몽주의
신앙을 감정이나 내면성의 차원서 이해
(7) 키에르케고르
신앙과 이성을 대립시킨다.
〔4〕신앙의 요소
(1) 지적 요소(지식)
진정으로 구원얻는 신앙은 구속에 대한 진리를 알아야 한다.
(2) 감정적 요소(찬동)
진리에 대한 깊은 확신과 신앙의 대상에 실제를 느끼고 자기 삶에 댄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느낌.
(3) 의지적 요소(신뢰)
신앙의 마지막 요소다. 삶의 방향 결정,신앙의 대상을 향하여 가기를 결정,결심하는 것이다. 신앙은 전인격에 전심령에 전 생활에 자리잡는 것이다.
제 13 장 교 회 론
〔1〕교회의 본질
(1) R.카톨릭의 개념
외면적 조직체로 교회관이며 사람의 구원을 취급하는 기관이다. 교회 는 세계를 받아 성례에 참예하며 교황아래 그들의 법적인 목자들에 의 해 통치되는 모든 신실한 자들의 모임이다.
(2) 헬라정교회
교회회의를 중요시하고 무오성은 감독들에게 있다.
(3) 개신교
외면적 조직에 있지 않고 성도들의 모임인 교회에 있다.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신앙의 대상이다.
(4) 신약성서의 교회본질
㈎①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이다.
㈏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다.
㈐ 성령의 피조물이다.
〔2〕교회의 특징
(1) 교회는 거룩한 공동체이다.(거룩성)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점에서 또한 끊임없이 성령이 사역하고 있으며 교인들이 모이는 목적이 거룩하신 하나님에게 예배를 드리고 거룩하신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 위하여 모이는 모임이므로 교회는 거 룩하다.
(2) 교회는 하나다(통일성)
모이는 목적이 하나며 신앙이 하나고,믿음이 대상이 하나며,따라서 모 든 신자들의 생각이 중심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하나이다.
(3) 교회는 보편적이다.(보편성)
㈎ 교회는 인종의 차이나,국가적 차이나,신분의 차이가 없이 인간이면 누구나 다 교인이 될 수 있다.(지역에 관계없다)
㈏ 기독교 교리 전체를 가지고 있어서 그것을 모든 사람에게 가르쳐 주는 사명을 가짐.
(4) 교회는 사도적 특징이 있다.(요일 1:1)-사도성
제자들이 예수의 교훈과 명령에 따라서 교회를 시작 했다는 뜻으로 교 회의 기원은 사도들에게 있다.
〔3〕교회의 기능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하나님의 백성들이 모이는 단체라고 할 때 그 기능도 예수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뜻의 실현에 있다고 볼수 있다. 곧 그것 은 신언의 선포 성례전 집행,목양,선교등이라서 요구하시는 일들을 예수그 리스도의 이름으로 수행해 나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구체적으 로 예배,교육,봉사,친교 등으로 나타난다.
〔4〕교회의 직원
(1) 특수직원(사도,예언자,전도자)
① ㈎ 사도
모든 시대의 교회를 위한 영원한 기초를 놓는 특별한 사명을 가진 자로서 하나님 또는 그리스도로 부터 직접적으로 사명을 받은자.
그리스도의 일생과 특히 부활의 증인,그들의 모든 교훈에 있어서 성
령의 영감을 받은것을 의식하였다. 이적을 행하는 능력을 가짐 ㈏ 예언자
예언자들은 교회의 계도를 위해서 말씀의 은사를 특별히 받은 자 들이며 신비로운 일들을 계시하거나 장래의 일들을 예고하는 일들 을 함. 이들은 특별한 영감으로 말한다는 점에서 일반교역자와 다 름.
㈐ 전도자
이들은 사도들을 따라 다니며 협력하고 때로는 특별한 사명을 받 아 파송되기도 함. 이들은 가르치는 일과 세례를 베풀기도 한다.(빌 립,마가,디모데,디도등)
(2) 일반직원들(장로,교사,집사)
㈎ 장로는 교인들을 돌보며 감독하는 직임이며 개혁교회에서는 목사와 장로로 본다.(목사→먹이는 일,다스리는 일,보호하는 일들이다.)
㈏ 교사
일반교사는 성례의 집행,권징들의 권한이 없고,성경해석과 교육에만 힘쓴다.
㈐ 집사
가난한 자들을 돌보며 교회의 시무를 처리함.
〔5〕교회의 권세
(1) 교리권
하나님의 말씀의 보존(교회는 불신앙과 오류의 모든 세력들에 대항하 여 진리를 보존하고 방어해야 할 큰 책임이 있다.
말씀과 성례의 시행에서, 신조에서
(2) 치리권
질서 유지권,순결유지권
(3) 사역권
신유의 권위적 은사,교회에서 질서의 일반적 사역
〔6〕신·구교의 차이
(1) 성서관
·구교 : 성서와 전승,교회의 해석이 옳바르다. 성서와 전승의 동등한 권위(정경+외경)
·신교 : 오직 성서로만,성서 자체가 성서해석자,교회전통도 성서에 의 해 진단(정경만)
(2) 구원관
·구교 : 구원은 믿음만으로만 안되며 믿음에 따르는 인간의 노력이 필요함.
·신교 : 믿음을 통하여 하나님 은혜로 오는 구원(그리스도에 자신의 전인격을 맡기는 것)
(3) 성례
·구교 : 성례전을 통하여 구원의 은총이 베풀어진다. 성례전 없이 구 원없다.
7성레(영세,견신례,성체,고해성사,종부성사,신품성사,혼배성사)
·신교 : 성례전은 구원의 조건일 수 없다.
2성례 : 세례,성찬
(4) 교회관
·구교 : 교회조직,교구제도를 중심으로한 조직의 통일성을 꾀함(교황 →추기경→대주교→유형교회)
·신교 : 신자들의 영적 하나됨을 말함(무형교회)
(5) 예배
·구교 : 성례전에 중심을 둔다. 형식적 예배,상징주의에 편중,예배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신비체에 연합됨을 강조(화체설)
·신교 : 말씀에 치중하는 예배. 하나님을 중심한 예배를 드리기 위해 인위적인 요소들은 배제.
(6) 행위
·구교 : 인간의 행위가 클수록 인간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도 점점 완전하게 됨.
