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박사 김우연님의 논문)
AOS에서 발간된 "Orchid Pests and Diseases"에 기초해서 난에 발생하는 충해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Orchid Pests and Diseases" 내용 자체가 전문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실용적인 측면보다는 충의 구분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기 때문에, 곤충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비전공자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충해하면 무조건 스프라사이드를 뿌리면 된다고 생각하고 계시는 분들에게는 해충의 종류를 파악하는데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내용 중에는 국내 미기록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농산물의 교역증대와 교통수단의 발달로 언제라도 국내에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포함하여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해충사진들도 같이 올리고 싶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사진이 없어서 그렇게 하지는 못했고 앞으로 열심히 사진을 찍어서 다음에 기회가 있으면 올리고 싶습니다.
Ⅰ. 난의 해충
많은 해충들이 난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 난관련 해충수에 비하면, 미국의 난의 해충수는 적은 편이다. 불행이도, 난 배양에 최적 조건은 해충의 발육에도 적당하다. 난 재배자들에게는 곤충과 응애류가 지속적이며 골치 아픈 문제이다. 흔히, 해충의 피해를 받은 식물을 기존 식물 옆에 놓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가능하면 해충의 발생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격리재배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해충이 만연한 후 방제하는 것 보다 쉬운 방제법이다. 난 재배자는 난을 자주 살펴보아야 한다.
1. 깍지벌레(Scale Insects)
깍 지벌레는 난에게는 심각한 해충이다. 일반적 개념의 곤충과는 다르며, 흔히 곰팡이가 자라는 것으로 잘못 알게 만드는 해충이다. 깍지벌레는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많은 개체가 식물체 위를 뒤덮는다. 긴 구침과 구기를 이용해서 수액을 흡즙한다. 피해를 심하게 받은 난은 활기가 없고, 피해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 난에 개미가 나타나면, 깍지벌레나 진딧물의 피해를 의심해 보아야 한다. 개미들은 깍지벌레가 분비하는 감로를 찾아 난에 모여든다. 감로는 검은 그을음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난 잎에 개미와 그을음이 생기면 깍지벌레를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깍지벌레의 1령 약충은 이동성이 있어서 짧은 거리의 식물체 사이를 기어서 이동한다. 식물체의 이동을 통해 먼 거리를 이동하기도 한다.
일 반적으로 깍지벌레의 방제는 어려운 일이다. 깍지벌레과의 깍지벌레는 두꺼운 깍지에 덮여 살충제로부터 보호되며, 밀깍지벌레와 가루깍지벌레는 왁스질의 밀납에 덮여 보호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깍지나 밀납을 쓰고 있지 않은 1령기 때 방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방제 약제로는 메치온유제(상표명 : 수프라사이드, 메치온), 에이카롤유제(상표명 : 보배단), 디메토유제(상표명 : 로고, 록숀), 비오킬 등이 있다.
난과 식물에 있어서 깍지벌레의 가장 중요한 4개과(Family)는 다음과 같다.
- 깍지벌레과(Armored scales)
- 밀깍지벌레과(soft scales, Wax or Tortoise scales)
- 가루깍지벌레과(Mealybugs)
- 테두리깍지벌레과(Pit scales)
1) 깍지벌레과(Armored scales)
깍 지벌레과의 깍지벌레들은 잎 위, 지하경, 벌브 등에서 발견된다. 대개 엽초에서부터 피해가 일어나기 시작하며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 잎이 노랗게 탈색되면 깍지벌레가 발생한 것이다. 깍지벌레과의 곤충들은 감로를 분비하지 않기 때문에 개미가 모여들지 않는다. 이들은 왁스질의 딱딱한 밀납를 분비하여 깍지를 쓰고 있다. 깍지를 쓴 채로 생활 및 흡즙을 하기 때문에 armored scale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깍지는 원형 또는 반원형, 직사각형, 서양배 모양 등이다. 암컷 성충은 날개와 다리가 없으며, 더듬이는 하나내지 2개의 강모가 있는 1마디로 되어 있다. 암컷의 충체는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다양하며, 1/3mm정도의 크기이다.
수컷 성충은 크기 및 형태가 암컷과는 다르다. 수컷 깍지벌레는 긴 원통모양이고, 고치처럼 생겼고, 백색이며, 세로방향으로 물결모양이 있다. 일부 종에서는 암컷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다. 수컷 성충은 기능성 날개를 갖고 있으며, 작은 각다귀처럼 생겼는데, 흔하지는 않다. 구기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수명은 불과 몇 시간에 불과하다. 수컷의 깍지는 암컷의 깍지보다 작고 더 길다.
깍지벌레과의 깍지벌레들은 습성과 생활환이 거의 비슷하다. 암컷은 깍지 밑에 30-50개의 알을 낳는다. 1-2주 후면 부화하는데 온도에 따라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부화 약충은 타원형이며, 적당한 흡즙 부위를 찾아 식물체를 따라 이동한다. 이들은 구침같은 구기를 식물체에 삽입하며, 암컷의 경우는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낸다. 성충이 되기까지는 5-7주가 걸린다. 년중 7회발생.
