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양파농사모
 
 
 
카페 게시글
생장조절제 스크랩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s)
양파미소 추천 0 조회 469 12.12.18 09:1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s)

 

1 식물호르몬(plant hormon)이란?

식물체 내에서 생성되어 체내를 이행하면서 다른 조직이나 기관에 대하여 미량으로도 형태적, 생리적인 특수한 변화를 일으키는 화학물질

 

2 식물호르몬의 종류는?

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플로리겐 등...

 

3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s)?

식물의 생육에 적은 양으로도 큰 영향을 끼치는 합성된 호르몬성 화학물질의 총칭

 

4 합성 옥신의 예.

IAA, NAA, IBA, PCPA, 2,4,5-T, 2,4,5-TP, 2,4-D, BONA...

 

5 옥신(Auxin)이란?

옥신 auxin

식물호르몬의 일종. 생장소라고도 한다. 인돌아세트산과 같은 생리작용을 가진 유기화합물의 총칭으로, 특히 저농도에서 줄기의 세포신장을 촉진한다. 천연옥신인 인돌아세트산 외에, 2, 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α-나프탈렌아세트산, β-나프톡시아세트산, 2, 4, 6-트리클로로벤조산 등의 합성옥신이 있다.

식물호르몬의 일종. 생장소(生長素)라고도 한다. 인돌아세트산과 같은 생리작용을 가진 유기화합물의 총칭으로, 특히 저농도에서 줄기의 세포신장을 촉진한다. 천연옥신인 인돌아세트산 외에, 2, 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 4-D), α-나프탈렌아세트산, β-나프톡시아세트산, 2, 4, 6-트리클로로벤조산 등의 합성옥신이 있다.

옥신 연구의 역사는 진화론으로 유명한 C.R. 다윈과 아들 F. 다윈의 식물의 운동에 관한 연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들은 《식물이 운동하는 힘(1880)》이란 책에서 카나리아풀의 자엽초의 굴광현상(屈光現象)은 자엽초의 끝부분이 빛을 감지하고 어떤 자극이 하부에 전해져서 굴곡을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그 후 덴마크의 P. 보이센옌센이 1913년 이 자극이 화학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19년 헝가리의 A. 팔은 귀리의 자엽초 끝부분을 잘라서 자른 면을 한 쪽으로 엇갈리게 올려 놓으면, 어두운 곳에서도 끝부분은 올려 놓은 부분과는 반대쪽으로 굴곡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굴곡은 끝부분에서 만든 일종의 생장물질에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28년 네덜란드의 F.W. 벤트는 같은 재료를 가지고 잘라낸 끝부분을 한천(우뭇가사리) 조각 위에 올려놓고 이 물질을 한천 속으로 확산시켜 모으는 데 성공했다. 끝부분을 제거한 자엽초의 자른 면에 한천 조각을 한 쪽으로 엇갈리게 놓고 어두운 곳에 두었더니 역시 굴곡이 나타났다. 벤트는, 한천 속에 들어 있는 생장소의 농도와 자엽초 굴곡의 각도가 어느 범위 내에서는 비례한다는 것으로부터 이 원리에 바탕을 둔 옥신의 생물실험법을 고안했다(아베나굴곡시험). 옥신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auxein(성장한다)인데 네덜란드의 F. 쾨글이 31년에 명명했다. 옥신작용을 가진 물질은 널리 생물계에 분포하는데, 35년 쾨글 등은 사람의 오줌에서 이 물질을 단리해내고 이것이 인돌아세트산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 후 인돌아세트산이 식물에 존재하는 천연옥신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옥신은 세포신장을 촉진시키는 작용 외에 막뿌리의 형성과 단위결실(單爲結實), 과실의 생장, 형성층분열 등을 촉진하고 뿌리의 생장과 곁눈의 생장을 저해한다. 옥신이 이 작용을 어떻게 하느냐는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표적인 작용인 세포신장촉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식물세포의 신장은 주로 세포의 흡수(吸水)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옥신은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벽을 완화시키고 신전성(伸展性)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흡수가 가능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이다. 세포벽의 완화는 옥신이 작용할 때 세포막에서 세포벽으로 분비하는 수소이온(양성자)에 의해 작용한다고 본다.