·신교 : 행위는 하나님의 은혜의 조금도 영향을 주지 않음. 신자의 행위는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은총에 대한 감사의 응답일뿐.
(7) 교회정치
·구교 : 교회 조직과 교황 무오의 절대성으로 교회사무의 전제로 하 여,이로써 교회예배,정치를 결정하고 규정.
·신교 : 예수그리스도만이 교회의 유일한 머리이므로 인간의 조직으 로 하지 않고 그리스도의 영과 권위의 표준인 하나님의 말씀 을 통하여 하심.
제 14 장 종 말 론
〔1〕현재적 종말론 : 불트만
불트만은 그리스도의 선교속에 이미 묵시문화적 종말론을 넘는 현재적 종 말론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 의미를 비신황하여 종말을 세계사의 끝 또는 시간의 미래로 보지 않고 "결단의 시간"으로 보아 종말론적 현재성을 강조 했다.
우주적 격변으로서의 종말에 대한 시대는 이미 사라졌고 죽은자의 부활 과 최후 심판은 그리스도의 재림과 함께 이미 현재적이라고 본다.
초대 교회는 재림의 자연을 옛 종말론을 비종말론화하여 버리는 것으로 해결하려 하지않고 그것을 신앙실존의 자기 이해의 표횬으로 비신화함으로 써 새로운 종말론적 자각에도 심화시켰다고 본다. 신약성서 종말론을 케리 그마로 거기에 응답하여 거듭 실존론적 결단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것으로 본것이다. 그러므로 소망은 신화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케리그마에 근거하 고 있으며 그것은 인간 실존의 자기 이해속에서 생겨진다.
나의 실존이 소망이며 이 소망속에 내가 있는 것이다.(소망은 소유도히어 지는 것이 아니다.) 신앙의 결단이 있는 곳에 종말론적 현재가 있고 거기 에 성취된 소망이 있기 때문이다.
〔2〕재종말론화 : 몰트만
볼트만의 신학을 비 신화화라면 몰트만은 재 종말론화의 시도라고 본다. 몰트만의 신학은 신의 약속에서 출발하는 종말론이다. 그러기에 예수그리 스도의 부활은 구약예언의 성취라고본다. 예수그리스도의 부활이 종말의 성취이며 그것과 함께 미래에 대한 새 지평이 열리므로 모든 신학의 기초 가 된다고 한다. 부활은 그에게 있어서 근본적인 사실이 되며 소망의 원리 를 가지고 이해한다. 이 소망은 현재의 상황속에 세상을 페쇄치 않고 하나 님의 미래에 대한 기대이며 역사의 추진력이 된다.
〔3〕철저적 종말론
㈎ 슈바이처의 종말이론
㈏ 그는 자기 생애중에 예수그리스도가 재림할것이라고 했으며,자신의 죽 음과 함께 예수가 재림할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예수는 오시지 않았 다.
㈐ 그래서 그는 예수의 예언이 잘못되었다고 보고 종말을 철저하게 비종 말화해야 한다고 했다. 즉 종말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예수
의 위대한 사랑을 본받고 생명에 대한 경의심을 본받아야 한다고 하여 평생을 아프리카에서 토인을 위해 봉사하였다. 한마디로 슈바이처의 종말론은 착각이었다. 그래서 슈바이처의 종말론을 철저적 종말론이라 한다.(미래지향적이면서강한 묵시 문학적 성격을 지님)
〔4〕실현된 종말론 : C.H. 다드
다드에 의하면 바울은 미래적-종말론적 대망의 메시야 왕국이 예수그리스 도의 생애와 죽음과 부활속에서 이미 현재적으로 구현되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다드는 종말론적 메시야의 대당은 그리스도 사건안에서 현재적으로 구현되었고,종말론적 새언약 공동체에 대한 구약적 기대는 교회안에서 이 미 실현되었다고 역설한다.
〔5〕구속사적 종말론 : O. 쿨만
쿨만은 바울의 종말론을 일직선적으로 이해되는 역사속에서 이루어진 하 나님의 구속사의 중심(예수그리스도 사건)을 기점으로 고찰한다. 시간의 중심으로서 그리스도의 사건은 하나님의 영원성이 현 에온의 시간속에 들 어와 현재가 된 사건이기 때문에 종말은 이미 도래되었지만 그것의 완성은 우리 앞에 있는 미래로써 역사는 여전히 종말의 완성을 향해서 진행되고 있다고 본다.
〔6〕재림에 있어서 중요한 용어
(1) 천년왕국설
예수와 성도들의 천년동안 함께 산다는 것.
·전천년설 : 천년왕국전에 예수 재림.
·후천년설 : 천년왕국후에 예수 재림.
·무천년설 : 문자적으로 해석 해서는 안돤다.(칼빈,어거스틴)
(2) 세대주의
세대를 나누는 사역
·성부 : 구약에서 사역
·성자 : 신약에서 사역
·성령 : 현재 사역
제 15 장 부 록
현대신학의 흐름-16C 종교개혁→17C 정통주의→18C 계몽주의→19C 자유주의 →20C 신전통주의
(1) 18C 계몽주의
이성을 중요시,가치판단의 근거,진리,비진리의 척도가 이성이라고 주장.
원인
과학의 발달(생물학,과학)-이성신뢰
병은 병원에서 성경을 이성으로 분석,정통주의를 비판, 따라서 성서는 오 류가 있을수 있다. 성서는 인간의 거룩한 종교적인 체험을 기록한 문헌 이다.
(2) 19C 자유주의
슐라이 마허, 리, Harnack
특 징
㈎성경의 절대권의 붕괴
㈏ 이성의 존중
㈐ 기적과 초자연의 부정
㈑ 기독론의 심각한 변천(예수는 신성충만한 인간)
㈒ 도덕주의(양심강조-윤리종교) : 기독교의 본질은 예수그리스도의 인 격을 닮은 것이다. 원시 종교의 신 화적 표상으로 고대한 삶,희생적 사 랑을 강조.
㈓ 이웃사랑 : 사랑을 강조
(3) 20C 신정통주의
K.Barth E. Brunner, F.Gogarten, E.Thurneysen
무너졌던 17C 정통주의의 재건(그러나 방법은 상당한 차이를 두고 있다.)