난에서 발견되는 깍지벌레과의 깍지벌레중 양란깍지벌레와 긴점깍지벌레만이 경제적 중요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종이 조건만 주어진다면 심각한 피해를 줄 가능성을 갖고 있다.
난에 발생하는 깍지벌레과의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1) 양란깍지벌레(Boisduval scale, Diaspis boisduvalii)
- 난에 발생하는 깍지벌레 중에 경제적 중요성이 가장 큰 해충이다. 암컷은 거의 원형이며 직경 1-2mm, 얇고 납작하며 체색은 어두운 백색에서 밝은 노란색을 띤다. 수컷은 길며, 세로로 3개의 물결모양이 있으며, 크기는 1mm이하, 체색은 설백색이다. 수컷은 대개 집단을 이루어 발생하며, 잎 위에 솜 뭉치를 올려 놓은 모습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동정이 쉽다. 피해가 심하면 잎이 검게 변하며 방제도 어렵다.
(2) 유리깍지벌레류(국내 미기록종, Florida Red Scale, Chrysomphalus aonidum)
- 암컷 성충은 원형이며 직경 2mm, 체색은 어둥운 적갈색에서 검정색을 띠며 가장자리는 약간 회백색을 띤다. 1령 및 2령 약충의 탈피각은 적갈색을 띠며 1령 약충 주위에는 밝은 색의 반지 모양의 띠가 있다. 수컷 성충은 암컷 보다 길이가 길며 체색도 더 밝다.
(3) 긴점깍지벌레(Proteus Scale, Parlatoria proteus)
- 암컷 성충은 원형이며 크기는 약 1-2mm, 약간 볼록한 갈색내지 녹색을 띠는 노란색의 체색을 갖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약간 밝다. 2령충의 탈피각은 상당히 크며, 세로 방향으로 물결모양의 줄이 있다. 수컷 성충은 길이가 길며, 측면은 평행하고, 크기는 1mm미만에 암컷과 비슷한 체색을 갖고 있다. 난 잎 기부에서 집단적으로 발견된다.
(4) Red Orchid Scale(국내 미기록종, Furcaspis biformis)
- 암컷은 거의 원형의 볼록모양이며 체색은 어두운 적갈색에 직경이 1.5-2mm이다. 탈피각은 중앙과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두드러져 보이며, 깍지와 같은 색을 갖는다. 수컷은 암컷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매우 작다. Red Orchid Scale은 Florida Red Scale과 비슷하지만, 깍지의 구성성분은 더 굵다.
(5) Vanda Orchid Scale(국내 미기록종, Genaparlatoria pseudaspidiotus)
- 암컷은 원형에 약간 볼록하게 보이며, 암갈색에 1-1.5mm의 크기. 대개 얇은 왁스물질로 덮여 있다. 수컷은 암컷과 체색이 같지만, 크기는 훨씬 작다.
2) 밀깍지벌레과(Soft Scale)
밀 깍지벌레는 깍지벌레과의 깍지벌레처럼 깍지를 갖고 있지 않다. 충체는 노출되어 있거나 왁스로 덮여 있으며, 뭉뚝하거나 투명하며, 맑고 또는 불투명하고 망상모양으로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다. 밀깍지벌레는 잎과 가구경에 피해를 준다. 깍지벌레과의 깍지벌레처럼 흡즙성 해충이다. 암컷 성충은 3쌍의 다리와 마디가 있는 더듬이를 갖고 있지만, 날개는 없다. 암컷은 긴 타원모양이고 납작하며, 피부는 매끈한 것, 거친 것 등이 있고, 밀납가루로 덮여있는 것 등이 있다.
(1) 무화과깍지벌레(Brown Soft Scale, Coccus hesperidum)
- 암컷은 원형이며, 납작하고 약간 볼록하며, 길이는 1-3mm이다. 체색은 노란색을 띤 녹색이나 갈색이며, 갈색의 반점이 있다. 암컷 성충의 아래쪽은 옴폭하여 부화약충을 보호할 수 있다. 무화과깍지벌레는 온실과 따뜻한 지역의 야외에 폭넓게 분포한다. 1세대를 경과하는데 약 2달이 걸리며, 많은 양의 감로를 분비한다.
(2) Stellate Scale(국내 미기록종, Vinsonia stellifera)
- 이 깍지벌레는 별모양의 부드러운 몸체를 갖고 있으며, 불가사리와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다. 암컷 성충의 크기는 4-5mm이다. 볼록하고 왁스질인 보호층은 투명 또는 불투명하다. 가시처럼 방사꼴로 튀어나온 부분은 말단이 납작하다. 암컷은 분홍색에서 자적색의 체색을 갖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적갈색으로 변한다.
