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4,[20]
 (포) 싸다 |
자원(字源) : {象形字} 사람이 구부려 보따리를 싸서 품에 안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싸다'의 의미를 지님.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2) 勿 (물)없다,말라 : 過則勿憚改
|
3) 包 (포)싸다,감싸다 : 包裝紙 |
2-15,[21]
 (비) 비수 |
자원 : {象形字} 끝이 뽀족한 숟가락을 본따 '숟가락'의 의미를 지닌 글자인데, 짧은 칼을 의미하는 '단검, 비수'의 뜻으로 전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2) 化 (화)되다,변하다: 橘化爲枳,變化
|
3) 北 (북)북녘 : 東西南北, 北極星 (배)달아나다 : 敗北 |
2-16,[22]
 (방) 상자 |
자원 : {象形字} 물건을 넣는 네모난 상자를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로 상자의 뚜껑이 열려 있음을 의미함.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통상 '터진입구' 혹은 '튼입구'라고 부르는데, '감출 혜' 부수와 다른 글자이면서 획수는 모두 2획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에는 해당하는 한자가 없고{ 匠(장)장인, 匣(갑)궤 } 등이 주로 사용됨.
|
2-17,[23]
 (혜) 감추다 |
자원 : {會意字} 윗부분의 'ㅡ'는 덮어 간 것을 의미하고, 아래의 'ㄴ'은 감추어 숨긴 것을 의미해 '감추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의미의 결합인 회의자임. 역시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통상 '터진에운담'으로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2) 匹 (필)짝,둘 : 匹夫匹婦, 匹敵
|
9) 區 (구)지경,숨기다 : 區分, 區域 |
2-18,[24]
 (십) 열 |
자원 : {指事字} 남북의 'ㅣ'과 동서의 'ㅡ'이 합쳐 모두 갖추었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수(數)에서 모두 갖춘 '10'의 의미로 '열'이라는 뜻으로 설명함. 혹은 양 손의 손가락을 엇걸어 표시한 의미로도 설명하는데, 지금까지 중국 사람들은 '열'의 의미를 그와 같이 표현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0자 0) 十 (십)열 : 十匙一飯, 十長生 1) 千 (천)일천 : 千慮一失, 千載一遇 2) 午 (오)낮,지지 : 午睡, 午時 3) 半 (반)반,조각 : 半信半疑, 半月 6) 協 (협)화합하다 : 協商, 不協和音 6) 卑 (비)낮다,천하다: 卑賤, 男尊女卑
|
6) 卒 (졸)병졸,마치다 : 軍卒, 卒業 ▲ 6) 卓 (탁) 높다,책상 : 卓見, 卓越, 卓子 7) 南 (남)남녁 : 南征北伐, 南柯一夢 10) 博 (박)넓다 : 博學多識,多聞博識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2) 升 (승)오르다, 되 : 升堂入室, 斗升 |
2-19,[25]
 (복) 점 |
자원 : {象形字} 거북을 불에 구웠을 때 등 껍데기에 나타난 갈라진 틈을 본뜬 글자로 갑골문(甲骨文)이 발견된 사실에서 알았듯이 고대(古代)에 거북 등 껍질 또는 소나 말의 넓적다리뼈에 점술의 내용을 기록하고 불에 올려 갈라지는 금을 보고 점을 쳤던 일에서 연유하여 '점치다, 점'의 의미를 지님.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0) 卜 (복)점 : 占卜, 卜術
|
3) 占 (점)점치다,차지하다: 占術, 占居 |
2-20,[26]
 (절) 병부

|
자원 : {象形字} 병부(兵符)를 둘로 쪼갠 것을 본뜬 글자로 병부란 왕과 병권(兵權)을 가진 신하 사이에 미리 나누어 가진 신표(信標)로, 보통 '병부(兵符), 신표(信標), 부절(符節), 부신(符信)' 등으로 불리는데, 후대에 남녀 사이에 사랑의 정표로도 사용되던 것으로 이해하면 됨. 부수의 의미도 주로 '병부'의 의미로 사용됨. '우부방' 과는 별개의 글자.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3) 卯 (묘)지지,토끼 : 卯時, 卯金刀劉 3) 印 (인)도장,찍다 : 刻印, 印刷 4) 危 (위)위태하다 : 危險, 居安思危 5) 却 (각)물리치다 : 賣却, 却說
|
5) 卵 (란)알 : 鷄卵有骨, 累卵之勢 6) 卷 (권)책,말다 : 卷頭言,捲土重來 7) 卽 (즉)곧 : 卽刻, 卽死, 卽興 10) 卿 (경)벼슬,경 : 公卿大夫, 卿大夫 |
2-21,[27]
 (한) 언덕 |
자원 : {象形字} 언덕의 끝 부분이 튀어나와 그 밑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을 본뜬 글자로 '가리거나 덮어서 엄호(掩護)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원 자해(字解)는 '언덕(한)'인데, 통상 '엄호{ }'에 대해서 점이 없어 구별하여 '민엄호'로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자 2) 厄 (액)재앙 : 厄運, 災厄, 厄難 7) 厚 (후)두텁다 : 厚德, 利用厚生
|
8) 原 (원)근본,들판 : 原始, 高原 10) 厥 (궐)그, 그것 : 厥女, 厥者 |
2-22,[28]
 (사)사사롭다 |
자원 : {指事字} 자신의 소유물을 묶어 싸놓고 있음을 의미해서 '자기 자신의 것'이라는 사사로움을 가리키는 글자로 설명하거나, 벼를 수확해 볏단을 끼고 가는 모습을 의미해 '자신을 위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설명해 '사사로울(사)'의 뜻을 지님. 통상 부수 명칭을 '마늘모'라고 불리는 것은 글자의 모양이 마늘쪽 같이 세모진 모양에서 생긴 속칭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3) 去 (거)가다 去頭截尾, 去者必反
|
9) 參 (삼)셋 : 參參五五 ; (참)참여하다 : 參與, 參拜, 參政 |
2-23,[29]
 (우) 또 |
자원 : {象形字} 오른손에 손가락까지 간략화해서 본뜬 글자로 손과 관련해서 일어나는 행위나 상대의 표현에 사용됨. 단독 글자로 '又{또(우)}'자는 '거듭하다'는 의미를 지님.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0) 又 (우)또 : 日新又日新 2) 及 (급)미치다,급제: 過猶不及,及第 2) 友 (우)벗,우애 : 莫逆之友, 友愛 2) 反 (반)돌이키다 : 輾轉反側,反對
|
6) 叔 (숙)숙부,콩 : 叔父, 伯夷叔齊 6) 取 (취)거두다 : 取得, 取捨選擇 6) 受 (수)받다,얻다 : 受信, 授受 7) 叛 (반)배반하다 : 叛逆, 背叛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