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비공개 입니다
31) 지노족 (基诺族) Jino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지누오족은 현유인구가 18,021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성 서장반납따이족자치주 경홍현 지노민족향에 집거해 있고 일부분이 경홍현 맹왕(孟旺), 맹양(孟養), 감람패(橄欖覇), 대도강(大渡崗)과 맹랍(孟臘)현의 상명(象明), 맹륜(孟侖) 등지에 분산되어운남의 지누어산에 살고 있고, 그로인해 지어진 이름이다.
윈난성 시쐉빤나(西雙版納)주의 지눠(基諾)산과 푸위엔(補遠)산에 살고 있다.
생 활 : 지노족이 집거한 지노산은 열대산지역에 속하며 토지가 비옥하고 강우량이 충족하다. 이곳은 이름난 차잎 생산지로서 국내외에서 유명한 6대 차잎 생산지이다. 지노족은 예로부터 농업을 위주로 생활해왔으며 벼, 면화, 옥수수가 그들의 전통농작물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누오족 사회발전이 매우 더딘 바 50년대 초기까지 여전히 원시사회말기로부터 계급사회로 과도하는 농촌공사단계에 처해있어 생산력수준이 매우 낮다. 그들은 보편적으로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자연을 숭상하고 선조를 숭상한다.
지누오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한다. 자체의 문자가 없기에 지난날 나무와 참대에 조각하는 것으로 일을 기재했다.
인구는 적은 민족이지만 '요우러(攸樂)', '푸위엔(補遠)'등 두 종류의 방언이 있다.
지눠(基諾)산 일대에서 사용하는 '요우러(攸樂)'방언이 주된 언어로서 90%정도의 인구가 이 언어를 사용한다. '푸위엔(補遠)'방언은 10%정도의 인구가 사용하는데, 두 방언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정도의 차이를 갖고 있다.
이 민족은 교육과정에서 자기 민족의 언어와 한어(漢語)를 함께 배우며 사용한다.
본래 문자는 없었고 1983년 라틴자모를 기초로 해서 병음법으로 만들어내긴 했으나 아직 정식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시험하는 단계에 있다.
지눠(基諾)족은 1979년 9월 중국 국무원으로부터 정식으로 인정받은 소수민족이다.
본래 자기들이 부르던 이름을 민족의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또 다른 이름은 '요우러(攸樂)'라고도 부른다. '지(基)'는 외삼촌이라는 의미이고, '눠(諾)'는 후대라는 의미가 있다. 이 말은 합쳐서 외삼촌을 매우 존중하는 민족이다라는 의미도 있다. 아무튼 이런 이름이 모계중심사회를 형성했었던 흔적을 보여주며, 또 그 시기가 길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민족의 역사는 몇 가지의 전설에 의해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문자로 정리된 것이 없기 때문에 어떤 것이 정사인지는 아직 아무도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고 인정받는 전설에 의하면 지눠(基諾)족의 조상이 거주하던 곳은 본래 '지눠(基諾)'산이 아니고, 지눠산 부근의 '쥬어지에(卓杰)'산의 산등성이었다.
차츰 환경에 의해 이주하여 거주하게 된 곳이 '지눠'산이고, 그 산을 '지눠'산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그들의 이름을 따라서 부르게 된 것이다.
지눠족은 혈연사회시기에 모계 중심적인 사회구조를 갖고 살았었고, 약 2-300년 전에 부계중심사회로 전환을 하였는데, 점차로 생산력의 발전함에 따라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자본주의의첫 계단에 발을 딛게 되었다.
중국의 중앙정부가 이 지눠(基諾)족을 통치하기 시작한 것은 청조(淸朝)시대 부터였는데, 직접 관을 세우고 병사를 파견하여 다스린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그렇지만 청(淸)정부가 따이(Dai)족 '투쓰(土司;세습추장)를 파견하여 다스린 시간은 길었고, '투쓰(土司)'는 매년 지눠족에게 일정한 양의 곡식을 바치도록 했다. 따라서 지눠족의 생활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남자의 상의는 꽃을 수놓은 천으로 소매가를 두른 깃이 없는 흰색의 마로 만든 옷을 입고, 하의는 흰색, 또는 푸른색의 긴바지를 입는다. 여자의 상의는 화려하게 수놓은 천으로 장식된 깃이 없는 옷을 입고, 하의는 붉은색으로 테를 두른 검은색 짧은치마로서 앞이 트여 있고, 겹쳐있는 형태이다. 근래에 들어서 긴 치마도 입고, 다리를 천이나 끈으로 두르기도 한다. 머리에는 흰색 두꺼운 마로 만든 피라미드 형태의 모자를 쓴다.
