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인^^!
이것이 맞나 모르것네요?
천정 시공을 이렇게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1.달대(전산볼트)시공
전산볼트 위치는 현장 사정에 맞게 정하여야 한다.
도면을 보면 등박스 위치와 전기기구(매입개방)의
위치를 파악하면 알수 있다.
관공서 에서의 설치 기준은 볼트와의 간격은900MM를
기준으로 한다.
일반에서는 1200MM도 가능하다.시공 하는 상황을 보면
대부분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는데, 그러하지 말고,
중심선 에서 좌/우측으로 450MM간격을 벌리고 달대를
고정하면 다른 공정과도(등기구) 싸울일을 막을수 있다.
그리구 벽면에서 는 기본 150MM~200MM 정도를 벗어 나서
시공은 하지 않는것이 좋다.
몰딩을 시공 할때 수평을 맞추기가 매우 좋다.
글구, 일을 할때는 항시 협의를 하는것이 좋다고 생각 하는디?
현장 상황은 그러하지 않는것이 현실이라,개인적으로 볼때
답답하다고 생각한다.
2. 전산볼트(달대)
천정을 쳐다보면 전기 복스가 매입이 되어 있는것을 볼수
있는데, 거의 현장 상황은 복스와 복스 사이 전선 배관은
격자 식으로 사방으로 되어 있는것을 알수 있다.
헌데 3부 길이로 구멍(앙커)을 뚫을때 아무데나 막 뚫으면
전선 배관을 관통해서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되니 주의 하는것
이 좋다. 나도 시공을 하다 그런적이 있어 전기아찌와 마니
싸운적이 있다.
글구 화장실 밑에서 작업할때, 변기도 조심하는것이 매우 좋다
변기가 천정스라브 하고 거리가 얼마 되지 않아서, 그냥 구멍을
내서 내용물이 떨어 지는 결과가 생기면, 샤워를 해도 말이 아니
니까? 말임다.
수치는?
천정 높이를 맞추는데,수평라인에서의 오차는 원래 3MM인걸로
아는데, 보통 차이는 1전에서3전까지 차이가 있지여!
일단은 바닥도 잘안맞는경우가 태반이니까!
전산볼트 종류는?
길이가 기본 1000 / 2000 / 3000MM가 있쥬!
나머지는 연결(스트롱)을 하여야 하는디, 도금되어 있는걸루
시공을(방청처리)해야 만이 좋아여^^;;
첫댓글 앙카뚫을 때 천정에 달려있는 전기박스(쇠)를 열십자(+)방향으로 전기선이 매입된다고 생각하고 그 라인을 피해야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