 

Auxin cytokinin의 특성

1) auxin

식물체내에 존재하며 강한 활성을 갖는 대표적인 천연오옥신 (naturally occuring auxins) indoleacetic acid이다. 그러나 IAA외에도 오옥신의 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4-chloro-IAA, indole-3-ethnol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모두 indole 基를 갖춘 IAA의 유연화합물이다.

인돌초산과 기본 골격구조는 다르나 오옥신의 활성을 가진 합성화합물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합성오옥신(synthetic auxin)으로 불리워 진다.

합성 오옥신은 귀리자엽초 굴곡시험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귀리자엽초 또는 완두 등의 줄기절편을 사용하는 신장시험에서는 인돌초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낸다.

오옥신의 생합성은 분열조직이나 경정(莖頂), 유아(幼芽), 미숙종자 등의 젊은 조직에서 행하여 진다. 오옥신은 트립토판 을 전구체(前驅體)로서 합성된다. 트립토판으로 부터 IAA의 전환에는 현재 2개의 경로가 알려져 있다(그림 8). 어느것이나 트립토판(tryptophane)의 곁사슬(측쇄)의 탈아미노(deamination), 탈탄산(decarboxylation)과 산화의 반응이 관여한다.

인돌초산은 식물조직속에서 소위 IAA 옥시다제(IAA- oxidase)에 의하여 산화적으로 대사된다. IAA 옥시다제는 단일효소는 아니고 퍼옥시다제(peroxidase)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 되나 그 실체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IAA는 그림 10 에서처럼 인돌레닌.하이드로퍼옥사이드(indolenine hydroperoxide)를 지나서 3-메틸렌옥시인돌(3-methyleneoxindole)로 산화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 도중 인돌레닌.에폭사이드(indolenine epoxide)로 부터 인돌-3-알데히드(indole-3-aldehyde)로 되고 산화되어 인돌-3-카르본산(indole-3-methanol)로 되는 경로도 알려져 있다.

오옥신의 특징의 하나는 극성이동(極性移動)이다. 그림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줄기(자엽초)의 절편을 만든 다음 수직으로 바로 세워 인돌초산을 넣은 한천덩이를 줄기 선단부의 切口에 얹어 두면 인돌초산은 아랫쪽의 한천덩이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줄기의 상하를 거꾸로 하여 원래 줄기의 기부쪽이 위로 가게하여 그 위에 한천덩이를 얹어두면 인돌초산은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이번에는 줄기의 선단쪽이 놓여있는 밑쪽에 인돌초산이 들어있는 한천덩이를 놓아두면 중력방향과 반대쪽으로 오옥신이 이동한다. 같은 실험으로서 줄기의 선단쪽을 위로 하여 방향을 바로 세운 다음 밑쪽에 인돌초산의 한천덩이를 두면 인돌초산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 실험으로부터 오옥신은 줄기의 경정부로 부터 하단부로 향하여 이동(求底移動)하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이같이 방향성 있는 이동을 극성이동(polar transport)이라한다.

오옥신은 식물줄기의 정상적인 생장에 필수적인 호르몬이다. 오옥신에 의한 줄기와 잎의 신장촉진은 세포신장의 촉진을 통하여 일어난다. 세포의 신장(elongation) 또는 확대(enlargement)의 촉진은 오옥신의 가장 대표적인 생리작용이다. 뿌리에서는 줄기와 달리 일반적으로 억제적이나 아주 낮은 농도에서는 촉진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뿌리에서는 세포신장과 오옥신과의 관계가 상세히 조사되어 있지 않으므로 줄기의 세포신장과 오옥신과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부정근(adventitious root)의 분화는 비교적 높은 오옥신 농도에서 유도된다. 줄기나 잔가지 또는 캘루스로 부터 분화되는 부정근은 오옥신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식물의 유묘를 배축의 하부에서 절단하여 절구를 물 속에 담가두면 배축하부에서 부정근이 분화한다. 그러나 유묘에서 잎이나 떡잎을 제거할 경우에는 부정근의 분화가 억제된다. 이것은 잎으로 부터 오옥신이 만들어져 배축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제거된 잎이나 떡잎대신 배축절구에 오옥신을 처리해 두면 부정근이 분화된다.