특 징
㈎ 성서의 권위회복,성경은 인간의 말이 아니고 하나님의 말씀이다. 그 러나 인간의 도구를 통하여 전달(인간의 오류),절대 무오성을 주장하 지 않음.
㈏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하나님의 자기 계시(예수그리스도)
㈐ 계시와 종교와의 구별: 모든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 놓은 것,그러나 계시는 다르다. 계시는 역사속에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것으로 예수그리스도이며 성경 을 통해서 우리에게 전달되고 있다. 따라서 계시는 종교속에 없으며 근본적으로 다르다.
㈑ 인간의 죄악성 인식과 하나님의 은총강조,인간은 죄인(인간의 부패
성),희망은 하나님의 은총에 있다 .
㈒ 예수그리스도의 유일면적 역사와 속죄적 죽음의 강조. 예수그리스 도의 삶과 오직 역사족에 한번뿐이었다.(성자의 삶이기때문). 단 한번 속죄적인 죽음에 의하여 인간이 속죄되었다.
(4) 근본주의
C. Eerdman 미국의 구정통주의 보수주의자들이 19C에 자유주의 신학 에 위협을 받게 되자 1895 나이아가라 휴양지에서 대대적인 대회를 가 짐으로 태동(정통주의,<구파 칼빈주의자들>와 세대주의자들로 구성)
5대 교리
㉮ 성경의 절대무오
㉯ 예수그리스도 동정녀 탄생
㉰ 예수그리스도 대속적 죽음
㉱ 예수그리스도 육체적 부활
㉲ 예수그리스도 육체적 재림
그러나 1920년대 접어들면서 흔들림(1925-1930 사양길). 국민들 신근본 주의에 등 돌림. 이때 신정통주의 상륙, 1929경 프린스톤 신학교가 신 정통주의의를 받아들임. 이에 일부 근본주의 신학자들이 반발하여 웨 스터 민스터 신학교 세움(Van til). 1935년 이들은 교단 창립(미국정통 장로교회)을 하고 신정통주의를 자유주의를 자유주의 신학과 동일시 (신사학으로 오인). 한국에 영향.
(5) 신 근본주의
근본주의 내에서 세대주의를 용인하는 자들로 대표. Mcintire Faith 신 학교 : 미국성경장로교회(Westminster 신학교에서 반대)
(6) 신 복음주의
미 보수주의 대표(대표: Ockenge, Henry) Ramm
㉮ 1947. 10월 Fuller 신학교 설립과 동시 태동
㉯ 1974 로잔대회 : W.C.C.와 대치 1982 서울대회(빌리그레함)
㉰ 세계보수주의의 대표신학,지금은 "복음주의"라 함.
신학 내용
㉠ 근본주의 비판
㉡ 성서무오의 신앙 : 신정통주의와 차이
㉢ 과학과 성경조화 : "간격이론" 과학과 타협
㉣ 정치적 중립 : 사회복음 거부,영적인 문제만 취급,개인을 변화시 켜 그들로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 즉 사람은 변 화시켜야 한다. 좌파거부,우파 이롭게 할수 있는
오해를 안고 있다.
㉤ 협력전도 : 가능한 한 협력전도를 위하여 타협없는 협력 따라서 불순세력도 들어 있을 수 있다. "복음주의를 위장한 자유주의다"(박 아론)
(7) 진화신학
비엘 떼이아르트 샤르뎅(일류생물학자)
자연과학과 신학의 연결점연구(진화론 수용),진화론이 성경적인 특징이 있다는 것.
진화신학의 내용
㉮ 정적인 우주관은 잘못되었으나,우주는 발생되어 가고 있고,진화하 고 있다.
㉯ 우주 진화의 과정은 무질서가 아니고 분명한 방향을 지닌 진화과 정이다.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화,진화행위속에 하나님 의 창조의 손길이 들어 있다.
㉰ 진화는 선상의 자연적 연속적 발전이라기 보다는 돌연변화,상태 변화 진화로 창조화 창조적 진호하 불연속적인 비약을 내표한 신 비한 창조과정이다.(하나님의 창조행위의 소산)
㉱ 창조주는 우주의 인간이라는 꽃을 피우기 위하여 거대한 진화의 길을 창조하셨다.
㉲ 인간창조후 진화는 타율진화단계에서 자율진화 단계로 접어들었 다. 인간도 하나님의 진화적 창조사역에 동역자로 동참(자율진 화:하나님과 인간속에의한 진화)
㉳ 진화사역에 최종목표는 우주적 그리스도의 몸이다.
㉠ 부활한 그리스도의 몸만큼 진화
㉡ 피조물의 영광스런 진화(하나님)
· 죄 : 진화에 역행
· 하나님의 기쁨 : 조화를 위해 노력
(8) 생태학적 신학
창조속에 계신하나님,생태계에 문제 즉 자연 파괴 문제.
인간의 자연 착취, 창세기 1장-착취개념이 아니라 관리 개념,자연과 하 모니 즉 자연과 사람과의 조화, 그리고 인간의 과학(농약,화학)으로 자 연파괴,스르로 인간이 죽게되는 상황까지 왔다는 것.
(9) 종교사회주의
억압,정의 문제,막스주의의 영향(통일신학)
1) K.Marx의 사상
㉮ 자본주의 비판- 화폐는 모든것을 살수 있다.
㉠ 화폐는 전능한 존재(곧 신)
㉡ 따라서 노동자들은 돈의 노예가 되고
㉢ 자본가들을 위한 도구가 되며,
㉣ 참된 인간성을 상실(물건 기계화)
㉤ 결국 자본주의는 인간을 말살시키고
㉥ 노동자들은 완전한 기계역할
㉦ 이것은 악이요 "눈물의 골짜기"다.
그러므로 사유재산 제도를 없애고,생산수단을 "공유화"해야하며, 이를 위해 계급투쟁을 전개햐야 한다.(공산집단 형성 계기)
㉯ 종교 비판
"눈물의 골짜기" 해결을 위하여 형제공동체 주장,사회주의이상 (공산주의와 다르다.) 이를 위하여 노동자들 규합 계급투쟁으로 개혁,그런데 개혁의지 없는 노동자들의 문제. 이것은 종교(교 회)가 있기 때문. 순종,인내,이 세상은 잠시지나가는 곳,천국,섬 김 강조. 이것은 종교가 아편역할을 하기때문(종교는 민중 아편 이다) 결국 종교는 없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눈물의 골 짜기" 현실을 해결할 수 없다.
