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공사
1. 압밀
외력에 의하여 간극 내의 물이 빠져 흙 입자간에 사이가 좁아지며 침하되는 것
2. 예민비
흙을 이김에 의해 약해지는 정도로써 자연시료의 강도/이긴시료의 강도이다.
3. 보링(boring)
지층의 토사에 철관을 꽂아 시료를 채취하여 지층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토질조사법
4. 수세식 보링(wash boring)
비교적 연약한 토사에 수압을 이용하여 탐사하는 방식으로 물을 파진 흙과 같이 배출 침전시켜 토질을 판정
5. 충격식 보링(percussion boring)
경지층을 깊이 파는데 이용되는 방식으로 와이어 로드 끝에 충격날(bit)을 달고 낙하 충격을 주어 토사, 암석을 천공
6. 회전식 보링(rotary boring)
지층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비교적 정확히 알고자 할 때 이용되는 방식으로 불교란 시료의 채취가 가능
7. 사운딩(sounding)
로드에 붙인 저항체를 지중에 넣고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부터 토층의 성상을 탐사하는 법
8. 표준관입시험(STP: standard penetration test)
불교란 시료 채취가 불가능한 사질지반에서 지반의 밀실도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무게 63.5㎏의 추를 높이 75㎝에서 낙하시켜 표준관입용 샘플러를 30㎝ 때려박는 데 소요되는 타격회수 N값을 측정하여 사질지반의 밀실도 측정하는 시험
9.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
지내력시험에서 종방향의 비세한 변형량을 시계형으로 확대시켜 정확한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구
10. 치환법
지반의 흙을 양호한 흙으로 전체 바꾸어서 지반을 개량하는 방법
11. 웰포인트 공법(well point method)
사질지반에 대표적인 탈수공법으로 집수장치를 붙인 파이프를 지중에 박아 이것을 지상의 집수관에 연결하여 펌프로 물을 배수하는 공법
12. 샌드 드레인 공법(sand drain method)
점토지반의 대표적인 탈수공법으로 지금 40~60㎝의 철관을 이용 모래말뚝을 형성한 후, 지표면에 성토하중을 가하여 점토질 지반을 압밀탈수하는 공법
13. 휴식각
흙 입자간의 응집력, 부착력을 무시한 때, 즉 마찰력만으로 중력에 대해 정지하는 흙의 하면 각도
14.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
버팀대 대신 흙막이 벽을 earth drill로 천공한 후 인장재를 넣고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인장력에 의해 토압을 지지하는 공법
15. 그라우팅 공법(grouting)
파이프를 지중에 박아놓고 시멘트 페이스트를 컴프레서(compressor)에 의해서 지반 중에 주입하는 공법
16. CIP(cast-in-place)
오거로 구멍을 굴착한 후 자갈을 채워 넣고 미리 배치한 주입관을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공법
17. PIP(packed-in-place)
오거로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한 ? 2000 牡? 흙과 오거를 동시에 끌어 올리면서 오거 선단을 통해 모르타르, 잔자갈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공법
18. MIP(mixed-in-place)
파이프 회 2000 전용의 선단에 커터(cutter)로 흙을 뒤섞으며 지중으로 파고 들어간 다음 파이프 선단에 모르타르를 분출시켜 흙과 모르타르를 혼입하여 소일 콘크리트(soil concrete)말뚝을 형성하는 공법
19. 지하연속벽식 공법(slurry wall method: 격막벽 공법)
벤토나이트 이수(泥水)를 사용해서 지반을 굴착하여 여기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철근콘크리트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공법
20. 트레미관(tremie pipe)
이수액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끝이 항상 닫혀 있는 25㎝관
21. 히빙 현상(heaving failure)
흙막이벽 좌측과 우측의 토압차로써 흙막이 뒷부분의 흙이 기초파기하는 공사장 안으로 흙막이벽 밑을 돌아서 미끄러져 올라오는 현상
22. 보일링 현상(boiling of sand)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기초파기시 흙막이벽 뒷면 수위가 높아 지하수가 흙막이벽을 돌아서 지하수와 모래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
23. 파이핑(piping) 현상
흙막이 벽의 부실시공으로 흙막이벽의 뚫린 구멍 또는 이음새를 통해 물이 공사장 내부 바닥으로 스며드는 현상
24. 언더피닝 공법(underpining method)
기존 건물 가까이에 신축공사를 할 때 기존 건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25. 피압수(被壓水)
지반의 불투수층 사이에서 정수압에 비하여 높은 압력을 갖는 지하수
26. 액상화(liquefaction)
사질토에서 지진, 진동 등에 의해 간극수압의 상승으로 유효응력이 감소되고 전단저항을 상실하여 액체와 같이 되는 현상
27. 석회말뚝공법
케미코파일 공법이라고도 하며 샌드파일에 들어가는 모래를 생석회로 대체하여 시공한 강제압밀(탈수)공법
28. 바이브로 플로테이션(vibro flotation)
대형의 봉상진동기인 바이브로 플로트로 진동과 물다짐을 병행하여 사질지반을 다지는 공법
29. 바이브로 콤포저(vibro composer)
특수 파이프를 관입하여 모래를 투입하고 이것을 진동하여 다지면서 파이프를 빼내어 진동다짐 모래말뚝을 형성하는 공법
30. 슬라임(slime)
수중굴착시 굴착한 흙의 고운입자가 안정액과 혼합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굴착구멍 밑바닥에 가라앉은 부유물질
31. 샌드벌킹(sand bulking)
모래에 물이 흡수되어 체적이 팽창되는 현상으로 표면장력 때문에 발생하며 함수율이 10%정도에서 체적이 최대가 된다.
32. 소단(小段)
흙파기 공사시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배를 수평으로 완화시켜 주는 평탄한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