오옥신의 부정근 형성효과는 삽목발근 등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천연오옥신인 인돌초산(IAA)이 아니고 합성오옥신인 인돌낙산(IBA)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천연오옥신에 비하여 합성오옥신은 식물체내에서 효소에 의한 분해가 쉽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처리후 오랜기간 동안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잎눈의 분화는 부정근과는 반대로 오옥신 처리에 의하여 억제된다. 베고니아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잎으로부터의 눈과 뿌리의 분화는 내생오옥신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오옥신의 농도가 높아지면 뿌리가 분화되며 그 반대되는 조건에서는 눈이 분화되기 쉽다. 오옥신은 일반적으로 꽃눈의 분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한 오옥신은 잎의 노화를 지연시킨다. 또한 잎이 생장을 멈추고 노화현상을 나타내기 직전에는 내생오옥신의 함량이 감소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오옥신은 잎의 노화지연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클라이막테릭과실에서는 오옥신이 다량 공급되면 과실의 에틸렌 생성을 촉진시켜 노화를 오히려 촉진한다.

생장하고 있는 식물체의 정아를 절단하면 정아곁에 위치한 액아(axillary bud)나 하부마디에 있는 측아(lateral bud)가 생장을 개시한다. 그러나 정아가 그대로 있으면 이들은 생장하지 않는다. 이같이 정아가 측아의 생장을 억제하는 현상을 정아우세(apical dominance)라 한다.

식물에 광을 빛추면 눈은 광의 방향으로 생장한다. 광과 반대쪽인 그늘 쪽으로의 생장만을 촉진하게 되므로 광의 방향을 향하여 어린 잎이 위치하게 된다. 그결과 줄기가 아랫쪽으로 너무 굽게 되면 윗쪽 잎에서는 광이 그다지 닿지 않고 아랫쪽의 잎이 광을 받는다. 그러면 이번에는 오옥신이 아랫쪽에서 대량 생산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어린잎은 원래대로 위치를 잡게 된다.

귀리 자엽초의 선단을 잘라 수직으로 세우고 줄기의 오른쪽으로부터 광을 주면 오옥신은 광이 비치는 반대쪽인 왼쪽으로 이동하고 오른쪽에는 오옥신의 양이 적게 된다. 이같이 오옥신은 줄기속에서 불균등 분포를 하게 됨으로서 생장량에 차이를 가져오고 그결과 줄기는 광의 방향으로 굽는다. 이처럼 오옥신은 광이 비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줄기속에서 불균등하게 분포할 뿐, 광에 의하여 파괴되거나 결합형으로 되지는 않는다.

 

