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후 특성
연평균 27°C (24~31°C)로 고온 다습 아열대성 기후이며, 건기(11월~4월/루손 섬 기준, 지역에 따라 다소 편차)와 우기로 나누어진다. 연평균 강우량은 3,628mm, 습도 70~85%의 기후 특성을 보인다.
우리나라 초여름 날씨에 해당하는 건기에는 여행, 레저 활동을 하기에 좋지만, 우기에는 스콜과 같은 전형적인 열대 현상이 나타나며 고온 다습하다. 1년 중 6월에서 11월까지 약 20회 정도의 태풍이 있어 해당기간 출장 등에 주의가 필요하다.
□ 주요 지역별 기후
구분 | 필리핀 평균 | 루손섬 | 비사야 | 민다나오 |
---|---|---|---|---|
최고 기온 | 33.0 | 33.0 | 33.3 | 33.7 |
최저 기온 | 21.3 | 21.0 | 21.6 | 21.1 |
(단위: mm)
구분 | 필리핀 | 루손섬 | 비사야 | 민다나오 |
---|---|---|---|---|
총 강우량 | 36,284 | 11,823 | 12,454 | 12,007 |
총 강우일 | 137 | 147 | 132 | 132 |
□ 시차
우리나라와의 시차는 'KST - 1시간'으로 홍콩, 대만, 싱가포르와 같다.
□ 근무시간
정부 및 민간기업을 망라한 일반적인 근무시간은 월-금요일 8:00-17:00(또는 9:00-18:00) 이다.
은행은 09:00-17:00까지 근무하나 실제 고객이 이용 가능한 시간은 15:00까지 이며 달러화 인출은 14:00에 종료된다. 일반 상점은 10:00-21:00까지 영업한다.
관공서, 은행 및 국영기업 등의 사무실은 토요일이 휴무일이나 공장은 작업하는 경우 가 많은데 만성적인 전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단전 등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점심시간은 12:00-13:00까지 이며, 15:00~16:00까지는 간식시간(미리엔다 타임)이 있다.
전통적인 가톨릭 국가로 부활절이나 크리스마스에는 슈퍼마켓이나 식당 등이 문을 열지 않는 날이 있으므로 미리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우기의 집중 호우 때는 관공서, 사무실 등이 일찍 문을 닫고 직원들을 조기 귀가 시키기도 하는데 과도한 폭우가 아닌 경우에도 관공서가 문을 일찍 닫는 경우가 자주 있다. 메트로 마닐라(수도권) 일대에 저지대(특히 마닐라 지역)가 많고 배수가 안되기 때문에 도로 곳곳이 물에 잠겨 퇴근길 교통마비가 잦기 때문이다.
구분 | 단위 | 비고 |
---|---|---|
거리 | Kilometer(Km) | Mile도 혼용하고 있음 |
무게 | Kg | 일부 사람들은 파운드(lb) 사용 |
길이 | Inch |
|
전기 규격 | 220V/110V 겸용(60Hz) | 플러그 모양이 달라 휴대나 현지 구입 필요 |
온도 | 섭씨(°C) | Degree Celsius (디그리 셀시우스)라고 읽음 |
면적 | Square meter(m2) | Sqm로 표기하기도 함 |
□ 통화 단위와 종류
통화 단위는 페소(PESO)로서 약칭은 P이며 1페소는 100센타보이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지폐로는 1,000페소, 500페소, 200페소, 100페소, 50페소, 20 페소가 있으며 동전은 10페소, 5페소, 1페소, 25센타보, 10센타보, 5 센타보, 1 센타보가 있다.
□ 환전 요령 및 장소
호텔, 은행(여권 지참), 기타 환전상이 도시 내에 산재해 있으며, 각각 환율이 다르고 사설 환전소에서의 환전이 가장 유리하다. 환전소가 곳곳에 있는 이유는 해외 파견 근로자(OFW) 들의 달러화 송금에 의지하여 생활하는 가족, 친척들이 수시로 환전을 하기 때문이다.
치안불안으로 환전소 이용객이 범죄의 대상이 되는 사례가 많아져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화폐를 순식간에 바꿔치기 하는 경우도 많아 반드시 카운터에서 금액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출장자나 여행객 입장 에서는 환전 금액이 많지 않을 것이므로 가급적 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좋다. 시간대 별로는 주로 목요일 중의 환율이 가장 높은 편이며, 특히 주말이나 은행 근무 시간이 끝난 오후의 환율은 낮은 편이다.
