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고시 시험과목
[ 연도에 따른 시험과목 변경안내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1차 시험 |
PSAT(50%) + 헌법.한국사(50%) + [영어검정] |
PSAT(75%) + 헌법(25%) + [영어검정] |
PSAT(100%)+ [영어검정] |
2차 시험 |
직능별 필수(4과목) + 선택(1과목-배점은 필수의 50%) | |
※ 비 고 2005년도 행정/외무/기술고등고시에서는 상황판단영역은 언어논리영역과 자료해석영역에 포함하여 평가 |
행정고시 시험과목 |
구분 |
시험실시 범위 |
일반행정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 선택(1): 민법(친족상속법제외), 정보체계론, 조사방법론(통계분석제외),정책학,국제법, 지방행정론 |
법무행정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행정법, 민법(신분법제외), 행정학, 민사소송법 . 선택(1): 상법, 노동법, 세법, 사회법, 국제법, 경제학 |
재경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경제학, 재정학, 행정법, 행정학 . 선택(1): 상법, 회계학, 경영학, 세법, 국제경제학, 통계학 |
국제통상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국제법(국제경제법포함). 국제경제학, 행정법,영어. 선택(1): 경제학, 무역학, 재정학, 경영학, 국제정치학, 행정학, 독어, 불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어, 스페인어 |
교육행정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교육학,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 선택(1): 조사방법론(통계분석제외), 재정학, 정책학, 교육철학, 교육심리학, 교육사회학 |
사회복지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사회복지학, 사회학, 행정법, 경제학 . 선택(1): 조사방법론(통계분석제외), 사회심리학, 사회문제론, 사회법, 사회정책, 행정학 |
교정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교정학, 형사소송법, 형법, 행정법 . 선택(1): 교육학, 사회학, 심리학 |
보호관찰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형법, 심리학, 형사소송법, 사회복지학 . 선택(1): 교정학, 교육학, 사회학 |
검찰사무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형법, 형사소송법, 행정법, 교정학 . 선택(1): 행정학, 경제학, 노동법, 사회법, 민법(신분법제외), 회계학, 법의학 |
출입국관리 |
(1차)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영어, 한국사, 헌법 |
(2차) |
필수(4): 형사소송법, 국제법, 형법, 행정법 . 선택(1): 행정학, 정치학, 경제학, 민법(친족상속법제외), 독어, 불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어, 스페인어, 아랍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 |
제43회 행정고등고시 시행계획 공고
1. 선발예정인원 : 180명
·행정직(일반행정) : 85명 ·행정직(법무행정) : 5명
·행정직(재 경) : 54명 ·행정직(국제통상) : 7명
·교 육 행 정 직 : 10명 ·사 회 복 지 직 : 3명
.교정직(교 정) : 5명 .보 호 관 찰 직 : 3명
·검 찰 사 무 직 : 5명 ·출입국관리직 : 3명
2.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제1차 - 선택형 필기시험, 제2차 - 논문형 필기시험)
----------------------------------------------------------------------------
(구 분) ( 시 험 과 목 )
----------------------------------------------------------------------------
일반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행정법, 행정학
행정 (2차) . 필수(4):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 선택(2): (제1선택)민법(신분법제외), 정보체계론,
조사방법론(통계분석제외)
(제2선택)정책학, 국제법, 도시및지방행정
----------------------------------------------------------------------------
법무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행정법, 민법(신분법제외)
행정 (2차) . 필수(4) : 행정법, 민법(신분법제외), 행정학, 민사소송법
. 선택(2) : (제1선택) 상법, 노동법, 세법
(제2선택) 사회법, 국제법, 경제학
----------------------------------------------------------------------------
재경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경제학, 재정학
(2차) . 필수(4) : 경제학, 재정학, 행정법, 행정학
. 선택(2) : (제1선택) 상법, 회계학, 경영학
(제2선택) 세법, 국제경제학, 통계학
----------------------------------------------------------------------------
국제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국제법(국제경제법포함), 국제경제학
통상 (2차) . 필수(5) : 국제법(국제경제법포함), 국제경제학, 행정법,
행정학, 영어
. 선택(1) : 경제학, 무역학, 재정학, 경영학, 국제정치학,
독어, 불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어, 서반아어
----------------------------------------------------------------------------
교육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행정법, 교육학
행정 (2차) . 필수(4) : 교육학,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 선택(2) : (제1선택) 조사방법론(통계분석제외), 재정학,
정책학
(제2선택) 교육철학, 교육심리학,
교육사회학(사회교육학포함)
----------------------------------------------------------------------------
사회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사회복지학, 사회학
복지 (2차) . 필수(4) : 사회복지학, 사회학, 행정법, 경제학
. 선택(2) : (제1선택) 조사방법론(통계분석제외),
사회심리학, 사회문제론
(제2선택) 사회법, 사회정책(사회복지정책포함),
행정학
----------------------------------------------------------------------------
교정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교정학, 형사소송법
(2차) . 필수(4) : 교정학, 형사소송법, 형법, 행정법
. 선택(1) : 교육학, 사회문제론, 심리학
----------------------------------------------------------------------------
보호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형법, 심리학
관찰 (2차) . 필수(4) : 형법, 심리학, 형사소송법, 사회사업학
. 선택(1) : 교정학, 교육학, 사회학
----------------------------------------------------------------------------
검찰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형법, 형사소송법
사무 (2차) . 필수(4) : 형법, 형사소송법, 행정법, 교정학
. 선택(1) : 행정학, 경제학, 노동법, 사회법,
민법(신분법제외), 회계학, 법의학
----------------------------------------------------------------------------
출입국 (1차) . 헌법, 영어, 한국사, 형사소송법, 국제법
관 리 (2차) . 필수(4) : 형사소송법, 국제법, 형법, 행정법
. 선택(2) : (제1선택) 행정학, 정치학, 경제학,
국제사법
(제2선택) 독어, 불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어,
서반아어, 아랍어, 말레-인도네시아어
----------------------------------------------------------------------------
※ 교정학의 출제범위는 형사정책 및 행형학을 포함함.