2) Cytokinin

시토키닌은 아데닌 고리의 N6 위치에 부착된 치환기를 가지는 아데닌 유도체인 purine으로 특정 지울 수 있다. 초기 연구에 의하면 시토키닌 합성은 분명히 이들 N6 치환 아데닌에 한정되어 있다고 하였다. 치환 아데닌 물질만이 시토키닌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들물질의 활성은 길이, 불포화정도, 측쇄에 대한 치환정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8번위치에 C대신 N을 치환하는 것과 같이 아데닌의 일부분을 변경시킨물질을 담배캘루스를 이용하여 생장측정해 본 결과 95%정도 활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아데닌에 경미한 치환이 일어나더라도 활성은 감소한다. 보통 아데닌에 경미한 치환을 하더라도 활성은 감소된다. Purine 고리의 1번 혹은 3번 위치에 2차적 치환기는 시토키닌활성을 거의 대부분 제거한다. 그러나 N6, N7 혹은 N9 위치에서 2차적 치환기는 시토키닌의 활성소멸 효과가 비교적 적다. N9 치환기는 물질대사적으로 불안정 하다. N6 치환 아데노신은 매우 높은 시토키닌 활성을 가지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아데닌 보다 활성이 조금 낮다. 그러나 riboside ribotide 그 자체가 활성이 있는지 혹은 유리염기로 전환되는 동시에 시토키닌활성을 획득하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종자식물에 있어서 시토키닌 생합성은 분열조직이나 혹은 생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조직에서 일어난다. 특히 흥미로운 사실은 시토키닌은 분명 뿌리에서 합성되어 신초 정부쪽으로 구정적 이동을 하는데 이와같은 사실은 해바라기, 포도 및 담배와 같은 식물체의 목부수액에서 시토키닌의 구정적이동은 정아우세와 같은 소위 상관관계가 있는 생장 현상과 관련되어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시토키닌의 구정적 이동은 구기적 이동을 하는 내생 오옥신의 효과와 분명히 반대되며 마디의 눈으로 집적된다. 반면에 오옥신은 눈과 중심주(stele)를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한 눈에 있어서 도관 조직의 분화를 억제하나 시토키닌은 눈의 분화를 촉진한다.

오옥신, 지베렐린 및 다른 식물호르몬과 마찬가지로 시토키닌은 종자식물에 대해서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생리적 효과가 호르몬의 분자적 작용기작을 밝히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효과의 다양성은 사실 식물에 있어서 생장의 조절과 발달은 동시적으로 작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호르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면 매우 자연스럽고 논리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시토키닌이 종자식물의 개체발생 전과정을 통하여 생장을 조절하는데 관련되어 있다.

시토키닌은 휴면타파 작용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알려지지 않은 기작에 의해서 불활성화에서 활성화 된 형태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휴면타파와 내생시토키닌의 함량간에는 분명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Acer pseudoplatanus의 과실을 5℃에서 층적처리하면 초기 20일까지는 유리시토키닌의 함량이 증가하나 그 이후는 다시 휴면기 동안의 초기시토키닌 수준으로 감소한다. 저온 층적처리 전기간을 통해서 결합시토키닌 함량은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층적처리후 종자가 발아되면 다시 시토키닌 함량은 증가되었다가 감소된다. 사과종자에 있어서도 시토키닌 함량은 층적 3-5주 처리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한다. 그러나 사과 종자에서는 시토키닌의 농도가 증가함에따라 휴면은 각성된다.

잎의 노화나 탈리는 하나의 보수적인 생물학적 현상이다. 줄기의 하부잎은 상부잎에 의해 차광이 됨으로 인해서 광합성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수용성 대사물질의 방출에 의해서 선행되는 기관의 고사나 제거는 식물체의 왕성한 생장을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식물체에서 성숙한 잎을 채취하여 엽병의 기부를 물에 담구어두면 노화는 급하게 진행되어 부정근이 형성되지 않는다. 만약 절단의 잎의 엽병에서 부정근이 형성되면 뿌리에서 생성된 내생시토키닌이 목부액을 따라 잎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급속한 노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부정근이 형성되지 않은 잎에 있어서 단백질과 엽록소 함량은 며칠이 경과하면 원래 함량의 절반 이하로 감소한다. 이와같은 과정은 절편한 잎이나 잎디스크를 물위에 띄어 놓더라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잎의 노화는 뿌리에서 생산된 시토키닌이 목부를 통해 잎으로 이동하는 시토키닌에 의해서 조절된다.그러나 나무에 부착된 상태의 잎과 분리한 잎에 외생적으로 시토키닌을 처리했을 때 나타나는 반응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시토키닌은 분리한 식물체 기관에 처리했을 때 효과가 크나 부착된 잎에서도 노화를 지연시킨다. 분리한 잎은 어느정도 잎의 대사작용에 변화를 초래하나 가장 큰 변화는 시토키닌 공급이 중단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분리한 기관은 내생 시토키닌의 효과가 매우 클 수밖에 없다. 여러 가지 시토키닌의 효과는 처리방법이나 생장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초본성, 상록성 뿐만 아니라 낙엽성 교목에 있어서 시토키닌의 조성은 잎이 발달과정에 따라 변화한다.