3) 가루깍지벌레과(Mealybugs)
가 루각지벌레는 깍지벌레과의 깍지벌레처럼 깍지를 형성하지 않지만, 밀깍지벌레처럼 충체를 노출시키지도 않는다. 가루깍지벌레는 부드러운 몸체를 갖고 있으며 몸 전체 또는 일부가 왁스질의 솜 같은 펠트 분비물로 덮여 있다. 암컷 성충은 원형이며 2-5mm의 길이를 갖는다. 가루깍지벌레는 약충단계에는 다리와 더듬이가 잘 발달되어 있고, 이동성을 높여 주는 부속지를 평생 갖고 있다. 가루깍지벌레는 대개 흰색을 띠지만, 왁스물질을 분비하면, 분홍색 내지 노란색의 충체는 어두운 색을 띤다. 밀깍지벌레처럼 많은 양의 감로를 분비한다. 감로는 개미를 유인하며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1) 가루깍지벌레류(국내 미기록종, Orchid Mealybug, Pseudococcus microcirculus)
- 길이가 약 2-4mm이며, 충체가 드러나지 않을 정도로 가루모양의 왁스질로 덮여 있다. 충체 가장자리를 따라 왁스질의 섬유가 있으며, 충체 길이의 약 2배가되는 섬유가 뒤쪽에 있다. 암컷은 밀납으로 된 솜털 속에 산란한다. 암컷은 100-200개의 알을 낳으며, 약 2주 후에 부화하여 기어서 분산한다. 1세대 기간은 2달 보름이다.
(2) 다른 가루깍지벌레 종(種)
- 난을 가해하는 다른 몇 종의 가루깍지벌레가 있지만, 중요하지는 않다. Pseudococcus longispinus 와 Ferrisia virgata가 여기에 속한다. P. longispinus는 P. microcirculus보다 약간 작지만 몸 뒤쪽에 있는 긴 분비물로 쉽게 구분된다.
4) 테두리깍지벌레과(Pit Scales)
테두리깍 지벌레는 대개 피부가 매끈하고 테두리가 있는 질긴 밀납질로 덮여 있으며 암컷은 그 안에서 생활한다. 테두리깍지벌레는 기주식물이 테두리깍지벌레 주위에 구멍이나 캘러스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난과식물에 캘러스가 형성된 것이 관찰되지 않았다. 구기같은 구침으로 흡즙하여 직접적인 피해를 야기한다.
Orchid Pit Scale(국내 미기록종, Asterolecanium epidendri)
- Asterolecanium epidendri는 전세계적으로 일부 지역에서, 미국에서는 플로리다에서 난에 문제를 일으킨다. 암컷의 테두리 또는 왁스질의 밀납은 체폭보다 약간 길거나 거의 원형이다. 크기는 직경 1.5mm이다 밀납은 상대적으로 납작하며 대개 녹색, 연노랑 또는 투명하다. 가장자리의 왁스질의 섬유는 연한 황금색에서 분홍색을 띠고 있다. 왁스질의 섬유는 집단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깍지벌레의 수가 적다면, 피해는 미미하게 보일 수 있지만, 개체수가 많다면 위황색의 반점이 생기며 전체적으로는 식물체가 활기를 잃게 된다. 왁스질의 밀납 때문에 방제는 어렵고 침투성 살충제의 살포를 요구한다.
2. 총채벌레(Thrips)
총 채벌레는 때때로 난의 심각한 해충이다. 총채벌레는 미소곤충으로 길이가 0.5-5mm이며 긴 연모를 갖고 있는 고리모양의 날개가 있다. 총채벌레는 식물 조직내 세포나 즙액을 흡즙한다. 총채벌레는 흡즙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계적 상처뿐만 아니라 세균, 곰팡이 그리고 바이러스병의 매개곤충으로서 중요한 해충이다. 난 재배자들은 꽃을 가해하고 있는 총채벌레를 자주 목격하게 된다. 가해를 받은 꽃봉오리는 제대로 개화하지 못하며 꽃은 보기 흉하게 된다. 가해를 받은 부위는 갈색으로 변하며, 꽃잎에는 줄무늬가 생기고 변색된다.
총채벌레는 활발히 움직이며 위협을 느끼면 마치 치를 것처럼 복부 끝을 위로 들어올린다. 식물 조직 속이나 위에 조그만 알을 20-50개정도 산란하며, 수일-3주 후에 부화한다. 2-4주 후에 성충으로 우화한다. 대개 년간 3-5세대가 발생하며, 일부 종은 1년 1세대 발생한다.
대개 유기인계 살충제를 이용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한다. 방제약제로는 아바메틴유제(상표명 : 올스타),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상표명 : 코니도, 베테랑), 비펜스린·그로포수화제(상표명 : 질풍), 클로르훼나피르·비펜스린수화제(상표명 : 파발마), 스피노사드액상수화제(상표명 : 부메랑), 프로피닐과립 및 액상수화제(상표명 : 리전트), 메프유제(상표명 : 스미치온, 호리치온), DDVP유제(상표명 : DDVP) 등이 있다. 약해가 의심되면, 몇 그루의 식물에 시험발포해 본다. 약제 살포는 건조한 상태에서 실시해야 하지만, 밝은 해빛 아래에서 살포해서는 안 된다. 난과 같은 엽초식물은 약제살포 후 물기를 제거해야 한다.
(1) Cuban Laurel Thrips(국내 미기록종, Gynaikothrips ficorum)
- 약충(번데기시기를 거치지 않는 곤충의 유충은 약충이라 부르며, 번데기 시기를 포함해서 난, 유충, 성충 단계를 거치는 곤충의 유충을 유충이라 부른다) 단계에서는 밝은 노랑색을 띠나 성충기에는 적갈색에서 검정색의 체색을 띤다. 성충의 길이는 2.5-3.5mm이며, 건드리면 재빨리 움직인다. 이 총채벌레는 사람을 물기도 한다.