* 제3차 시험 : 면접시험
-----------------------------------------------------------------------------
3. 응시자격
가.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검찰사무직의 경우는 검찰청법 제50조)의 결격사유
가 없어야 하며(기준일 : 면접시험 최종일), 공무원임용시험령 등 관계
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을 정지당한 자는 응시할 수 없음.
나. 응 시 연 령
---------------------------------------------------------
| 응 시 연 령 | 기준일 | 해 당 생 년 월 일
---------------------------------------------------------
| 20세이상 33세이하 | 11. 10 | '65.11.11 ∼ '79.11.10
---------------------------------------------------------
※ 행정고등고시의 응시상한연령은 2000년 이후에는 32세로 하향조정됨.
다. 학력이나 경력은 제한 없음
4. 응시원서 접수기간 및 시험시행일정
가. 접수기간 : 1. 25(월) ∼ 1. 30(토)
나. 시험시행일정
------------------------------------------------------------------------
구 분 시험장소공고 시 험 일 자 합격자 발표
------------------------------------------------------------------------
제 1 차 시험 3. 9 3. 14 5. 1 ∼ 3
제 2 차 시험 5. 1 7. 8 ∼ 13 10. 23 ∼ 25
제 3 차 시험 10. 23 11. 9 ∼ 10 11. 18 ∼ 20
* 시험장소는 대한매일(구 서울신문)과 정부세종로청사 게시판에 공고하고,
합격자발표는 합격자 발표기간(초일 00:00 ∼ 말일 24:00) 동안에 음성
자동정보전화(02)700-1902번과 정부세종로청사 및 응시원서를 접수한 시·
도 게시판에 게시하며, 최종합격자에게는 개별적으로 통지함.
* 시험성적안내 일정은 합격자 발표일중 첫날에 대한매일(구 서울신문)과
정부세종로청사 게시판에 공고하며, 시험성적은 해당 기간동안 음성자동
정보전화(02)700-1909번을 통하여 알 수 있음.
5. 응시원서 교부 및 접수
가. 교부처
행정자치부(고시관리과), 서울특별시(지방공무원교육원), 광역시·도 및
시·군·구청
※ 원서접수기간중에는 원서접수처에서 교부함.
※ 공휴일을 제외하고 연중 교부하되 단체교부 및 우편교부는 하지 않음.
나. 접수처
행정자치부 응시원서 접수처(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구내),부산·대구·광주·
대전광역시청
※ 응시원서 접수지역에서만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다. 접수방법
접수기간내에 응시원서를 작성하여 접수처에 직접 제출하거나 등기로 우송
[서울지역 우편접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77-6 행정자치부 고시관리과
(우편번호: 110-760),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는 우편접수를 하지 않음]하되
우송할 때에는 응시원서 하단의 반신용 우편엽서에 우표를 붙이고 받는
사람의 주소,성명 및 우편번호등을 기재하여야 함(접수 마감일자의 우체국
소인분까지 유효함)
※ 응시원서는 단체접수를 하지 않으며, 우편접수시 OMR용 응시원서가 구겨
지거나 훼손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접수처에 직접 접수시키기 바람.
라. 제출서류
ㅇ응시원서 1통 : 응시원서 교부처에서 교부하는 소정용지
ㅇ사진 2매 : 응시원서 제출전 6개월 이내에 촬영한 동일원판의 탈모 상반신
사진(3.5cm x 4.5cm)2매를 응시원서 소정란에 붙임
* 합격후 동일원판 사진이 필요하므로 사진원판을 보관하여야 함.
ㅇ응시수수료 : 10,000원 상당의 정부수입인지(가까운 우체국에서 구입하기
바람)를 붙임.
6. 시험의 일부면제
행정고시의 제1차시험에 합격한 자 및 제3차시험(면접시험)에 불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다음회의 당해 시험에 한하여 제1차시험을 면제함.
다만, 제1차시험을 면제받고자 하는 경우에도 응시원서 접수기간내에 일부
면제사항을 기재하여 응시원서를 제출하여야 함.
7. 여성채용 목표제
가. 대상시험 : 행정고등고시, 외무고등고시, 7.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중 선발예정
인원이 10명이상인 시험단위(교정직·소년보호직·보호관찰직,
기술직은 제외함)
나. 채용목표 : 20%(시험실시단계별로 합격예정인원에 대한 목표율임, 인원수
계산시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함.)
다. 실시방법 : 여성합격자가 목표인원에 미달할 경우 하한성적 이상의 여성
중에서 성적순에 의하여 목표미달인원 만큼 합격예정인원을
초과하여 합격처리
[하한성적은 5급의 경우(합격선 -3점), 7·9급의 경우(합격선
-5점)임]
※ 여성채용목표인원에 미달하는 인원 만큼 여성을 추가 합격시키는 것
이므로 합격선에 든 남성을 탈락시키는 것은 아님.
8. 기타사항
ㅇ 고등고시 합격자중 현역 입영대상자는 육·해·공군의 장교로 입영혜택
(병역법 제59조)
ㅇ 국내대학.대학원 위탁교육 및 해외 유학·연수·파견기회
카페 게시글
행정고시(멋쟁이)
행정고시 시험과목
보리
추천 0
조회 4,896
11.01.27 16:09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