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 2.
마음부수
㉮ 공통 마음부수 - 13가지
1) 공통 반드시들(sabba-citta-sādhārana) - 7가지
1. 접촉(phassa, 팟사, 觸)
2. 느낌(vedanā, 웨다나, 受)
① 즐거움(육체적, 수카)
② 고통(육체적, 둑카)
③ 기쁨(행복, 정신적 즐거움, 소마낫사) -> 들뜸과 후회 억제
④ 불만족(정신적 고통, 도마낫사)
⑤ 덤덤한 느낌(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우뻭카)
3. 인식(saññā, 지각, 산냐, 想)
4. 의도(cetanā, 쩨따나, 思) -> 업(의 원인)
5. 하나 됨, 집중(ekaggatā, 에깍가따, 사마디, 心一境, 正定) -> 감각욕망 억제
6. 생명기능(jīvitindriya, 지위띤드리야, 명근, 命根)
7. 마음기울임(manasikāra, 마나시까라, 자발적 주의, 마음가짐, 作意,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을 취하도록 하는 것)
2) 공통 때때로들(pakiṇṇakā) ― 6
8. 일으킨 생각(vitakka, 위딱까, 사유, 尋, 正思惟. 마음을 대상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 -> 해태와 혼침 억제
9. 지속적 고찰(vicāra, 위짜라, 고찰, 伺. 마음을 대상에 계속 머물러 있도록 하는 것) -> 의심 억제
10. 결심(adhimokkha, 아디목카, 승해, 勝解)
11. 정진(vīriya, 노력, 위리야, 精進)
12. 희열(pīti, 삐띠, 喜悅) -> 악의(성냄) 억제
13. 열의(chanda, 바람, 의욕, 원함, 찬다, 欲)
㉯ 불선 마음부수 - 14가지
1) 불선 반드시들 - 4가지
14. 어리석음(moha, 모하, 치, 痴)
15. 도덕적 부끄러움 없음(양심없음, ahirika, 아히리까, 無慚)
16. 도덕적 두려움 없음(수치심없음, anottappa, 아놋땁빠, 無愧)
17. 들뜸(uddhacca, 웃닷짜, 도거, 掉擧)
2) 불선 때때로들 - 10가지
탐욕 관련 3가지
18. 탐욕(lobha, 로바, 貪, taṇhā, 갈애, abhijjhā, 탐애, 간탐, upādāna, 집착, 감각욕망, 색계 집착, 무색계 집착)
19. 사견(diṭṭhi, 딧티, 邪見)
20. 자만(māna, 마나, 慢)
성냄 관련 4가지
21. 성냄(dosa, 도사, 슬픔, 비탄, 두려움, 악의, 적의, 못마땅해 함, 싫어함, 불만족, 정신적 고통,
짜증냄, 신경질 냄, 마음 상함, 마음 불편함, 지겨워함, 원망, 瞋)
22. 질투(issā, 잇사, 嫉)
23. 인색(macchariya, 맛차리야, 간, 慳)
24. 후회(kukucca, 꾹꿋짜, 惡作)
해태 관련 2가지:
25. 해태(마음의 몽롱함, thīna, 티나, 懈怠)
26. 혼침(마음부수의 몽롱함, middha, 밋다, 昏沈)
의심 1가지:
27. 의심(vicikicchā, 위찌낏차, 疑)
㉰ 아름다운 마음부수 ― 25가지
1) 아름다운 반드시들 ― 19가지
28. 믿음(saddhā, 삿다, 확신, 신심, 信)
29. 사띠(sati, 새김, 주시, 관찰, 알아차림, 마음챙김, 마음 깨어 있음, 正念, 마음을 대상에 밀착시키는 것,
선법에 관한 것을 기억함)
30. 도덕적 부끄러움(양심, hirī, 히리, 참, 懺)
31. 도덕적 두려움(수치심, ottappa, 옷땁빠, 괴, 愧)
32. 탐욕 없음[alobha, 알로바, 보시, 출리(出離), 무탐(無貪)]
33. 성냄 없음[adosa, 아도사, 용서, 인욕, 무진(無瞋), 자애(慈愛)]
34. 중립[tatramajjhattatā, 따뜨라맛잣따따, 평온, 사(捨)]
35. 몸(마음부수)의 편안함(kāya-passaddhi, 까야 빳삿디)
36. 마음의 편안함(citta-passaddhi, 찟따 빳삿디)
37. 몸의 가벼움(kāya-lahutā, 까야 라후따)
38. 마음의 가벼움(citta-lahutā, 찟따 라후따)
39. 몸의 부드러움(kāya-mudutā, 까야 무두따)
40. 마음의 부드러움(citta-mudutā, 찟따 무두따)
41. 몸의 적합함(kāya-kammaññatā, 까야 깜만냐따)
42. 마음의 적합함(citta-kammaññatā, 찟따 깜만냐따)
43. 몸의 능숙함(kāya-pāguññatā, 까야 빠군냐따)
44. 마음의 능숙함(citta-pāguññatā, 찟따 빠군냐따)
45. 몸의 올곧음(kāya-ujukatā, 까야 우주까따)
46. 마음의 올곧음(citta-ujukatā, 찟따 우주까따)
2) 아름다운 때때로들 ― 6가지
절제(virati) 3가지:
47. 바른 말(sammā-vācā, 삼마 와짜, 진실, 정어, 正語)
48. 바른 행위(sammā-kammanta, 삼마 깜만따, 정업, 正業)
49. 바른 생계(sammā-ājīva, 삼마 아지와, 정명, 正命)
무량(appamaññā) 2가지:
50. 연민(karuṇā, 까루나, 비, 悲)
51. 같이 기뻐함(muditā, 무디따, 희, 喜)
어리석음 없음(ammoha) 1가지:
52. 통찰지의 기능(paññindriya, 빤닌드리야, 지혜, 바른 견해[正見], 바른 이해, 검증, 檢證, 무치, 無癡, 혜근, 慧根, 혜, 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