신이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고 개혁을 하는 데 종교가 방해가 된다는 것. 당시 교회(특히 카톨릭)는 집권자들과 결탁 되었으 며 후에(20C 후반) 어려운자편에 서게됨.(즉 1962 바티칸 공의회 요한 23세)
2) 평가(장점)-긍정적인 면
㉮ 사회정의를 위한 개혁의지 공헌
㉯ 참된 인간성 회복을 위한 노력(형제공동체)
㉰ 민중들에게 지상의 희망을 줌(지상낙원)
당시 기독교가 변혁 기능상실(막시즘 태동의 이유중 하나)
3) 문제점
㉮ 민중 아편은 기독교를 잘못 이해(기독교 본질,정의,인격존중)한 것이다.
㉯ 사유재산 제도 철폐문제(인간의 고통,경제적인 소외) : 물질주의 비판 그러나 비인간화 문제는 경제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죽음에 따른 영혼의 문제이다.
㉰ 사회개혁의 주체 하나님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도구에 불과. 하나님의 방법으로 개혁(기독교는 자기 책임을 신에게 전가)
그러나 사람의 힘으로 불가능,하나님의 도우심으로
㉱ 폭력사용비판,혁명투쟁,자본가들이 원수이다고 생각하여 투쟁,그 러나 원수 갚는것(하나님의 방법-사랑). 평화적으로
㉲ 재산의 공유화 문제(초대교회) 그러나 재산은 청지기 입장에서 생각. 즉 모든 재산은 (주님의 뜻에 맞게 써야 한다. 소유가 아니다.) 하나님의 것.
(10) 종교 사회주의(20C 초)
Marx 정신을 기독교로 흡수한것.
교회는 영적인 하나님의 나라와 현실적 하나님의 나라가 공존해야 한 다. 사회주의 속에 이미 하나님의 나라도래, 하나니므이 나라 운동 사회주의운동.
1) 사 상
㉮ 목표는 하나님의 나라 : 참된 평화 정의의 나라(영혼구원이 아 니라 하나님 나라)
㉯ 자본주의 비판 : 돈이 주님이 되기 때문
자본주의 사탄이 활동.
작업장은 "형제애로"되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 한다. 노동자 운동속에 하나님이 개입. 자본 주의는 악,사탄과의 싸움은 곧 자본주의 와의 싸움이다.
㉰ 사회주의 선화 : "형제애"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
㉱ 기존질서의 개혁시도 : 하나님 나라의 신앙은 더 나은 질서를 요구한다.
㉲ 종교사회주의는 Marxism이 아니다.
Marxism : 개인희생,국가절대주의
종교사회주의 :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한 민주주의(형제애에 기 호)
㉳ 폭력 반대(비폭력주의) : 목적 혁명,노동자 투쟁은 사회주의의 근본정신이 아니다. 사회주의는 폭 력을 쓰면망한다. 철저한 사회주의 건설.
(11) 정치 신학
1) 체제유지적 정치신학 : C. Schitt
콘스탄티 이후의 기독교 신학(약 1950까지)
로마 평화를 위해 기독교를 국교로 삼고,타종교를 정복 체제유지.
2) 체제 비판적 정치신학 : B. Solle, J. Moltmann
20세기 후에 개혁의지,하나님 나라 질서에 의한 개혁,현질서 개혁.
3) D. Solle의 정치 신학
Bultumann의 성서의 주술적 비판에 머무름에 비판하고 교회와 사 회구조 비판(정치바판),자본주의를 악으로 공통,곤궁을 느끼게 하 기때문에 사회주의 선호(형제 공동체),즉 자본주의 경쟁은 고통을 주기 때문에 사회구조 자체를 고쳐야 사람들이 해방을 받을 수 있 다는 것. 따라서 해결은 정치적으로 해결.기독교모든 교리들을 정 치적으로 해석.
㉮ 원 죄
과거의 죄악적인 구조(소외,고집,경쟁)가 후대에 전수되는 것, 자본주의 자체가 원죄를 안고 태어난다는 것, 따라서 죄는 자 본주의 체제에 협력하는 것.
㉯ 용 서
사회속에서 저주 받고 있는것을 사회주의 구조로 바꾸었을 때 에 형제공동체가 용소의 현실이다. 우리 모두가 친구가 될 때 죄가 극복되고 용서가 있게 된다.(수평적인 관계성 속에서 해 석)
·우파 : 나와 하나님,나와 이웃관계에서 죄악이 존재
·좌파 : 오직 나와 이웃 관계에서만 죄악(기본적인 교리부정 위험)
·정치적 뜻으로 해결(해방신학의 기초를 놓음)
(12) 해방신학
1) 동 기
㉠ 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 교황 요한 23세)
㉡ 교회가 사회에 깊은 관심 천명,카톨릭의 대변화,"해방신학"의 길 열게 됨.
㉢ 1968. Medellin 회의
㉣ 라틴 아메리카 2차 남미 주교회의 개혁
㉤ 자본주의의 심각난 경제적인 문제 지적,개혁을 주장,이에 주교들 이 한단계 발전시켜 "해방"이란 말을 언급, 즉 악한 구조에서의 해방-그리스도인의 임무.
㉥ 1971년 페루신부 "해방 신학" 책 씀- Gutier
㉦ 1972년 칠레 산티아고 회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교회(남미)가 나 아갈 방향은 사회주의다. 그러나 본질은 복음.
㉧ 1980년 로마교황청과 마찰(L. Boff 신부)
해방신학 : 민중의 주체가 되는 교회
교 황 청 : 주교가 있는 곳에 교회
2) 특 징
㉠ 교회와 세계의 양분의 극복
복음은 전인간을(영혼과 육체) 해방,하나님은 불의한 현실을 기 뻐하지 않으신다. 세계와 역사는 하나님께 복종,그러므로 교회 는 역사성에 동참.
