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앞에 바라 보이는 흑성산 바로 넘어엔 1987년 8월 15일 개관한 독립기년관이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에서 찻길로 11km 거리에 유관순 열사 생가가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에서 찻길로 7km 거리(천안시 동남구 북면 은지리 45)에 어사 박문수 생가 있습니다

은석산 정상 부근엔 박문수 묘가 있습니다

어사 벅문수 생가터(천안시 동남구 북면 은지리 45번지)

어사 박문수 생가터에 고령 박씨 종중재실 입니다


어사 박문수 동상(생가터 알)



1285년에 편찬된 삼국유사에 기록된 백제의 첫 도읍지 천안 직산읍



<삼국유사>에 기록된 백제의 첫 도읍지 천안 위례산성을 걷는
금북정맥 3구간 2부 입니다
오늘 걷는 금북정맥 산행은
1285년에 편찬된 삼국유사(불승(佛僧) 일연(一然)이 지은 5권 3책의 역사책)에
기록된 역사의 현장 ---위례산성---을 찾아서 걷는 뜻깊은 산헹이 될것으로 생각 됩니다
산행 땐 언제나 그러하듯 오늘도 젤 꼴찌로
성거산에 도착하니 후미팀들이 산상의 뷔폐를 이제막 마친듯 앉은 자리를 털고 일어서고 있군요

천안 시가지를 중심으로 동북쪽에 솟아 있는 성거산(579m)은 고려 태조 왕건이 삼국을 통일하기 위하여 분주(奔走)하게
힘쓰고 있을 당시 천안시 직산면 산헐원을 지나다가 동쪽의 성거산을 보고 신령이 있다 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고
성거산이라 부르게 하였다는 이야기에서 이름이 유래하는 산이다
성거산 정상에 오르면 천안의 특산물인 성환배, 입장 거봉 포도의 주산지가 한 눈에 들어오는 곳으로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진행하면 백제 도읍지였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된 위례산성에 도달하게 됩니다
성거산 정상에는 삼국 시대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263호인 성거산성(聖居山城)이
있지만 성곽이 많이 훼손되어 옛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하며
현재 군사 기지가 들어서 있는 군사 보호 지역으로 발굴조사가 늦어지는 점이라 합니다

성거산 정상 삼각점을 지나면 바위지대에서 성거산 정상에서 태조산쪽으로 이어지는 금북정맥 마루금을 조망할 수 있습니다

삼각점과 바위를 지납니다

위 사진 바위와 동일 합니다

천안시민님이 바위에 걸터앉아 망중한을 즐기고 있는 저바위에서 조망을 즐길 수 있습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오른쪽 금북정맥 산줄기를 따라 왕자산갈림길을 지나
왼쪽으로 이어지는 금북정맥을 걷습니다

왕자산갈림길에서 태조산으로 이어지는 금북정맥 산줄기 ㅁ바루금 입니다

조망이 틔는 바위군에서 바라본 성거산 정상 방향 입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태조산 방향으로 금북정맥 이어가기를 진행 합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만일고개까지 급경사 내리막을 내려가다 뒤돌아본 성거산 정상 입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만일고개로 급경사를 조금 내려가다 바라본
위례산(위례산성) 정상 입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만일고개로 급경사를 내려가다 뒤돌아 보았습니다

성거산 중턱에 만일사(晩日寺)라는 절이 있어서 만일 고개라고 하며, 절을 매일절이라고도 하여
매일고개라는 이름으로 한자로 만일령(萬日嶺)이라고도 합니다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촌흥리와 동남구 목천읍을 연결하는 고개 입니다
만일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350m 입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급경사를 600m 내려온 만일고개 입니다
만일고개에서 만일사 절간까지는 1.0km 입니다

만일고개에서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송전리까지는 1.3km라 합니다. 금북정맥 마루금은 각원사 방향으로 진행 합니다

금북정맥 마루금은
위례산 ㅡ 성거산 정상 ㅡ 만일고개 ㅡ 태조산 방향


뒤돌아 보고~

뒤돌아본 만일 고개~

뒤돌아본 만일고개~

마루금을 쬐끔 벗어난 곳에서 바라본 성거산 정상과 오리지널 성거산 정상에 있는 군부데~


금북정맥을 함께 걷는 일행이 사진을 찍고 있는 나를 힐끔 처다보고 가던길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천흥저수지로 갈 수 있는 갈림길

성거산의 대표 식생지는 천흥 저수지에서 만일사(晩日寺)를 거쳐 정상에 이르는 계곡 일원은
참나무가 분포하고 있는 수림으로
성거산 산행은 성거읍 천흥리(천흥 저수지)에서 시작하여 만일사와 만일고개로 내려오는 3.3㎞ 코스가 있다

천흥저수지 갈림길에서 방금 지나왔던 마루금을 뒤돌아 보고~



천흥저수지 갈림길을 뒤돌아 보고~

뒤돌아본 천흥저수지 갈림길

갈마고개에선 국민은행연수원을 갈 수 있습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1.362km 진행한 갈마고개 입니다