(2) Flower Thrips(국내 미기록종, Frankliniella bispinosa)
- 이 종은 미 남부 지역에서 난을 포함하여 많은 식물의 해충이며, 주로 꽃을 가해한다. 성충의 머리와 가슴은 오렌지색이며, 복부는 담황색이다. 유충은 성충과 비슷한 체색을 갖고 있지만, 더 연한 빛을 띠며 날개가 없다. 건드리면 찌를 것처럼 복부 끝을 등쪽으로 들어 말아 올린다. 그러나 찌르지는 않는다.
(3) 귤총채벌레(Greenhouse Thrips, Heliothrips haemorrhoidalis)
- 길이가 약 1.8mm이며 체색은 망상의 적갈색이며, 뒤쪽 끝은 약간 더 밝은 색이다. 다리와 8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더듬이는 연노랑 색이며, 날개는 약간 어두운 색을 띠지만 줄무늬는 없다. 식물 조직속에 하나씩 알을 낳으며 그 자리는 부풀어오른다. 부화유충의 체색은 흰색이며, 붉은 눈을 갖고 있으며, 충체는 섭식활동 후 노란색으로 변한다. 이 종은 처음에는 아래쪽에 있는 잎 표면에서 섭식하다가 개체수가 증가하면, 위쪽에 있는 잎으로 이동한다. 피해잎은 백색이나 은색으로 보이며 위조나 고사증상을 나타내고 또한 잎에는 붉은 빛이 도는 검정색의 배설물로 인하여 반점이 생긴다. 미국에서의 경우,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조지아주(state) 및 비슷한 기후 조건을 갖는 지역의 야외와 기타 다른 주(state)의 온실에서 발생한다.
(4) Orchid Thrips(국내 미기록종, Chaetanphothrips orchidii and C.
signipennis)
- 이 종은 크기가 1.2mm이며 체색은 노랑색이며 무늬는 없다. 더듬이는 노랑색이며 4·5번 마디의 끝 부분, 6번 마디의 끝 부분 절반, 7·8번 마디의 전부분은 갈색이다. 앞날개의 기부와 가운데·뒷날개의 시정은 연한 가로띠가 있는 갈색이다.
(5) Red-banded Thrips(국내 미기록종, Selenothrips rubrocinctus)
- 암컷 성충의 크기는 1.5mm이며 체색은 암갈색에서 갈색이다. 넓적다리마디의 끝은 암갈색을 띠며 발목마디 전체는 노랑 빛이 도는 백색이다. 약충 단계의 경우, 복부의 최초 3마디에는 붉은 색소가 있으며 그리하여 red-banded thrips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3. 톡토기(Springtails)
톡토기는 작은 곤충으로 크기가 5mm를 넘지 않는다. 톡토기는 화분이나 부패성 식재의 표면에 대규모로 발생한다. 이들의 몸체는 길며 둥글고 부드러우며 머리부분이 뚜렷하게 보인다. 일반적으로 톡토기의 체색은 유백색이나 회색이다. 그러나 노랑색, 녹색, 붉은색, 주홍색 등 변이 종들도 많이 알려져 있다. 특별히 개체수가 많지 않으면 잘 인식하지 못한다. 원시적인 곤충으로서 날개가 없지만, 도약하는데 사용하는 복부끝의 갈래모양의 부속지를 이용하여 움직인다. 톡토기는 부패한 식물질, 곰팡이, 세균, 조류(藻類)와 꽃가루 등을 먹고산다. 대규모로 발생하면, 귀찮은 존재가 된다.
4. 진딧물(Aphids)
진딧물은 몸체가 연약하고 군집을 이루어 생활을 하는 곤충이다. 흡즙형 구기를 갖고 있어서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는다. 피해를 받은 식물체는 성장이 멈추고 위조 증상을 보이게 된다. 진딧물은 즙액 흡즙, 다량의 감로를 분비하여 그을음병의 유발, 분비물 중의 독성물질의 작용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또한 진딧물은 바이러스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매개충이다.
진딧물은 1-6mm의 크기에 서양배 모양의 체형, 백색, 녹색, 노랑색, 검정 또는 갈색의 체색을 갖고 있다. 이들은 천천히 움직이며, 대개 복부 끝에 한 쌍의 뿔관을 갖고 있다. 발육과 번식 속도가 빨라서 년중 여러 세대가 발생한다. 진딧물의 번식방법은 독특해서 대부분의 개체들이 교미하지 않고 단성생식적으로 태어난 암컷들이다. 군집 밀도가 높아지거나 먹이가 부족하게 되면, 유시형 개체가 나타나 다른 기주를 찾아 날아가서 새로운 군집을 형성한다.
(1) 목화진딧물(Cotton Aphid, Melon Aphid, Aphis gossypii)
- 눈과 꽃을 가해하는 해충이며, 체색은 황색, 황녹색, 청록색 등 계절에 따라 변하며 크기는 1.2mm 정도이다.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며 목화, 무궁화나무, 살구나무, 뽕나무, 석류나무, 오이류, 접시꽃 등 기주범위가 매우 넓다. 년간 세대수가 제일 많은 것이 33세대이며, 목화에서는 28세대가 발생하기도 한다.
