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척도이름 :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한국판(Conners'AdultADHD Rating Scale-Korean:CAARS-K)
2. 측정변인 및 하위변인 : 변인명
부주의-기억, 과잉행동, 충동-정서적 불안정성, 자기개념, DSM-Ⅳ 부주의 , DSM-Ⅳ 과잉활동/충동성, DSM-Ⅳ 증상 총점, ADHD 지수
3. 출처 (1) 원출처 :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저자 : Conners, C. K. Erhardt, D., & Sparrow, E.(1999a)
*Conners, C. K., Erhardt, D., Epstein, J. N., Parker, J. D. A., Sitarenios, G. & Sparrow, E. (1999). Self-ratings of ADHD
symptoms in adult Ⅰ: Factor structure and normative data.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 3(3), 141-151.
(2) 인용출처 :
성인 ADHD 성향 군집유형에 따른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자존감과 우울증상의 매개효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발행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 인지 및 생물 , 23 권 , 1 호 , Startpage 153 , Endpage 169 , Totalpage 17
저자 : 정혜원 ( Hye Won Jeong ) , 장문선 ( Mun Seon Chang ) , 곽호완 ( Ho Wan Kwak )
(a) 타당화 연구 출처 (한국적 타당화 연구가 있을 경우)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발행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 24 권 , 1 호 , Startpage 171 , Endpage 185 , Totalpage 15
저자 : 김호영 ( Ho Young Kim ) , 이주영 ( Joo Young Lee ) , 조상수 ( Sang Su Cho ) , 이임순 ( Im Soon Lee ) , 김지혜 ( Ji Hae Kim )
내적 합치도(Cronbach’s alpha) : .96

공존 타당도 :

CAARS-K의 각하위 척도는 내적 일치도가 모두 양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념의 문제` 척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는 성인기 주의력결핍 증상과 아동기 ADHD 증상을 측정하는 기존의 척도와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3개의 구성 요인이 채택되었으며, 이 요인 구조는 전체 분산의 34.2%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은 `정서적 문제`, `과잉 활동성 및 충동성`, `관리 기능상의 문제`로 명명되었다.
4. 문항 : 66문항
5. 채점방식 : 0~3점 평정척도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가척도.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