시토키닌은 노화촉진 혹은 노화억제 호르몬과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토키닌의 다른 생장조절물질이 상호적으로 시토키닌의 농도나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내생 시토키닌은 ABA의 노화촉진 효과를 방해할 뿐아니라 내생 ABA함량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결과가 있다. 어떤 조직에 있어서 시토키닌은 ABA와 경쟁적으로 길항작용을 하는 것 같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시토키닌에 의해 ABA의 효과를 완전히 극복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Nasturtium 잎절편에 GA와 카이네틴을 처리하면 노화를 지연시키며 카이네틴은 지베렐린 유사활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사실은 카이네틴 처리로 인하여 지베릴린 농도 수준이 영향을 받음으로써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식물에서도 지베렐린과 시토키닌처리는 여러 가지 다른 작용양식을 통해서 잎의 노화를 지연 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6 옥신의 생성과 작용

1) 생성: 줄기나 뿌리의 선단

2) 줄기생장에 필요한 농도의 10만분의 1정도가 뿌리생장에 알맞다.

3) 측아를 억제하여 정아우세(apical dominance)를 일으킨다.

 

7 옥신의 재배적 이용

발근촉진, 접목활착촉진, 가지 굴곡유도, 개화촉진, 적화 및 적과, 낙화방지, 과실비대와 성숙촉진, 단위결과의 유도, 증수효과, 제초제로 이용

 

8 지베렐린

지베렐린 gibberellin

식물호르몬의 일종.

식물호르몬의 일종. 널리 식물계에 분포하였고, 식물의 갖가지 생리현상의 발현과 제어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화학조절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진균류 중 자낭균류의 일종인 벼키다리병균 Gibberella fujikuroi가 대사물질 속에서 발견되었다. 이 균류는 벼에 감염하여 줄기나 잎을 비정상적으로 웃자라게 한다. 1938년에는 벼키다리병균의 배양액 중에서 병원물질을 결정체로 분리하여 지베렐린 A라고 명명했다. 그 후 지베렐린 A A1, A2, A3 A4의 혼합결정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54 B.E. 크로스가 벼키다리병균 배양액의 여과액으로부터 화학적으로 순수한 물질을 최초로 분리하여 지베렐린산(현재 GA3으로 알려짐)이라 했다. 지베렐린계 물질은 고등식물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채 성숙되지 않은 종자에 특히 많이 들어 있다. 고등식물에서 최초로 발견된 지베렐린은 GA1으로서 60 J. 맥밀런이 미성숙 콩종자에서 분리했다. 현재까지 약 53종의 지베렐린이 발견되었는데, 이들 중 8종은 벼키다리병균에 분포하고 32종은 고등식물에, 그리고 약 13종의 지베렐린이 양쪽에서 다 발견되었다. 지베렐린은 4개의 고리구조로 된 디테르펜계 물질이다. 기본골격은 20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되어 있고, 종류에 따라 GA1, GA2, GA3, …, GAn으로 표시한다. 벼키다리병균에서 지베렐린 A 외에 B, C도 얻을 수 있지만, 그 생물학적 활성은 A보다 매우 낮다. GA 중에서의 활성은 GA3GA1GA4GA2(GA1 GA4는 거의 차이가 없다)순이다. 지베렐린은 고등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때때로 도장(徒長)을 일으키지만, 그 생장촉진은 세포분열의 촉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포의 신장비대가 원인이다. 지베렐린의 이같은 효과는, 본래 생장촉진인자의 생산이 적거나, 이에 대한 감수성이 약하다고 생각되는 왜성종(矮性種)에서 특히 뚜렷하다. 지베렐린에는 이 밖에도 꽃눈형성이나 개화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고, 춘화처리·장일처리의 대행 기능을 한다. GA1, GA3는 특히 이 작용이 강한데, 개화 때까지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식물에 작용하여 개화를 빠르게 하거나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킨다. 또 착과(着果)의 증가작용, 식물의 생장촉진작용 등을 한다. 지베렐린은 곡물류의 종자() α-아밀라아제의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는데, 이 효과를 이용하면 맥주 제조에서 쓰이는 맥아 속의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높일 수 있다.