- 자연상태에서는 봄·가을에 대번식하고, 여름에 감소하며 가뭄시에 대발생한다.
(2) 수염진딧물류(국내 미기록종, Macrosiphum leteum)
- 체색이 노랑색에서 황갈색의 이 진딧물은 줄기와 잎부위를 흡즙한다. 미국의 경우, 플로리다 지역에서 발생한다.
5. 딱정벌레(Beetles)
딱 정벌레는 몸체가 딱딱하고 저작형 구기를 갖고 있다. 앞날개는 두터운 시초(elytra)로 이루어져 있고, 날때만 사용되는 뒷날개는 막질이다. 인간에게 알려진 가장 심각한 해충의 대부분이 딱정벌레목에 속한다. 난의 경우, 한 종만이 플로리다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변승완'님이 올린 "벼물바구미"도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해충입니다. 벼물바구미에 대해서는 변승완님의 "벼물바구미와 난의 피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앞날개는 각질이고, 거의 항상 등과 직선으로 만나며 뒷날개를 덮는다. 뒷날개(비행시 사용된다)는 막질이고 대개 앞날개 보다 길다. 쉴 때는 앞날개 밑에 접어 둔다. 앞날개는 때때로 짧고 복부 전체를 덮지 않을 때도 있다. 한 쌍 또는 두쌍의 날개는 거의 퇴화되지 않았고, 거의 항상 존재한다. 더듬이는 항상 11마디이며, 그 이상의 마디를 갖고 있는 것은 거의 없으며, 종종 8-10마 디를 가진 것이 있고, 2마디 이하는 거의 없다. 더듬이의 형태는 다양하다. 구기는 chewing type. 발마디는 대개 3-5마디. 복부는 대개 5마디이고, 때때로 8마디까지 갖고 있는 것도 있다. 완전변태을 한다.
딱정벌레목은 동물계 중에서 가장 큰 목이다. 거의 어디에서나 볼수 있고 거의 모든 종류의 식물질과 동물질을 먹고 산다. 식물위에 많다. 수피 밑, 돌 밑, 다른 물체 밑에서도 발견된다. 대부분 땅위나 땅속에서 발견되고 곰팡이 속이나 썩은 식물체, 배설물, 썩은 짐승에서도 볼 수 있다. 일부 수생도 있다. 극히 일부가 동물에 기생하기도 한다.
식물을 가해하는 딱정벌레의 대부분이 심각한 해충이며 여러 종이 식물의 모든 부분을 가해한다. 일부 딱정벌레는 여러 가지 저장 음식물, 기타 다른 음식물을 식해한다. 대부분의 딱정벌레는 피해를 주는 곤충을 잡아먹거나 해서 방제에 도움이 되거나, 부식자로서도 알려져 있어서 가치가 있다.
암브로시아나무좀류(국내 미기록종, Black Twig Borer, Xylosondrus
compactus)
- 국내에서는 동백나무좀, 반날개나무좀, 팥배나무좀, 오리나무좀 등이 이 속에 속(屬)한다. 암브로시아나무좀류는 플로리다의 난 재배자들에게는 덴드로비움 딱정벌레로 알려져 있다. 작고, 암갈색이며 크기는 4mm 정도, 미국과 서인도의 열대 저지방에서 가장 개체수가 많은 종의 하나이다. 덴드로비움 종의 줄기를 천공하며 카틀레야의 벌브에 피해를 준다. 식물체에 작은 구멍이 있으면 암브로시아나무좀류에 의한 것이다. 덴드로비움이 피해를 받으면, 피해구멍 주위는 노랗게 된다. 카틀레야의 벌브는 피해를 받으면 부패하게 된다. 피해부위는 위황증상을 보인다. 암브로시아나무좀의 피해를 받았다고 난이 죽는 것은 아니지만, 관상가치가 떨어진다. 이 해충은 기타 여러 종의 기주를 가해한다. 갱도에서 우화한 후에 날아서 분산하여줄
기를 천공해서는 새로운 갱도를 형성한다. 암브로시아나무좀이 줄기를 천공할 때,"암브로시아"균을 묻혀 들어오며, 갱도 안에 산란한다. 보통 여러 세대가 겹쳐 나타나며, 여러 단계의 충태가 나타난다. 유충과 성충의 먹이는 갱도 내벽에 자라는 곰팡이다. 일반적으로 성충과 유충이 수세가 약한 나무와 생육 중인 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에 침입해서 피해를 입힌다.
6. 개미(Ants)
난 에 개미가 나타나면, 밀깍지벌레, 가루깍지벌레 그리고 진딧물의 발생여부를 조심스럽게 검사해야 한다. 개미는 밀깍지벌레, 가루깍지벌레 그리고 진딧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천적들을 몰아낸다. 개미의 방제는 깍지벌레와 진딧물의 확산을 막아준다. Baygon, 그로포(상표명 : 더스반, 그로포, 명사수), 다이아지논, 비오킬 등은 개미방제에 효과적이다. 난실 내외부, 벽면 기부 등에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약제의 사용설명서를 따라야 하며, 난에 직접적으로 고농도의 약제를 살포해서는 안된다.
