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럼 시작합니다.
개념 설명
▷ 학과
우리 학교에는 12개의 학과가 있습니다. 여러 과가 같이 듣는 강의에서는 윤국사교영컴 수과실음미체 순으로 출석을 불러요. 열두 학과는 1군과 2군으로 나뉩니다.
학과라고 해서 일반 대학처럼 아예 배우는 게 다른 건 아니고 전공심화과목, 졸업논문 대체 여부 정도 차이만 있습니다.
특히 과별로 시간표가 거의 정해져서 나오기 때문에 동기들이랑 4년 동안 같은 반 친구로 지낸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사범대와 다르게 어느 학과를 선택하든지 교대를 졸업하면 똑같이 초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을 받습니다.
1군이 1학기 때 들은 강의를 2군은 2학기 때 듣기 때문에 같은 학기에 겹치는 과목이 없어요. 다시 말해서, 강의에서 1군과 2군이 만날 일은 거의 없다는 뜻입니다.
▷ 학점
학점은 이수 단위와 평점, 이 두 가지 뜻을 갖고 있는데요, 양쪽 다 자주 쓰이니까 알아두시면 좋아요.
학점의 첫 번째 뜻은 이수 단위 (credit)입니다. 구분을 위해 이수 학점이라고도 하는데요, 주당 수업 시수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서 2시간 강의 = 2학점, 3시간 강의 = 3학점인 거죠. (단, 실기과목은 2시간 강의 = 1학점, 3시간 강의 = 2학점)
학점의 두 번째 뜻은 평점 (grade)입니다. 평점은 대학 성적이에요. 우리 학교는 4.3점 만점 체계를 활용하고 있어요.
A=4, B=3, C=2, D=1, F=0이고 +, 0, -는 각각 +.3, .0, -.3입니다. 에이쁠, 에이제로부터 디마, 에프까지 있어요.
등급 | 평점 |
A+ | 4.3 |
A0 | 4.0 |
A- | 3.7 |
B+ | 3.3 |
B0 | 3.0 |
B- | 2.7 |
C+ | 2.3 |
C0 | 2.0 |
C- | 1.7 |
D+ | 1.3 |
D0 | 1.0 |
D- | 0.7 |
F | 0 |
평균평점을 계산하는 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예시를 통해 설명해 볼게요.
과목명 | 학점 | 등급 | 평점 |
김밥 | 3 | B+ | 3.3 |
두부 | 3 | C+ | 2.3 |
딸기 | 2 | A0 | 4.0 |
오렌지 | 2 | F | 0 |
호빵 | 1 | A- | 3.7 |
(모바일은 옆으로 스와이프해서 숨어있는 칸 확인해주세요.)
학기 평균평점은 석차 산출에 사용됩니다.
▷ 백분위 점수
백분위 점수란 4.3점 만점의 평점을 100점 만점의 점수로 환산한 것입니다. 그래서 백점환산점수라고도 하는데요, 백분위 점수는 국가장학금 성적 기준, 졸업요건 등에 활용됩니다.
환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백분위 점수 = 평균평점 × 10 + 56
▷ 평가 방식
성적 평가 방식은 크게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수강신청
대학에서 강의를 들으려면 수강신청을 해야 합니다. 우리 학교의 경우, 필수과목은 신청하지 않아도 과별 시간표대로 자동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선택과목만 수강신청하면 됩니다.
배경이 칠해진 과목과 심화선택과목을 제외하면 전부 필수과목이에요. 1학년 선택과목은 교양선택 2과목입니다.
과별 시간표는 학교 홈페이지 – 학사공지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신청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과 배정 이후에 학교에서 공지할 예정입니다.
공통 졸업요건 및 교원자격증 취득요건
학점만 다 채운다고 졸업을 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또 무시험으로 교원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 따로따로 쓰면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 한번에 정리해보았습니다.
먼저 141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그런데 보시면 총 학점이 141학점이죠? 그 말은 졸업할 때 F가 하나라도 있으면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F 받은 과목은 어떻게든 메꿔야 돼요.
그리고 성적도 어느 정도 이상 맞아야 합니다. 전과목 평균 75점, 전공과목 평균 75점, 교직과목 평균 80점은 넘겨야 해요. 평균평점으로 환산하면 각각 1.9, 1.9, 2.4입니다.
교직 적인성검사는 2학년 1학기와 3학년 2학기에 시행하는데, 두 번 다 적합 판정을 받아야 해요.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은 3학년 2학기와 4학년 1학기, 총 2회 진행됩니다.
교육봉사활동도 해야 하는데, 교육봉사 30시간 + 사회봉사 및 창의인성 교육 20시간, 총 50시간을 채워야 해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다시 다루겠습니다.
또, 졸업논문 심사에 합격해야 합니다. 다만 과별로 졸업논문 대체 규정이 있어요.
졸업과는 관계없지만 임용고시를 응시하기 전까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을 취득해야 해요. 한능검 심화 시험에서 60점 이상 맞으면 되고, 유효기간은 5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몇 가지 개념들과 졸업요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이번 글이 서론이었다면 다음 글부터는 본격적으로 뭘 배우는지에 대한 내용이 이어집니다.
모두 다음 글에서 만나요! 안녕~♂️
첫댓글 혹시 조교님....?!?!?!
제가 조(금만기다리면새내기들볼수있겠네내가많이앢)교라는 거 어떻게 아셨죠🤭😂😂
이 글 보고 입이 안 다물어지는데 어떡하죠?
삐빅- 정상입니다-!
삐빅..? 동생 거 교통카드 쓰시면 안 됩니다😕😕
우와~~~ 퀄리티 무엇...? 👍👍👍
아닛!! 재학생에게도 도움되는 알찬 정보들로 아주 그냥 액기스만 쏙쏙 담은 글이자나?!?
재학생 카페에 올릴 걸 그랬어~~😏
20학번 배우고 가요~^^
20도 새내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