 

9 지베렐린의 생리작용

식물체내에서 생합성되어 모든 기관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미숙종자에 많이 함유되어있다. 지베렐린은 극성이 없으며 식물체 어느 부분에 공급하더라도 자유로이 이동하여 다면적인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10 지베렐린의 처리법
주사법, 수정법, 도말법, 침지법, 적하법, 살포법 등...

 

11 지베렐린의 재배적 이용

1) 발아촉진: 종자휴면타파, 호광성종자의 암발아 유도

2) 화성유도 및 촉진: 저온, 장일의 대체로 화성유도, 촉진한다.

3) 경엽신장 촉진: 왜성식물 등에서 현저하다.

4) 단위결과 유도: 토마토 등의 단위결과를 유도한다.

5) 수량증대: 채소, 감자의 가을재배 시 지베렐린 처리로 증수한다.

 

12 생장억제물질(growth retardant, dwarfing chemical)의 예

MH(maleic hydrazide), B-Nine, Phosfon-D ...

 

13 시토키닌(cytokinin)

발아촉진, 잎 생장촉진, 호흡억제, 엽록소 와 단백질의 분해억제, 잎의 노화방지, 저장 중 신선도유지 등의 생리작용을 가진 생장조절제.

 

14 ABA
잎의 노화, 낙엽촉진, 휴면유도, 화성촉진, 위조, 냉한저항성증대 등의 생리작용을 보이는 생장조절제.

 

아브시스산 -酸 abscisic acid ; ABA

식물호르몬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식물 성장현상의 여러 과정을 억제하는 조절물질. 약기 ABA. ABA 2가지의 서로 다른 연구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덜 익은 목화 과실의 낙과(落果)를 연구하였던 미국의 F.T. 애디코트의 연구그룹은 목화의 과실로부터 낙엽촉진 물질 아브시스를 단리(單離)해냈다. 한편 나무눈의 겨울휴면을 연구하고 있던 영국의 P.F. 웨어잉의 연구그룹은 자작나무 종류인 Betula Pubescence의 잎에서 휴면유도물질을 단리해내고 도르민(dormin)이라 명명하였다. 1965년 도르민은 ABA와 동일 물질이라는 것이 영국의 J. 콘포스에 의해서 확인되었는데, 명칭의 혼용을 피하기 위해 67년 제 6 회 국제식물생장물질회의에서 아브시스산이라는 명칭으로 통일되었다. ABA는 탄소수 15의 세스키테르펜의 일종으로 천연의 것은 S형이다. ABA는 휴면중의 종자·나무눈·알뿌리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보통 발아에 수반하여 함량이 감소된다. 또한 ABA는 잎의 기공(氣孔)을 닫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식물체가 수분결핍상태가 되면 ABA합성이 활발해지고 기공이 닫혀 식물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한다. 플라카(flacca)라고 하는 토마토의 돌연변이주는 정상인 식물과 비교해서 ABA합성이 적기 때문에 기공이 닫히는 경우는 없다.

 

15 에틸렌(ethylene), ethrel

발아촉진, 정아 우세 타파, 생장억제, 개화촉진, 성 표현 조절, 낙엽촉진, 적과, 성숙촉진 등의 생리적 작용을 보이는 생장 조절제.

 

16 생장조절제

원예작물--자본, 기술 집약도가 높고 환금성 또는 경제성이 높기 때문.

 

지베렐린( GA₃)

(1) 1회처리

- 시기: 화수가 꽃이 핀 만개기부터 약 2일 후까지 실시

- 농도 : GA 25ppm( 2ℓ에 지베렐린 작은병 1/50) 또한 25ppm 이하의 농도에서 동등한 효과 가 있는 경우는 농도를 내림

- 방법 : 화수 침지 또는 화수에 살포

- 주의점

수세에 따라 개화가 늦고, 빠름이 있으므로 2∼3회 나눠서 실시

중복처리(3-4일 이내)는 수축의 경화, 구부러짐, 과립비대 지연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실시하지 않는다.