7. 벌류(Wasps)
날개가 있으며 2쌍이고 막질이며, 앞날개가 뒷날개보다 약간 크고, 날개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시맥이 있다. 더듬이는 상당히 길고, 일반적으로 10마디 이상이다. 암컷의 산란관은 잘 발달되어 있고 때로 몸체보다 길고, 침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발마디는 5마디. 구기는 저작형. 완전변태을 한다.
성 충의 서식처는 다양. 대부분이 꽃 또는 식물체위에서 볼 수 있지만 일부는 땅위나 낙엽 부스러기 속에도 살고 많은 수가 땅속에서 집을 짓고 산다. 유충이 식믈을 먹는 종은 대개 먹이 식물 위와 속에 산란한다. 기생성 종은 기주체 위나 체내에 산란. 많은 벌목의 벌들이 벌집을 짓고 그 속에 산란, 일부 종의 산란관은 침으로 변형되어 먹이를 마취시키는데 사용되고 효과적인 방어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일부 벌목, 특히 꿀벌은 중요한 식물 수분 매개자이다. 꿀벌은 인간에게 유용한 산물(꿀, 말납)을 제공한다. 많은 기생성, 포식성 종들이 해충 방제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일부 종은 농작물의 심각한 해충이다.
투 명한 날개를 갖고 있는 씨살이좀벌(Eurytoma orchidearum)이 때때로 난실에서 발견된다. 1.5-3mm 정도의 이 소형벌은 식물체 조직내에 산란한다. 식물체 조직내에서 유충이 섭식활동을 하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한다. 유충은 섭식활동으로 생긴 동공속에서 용화되며, 우화성충이 이 동공을 뚫고 나온다. 길게 돌출된 벌브와 탈출공은 씨살이좀벌의 피해를 받은 식물체의 특징이다. 완전히 성숙되지 않은 벌브는 씨살이좀벌의 단 한번의 가해에도 고사한다. 계속적인 피해는 식물체 전체를 고사시킬 수 있다. 주로 카틀레야, 에피덴드럼, Laelia와 이들의 교잡종에서 주로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8. 바퀴벌레(Cockroaches)
바 퀴는 때로 난의 꽃에 피해를 준다. 바퀴는 혐오성 곤충으로 낮 동안에는 어둠고 차폐된 곳에 숨어 있다. 바퀴는 특징적인 몸체를 갖고 있어 다른 곤충과 구별된다. 크기와 체색은 다양하지만, 넓은 원형의 납작한 체형을 갖고 있으며, 더듬이는 길고 구기는 저작형이다. 플로리다에서는 야외에서 많은 개체수를 볼 수 있다. 문틈 등을 통해서 기어서 난실로 들어온다.
9. 나방류(Caterpillars)
Caterpillars 는 나방이나 나비의 유충을 말한다. 보통 벌레(worms) 라 불린다. 나방의 유충들은 저작형 구기, 충체 앞부분에 3쌍의 다리, 복부위에 헛발이라 불리는 4쌍의 돌기, 충체 뒤쪽 말단에 꼬리 다리를 갖고 있다. 충체는 대개 원통형이며 가는 것에서부터 통통한 것까지 다양하다. 성충의 경우, 날개는 막질이며, 2상이고 뒷날개는 앞날개보다 작다. 날개는 대개 또는 완전히 인편으로 덮여있다. 주둥이는 대개 나선형으로 말려있다. 큰턱은 퇴화하여 없다. 아랫입술수염이 발달하여 눈에 잘 띤다. 나바목의 성충들은 주로 넥타와 액체성 먹이를 먹으며, 꽃위에서 흔하게 볼수 있다. 비행은 불규칙하지만 매우 빠르다.
나방과 나비의 생활환은 4단계를 거치는데 난, 유충, 번데기, 성충 단계를 말한다. 암컷 성충은 기주 위에 산란한다. 부화유충은 부화하자마자 섭식활동을 시작해서 번데기가 될 때까지 섭식활동을 계속한다. 번데기 단계에서 나방이나 나비로 우화한다.
나방류의 방제는 대부분 디프수화제(상표명 : 디프록스)나 비싸기는 하지만 생물제제인 Bt수화제(상표명 : 비티사이드, 바이오비트, 비바킬) 등을 사용해서 방제할 수 있습니다.
10. 파리류(flies)
가 운데 가슴에 1쌍의 막질인 날개가 있으며, 뒷날개는 평균곤(halteres)으로 퇴화되었으며, 더듬이는 다양하고 대개 짧고 눈에 잘 안 띠며, 3마디이다. 복안은 크고 때때로 두부 등쪽에서 만난다. 구기는 흡즙형이며 작은 턱수염은 잘 발달되어 있고 아랫입술수염은 없다. 발마디는 5마디이며 몸체는 연약하다.
파리는 매우 여러 곳에서 발생하며 성충은 서식처 근방에서 발견된다. 파리는 매우 커다란 목(目)중 하나이며 종수만큼이나 개체수도 많다. 파리는 또한 대형 동물의 먹이가 ㄷ도 한다. 많은 종들이 다른 곤충에 기생하거나 포식성이고 유해한 종을 방제하는데 가치가 잇다. 일부는 식물병을 매개하기도 한다.