남자나 여자 모두가 귀에 구멍을 내는데, 구멍이 클수록 아름답다고 여긴다.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고, 찹쌀은 주로 손님을 접대할 때 사용한다. 채소들은 심어서 먹기도 하지만 야생식물들이 많아서 채소를 대신하기도 한다. 이들은 음식을 할 때 대부분 찧어서 만든다. 그래서 이들은 "한(漢)족은 볶아서 먹고, 따이(Dai)족은 양념을 찍어서 먹고, 지눠족은 찧어서 먹는다."고 말한다. 이들의 음식은 맵고, 짜고, 시게 먹는다.
지눠(基諾)족의 방은 대나무를 사용하고, 짚으로 지붕을 얹어서 2층으로 만든다. 사람이 거주하는 곳은 2층이고 1층은 사방의 벽이 없다.
1층에는 농기구 등을 놓아두거나 가축을 기르는 장소로 사용된다. 2층의 방은 여래 개를 만들어 노인, 부부, 자녀 등을 구분해서 사용하는데, 손님을 위한 방까지도 만든다.
지눠족이 거주하는 곳은 비교적 더운 기후이기 때문에 집을 짓는데 경제적인 부담이 그리 많은 것은 아니지만 집을 새로 짓게 되면 꼭 제사를 지내고 이웃들이 함께 축하하는 등 좋은 일로 여기고 즐겁게 지낸다.
32) 와족 (佤族) Va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351.980(1990). 와족은 주로 운남성 서남부의 서맹(西盟), 창원(滄源), 맹련(孟連),등 현에 집거해 있다.
와족지구는 란창강(瀾滄江)과 싸얼온강(薩爾溫江)사이 누산산맥남단지대에 있다. 산악이 험하고 평원이 아주 적다하여 아와산이라 부른다. 산구의 기후는 비교적 복잡하여 림목생산에 유리하다. 그리고 깊은 삼림에는 코끼리, 범, 곰, 산돼지 등 진귀한 야생동물들이 생활하고 있다.
분 포 : 윈난성의 창위엔(滄源)과 시멍(西盟)이 와(Wa)족의 주요 집거지(58%)이고, 멍리엔(盟連), 껑마(耿馬) 등지에도 분산되어 있다. 이들은 해발 1,000-1,500m, 또는 그 이상의 산에서 사는 산지(山地)민족이다.
와족은 농업을 위주로 하고 부분적인 수렵생활도 하였다. 이들은 또 술을 즐기는데 참대통을 술을 담는 용기로 쓰고 있다.
와족은 춤과 노래를 즐긴다. 이들은 늘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빙 둘러서 손에 손을 잡고 빙빙돌며 춤을 추면서 노래도 부른다.
운남의 서남부의 '아와산'에 살고 있어서 붙은 이름으로, '아와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와족 언어는 크게 3가지 방언이 있는데, 서로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
1. '와(Wa)' 방언
빤홍(班洪), 젼캉(鎭康) 등지에서 사용, 따이(Dai)족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뿌라오커(布饒克)' 방언
창위엔(滄源), 껑마(耿馬) 등지에서 사용, 한족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아와(阿Wa)' 방언
시멍(西盟), 멍리엔(盟連) 등지에서 사용하는 으로 '아와'산(山)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이들은 외부와의 교류가 적고, 본래의 전통문화와 언어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도시지역을 제외하고는 중국 보통어의 소통이 잘 되지 않는다. 다른 민족에 비해 보통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적다.
문자는 정부가 '뿌라오커(布饒克)' 방언을 기초로 해서 만들어 준 것과 1930년대 기독교 선교사가 만들어 준 것이 있는데, 후자는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만 사용되다가 기독교인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적어져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와족의 본래의 이름은 '바이푸(百Pu)"였다. 선진(先秦)시절부터 그렇게 불리웠다.
'바이푸'는 수(隋)나라시절부터 청(淸)나라에 이르기까지 점차로 발전하면서 뿌랑(布朗)족, 더앙(德昻)족, 와족으로 나뉘게 되었다.