㉡ 개발이 아니라 해방(발전이 아니고 급격한 해방)
선진국(북미)들과 기술제휴 하여 결국 위성국가,부품조달 공급지 로 전락,불편한 관계,종속관계,결국 개발정책은 제 1세게에 종노 릇 하는 것이 되고 만다. 따라서 자본주의 체제를 근본적으로 개혁하며 완전한 해방을 가져와야 한다. 이에 대하여 미국은 반 대 이론→ 문제는 라틴 아메리카 자체에 있다.
㉢ 대안으로서의 사회주의
이상적인 사회주의
일부 엘리트 계층의 부패,경제 엘리트에 대한 독점적 정부지 원(정부와 결탁)에 대한 반발.
㉣ 계급투쟁과 화해
지배하는 계층과 압박받는 계층으로 분류
화 해 : 낡은 시대 타도와 새로운시대의 승리로 성취되는 것으로 압제자와의 싸움으로 사랑하는 것이다. 따라서 계급 투 쟁은 사랑에 모순이 아니라 보편성에 요구되어지며 싸우 는 것이 화해로 가는 것이다.
(13) K. Barth의 신학
1) 성서관(신정통주의)
㈎ 하나님의 말씀이 삼중형태
㉠ 역사적예수그리스도: 하나님의 자기계시,유일회적인 결정적 인 하나님의 계시
㉡ 성서: 성서밖에서 하나님 말씀을 들으려고 해서는 안된다. 오직 성서로 하나님의 말씀(당시 독일 히틀러를 통한 하나님의 말씀-주님의 말씀으로 강요) 제 2.3, 하나님 말씀은 없다.(바르멘 신학선언)
㉢ 설교: 설교를 통하여 하나님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늘 성 서의 비판을 받아 일치를 가져와야 하며 성서 또
한 예수그리스도와 일치를 가져와야 한다. 즉 역사적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서를 비판할 수 있다. (어 느것이 성서와 더 가까우냐?)설교자는 놀라운 영광을 위탁받은자,철저하게 성서에 의하여 하나님 말씀을 선포해야 한다. 설교는 하나님 말씀을 받는 가장 엄 숙한 시간.
※ 멘 신학 선언(1934)
나치 독일과 결탁된 독일교회(독일 그리스도교 연맹)에 반발하여 바르멘에서 모여 신학선언,이 선언의 기초는 거의 K. Barth가 작성(히틀러 경계-독일그리스도교 연맹 에 대한 반발)
㈏ 하나님의 말씀이면서 인간적 증언인 성서
㉠ 하나님의 말씀+인간적 증언(사도증언)=성서
㉡ 성서에 인간적 증언이 있기 때문에(인간성) 오류가 있다. 따라서 성서는 예수그리스도의 권위를 통하여 비판을 받아 야 한다.
※ 도 불구하고 성서가 왜 하나님 말씀인가?
사도적 증언(예수그리스도의 현재)을 통하여 말씀하시기 때 문이다. 사도적 증언에 하나님 말씀이 매여 있다. 따라서 하나님은 사도적 증언인 성서를 통해서만 말씀하시고 성서 없이는 말씀안하신다.
※ 재 영감설: 성서를 읽으며 실재로 하나님 말씀을 듣기 때 문에 하나님 말씀이며,들을 때 동시에 인간적 인 오류 발견,축자영감설은 부인.
㈐ 하나님의 말씀의 사건성
하나님의 말씀은 계시하면서도 은폐하신다.
㉠ 이유 : 하나님 말씀이 가지고 있는 인간요소 때문,그럼에도 인간요소가 아니면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인간요 소는 은총이다.
㉡ 하나님 말씀의 사건: 은폐의 장막을 열고 하나님 말씀을 직 접듣는것(성령의 도움). 그러므로 설 교자는 강단에 올라갈 때 성령과 함께 올라간다.성령의 도움이 없이는 인 간의 말에 불과하기 때문(성령의 사건 -하나님 말씀이 하나님 말씀이 된다.)
㈑ 정경의 표준(왜 66권만 성경이냐?)
정경 표준 : 사도성,지난 300년 동안 성경을 하나님 말씀으로 들어왔기 때문. 즉 성경이 성경되게 하였다. 성 경을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 때문.
외 경 : 흐리고 왜곡되게 들림. 그러나 만일 뚜렷하게 표 준성있게 성경 외에서 하나님 말씀이 들여올때 정 경으로 평가(12사도의 교훈)
결 정 : 전체 교회가 들을 수 있을때 전체 교회가 결정.
따라서 66권에 막혀 있지 않고 열려있으나,현재로 서는 잠정적 막혀있다.
2) 신 론
㈎ 하나님의 사랑과 자유(서로 모순 관계)
예정론에 대한 문제제기(선택과 유기,하나님의 뜻대로,그러면 하나님은 천상의 독재자인가?) 하나님을 십자가에서 이해(출발 점). 궁극적인 목적(예수그리스도)
예수의 십자가에서 발견되는 하나님의 모습 : 하나님의 사랑 (인간의 죄를 지시고 고통)
극단적 하나님의 사랑.하나님의 자유 : 사랑을 위한 자유(요일 4:8). 하나님의 정의
하나님의 자유는 폭군이 아니라 하나님의 본질이 사랑에서 연 유한 것이다.
정통주의 : '천상의 독재자' 로 하나님을 본다.
㈏ 하나님의 자비와 의
㉠ 자 비 : 긍휼을 베푸심(모순에 문제제기)
㉡ 의 : 잘못할때 죄
하나님의 의는 자비이다. 눌린자,궁핍한자들이 하나님의 의를 찾을때는 하나님은 자비이기때문에 하나님을 찾는다. 그러므 로 하나님의 의를 찾을때 눌린자들이 하나님의 자비를 맛본다 (돌아보는것-자비). 따라서 의와 자비는 동일하다.
하나님의 의가 극단적으로 나타난 것 :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인간에게 돌아갈 형벌이 십자가에 나타남(하나님의 엄청난 자비 표현). 인간은 그 자비를 측량하기 어려우며,하나님의 의는 반드 시 십자가에서 생각.
㉢ 하나님의 불변
Calvin의 예정론에 반기(예정론은 석고상 하나님 잘못이해
한것.) 하나님은 살아게셔서 지금 결정하고 만나고 대화하 신다. 인간의기도를 통해 계획이 변경되기도 하며 하나님의 계획은 인간의 기도보다 앞서기도 하지만 기도에 뒤따르기 도 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불변(하나님의 사랑,은총,약속의 불변 : 민 23 : 19) 하나님은 내가 떠날때도 다른 방법으로 끝까지 사랑,하나님의 인격성이 불변하기 때문이다.