▷ 검정날개버섯파리(Darkwinged Fungus Gnats)
- 검정날개버섯파리는 대개 곰팡이와 썩은 유기물을 먹으며,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대규모로 발생하면, 처리에 난처함을 느끼게 된다. 몇 종이 어린 난을 포함해서 온실식물을 가해한다.
- 성충의 체색은 암갈색, 날개는 어두은 색, 두부는 작고, 안구는 약간 돌출되었고 더듬이는 사상이며 다리는 비교적 긴 소형의 파리류다. 유충의 체색은 머리가 검은 백색이며, 다리는 없고, 완전히 자랐을 때 크기는 6mm이다.
- 재배적 방제법으로는 썩은 유기물은 제거해 주고 과습하지 않게 해주면 된다. 화학적 방제법으로는 다이아지논을 토양에 관주하거나 표면에 살포해 주면 된다. 온실 전체에 살포해야 하며, 특히 각종 기구의 밑부분과 토양에 세세하게 살포해야 한다. 성충의 발생시에는 Resmethrin 1%액을 살포한다.
Ⅱ. 비곤충성 해충
1. 민달팽이
달 팽이는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되지만, 일반적으로 숨을 곳이 있고, 적당한 습도와 풍부한 먹이가 있는 서식처를 좋아한다. 달팽이는 대개 비가 온 후 대낮에 서식처에서 빗물 따라 나온다. 저온다습과 빛은 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생육조건이다.
낮 동안에 달팽이는 오래된 합판이나 나무, 벽돌이나 돌멩이 밑, 늘어선 관목사이, 축축한 쓰레기나 깔짚 아래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촉각이라 불리는 납작한 근육기관을 이용해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촉각에서 점액을 분비하여 이동을 쉽게 하며, 끈적근적한 점액의 특성상 지나간 자리에는 흔적이 남는다.
달팽이는 꽃과 눈을 섭식하는 난에는 가장 심각한 해충이다. 어떤 경우, 이들은 꽃과 눈 외에 다른 부분을 섭식한다.
달 팽이의 방제는 주위를 청결히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숨을 수 있는 곳과 습기가 많은 쓰레기 등을 제거해야 한다. 약제 방제로는 배추의 달팽이 방제약제로 등록고시된 메타알데이드(입제)(상표명 : 나메톡스), 난의 달팽이 방제약제로 등록고시된 메치오카브입제(상표명 : 메수롤), 나크수화제(상표명 : 세빈, 미국에서는 미끼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벼에 흰등멸구, 담배에 담배나방, 사과에 잎말이나방 등의 약제로 등록되어 있으며 수화제 단일 제제임) 등이 있다.
2. 응애(Mites)
응 애는 진드기, 거미, 전갈 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일부 종은 거미줄과 같은 비단실을 낸다. 점박이응애(Two-spotted mite, Tetranychus urticae)와 주름응애류(국내 미기록종, phalaenopsis mite, Tenuipalpus pacificus)는 난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응애들이다.
응애는 눈으로 볼 수는 있지만 상당히 피해가 진전될 때까지 발견하지 못하는 수가 많다. 응애에 의한 피해는, 응애가 잎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면 잎이 엽록소를 잃고 잎의 표면에 백색점이 생긴다. 응애나 응애의 난(卵)이 있으면 갈색의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응애에 의한 피해는 바늘 같은 구침으로 수액이나 엽록소를 빨아먹음으로서 생긴다. 엽록소가 제거되면 잎에 백색 또는 은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1) Brevipalpus californicus(국내 미기록종)
- 이 응애에 의한 피해는 처음에는 난 잎에 은색 부분이 나타났다가 결국에는 움푹 들어간 갈색이 된다. 심하게 피해를 받은 잎은 노랗게 되며 잎이 떨어진다. Brevipalpus californicus의 개체들은 잘 보이지 않는데, 잎에 납작하게 누워서 천천히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응애 군집은 밀납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주름응애류(국내 미기록종, phalaenopsis mite, Tenuipalpus pacificus)
- 이 응애는 일종의 초식성 응애 중의 하나로 진짜 초식성 응애와는 달리 거미집을 만들지 않는다.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파나마 그리고 일부 유럽국가에서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응애의 피해를 받은 잎에는 검은 반점이 생기고 결국에는 조직이 괴사한다. 이 응애의 발육속도는 느려서 부화기간은 18-23일, 각 단계별 발육기간이 14-15일 정도 소요되므로 생활환을 완성하는데는 적어도 64일이 걸린다.
(3) 점박이 응애(Two-spotted mite, Tetranychus urticae)
- 기주식물 : 밤나무, 복숭아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초본류, 화훼류
- 피 해 : 기주식물의 잎 뒷면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하므로 겉 표면에는 피해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정밀관찰하지 않으면 피해가 심해질 때까지 발견 못하는 경우가 있다.
- 형 태 : 충체 양쪽면에 연녹색 또는 노랑색의 체색바탕에 검은 반점을 갖고 있다. 암컷 성충은 하루에 3-5개의 알을 낳으며 평생동안 수 백개의 알을 낳는다.