오늘날의 와족은 더 나뉘어 3개의 커다란 집단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
1. 뿌라오커(布饒克)
란창(滄源), 껑마(耿馬), 쐉쟝(雙江) 일대에 살고 있으며 한족의 언어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아와(阿Wa)
시멍(西盟), 멍리엔(孟連)일대에 살며 와족의 언어와 문화특색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3. 와(Wa)
빤홍(班洪), 쪈캉(鎭康) 일대에 살고 있으며 따이(Dai)족의 언어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위의 3지계 외에도 빠아오커(巴敖克), 빠펀커(巴芬克), 아와(阿臥), 웨이푸(位弗)등이 더 있다.
남자나 여자나 지역마다 다른 복장을 하고, 지금은 전통복장과 일반 복장을 겸해서 입는다.
남자는 머리를 짧게 자르고 머리에 남색, 검은 색, 붉은 색, 흰색 등의 천으로 두른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옷을 입고, 바지는 넓고 짧은 바지를 입는다. 손에는 은팔찌를 귀에도 귀걸이를 대나무로 엮은 목걸이와 은목걸이를 하며 발에는 아무것도 신지 않는다.
외출시에는 어깨에 장식용 천을 두르고 긴칼과 사냥용 총, 활 등을 지니고 다닌다. 남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지 않고 다니면 용기 없는 사람으로 보여진다고 한다. 칼과 활, 총은 남자들의 용맹스러움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과거의 와족 남자들은 몸에 문신을 많이 했는데, 문신 기술은 族의 도움을 받았고, 문신의 모양은 주로 물소의 머리모양, 새, 산림 등이었는데, 이것은 이들의 자연숭배에 대한 것을 보여준다.
여자들은 머리를 자르지 않고 기르는데, 땋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길게 늘어뜨린다. 그리고 머리카락은 뒤로하여 늘어뜨리고 은이나 대나무로 만든 띠 같은 것을 두르고 검은 천으로 다시 두른다.
귀걸이와 목걸이를 은으로 만들어 하고, 다른 보석도 구할 수 있으면 겸해서 장식을 한다.
허리에도 대나무로 허리띠를 만들어 두르고 다리에는 대나무 등으로 감는다.
어깨 바로 아래의 팔 부분에도 은으로 가락지를 만들어 끼우고, 손가락에도 은가락지를 끼운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짧은 옷을 입고, 하의는 무릎을 덮지 않는 통치마를 입는다. 여자들도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도시지역이 아니고는 신을 신지 않는다.
지금은 일반적인 것은 아니나 와족의 여자들은 태어날 때부터 시작해서 매년 마다 허리나 다리에 대나무 등으로 띠를 하나씩 두른다. 그래서 그 수를 헤아려 보면 그 나이를 알 수 있는데, 이들에게는 나이의 개념보다는 장식의 의미가 더 있는 것이다.
와족의 주식은 쌀이고 옥수수와 콩류를 많이 먹는다. 또한 이들은 "매운 것이 없으면 밥이 맛이 없고, 소금이 없어도 역시 아무 맛이 없다"고 말한다. 그 매운 맛은 상상을 초월한다. 와족은 남방민족 중에서도 특별히 '삥랑(檳Lang)'을 즐겨 씹는 민족이다. 이들은 '삥랑'을 씹으면 이가 튼튼해진다고 믿고 있으며 이가 검은 색으로 변하는 것을 아름다움이라고 여긴다.
또한 '쉐이지우(水酒)를 즐겨마신다. 곡물로 만든 민족의 전통 술인데, 손님을 접대할 때 이 술이 없으면 안되며, 음료를 대신해서 마시기도 한다.
와족들의 마을은 대부분 산허리나 산 정상 부근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들은 400호 정도 되는 큰 마을도 있고, 30호 정도 되는 마을도 있다.
와족의 방은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한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초가집의 형태인데, 벽을 나무로 하거나 흙으로 해서 사면을 세우고 지붕에 짚 등으로 얹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따이(Dai)족의 영향을 받은 건축구조로서 대나무나 목재로 방을 만들되 2층으로 하고, 아래층에는 짐승들을 기르고, 사람은 윗층에 거주한다.