3) 화해론(객관적 화해론)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순간에 회해,그러므로 죄는 이미 2000년전에 용서받았으며 믿음과 상관없이 객관적으로 일어난것으 로 인간이 왈가왈부 할 수 없다.(결단,순종,믿음에 상관없다.)
만인구원론은 아니고 만인이 화해되었다는 것이다.(골 1: 19)우리 에게는 예수그리스도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에 어떠한 신학적 한계를 설정할 권리가 부여해 있지 않다.
※ 화해론과 구원론의 차이
화해된 현실을 믿음으로 받아들일때 구원이 일어난다. 화해와 구원은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인간은 화해와 구원의 긴장속에 존재, 즉 그 사이의 시간이 교회의 시간,선교의 시간,성령의 시간이다.
성령의 부름 받지 않은자 : 회해되었으나 구원받지 못했으며 화해의 효력이 아직 그들에게서 적용되지 않은 것이다.
비 유 : ·감옥속에 죄수-사면소식→믿을때 구원
·알프스산속에 2차대전 피난민→믿을때 구원
따라서 종교는 비 회해의 사실을 알리는 것이며 이것을 믿을때 (믿음으로 받아들일때) 그 화해의 효력 즉 구원을 받는 것이다.
(14) J. Moltmann의 삼위일체신학(20C 후)
2개의 이단 : ㈎ 삼신론
㈏ 일신론 : ㉠ 종속론 ㉡ 양태론
서구신학은 터툴리안 영향으로 양태론적인 삼위일체이다. 어거스틴도 이 영향으로 양태론적인 경향(하나님도 한분 3개의 역할(가면),따라서 근본적으로 삼위일체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
계시로부터 삼위일체를 이해하고 예수그리스도 사건(십자가)에서 하 나님을 설명. 예수그리스도 신성에서 보면 명백히 하나님은 한분이 아니시고,버림받은 아들 예수그리스도가 되시고 이 예수그리스도를 버 리는 아버지 하나님이 계신다는 것이다. 예수그리스도께서 기도,하늘 에 계신 아버지께 기도(아버지의 아들은 같은 분이 아님.). 명백하게 성서에 세분(마 28: 19, 고후 13: 13). 성령도 하나님괴 예수그리스도 와 다르다(요14: 6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따라서 공식적인 Form은 아버지 하나님께, 예수그리스도 이름으로 성령을 통 해서 기도,그러나 삼신론이 아니고 삼위일체를 주장하는 거시다.
그러면 어떻게 하나인가?(성서적)
하나님의 사랑이시므로,사랑의 본질은 하나되게 한다.(요일 4:8)
(비유.자식이 병들었을때 어머니 역시 병든 사람처럼 생각, 이것은 사 랑때문)
아버지는 아들안에 있고,아들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는 성령안에 아들은 성령안에 있다.(요 10:30)
아들의 영광을 보면,하나님의 영광을 본다. 한분을 보면 3개의 빛이 동시에 본다.
십자가에 예수가 처형될때 그 자리에 성령과 더불어 아버지가 계셨다. 아들은 죽임을 당하고 다른 방식으로 아버지는 함께 고통을 당하였다. (다른 방식으로)
따라서 예수의 뜨거운 사랑과 독생자를 버리신 하나님의 망극하신 은 혜를 느낄수 있다.(삼위일체적으로) 그러므로 삼위일체 신이다. 즉 따로 따로 계시지 않고,성부안에 성자가 계시고 성령안에 성부와 성자 가 계시기 때문에 삼위일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삼위일체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발견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리스도께 첫 출발이라고 볼때 상당히 중요한 이론이며,공헌이라고 볼 수 있다.
< 조직신학 >
* 장신대 목회과정 91년도 입학고사문제 *
1. 구정통주의 신학의 성서관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하였으며, 성서기자가 성서를 기록할 때 어휘 선택, 표현방법, 숫자.
글자에 있어서까지도 하나님의 영감을 받아 기록했다고 하는 축자영감설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 1)초대교회 : 예수그리스도 자신과 그분의 가르치심, 교훈
2)종교개혁시대 : 성서를 문자적으로 이해, 성서가 성서를 해석한다.
3)개신교정통주의 : 축자영감설
4)계몽주의 시대 : 성서를 일반문헌화 하였다.
2. 양태론
사벨리우스의 이론이다. 성부, 성자, 성령은 한 하나님의 다른 가면으로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표현양태라 한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두 번째 현 상양태에 불과하다고 하여 그리스도의 인성을 부인하였다.
비판 :
3. 만족설
그리스도는 인간의 죄때문에 손상된 신의 영광을 회복하고, 신에게 만족을 주기 위하여 죽으셨다. 안셀롬이 주장하였으며 객관설이라고도 한다.
** 1)배상설(오리겐) 2)만족설(안셀롬, 객관설) 3)도덕감화설(주관설, 아벨 라드)
4)형벌만족설(루터, 칼빈) 5)모범설(소시니안) 6)통치설(그로티우스) 7)고전설(아울렌)
4. 범재신론
범신론(Panpsychism)이 하나님과 세계를 동일시하고, 이신론(Deism)이 하 나님과 세계를 분리된 실재들로 취급한다. 범재신론(Panentheism)은 범신 론과 이신론을 조화시키려는 견해다. 즉 세계는 하나님의 존재에 포함되지 만 세계가 하나님의 존재나 그의 창조력을 다 포함하지 못한다.
5. 진화신학 - 89년도 4번 참조.
6.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일반계시 :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 및 피조물을 통하여 자신을 나타내 는 것
특별계시 : 하나님께서 성서를 통하여 예수그리스도(자신)를 나타내는 것
자연계시 : 죄의 책임을 인간에게 전가 못한다. 예수 그리스도 없이 구원이 가능하다.(하나님과 직접교제)
특별계시 : 성서를 계시의 원천으로 생각한다. 예수 그리스도 없이 구원이 불가능하다.