필리핀 페소로 환전하는 방법에는 크게 3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페소로 한국에서 환전해가는 방법, 둘째는 미국달러로 환전 후 필리핀 현지에서 다시 페소로 환전하는 방법, 마지막은 출국 전 국내에서 시티은행 또는 다른 국내은행의 해외직불카드를 미리 준비해 가는 방법이다. 현재 미국 달러로 환전 후 필리핀내에서 다시 환전해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필리핀 내에서 달러에 대한 환율이 좋고 미화가 1만 달러까지 반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티은행 해외직불카드는 해외에서 시티은행 ATM기기를 이용하여 돈을 찾을 때 수수료가 1달러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타 은행 국제직불카드에 비해 수수료 부담이 적고, 환율 손해도 거의 없어 현지 유학생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 신용카드 사용
AMERICAN EXPRESS 제휴사의 카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 신용카드 사용이 증가하면서 VISA 카드가 보편되고 있다. 이 외에도 MASTER, DINERS, JCB 등이 쓰이며, 직접 신용카드를 쓰거나 ATM을 이용해 현금인출이 가능하다.
□ 소매치기 주의
치안 상태가 좋지 않아 환전 및 신용카드 사용에 주의를 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전소 앞에서 택시를 탈 경우 강도가 들이닥칠 위험이 높다.
□ 대중교통
교통수단의 노후화, 더운 열대 기후, 대중교통 미발달로 외국인, 특히 비즈니스맨이 이용할 수 있는 교통 수단은 택시 및 비행기로 한정되어 있다. 특히 7,100여 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어 섬간 이동 시 내국인은 배를 주로 이용하며 안전이나 시간 면에서 외국인 및 상류층은 비행기를 이용한다.
필리핀 수도인 마닐라 지역엔 경전철이 운행되기도 한다. 하지만 구간이 몇 정거장 되지 않고, 지프니나 택시에 비해 더 위험하다.
도시와 도시를 잇는 장기노선은 버스가 운행되며, 짧은 거리는 지프니(Jeepney)로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다. 지프니(Jeepney)는 냉방시설이 없으며, 버스도 냉방시설이 없는 것이 많다.
지프니(Jeepney)보다는 비싸고 안전하나 택시보다는 저렴한 Fx van 또한 현지인들이 자주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다. Fxvan은 에프엑스(Fx)라고 불리며 냉방시설이 있는 흰색 저가의 SUV차량 또는 van차량이다. Fx는 지프니(Jeepney) 보다는 적은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부분 대로변을 위주로 운영된다.
외국인의 입장에서는 안전 문제를 감안, 이용할 만한 교통 수단은 택시 및 에어컨 버스 정도이며 택시의 경우도 가능하면 호텔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외부 택시를 이용하는 경우는 호텔 벨보이에게 차량번호를 인지하도록 하고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저녁 늦은 시간에 택시를 이용할 경우는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교통 체증이 심하고 신호를 지키지 않아 길을 건널 때에는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 민원 처리
서구의 합리주의와 동양의 인정주의가 혼재해 있으나 전반적으로 후진국 색채가 많아 선진국 취향에 익숙한 경우 불편한 경우가 많다.
현지인들의 느긋한 성격 때문인지 관공서의 일 처리가 상당히 느린 편이다. 일례로 정부 공사에 들어가는 제품을 소개하는 자료를 공문과 함께 발송해 본바, 내부 검토를 거쳐 회신이 돌아오는데 거의 두 달이 소요된 일도 있다.
어떤 통관 대행업자는 한 건의 물품 수입을 위해 68명의 담당자를 거쳐야 하며 이에 따라 다소간의 비공식적인 부대 비용이 발생 한다고 한다. 현지 투자업체 일부에서는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다는 식으로 관공서의 업무 처리를 혹평하고 있을 정도로, 신속한 처리를 위한 단계별 사례금 지급이 거의 관례화되어 있다.
□ 방문 시 유의사항
외국인에 대해 자존심이 강하기 때문에 필리핀인들을 무시하는 듯한 행동이나 발언은 절대 금물이다. 특히 최근 몇 년간 한국인 관광객들이 현지인들을 비하하는 행동을 한 일들이 현지 언론에 자주 보도된 바 현지인들의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도록 정중하게 행동해야 한다.
한국인이 공항 입국 시 이민국 직원과 시비를 벌여 강제출국된 사례도 있으며, 그것을 지켜보던 한국인 관광객이 큰 소리로 웃는 바람에 시비를 벌인 사람과 일행이 아닌데도 강제 출국당한 사례가 있는바, 현지인들이 무시당한다고 느끼도록 행동하지 말아야 한다.