방을 주인방과 손님방으로 나누어 사용하며, 문을 3개(鬼門, 火門, 客門)를 내는데, '꾸이먼(鬼門) 밖으로 베란다 형식의 공간을 만들어서 곡식이나 옷가지를 말리기도 하며 여러 가지 물건을 쌓아두는 곳으로 사용한다. '훠먼(火門)은 평상시에 출입구로 사용하는 문으로 鬼門의 오른쪽에 있다. 鬼門의 왼편으로 '커먼(客門)이 있는데, 평상시에는 어린이들이나 손님의 잠자리로 사용되고, 집안에 초상이 났을 때는 있을 때에는 시신을 잠시 놓아두는 곳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와족들은 집을 지을 때 서로 도와서 짓고 다 지으면 주인집에 모여서 축하하며 지낸다.
기 타 : 검은색의 옷을 입고, 여자들은 검고 긴 머리를 아름다움으로 여겨서 긴 머리를 흔드는 춤이 유명하고, 남자는 칼춤이 유명하다. 대나무로 만든 집에서 살며, 굉장히 강인한 민족이다. 과거에는 소의 머리뼈를 집에 거는 것으로 부를 자랑했는데, 심지어 부자들은 따로 창고를 두어 소의 머리뼈를 장식하기도 했는데 많은 집은 500개 이상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와족의 민족 축제 라무구지에 : 라무구지에는 와족의 축제이다. 첫날밤 북을 만들기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산에 가서 나무를 구하여 힘을 모아 마을로 가져온다. 여자의 생식기를 의미하는 작은 구멍을 북위에 판다. 북이 만들어지면, 젊은 남녀들이 북을 북 집으로 옮긴다. 이때가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북 집에 안치가 되면 모두가 박자에 맞추어 북춤을 춘다.
33) 라후족 (拉祜族) Lahu ethnic minority group
운남의 서남부에 살고 있다. 라후족은 인구가 411,476명에 달하는데 주로 란창강 유역의 사모(思茅), 린창(臨滄) 및 씨놀반나따이족자치주, 홍하(紅河)하니족이족자치주에 분포됐다.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는데 20세기에 들어서 서방 선교사들이 라틴 자모를 기초로 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는데,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였고, 그 후에 다시 새로운 문자를 만들었다.
기 타 : 과거에 다이족의 지배를 받았었으므로 발전이 느린 편이었다. 라후족은 계절이 분명한 아열대산지역에 거주해 있으며 란창강지역에 군산이 둘러있어 자원이 풍부하고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라후족의 음악, 무용은 독특한 풍격과 농후한 생활특색이 있으며 구두문학형식이 다양하다.
- 중국의 인구조사가 1982년과 1990년에 있었는데, 1982년부터 1990년까지의 拉祜族의 인구증가율은 35.28%이다.
윈난성의 란창(瀾滄)현, 멍리엔(孟連)현 및 윈난성 서남쪽 변경지역(창위안(滄源), 시멍(西盟))에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 주로 산지에 거주하고 있다.
라후(拉祜)족은 중국이 아닌 동남아 국가에도 분포되어 있어 연구를 할 때에 참고 할 수 있다.
미얀마(80,000명), 태국(15,000명), 라오스(15,000명), 월남(6,000명) 등의 나라에도 라후족이 살고 있는데, 불리는 이름은 "머써", "카꾸이" 등이다.
라후(拉祜)어는 크게 등 2개의 방언(라후시(拉祜西), 라후나(拉祜納))으로 나누는데, 서로 통하지 않는 방언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중국 보통어와 따이(Dai)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1957년에 본래 있던 자모를 기초로 해서 새로 만든 문자가 있고, 기독교선교사들이 라틴 자모형식을 빌어 만든 것을 기초로 한 라틴어 병음문자도 있다.
자기들의 문자가 보급되지 못한 지역에서는 한자를 사용하지만 공공기관 정도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형편이다.
라후(拉祜)족의 선조는 고대의 챵런(羌人)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상에는 진(秦), 한(漢)나라 시절에 이(Yi)족과 함께 한 무리로 되어 있다가 당(唐)나라 때부터 분명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유목을 하던 라후족은 본래 지금보다 약간 북쪽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10세기 후에 따리(大理)바이(白)족이 윈난성 일대를 다스릴 무렵, 점점 동남쪽으로 이주하여 18세기에 이르러서 현재의 위치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주 후에 이들은 생활 수단으로 사냥을 주로한 관계로 '라후(拉祜;사냥하는 사람들)라고 불리게 되었다. 사냥하는 사람들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민족은 아직도 매 년초 3일 동안 활쏘기 대회를 연다.