7. 판넨베르그의 보편사 신학
판넨베르그에 의하면 하나님의 계시는 보편사속에서 일어난다고 한다. 따 라서 세계사는 간접적인 의미에서 하나님의 자기계시이다. 하나님의 계시 는 이스라엘의 역사와 종교뿐만 아니라 모든 민족의 역사와 종교 속에서 찾을 수 있다.
8. 목적론적 증명
이것은 우주론적 증명의 확대이다. 모든 것은 목적과 계획이 있고 이것을 계획한 존재가 있다. 이 최고의 질서자가 신이다. 대표적 학자는 하지와 필 론이 있다.
9 . 칼빈신학의 핵심정신
1)인간의 전적타락(Total Depravity)
2)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 Election)
3)제한된 구원(Iimited Salvation)
4)불가항력적 은혜(Irresistable Grace)
5)성도의 견인(Perseverance of Saints)
10. 힉(J.Hick)의 기독론
그리스도의 구원에 이르는 여러 길 중의 하나라 고하며 그리스도만이 유일 한 구원이 아님을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구원의 중심이 예수그리스도 중 심에서 하나님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한다.
비판 : 1)신중심의 신학은 그리스도의 절대적 구속의 의미를 약화시킨다.
2)종교다원주의 신학을 형성하게 된다.
* 장신대 목회과정 92년도 입학고사 문제 *
1.형벌 대속설(형벌만족설-루터와 칼빈)
루터와 칼빈을 포함한 종교개혁자들은 안셀롬의 만족성에 다가 더 보완하 는 입장을 취한다. 십자가는 단지 하나님에 대한 만족을 주기 위하여 일어 난 사건만 아니었다. 도덕적 감화를 주기 위한 사건도 아니다. 십자가는 죄에 대하여 내려진 하나님의 공의의 심판으로 일어난 사건이다. 죄의 벌을 사람이 감당할 수 없었기에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그리스도가 그 벌을 인류를 대신하여 받으심으로 죄의 문제가 해결되었고, 결과 신이 만족하고 인류의 모든 죄를 용서한 것이다.
2. 성령 훼방죄(막3:28-29)
1)모든 죄는 무조건 용서받는 것이 아니라 예수를 믿고 회개하야만 구원을 받는 것인데 성령을 훼방하는 것은 결국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것이므로 구원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2)성부는 구원의 계획을 세우는 성자는 구속사업을 이루시고 성령은 이를 성도에게 적용시킨다. 따라서 우리는 성령을 통해서만 구원을 얻을 수 있는데 이를 훼방하면 구원받을 길이 없다.
3. 내재적 삼위일체(Immanent Trinity)와 경륜적 삼위일체(Economic Trinity)
사역 : 가)내재적사역 : 창조이전부터(성부,성자,성령)하나님이 자기내부 에서 가지는 사역이다. (하나님의 관계)성부는 생성하시고 성 자는 파생하고 성령은 발생하는 것이다.
나)경륜적사역 :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하나님이 세상에 오셔서 사역 함. 성부는 창조, 성자는 구원, 성령은 성화의 사역을 한다. (계시의 삼위일체라 한다.)
4. 존재유비
ㄱ) 존재유비의 근거 - 칼빈, 브루너
피조물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통해서 하나님을 알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님께서 사랑의 아버지라고 할 때 육신의 부모의 사랑을 유추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생각하는 것이다.(발트는 이 방법을 부정한다.)
ㄴ) 신앙유비
하나님이 주신 신앙을 통하여 하나님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신앙자체는 하나님이 주신것이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신앙을 통해서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것이다.
ㄷ) 관계유비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면 바로 관계성이라고 하는 것이다. 하나님께 지·정·의가 있듯이 인간에게도 지·정·의가 있다. 또 하나님께 성부·성자·성령의 관계가 있듯이 인간에게도 이와 비슷한 관계가 있다. 이 관계는 하나님께서 주신 것인데 이것은 하나님이 먼저 가지고 계시고 그 것을 인간에게도 주셨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형상이다.
5. 우주적 그리스도론
진화신학은 모든것이 다 진화한다는 데서 출발한다. 그 진화의 방향은 점점 더 복잡하게 진화한다고 한다. 모든 생물이 질소나 산소에서 미세포에서 다세포로, 다세포에서 점점 더 진화하여 복잡하게 된다. 그래서 마침내는 가장 복잡한 인간으로 진화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복잡화 법칙이다. 둘째 법칙은 의식복잡화 법칙으로 이것은 의식이 복잡해져 감에 따라 복잡하게 진화한다는 것이다.
샤르뎅은 이러한 사실을 신학에 적용시켰다. 인류(지구)의 생물의 역사는 의식 복잡화 법칙에 의해 종말에 가까워져 간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반드시 종말이 온다. 이것을 "오메가 포인트"라고 하는데 이 중간에 예수 그리스도 의 사건이 일어났다고 한다. 진화의 최종목표는 우주적인 그리스도적 몸이 다.
6. 개혁교회의 성령론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성령은 하나님의 능력인 동시에 인격안에 계신 하나님 자신이다. 즉 생명의 근원이시고 구원사의 수행자시며 하나님 백성의 삶의 근원이시고 새창조를 일으키는 종말론적 능력이시다.
성령은 지·정·의를 가지신 인격체로 가르치시고 인도하시고 위임하시고 명령하시고 중보하시고 말씀하신다. 또한 그분은 삼위의 다른 인격과 동등 하며 오직 하나님만 할 수 있는 일을 행하신다. 편재성, 진리, 전지성, 생명, 창조, 생명의 속성을 지니고 계신다. 그러므로 성령을 단순한 능력이나 감화 력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성령님은 하나님이시며 삼위와 동등하시다.
7. 정경의 기준
정경이란 기독교의 모든 선포에 있어서 규범이 되는것, 즉 기독교 진리의 규 범을 말한다. 이러한 정경은 교회회의에 의해서 결정되었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수그리스도의 중심에 있다. 성경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이다.
그러면 모든 성경이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기준은 사도성에 있다. 신약성서 27권에 기록되어있는 말씀들은
그리스도의 말씀들을 직접들은 사도들로부터 혹은 이사도들의 제자들 로부터 유래하는 증언이다.
*세째기준은 성령의 내적 증언이다. 하나님께서 성령을 통하여 우리가 가진 정경을 정경으로 보증하기 때문에 우리가 가진 정경은 정경이 된다.
