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읍(錦山邑) 신대리(新垈里)
금산읍의 동북쪽에 위치해서 동쪽으로는 남일면 마장리와 접하며, 서쪽으로는 금산읍 중도리, 하옥리와 그리고 남쪽으로는 남일면 황풍리와 북쪽으로는 군북면 호티리 또한 제원면 수당리와 경계를 나누는 지점에 신대리는 자리한다.
금산읍내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지방도는 충청북도 영동으로 이어지고, 남동쪽으로는 전라북도 무주로 이어지는 국도가 포장된 채 신대리를 지나간다. 동쪽으로는 남일면을 남서쪽으로부터 흘러오는 봉황천의 영향으로 신대리는 서쪽의 낮은 야산지대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들이 차지한다. 특히 참뱅이들은 곡창지대로 옛부터 너무나 유명한 들이다.
인류의 정착은 백제 이전으로 보며 백제 때는 진내군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진례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에는 금주에 속했었다.
고려 충렬왕시대 이후에 농경사회의 정착에 따라 많은 사람들의 들 개간과 함께 마을이 크게 조성하기 시작하였으며 고려시대 후기는 명신들의 후예가 정착하여 들의 초록지대가 일찍부터 조성되었었다.
조선시대에 접어들어 태종 13년(1413)부터는 금산군에 속했으며 태종, 세조, 연산군조를 겪으면서 타지에서 정착해 오는 선비들의 후손들이 금심하게 많았던 지역이다. 그러나 신대리의 들은 농경지대로 조성이 되었으나 수원이 많은 반면에 수해도 많았던 지역으로 알려진다.
임진왜란 때는 의병들이 진을 치고 금산성을 점령한 왜군과 잦은 교전이 벌어졌던 지역으로도 알려졌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금산군 군이면의 지역으로서 새점터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새증터 또는 신대라 부르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상녕리, 하녕리, 엄정리, 하도리 일부와 남일면의 삼태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대리라 하고 금산면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10월 1일에는 금산면이 읍으로 승격됨에 따라 금산읍 신대리가 되고 1963년 1월 1일에는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리의 면적은 3.563㎢에 금산김씨(錦山金氏)가 많이 세거하는 지역이다.
자연부락(自然部落)
<건갱이, 불탄터, 산재, 신대, 엄정리, 여사, 영처, 원신대리>
신대
엄정리 북쪽에 있는 마을을 신대(新垈) 또는 새점터, 새증터라고 부른다. 마을앞에는 구싯들이라고 부르는 들이 있으며 또한 남쪽에 있는 들은 되미라고 부른다. 마을 뒤로는 지천재라고 부르는 산이 있고 마을을 둘러싼 들은 통털어 참뱅이들 또는 참정평이라고 부르는 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그릇을 만드는 집이 새로 마을에 생겼으므로 새점터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새증터 이어 신대라고 부르게 된 마을이다.
엄정리
날근증티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동리와 동리 뒷산에 엄나무가 많으며 또한 엄나무정자도 있었으므로 엄정(嚴亭), 엄정리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또한 이 지역에서는 오래된 마을이라 날근증티라고 부른다.
영처
엄정리 동북쪽에 있는 마을을 영처(寧處)라고 부른다. 마을 동쪽으로는 땟골이라고 부르는 골짜기가 있으며 북쪽으로는 분목골이라고 부르는 골짜기도 있다. 또한 분목골 위쪽으로 재경골이라고 부르는 골짜기가 있으며 마을 앞에 있는 들은 토끼들, 남쪽의 들은 진글들, 동쪽에 있는 들은 땟골이라고 부르는 지명이 많은 마을이다. 처음에 정착한 사람들이 세진을 잃고 편안하게 수난없이 살았으므로 그 뒤 사람들도 그리 살기 위해서 영처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마을이다.
원신대리
신대마을의 처음 마을이므로 원신대리(元新垈里)라고 부른다.
여사
영처 동남쪽에 있는 마을을 여사라고 부른다. 금산에서 제원으로 가는 국도 위쪽에 마을이 있으며 제원면 수당리와 인접해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큰 비가 올 때마다 봉황천 물이 범람하면서 이 지역에 모래를 쓸어 넣어 모래가 많은 지역에 마을이 들어섰으므로 여사라고 부르는 마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