라후(拉祜)족은 자칭 '라후(拉枯)', '라후나(拉枯納; 黑拉枯), '라후시(拉枯西; 黃拉枯)', '라후푸(拉枯普; 白拉枯) 등으로 불리다가 1950년 이후 정부의 관리하에 라후(拉祜)족으로 통일했다. 현재에도 자기들은 여러지계(支系)로 나누어서 구분하지만, 중국정부에서는 라후나(拉枯納), 라후시(拉枯西)등 두 개의 지계로 나누었다.
라후족은 한족, 따이족, 이족, 와족 등과 함께 섞여 살기도 하는데, 한족, 따이족과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현대적인 문화는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전통적인 문화는 따이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50년 이전 라후(拉祜)족의 사회경제는 란창(瀾滄)현동북부지역에서는 이미 봉건지주 경제 단계에 있었으나, 서남부지역은 봉건 토사영주제도(세습추장제)하에 생산이 낙후되고 일부 지역은 원시농업단계에 있었다.
현재는 농업 위주로 생활하고 있으며, 벼, 옥수수, 찻잎, 마 등 경제작물과 소나무, 삼나무, 녹나무 등의 경제적 목재가 있어 경제에 많은 보탬이 되고 있다.
도시 등 한족과 근접한 지역에선 경제가 비교적 활성화되었고, 최근 들어 공업도 발전되기 시작했으나, 산간지역은 아직도 수렵, 야생식물채집 등으로 살아가기도 한다.
이들은 경제적인 면이나 문화적인 면에서 그리 발달하지는 못했지만 인정이 넘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손님 접대하기를 즐겨하며 낯선 사람이 왔어도 적대시하거나 거리를 두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집으로 안내하고 식사대접도 한다.
라후족이 즐겨 다루는 악기로는 주로 '루셩(芦笙; 갈대로 만든 피리종류의 악기)', '싼시엔(san xian; 현이 세 개인 기타종류의 악기), 퉁소, 피리 등이 있다.
'루셩'은 라후족에게 가장 널리 보급된 악기로, 이를 가진 성년 남자들은 모두 취주를 할 수 있다. 새해가 되면 마을 도처에서 우아하고 아름다운 '루셩'을 연주하는 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이들게는 특별한 악기가 있는데, 이들에게는 나뭇잎이 아주 좋은 악기가 된다. 라후족들은 나뭇잎을 이용해서 노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새의 소리, 자연의 소리, 바람의 소리 등도 묘사해낸다.
젊은 청년들이 연애할 때 노래를 통해서도 하지만 때로는 나뭇잎을 부는 것으로 서로의 정을 주고받는 일도 있다. 그래서 일정한 나이가 되면 누구나가 다 나뭇잎 부는 것을 배운다.
남자는 이미 많은 마을들에서 전통복장을 찾아볼 수 없고, 절기 때에나 조금씩 보게 되는데, 대개 옷섶이 둥글고 깃이 짧은 적삼을 입고, 하의는 품이 넓고 큰 긴 바지를 입으며, 머리에는 검은 수건을 쓴다.
여자들은 옷솔기가 터진 긴 두루마기를 입는데, 옷깃 주위와 솔기가 터진 양쪽에는 모두 붉은색이나 파란색으로 몇 가지 무늬를 넣는다. 옷깃과 옷섶에는 은빛의 거품모양을 새긴다.
아래에는 검은색으로 긴 바지를 입고, 머리에는 검은천으로 된'빠오토우(包頭)'를 쓴다. 어떤 지역의 라후족은 중국전통 복장과 따이족 복장을 입기도 한다.
주식은 쌀이고, 부식으로 옥수수나 메밀을 먹는다.
라후족은 매운 것을 좋아하며 특히 고추를 즐겨 먹는데 매 끼니마다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들은 말하기를 "라후족에게 있어서 고추는 한족들에게 있어서 기름과 같다"고 한다.
이들은 음식을 먹을 때 가장이 먼저 밥을 뜨고 손님이 다음으로 뜬다. 그리고 나이순으로 가족들의 밥을 뜬다. 귀한 손님이 왔을 때에는 닭을 잡아서 닭죽을 끓여 손님을 접대하는데, 절대로 하얀 닭을 잡아서는 안된다. 만약 하얀 닭을 잡아서 손님을 대접하면 절교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차와 술을 즐겨 마시는데, 손님을 접대할 때에도 차와 술이 빠지지 않는다. 손님이 집에 왔을 경우 식사를 제대로 대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술은 꼭 대접한다. 그리고 이들은 술을 마실 경우 꼭 노래를 부르는 습관이 있다.