- 생활사 : 년 8-10회 발생. 나무껍질이나 잡초, 낙엽에서 암컷 성충으로 월동. 4-5월에는 주로 잡초에서 증식하고 이후에는 나무로 이동하여 8-9월에 밀도가 가장 낮다. 11월까지 계속 가해하며 9월 하순부터 성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주간(主幹)을 따라서 수피로 이동하거나 낙엽과 함께 지면으로 낙하한다.
- 방 제 : 가해초기에 사과와 배의 응애약제로 등록고시된 치아스수화제(상표명 : 닛쏘란). 펜프로유제(상표명 : 다니톨, 포충탄, 다이토나), 아리포유제, 아미트유제(상표명 : 마이캇트, 마이탁), 지노맨수화제(상표명 : 모레스탄), 에치온수화제, 싸이톤수화제, 살비란수화제(상표명 : 살비란), 디코폴수화제(상표명 : 켈센, 디코폴), 비오킬 등을 살포.
3. 노래기(Thousand-legged worms)
노 래기는 머리, 3개의 마디로 나누어진 가슴, 각 마디에 2쌍의 다리가 달린 여러 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복부를 갖고 있다. 충체는 단단하며, 자극을 받으면 시계의 태엽처럼몸이 꼬인다. 노래기는 토양 속에 서식하며 주로 죽은 식물체를 먹고산다. 그러나 때때로 난 유묘의 뿌리를 가해한다. 쥐며느리나 톡토기처럼 생활과 서식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습도이다. 그러므로 과습을 방지하는 것이 노래기의 피해를 예방하는 최선책이다. 방제가 필요하면 다이아지논을 살포하거나 토양처리한다.
4. 선충(Nematodes)
자 연상에는 식물체에 해를 주지 않는 많은 종류의 토양성 또는 수생 선충이 있지만, 일부 선충이 식물체에 기생한다. 식물조직에 기생하는 선충 중에는 난의 뿌리, 줄기, 꽃눈 등을 가해하는 종이 있다. 난에서 선충에 의한 급격한 피해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으며, 정상적인 생육조건에서는 선충의 발육이 적절치 못하기 때문이다.
난에 발생하는 선충의 방제는 사실상 불가능하며, 약제로는 포스치아제이트입제(상표명 : 선충탄), 고추, 마늘, 땅콩, 뽕나무 등의 혹선충, 구근선충 등의 방제약제로 등록된 에토프입제(상표명 : 모캡), 수박의 뿌리혹선충 약제로 등록된 카두사포스입제(상표명 : 럭비)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Ⅲ. 난의 해충방제
수송수단의 발달은 난의 전지국적, 전국적 이동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방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해충이 도입될 확률도 증가했다. 해충의 도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원산지에서 철저한 검사와 수입국에서의 철저한 검역 그리고 식물체를 가지고 여행하는 여행자간의 철저한 공조가 필요하다.
난의 일반적인 해충은 일반 관상식물의 해충이기도 하며 그래서 기주범위가 넓다. 동반식물은 난과 해충의 잠복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난 재배 온실에서 동반식물을 제거해야 한다.
해 충의 피해를 예방하는 다른 방법은 철저한 위생이다. 온실 주변의 낙엽이나 쓰레기는 달팽이 같은 해충의 잠복처가 될 수 있다. 대부분의 해충피해는 식물체 주변에서 유래하며, 온실내로 급격히 확산된다. 온실 주위의 조경은 이런 이유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에 개발된 살충제는 해충방제나 작용에 있어서 과거에 비해 선택적이다. 일반작물의 재배에 있어서는 예방적 차원의 약제 살포는 불필요 하지만, 난처럼 상품가치가 높은 작물은 예방적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
많은 아마추어나 전문 재배자들은 해충방제 전문가를 고용하기도 한다. 해충방제를 하고자 하는 난 배양가는 여러 가지 사항을 결정해야 한다. 성공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방제시기와 방제방법 등을 결정해야 하며, 해충에 대한 생태적 정보도 알고 있어야 한다. 약제 방제를 하기로 결정했다면, 해충의 생태와 관련해서 약종, 제형, 방법, 시기, 방제 횟수 등을 선택해야 한단.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다른 해충의 존재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도 고려해야 한다. 약제 저항성 문제 때문에 효과적인 방제수단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약제 방제는 생태계 균형을 교란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런 요소들을 감안하여 가장 경제적인 방제법을 찾아야 한다.
Ⅳ. 독성문제
일 부 약제는 추천농도보다 고농도로 처리하거나 어떤 작물에 처리했을 때 약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정확한 약량의 사용은 약해의 피해를 줄여준다. 약해는 온도, 습도 기타 환경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살포하려는 약제가 여러분이 재배하고 있는 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면, 몇 분의 난에 시험살포를 해보아야 한다.
Ⅴ. 참고문헌
1. A Field Guide to the Insects of America North of Mexico. 1970. Donald J. Borror and
Richard E. White.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2. Orchid Pests and Diseases. 1995 Revised Edition. 1995. American Orchid Society.
3. 곤충분류학. 1999. 우건석외. 집현사.
4. 신고해충학. 1991. 백운하외. 향문사.
5. 한국수목해충. 이범영, 정영진. 1997. 성안당.
http://blog.naver.com/ang1109/140043703913
첫댓글 http://kr.blog.yahoo.com/ineckro/400에서 퍼온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