뒤돌아 보고~

진행 방향~


진행 방향~


뒤돌아 보고~




뒤돌아 보고~

상명대학교 갈림길




위 사진과 동일한 위치 입니다

진행 방향~

천안시의 동남구 목천읍 덕전리와 안서동, 유량동 경계에 위치한 고개로,
유왕골에 대하여는
백제 시조 온조가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봄 · 여름에는 이곳에 와서 머물며 농사를 장려하였다는 전설이 있으며
또 하나는 고려 태조 왕건이 태조산에 진을 치고 있을 때 이곳에 머물렀으므로 유왕동(留王洞)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하기도 한다
유왕골고개는 해발 고도는 약 345m이며, 태조산(422m)까지 거리는 약 1.4㎞ 입니다

성거산 정상과 태조산 정상 중간 지점이 유왕골 고개이군요

유왕골이란

유왕골고개에서~

뒤돌아 보고~

뒤돌아본 유왕골고개~

유왕골고개에서 태조산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참을 걷는 솔밭길~



위 사진의 이정표와 동일 합니다

각원사의 아미타불좌상 안내문~

각원사 좌불상으로 갈 수 있는 갈림길 입니다

각원사 좌불상으로 갈 수 있는 갈림길을 뒤돌아 보고~


뒤돌아 보고~


위 사진의 이정표와 동일한 위치 입니다

위 사진의 이정표와 동일한 위치 입니다

목이 마르고 갈증도 나는데 산상에 주막이 있군요




산상의 주막에 이르니 내가 늘 좋아하는 막걸리가 있군요
진주님이 사셨답니다
진주님이 사주는 크다란 막걸리 한잔술에 취기가 오를려고 합니다
크~

아딸딸해지는 기분에 산상의 주막을 떠나 태조산으로 진행할려고 합니다



성거산 정상에서 4.86km진행하여온 위치 입니다

위 사진의 이정표와 동알한 위치에서 뒤돌아본 청소년수련원 갈림길~

위 사진의 이정표가 있는 위치에서 태조산 방향으로 2분을 진행하여온 위치 입니다

태조산 정상을 680m 남겨두었군요

청소년수련원 갈림길이군요

이곳저곳 기록사진을 사진을 찍으며 일행을 따라 가기가 바쁩니다
헥헥~

잘다듬어진 목계단을 올라 왼쪽으로 목책(木柵)따라 태조산 정상으로 진행 합니다

방금 올라왔던 목계단쪽을 뒤돌아 보고~

태조산 정상 팔각정자로 오르는 원목 그대로 사용한 계단을 오릅니다

뒤돌아 보고~

태조산 정상의 팔각 정자 입니다

또 뒤돌아 보고~


태조산 정상 팔각정자에서 천안시 유량동 일부를 담아 봅니다



태조산의 유래~







태조산 정상에서
유량리고개 방향으로 진행 합니다



태조산 정상에서 400m 진행하여온~

교보생명 계성원(연수원) 갈림길 입니다

교보생명 계성원(연수원) 갈림길을 뒤돌아 보고~

교보생명 계성원(연수원)을 나무가지 사이로 담아 보고~


태조산 정상에서 600m 진행한 이곳 위치가 2POST 입니다

삼각점이 있는 이곳이 교육원삼거리라 하는군요




2POST에서 3POST까지 거리는 1.23km 입니다

위 사진의 이정표와 동일한 위치 입니다

아하~
이곳 갈림길에서 흑성산을 갈 수 있군요

흑성산 남쪽 산자락엔
1987년 8월 15일 개관한 독립기년관이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에서 찻길로 11km 거리에 유관순 열사 생가가 있습니다







목장길 마무데크를 따라 걷는 기분 입니다

오늘 금북정맥 구간은
부소령(부소문이고개)부터 시작하여 유량리고개 여기까지 맥잇기였습니다


유량리고개에서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유량터널쪽으로 하산을 합니다


유량리고개를 뒤돌아 보고~

유량지하차도는
천안시의 동남구 목천읍 덕전리와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 경계에 위치한 고개 입니다.
유랑고개는 유량리고개의 오기(誤記)로서 유량리고개로 부르고 있습니다
고려 태조 때 이곳에 군량을 쌓아두고 군사를 조련하였으므로 유량(留糧)골이라 하였기 때문이라 합니다
군사적 움직임에는 반드시 군량의 저장과 수송이 중요한 일이므로 전국 여러 곳에 (군량리)라든지, 군량동과 같은 지명들이 분포하고 있지요

취암산 ▶ 삼각점봉 ▶ 독수리머리봉은
다음 구간에 걷게될 금북정맥 마루금 입니다

대한민국 공군항로보안기지와 KBS 방송 송신소, 미군통신기지등이 운집해 있는
흑성산 입니다

흑성산






베이스캠프에서 산악회 버스가 하산을 재촉하듯 어서 오라고 손짓하고 있습니다
다음 구간에 걷게될 금북정맥 마루금은
돌탑봉(310m에서 조망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취암산(321m) ▶ 삼점봉(320m) ▶ 독수리머리봉


금북정맥 3구간은 <삼국유사에>에 기록된 백제의 첫 도읍지
천안 위례산(위례산성) 구간은 여기서 끝을 맺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