*네째기준은 보편성이다. 보편적으로 읽혀지고 있는가? 사용하고 있느냐? 이다.
8. 그리스도의 삼중직무
그리스도의 삼중직은 예언자, 제사장, 왕으로서의 직분을 말하며 칼빈이 처음 으로 주장하였다. 예언자로서의 사역은 하나님의 말씀, 즉 구원의 메시지를 선포하는데 있다. 제사장으로서의 사역 은 속죄의 죽음과 하나님과 인간의 화해의 사역이다.
왕으로서의 사역은 은혜의 왕국(교회), 자연의 왕국(모든 피조물), 영광의 왕 국(새 하늘과 새 땅)을 통치하시는 사역이다.
9. 정치신학
1950년대에 들어올 때까지 기독교 신학은 체제 유지적 정치신학이었다. 20세 기 후반부에 이르러서 체제 비판적 정치신학이 들어오게 되었는데, 이는 종말 론과 연관을 맺고 있다. 종말론의 개념이 재발견되면서 현존질서는 개혁되어 야 한다는 사고가 형성되면서 부터 체제 비판적이 되었다. 이 비판은 체제 개 혁적 비판이다. 체제 비판 정치신학의 3대 주자는 Solle, Metz, Moltmann인 데 Solle는 좌파이고 Metz와 몰트만은 우파이다. 이들이 정치신학을 주장하 는 이유는 우리의 상황이 정치적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직면한 곤궁·고통의 문제는 개인적으로 해결될 성질의 것이 아니다. 죌레는 자본주의를 비판한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구조자체를 고쳐야 사람들이 억압받는 상황에서 해방된 다고 보았다. 즉, 하나님께서 정치 세계 속에서 개입하셔서 정치구조를 바꾸실 때만 해결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정치신학이 남미의 해방신학을 태동시키게 되었다.
10. 복음주의 신학
근본주의자들이 성서의 축자 영감설을 주장하며 사회에 대하여 폐쇄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자 이에 반대하여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과 적극적인 선교 의 방향을 모색하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복음주의도 신학적인 입 장은 근본주의와 같은 입장이다.
* 장신대 목회과정 93년도 입학고사 문제 *
1.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과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을 비교 평가하라.
동방교회는 한본성에 삼실체(One Nature Substance)를 주장한다.
성부·성자·성령은 세몸이며 이 세실체의 본성은 수적으로 하나이며 동일하다.서방교회는 한실체에 세인격(One Substance Three Person)을 주장한다. 성부·성자·성령은 한 몸이며 이 성부·성자·성령의 세인격은 각자에게 동등하게 속한다.
2. 칼빈의 예정론과 바르트의 예정론을 비교 평가하라.
칼빈주의 예정론은 하나님께서 창조이전에 어떤 사람은 구원하기로 선택 (election)예정하셨으며 또 어떤 사람은 멸망으로 유기(Reprobation)하기로 예정 하셨다는 것이다. 칼바르트의 예정론은 성부 하나님이 인간이 당할 심판을 그리 스도에게 돌리셨고 반면에 인간에게는 은혜와 구원을 주셨다는 것이다. 이둘을 비교해 보면 칼빈의 예정론은 인간을 선택과 유기하기로 예정하신 것이고 칼바르 트의 예정론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멸망으로 유기 되시므로 반면 인간에게는 은혜 와 구원이 예정되었다는 것이다.
비판 : 칼빈-숙명론에 빠질 위험성이 많다. 칼바르트-만인구원설에 빠질 위 험성이 있다.
3.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기되고 있는 생태학적 신학의 내용을 아 는 대로 열거하고 평가하라.
인간의 자연 착취로 인하여 생태계가 파괴되는 상황에서 자연히 출발하게 되었다. 자연 착취가 왜 일어나게 되었느냐? 에 대한 물음에 대한 몰트만은 창세기 1장의 창조신학(....정복하라)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정복하고 지배하라는 것의 착취개념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몰트만은 이 착취개념(정복·지배)을 관리 개념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착취가 아닌 "자연과의 조화"를 말한다. 그는 "사람이 자연을 보호하지 못하면 자연이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4. 타종교에 대한 카톨릭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서에 나타난 공적 입장이 무엇인지 서술하고 평가하라.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는 로마 카톨릭의 심각한 현대적 문제를 공의회에서 다루면서 교회분열의 상태에 관심을 표명하였다. 프로테스탄트에게"헤어진 형제"라고 부르면서 개신교와의 화합을 이루려하다가 중도에 사망하였다. 그러나 그의 노력은 공의회에서 결실을 맺어 이제 구원의 방도가 개신교에도 있고, 진리의 보전은 비카톨릭교회에서도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개혁의 필요성은 양자(카톨릭과 개신교)에게 있으며 교회분열의 책임은 양자에게 있다고 결정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로마 카톨릭과 개신교의 대화의 길이 트이는 역사적인 사건이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5. 여호와의 증인의 이단성에 대해 아는 대로 논술하라.
여호와의 증인은 챨스 러셀에의해서 시작된 이단이다. 이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여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첫 피조물이라고 이야기하며, 예수의 부활이 육체적인 부활이 아니라 영적인 부활이라고 이야기한다. 또한 기성교회가 마귀의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창조 후 7000년에는 그리스도의 왕국이 시작된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들은 병역의 의무를 거부한다.
6. 성령세례와 방언과는 무관한 것인지 아니면 관련이 있는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해 논하라.
성령세례는 예수를 모르는 자연인이 예수를 영접할 때 임하는 성령의 내주 하심이다. 이 내주하심의 증거로 나타나는 것이 성령의 은사들이며 그 중에 하나가 방언이지 방언 자체가 성령세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성령의 은사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7. 영매는 가능한 것인지 그리고 떠돌아다니는 죽은 자의 영혼이 있는가 이 문제에 대해 신학적으로 논술하라.
삼상28장의 엔돌의 신접한 여인은 비성서적이고 이교적인 영매이다. 왜냐하면 모든 영혼은 다 예수의 그리스도가 관리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마음대로 영혼을 풀어놓거나 불러올 수도 없다. 눅16장의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에서 이것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죽어서 구천을 떠돌아다닌다고 하는 영혼은 사람의 죽은 영혼이 아니라 루시퍼의 부하들인 타락한 천사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