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생성형AI 코파일럿과 낙동강 재자연화에 대한 문답형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Q)대구의 상수원취수원이 왜 문제가 되는지 알고 있나?
A)대구의 상수원 취수원 문제는 여러 가지 이유로 복잡합니다. 주요 문제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산업 오염**:
- 대구의 취수원은 구미국가산업단지와 가까워서,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낙동강으로 유입될 위험이 큽니다. 1991년 페놀 유출 사건과 같은 사고가 대표적입니다¹.
2. **수질 사고 빈발**:
- 낙동강에서 여러 차례 수질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예를 들어, 1,4-다이옥산과 과불화화합물 등의 유해 화학물질이 검출된 사례가 있습니다².
3. **취수원 이전 갈등**:
- 대구시는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취수원을 이전하려고 했지만, 구미시와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구미 주민들은 상수원 보호구역 확대와 물 부족 문제를 우려하고 있습니다³.
이러한 문제들은 대구 시민들의 수돗물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지역 간 협력이 필요합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다른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싶으신가요?
¹: [시사저널](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328)
²: [YTN](https://www.ytn.co.kr/_ln/0115_202106252126105590)
³: [조선일보](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03/2020080302397.html)
원본: Copilot과의 대화, 2024. 7. 31.
(1) 꽉 막힌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 해법은 ‘정부 개입’ -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328.
(2) [대구]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 취수원 다변화로 해결 '물꼬' - YTN. https://www.ytn.co.kr/_ln/0115_202106252126105590.
(3) 대구시의 3대 숙원사업, 취수원 다변화! 물로 인한 고통과 위기를 .... https://m.blog.naver.com/ecocitydaegu/222608873529.
(4) 대구시 '취수원 다변화'로 정책 변화…취수원 이전은 포기.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03/2020080302397.html.
Q)자연스럽게 흘러내리면서 수질이 정화되었던 낙동강물을 대형보로 가두어 놓아서 수질이 나빠진 것이 근본원인이 아닐까?
A)낙동강의 대형보가 수질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보 설치로 인해 물의 흐름이 느려지고 체류 시간이 증가하면서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수질 악화**:
- 낙동강 중류수계의 강정고령보와 달성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보 설치 이후 COD, TOC, T-N, T-P 등의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보로 인해 물의 흐름이 느려지고,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이 축적되기 때문입니다¹.
2. **녹조 현상**:
- 또 다른 연구에서는 보의 수문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녹조 현상의 발생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보를 전면 개방하면 일부 구간에서는 녹조 농도가 감소하지만, 다른 구간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².
3.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
-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에 건설된 8개의 다기능 보가 수질에 전반적으로 악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는 보로 인해 물의 체류 시간이 길어지고, 영양염류가 축적되면서 수질이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³.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대형보가 수질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보를 개방하거나 철거하여 자연스러운 물의 흐름을 회복하는 것이 수질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다른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싶으신가요?
¹: [낙동강 중류수계의 인공보 설치에 따른 보 내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https://www.jksee.or.kr/upload/pdf/KSEE_1_2014_04_258.pdf)
²: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 가동보 운영이 수질 및 녹조현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031458603695)
³: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3657)
원본: Copilot과의 대화, 2024. 7. 31.
(1) [논문]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 가동보 운영이 수질 및 녹조현상에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031458603695.
(2) 낙동강 중류수계의 인공보 설치에 따른 보 내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https://www.jksee.or.kr/upload/pdf/KSEE_1_2014_04_258.pdf.
(3) 낙동강 중류지역의 인공보 설치전후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3169336.
(4) "낙동강 8개 보, 수질 나쁘게 만들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논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3657.
(5) undefined. http://dx.doi.org/10.4491/KSEE.2014.36.4.258.
Q)그렇다면 보를 철거하고 재자연화 하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을까?
A)보를 철거하고 재자연화하는 것이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복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몇 가지 주요 연구 결과를 소개하겠습니다:
1. **수질 개선**:
- 연구에 따르면, 보를 철거하거나 수문을 상시 개방하면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회복되어 수질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낙동강의 경우 보를 철거하면 남조류 저감율이 17~32% 증가하고, 고농도 녹조 발생 일수가 약 1/4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¹.
2. **생태계 복원**:
- 보 철거 후 하천 생태계가 복원되면서 멸종위기종이 다시 돌아오고, 녹조 현상이 크게 줄어드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². 물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흙과 생물이 돌아오는 효과가 있습니다.
3. **경제적 분석**:
- 한국재정학회의 연구에서는 보 철거의 편익이 비용보다 크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의 경우 철거 시 편익이 더 크다는 분석이 있었습니다³.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보 철거와 재자연화가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복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물론,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비용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환경과 생태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다른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싶으신가요?
¹: [사이언스온](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22647668548)
²: [PN](https://www.pn.or.kr/news/articleView.html?idxno=18810)
³: [한겨레](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054320.html)
원본: Copilot과의 대화, 2024. 7. 31.
(1) [논문]4대강 보 개방과 철거를 통한 재자연화 - 사이언스온.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22647668548.
(2) ‘보 철거 정책’ 사실상 폐기 나선 윤석열 정부…재자연화 .... 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054320.html.
(3) '4대강 보 철거' 단식농성..."대통령, 낙동강 재자연화 잊었나" < 4 .... https://www.pn.or.kr/news/articleView.html?idxno=18810.
(4) undefined. https://www.americanrivers.org/threats-solutions/restoring-damaged-rivers/%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