□ 2013년도 공휴일
날짜 | 구분 |
---|---|
1월 1일 (화) New Year’s Day | 신년 휴일 |
3월 28일 (목) Maundy Thursday | 예수님이 제자들 발 씻긴 날(부활절 주간) |
3월 29일 (금) Good Friday | 예수님 십자가에 못 박히신 날 |
4월 9일 (화) Day of Valor | 대일전 희생자 추모일 |
5월 1일 (수) Labor Day | 노동절 |
6월 12일 (수) Independence Day | 독립 기념일 |
8월 9일 (금) Eid-ul-Fitr | 이드 알 피뜨르(라마단 축제) |
8월 26일 (월) National Heroes Day | 국가 영웅의 날 |
11월 30일 (토) Bonifacio Day | 보니파시오데이(우리나라 3.1절과 유사) |
12월 25일 (수) Christmas Day | 성탄절 |
12월 30일 (월) Rizal Day | 호세 리잘 기념일 |
날짜 | 구분 |
---|---|
2월 10일 (일) Chinese Lunar New Year’s Day | 음력 신년의 날(설날) |
3월 30일 (토) Black Saturday | 부활절 주간 |
8월 21일 (수) Ninoy Aquino Day | 니노이 아키노 기념일(매년 날짜 변경) |
11월 1일 (금) All Saints Day | 만성절 |
11월 2일 (토) Additional Special Day | 특별 공휴일 |
12월 24일 (화) Additional Special Day | 특별 공휴일 |
12월 31일 (목) Last Day of the Year | 연말 휴일 |
ㅇ 학교 임시 공휴일(Special Holidays for all schools)
- 2월 25일(월) EDSA Revolution Anniversary EDSA혁명 기념일(학교만 휴교)
□ 관련 유의사항
필리핀인들의 휴가철인 부활절 전후 기간, 크리스마스 휴가철인 12~1월 초에는 의사 결정권을 가진 고위층들이 휴가를 실시 중인 경우가 많아 상담이 어렵다.
월요일은 각 기업들의 회의가 많아 바쁜 데다 주말을 지나면서 약속을 잊어버릴 수가 있으며, 금요일은 업무 정리와 교통 체증 등으로 기피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상담 일자는 될 수 있으면 월요일과 금요일은 피하는 것이 좋다.
휴일과 휴일 사이에 평일이 있는 경우 특별 공휴일로 선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출장 시 위 의 표를 참조로 하며, 사전에 미리 연락을 취해놓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해당 공휴일에 임박하여 공휴일 변경을 선포하므로 최소 일주일 전에도 파악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공휴일의 변경은 대개 3~4일 전에 변경 사항을 발표한다. 따라서 사전에 출장을 계획할 때는 주중에 공휴 일이 있는 주간은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여행 준비
의복은 한국의 여름을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쇼핑몰, 호텔, 극장 등 건물 내부에서는 냉방 때문에 추울 수 있으므로 겉옷이 필요하다. 비즈니스 면담 시에는 양복을 입는 것이 좋으며 특별한 복장상의 유의 사항은 없다.
진통제, 소화제 등 기초 응급 약품은 휴대하여 다니는 것이 좋다. 약국이 문을 일찍 닫고 기초 의약품 외 항생제 등은 처방전 없이는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전기 규격은 220V, 60HZ로 한국 가전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플러그 모양이 다르나 이는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에서 ‘TRAVELER’S JACK’을 사서 연결하면 된다.
□ 치안
과거에는 수도권인 메트로마닐라, 특히 마카티 시내는 치안이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 들어 강도·납치 사건이 매우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다소 주의할 필요가 있다.
서민들의 대중 교통인 지프니에서도 휴대 전화를 빼앗으려는 강도에 저항하다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다. 낮보다 특히 밤에는 혼자 택시를 타지 않는 것이 좋고 과다한 현금 보유, 귀 중품이나 보석 소지 및 화려한 옷차림도 삼가는 것이 좋다. 특히 현지인에게 현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면 곤란한 일을 당할 수 있다.