회색곰팡이병 예방을 위해 화관이 떨어진 다음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유핵과가 발생 및 성숙과가 탈립

 

(2) 2회 처리

- 시기 : 1회 처리 후 10∼15(만개15일 전후)

- 농도 : 지베렐린 25ppm

- 방법 : 과방에 살포 혹은 침지

- 주의점

· 과립에 부착된 약액은 잘 흔들어 떨어뜨려 약해를 받지 않게 한다.

약액이 빨리 마르는 기상조건 하에서 실시

과방 생육이 7일 이상 차이가 없다면 일제히 처리

 

지베렐린의 사용기준

적용

용도(목적)

사용법

델라웨어

무핵화 숙기촉진

1

만개예정일 14일전 100ppm

과방침지

2

만개 10일후 100ppm

과방침지 또는 살포

거봉
피오네
아키퀸

무핵화
과립비대

 

1

2

거봉

만개시 15~25ppm

만개후 10~15 25ppm

피오넨

만개시 12.5ppm
(
하우스는 25ppm)

만개후 10~15 25ppm
(
하우스는 25ppm)

아키퀸만개시 12.5ppm

만개후 10~15 25ppm

 

 

지베렐린 처리시 원하는 농도를 만들기 위한 희석표(시판 지베렐린 1.6g 1병 기준)

원하는 농도(ppm)

물의 양(ℓ)

100

0.5

50

1

25

2

15

3.3

12.5

4

5

10

3

16.7


모든 생장조절제 사용시 수세,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농도를 조절해야 함

 

풀매트(Fulmat, KT-30)

- 시기 : 1회 지베렐린 처리 후 10∼15(만개 15일까지)

- 농도 : 풀메트액제 5∼7ppm(1ℓ에 풀메트액제 5∼7)

- 방법 : 침지 또는 화수에 살포

- 주의점

· 과립비대를 목적으로 한 2회째 처리에 사용
  ·
지베렐린 25ppm액과 혼용하면, 과립비대는 촉진되지만 착색불량이 되므로 단용 처리가 바람직하다.

· 과립비대가 지베렐린 처리 이상으로 촉진되므로 착립수를 제한하고, 지나치게 큰송이가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착과 과다가 되지 않도록 송이수를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수세가 약한 나무에서는 과립비대 효과가 적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풀매트의 사용기준

품종

사용목적

사용시기

사용농도

사용방법

유의사항

델라웨어

지베렐린 처리 폭 확대

지벨렐린 1차 처리기 중심일기준 2일전

2ppm(1ℓ 2cc)

지베렐린 처리 액에 가용하여 화방침지

- 적기 중심 일에 처리하면 착립과다 경향
-
화관 등 찌꺼기 제거 및 적립 철저

과립비대

만개후 10

3~5ppm

지베렐린 처리 액에 가용하여 화방침지

- 하우스재배 시 과립 비대 부족을 예상할 것
-
수량 조절을 철저히
- 1
차 지베렐린 처리는 관행

거봉

과립비대

무핵

지베렐린 2차처리기

5ppm

지베렐린 처리 액에 가용하여 과방침지

 

유핵

만개후 15~20일후

5ppm

단용으로 과방 침지

과립비대에 문제가 되는 지역

무핵
피오네

과립비대

만개 10~15일후

5ppm

지베렐린 처리 액에 가용하여 과방침지

하우스재배 시 과립 비대 부족을 예상할 것


모든 생장조절제 사용시 수세,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농도를 조절해야 함

 

후라스타

후라스타의 사용기준

적용

사용법

거봉의 착립증가

- 신초전엽 7~8매시 500배로 10a 100~150ℓ 살포
- SS
기를 이용할 경우 1,000배로 10a 300ℓ 살포


모든 생장조절제 사용시 수세,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농도를 조절해야 함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