길을 걸을 때에는 가급적 휴대폰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현지인 뿐 만 아니라 특히 외국인을 상대로 한 날치기 또는 소매치기범이 많아 휴대폰을 사용 하다 날치기를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핸드백을 팔에 가볍게 걸치거나 할 경우 범행의 표적이 되기 쉽다. 만약에 날치기 또는 소매치기를 당했을 경우 범인을 뒤쫓아 가지 않는 것이 좋다. 기다리고 있던 일행에게 상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지 청소년에게 소매치기를 당한 한인 남성이 뒤쫓아가 물건을 되찾는 과정에서 시비가 붙어 총에 맞아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현지인들이 흉기(총기 등)를 소지하는 경우가 있어 가급적 현지인과의 시비를 피하는 것이 좋다. 공항에서 아름다운 여인이나 임산부 등이 길을 묻는 등 접근하여 관심을 끈 후 일행 들이 소매치기를 하는 경우도 있고, 시내에서 서류 가방을 들고 사업가나 회사원으로 위장 한 채 말을 걸어(한국어 사용) 유인한 후 강력한 수면제가 든 음료 등을 권하여 마시게 한 후 정신을 잃으면 돈을 빼앗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현지인이건 한국인이건 낯선 이의 친절한 접근을 경계’해야 한다. 환영객이 나오기로 미리 약속된 경우가 아닌데 누군가 마중을 나와 있다면 이들을 따라가지 말고 공항 택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내에서 환전소를 이용하게 되면 표적이 되기 쉬우니 환전소를 이용하기보다 환율이 약간 불리하더라도 은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금, 특히 달러화를 많이 소지하고 있음을 주위 사람들 앞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외국인 납치가 빈번한 남부의 민다나오 섬 근처의 이슬람교 자치 구역은 특히 여행을 삼가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 외교부에서 ‘민다나오섬(다바오/카가얀데오로 시 제외), 술루(Sulau), 잠보앙가(Zamboanga), 바실란(Basilan), 타위-타위(Tawitawi) 군도 및 팔라완 (Palawan) 의 Puerto Princesa 이남 지역’에 대하여는 ‘3단계 여행 경고 지역’으로 경보를 발령한 상태이므로 이 지역 여행 필요 시 대사관에 사전 연락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언성을 높이는 등 현지인을 자극하는 경우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현지인과의 마찰은 피하는 것이 좋다.
□ 팁
호텔 내 식당에는 10%의 봉사료가 포함되어 식사 비용이 청구되므로 별도의 팁이 필요 없으나 20~50 페소 정도를 주기도 한다. 호텔 외 식당에서 식사할 경우, 봉사료가 포함되지 않았을 때는 20페소 정도의 팁을 주면 된다. 공항이나 호텔 포터는 포터 서비스료를 받는 경우도 있으며 20~30페소 정도의 팁이 적당하다. 호텔 객실에는 매일 20~30페소 정도 팁을 주는 것이 좋다.
□ 비상 연락처
ㅇ 화재 신고: 911, 16016, 818-5150
ㅇ 응급 환자(앰뷸런스 호출): 117
ㅇ 한국 병원: 02)303-6700
ㅇ 전화 고장 신고; 173
ㅇ PLDT 전화번호 안내: 187
ㅇ 경찰 구조 요청: 166
ㅇ 대사관 긴급 전화(사건사고 발생 신고): 0917-817-5703
□ 외국계 은행
ㅇ Australia & New Zealand Banking Corp.: 02)818-8117
ㅇ Bank of America NT & SA: 02)815-5000
ㅇ China Trust (Phils) Commercial Bank: 02)848-6818
ㅇ Citibank: 02)995-9999
ㅇ Dao Heng Bank: 02)812-7054
ㅇ Deutsche Bank AG: 02)894-6900
ㅇ HK & Shanghai Banking Corp.: 02)830-5300 / 878-7878
ㅇ International Commercial Bank of China: 02)811-5683
ㅇ ING Bank: 02)840-8888
ㅇ Korea Exchange Bank(한국외환은행): 02)848-1988
ㅇ Standard Chartered Bank: 02)886-7888
ㅇ Orion Bank (동양은행): 02)845-3817,3838
□ 한국기관
ㅇ 대사관: 정무, 경제, 공보
- ADD: 122 Upper McKinley Road, McKinley Town Center, Fort Bonifacio, Taguig city 1634, Philippines (별관)
- TEL: 632)856-9210/1
- FAX: 632)856-9019
ㅇ 대사관: 영사 교민 업무
- ADD: 122 Upper McKinley Road, McKinley Town Center, Fort Bonifacio, Taguig city 1634, Philippines
- TEL: 632)856-9210/2
- FAX: 632)856-9024
ㅇ KOTRA 마닐라 무역관(Korea Business Center)
- Unit 1504, 15th FL, BDO Equitable Bank Tower, 8751 Paseo de Roxas, 1260 Makati City, Metro Manila, Philippines
- TEL: 632)893-1183, 3244
- FAX: 632)817-3369
ㅇ 한인회
- ADD: 1104 ANTEL 2000 CORPORATE CENTER, 121 VALERO ST., MAKATI
- TEL: 632)886-4848
- FAX: 886-7997
ㅇ 한국외환은행
- ADD: 33TH FL., CITIBANK TOWER 8741 PASEO DE ROXAS, MAKATI
- TEL: 632)848-1988
- FAX: 632)848-1776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