담배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즐겨 피우며, 자기들이 재배한 '란옌(藍烟)'이라는 담배를 사용하는데, 특별하고 진한 맛이 있어서라고 한다.
라후족의 방은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쟝로우팡(掌樓房)'이라고 부르는데, 2층으로 나누어서 위층에는 사람이 거주하고, 아래층에는 가축을 기르거나 장작 등을 쌓아두는 장소로 사용한다. 또 다른 하나는 '루어띠팡(落地房)'이라고 부르는데, 단층으로 지은 초가집이다.
대부분이 '쟝로우팡(掌樓房)'에 거주하고, 한족이나 따이족과 함께 살거나 이웃하여 사는 라후족들은 '루어띠팡(落地房)'에 거주한다.
집안의 구조는 '아코우(阿Kou)', '챠마띠타(揷馬底塔)', '지타(吉塔)'등 3부분으로 나누는데, '아코우'는 침실이고, '챠마띠타'는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놓는 창고에 해당하며, '지타'는 베란다형태로서 빨래 등을 말리고 하는 장소이다.
라후(拉祜)족은 비교적 자유롭게 이성교제를 하며, 부모가 결혼에 간섭하는 일도 적다. 그렇지만 다른 민족과 통혼하는 경우는 아주 적다. 어떤 지역에서는 동성과 근친의 결혼도 금하고 있다.
라후족의 남자가 결혼할 연령에 이르면 결혼할 대상을 자신이 찾는다. 대상을 찾는 방법은 구혼가(求婚歌)를 불러서 찾는다. 만약 청년이 연애할 대상을 찾게 되면 이들은 강가나 숲 속에서 사랑의 노래를 부르며 사랑을 다져간다. 서로의 사랑이 깊어지게 되면 서로 선물을 교환하면서 서약을 한다. 이때 이들의 서약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서약을 한 후에 어느 한쪽에서 위반하는 경우 모든 마을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기 때문에 서약하기 전에 신중하게 생각한다.
서로간의 애정이 확인된 후, 남자 편에서 중매인에게 선물을 들려서 여자의 집으로 보내 결혼을 의논한다. 일반적으로 여자의 부모들은 남자의 가정에 대해 묻고 크게 문제가 없는 경우는 반대하지 않는다.
여자의 부모들이 결혼에 동의했을 경우 중매인은 갖고 온 선물을 여자의 부모에게 전한다.
중매인을 통해서 결혼이 확정되면 여자가 남자의 집에 가서 결혼식을 하고, 몇일이 지난 후 여자의 집에 가서 3년을 지낸다. 3년 후에는 일반적으로 독립을 하고, 적게는 다시 남자의 집으로 간다.
라후(拉祜)족은 조상숭배를 하는 민족이기 때문에 장례를 매우 중요시한다. 전통적으로 화장(火葬)을 하고, 일부는 토장(土葬)을 한다.
사람이 죽은 후 출상하기 전에 '모빠(磨八; 무당)'를 불러다가 혼을 부르는 일을 한다. 혼을 부를 때에는 밥 한 그릇, 약간의 소금, 두 자루의 촛불을 켜놓고 기도를 한다.
기도가 끝난 후에는 두 여인이 횃불을 켜서 출상(死者)을 인도하여 장지까지 간다. 이 때 장례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다 참예한다.
장례를 마친 후에 장례에 참가했던 모든 사람들이 각각 자기가 먹을 쌀을 한 그릇씩 갖고 상가로 가서 함께 밥을 해 먹는다.
라후(拉祜)족의 주된 종교는 만물에 영이 있다는 정령신앙과 다신숭배의 원시종교이고, 대승불교 및 소수의 기독교와 천주교를 믿는 사람들도 있다.
라후족이 믿는 다신 중에 가장 큰 신은 '어샤(厄霞)'인데, 이는 수호신으로서 우주와 인류를 창조하였으며, 만물의 주재이고,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주관하는 신이라고 믿는다.
대승불교는 청나라 초기에 拉祜族 사회에 전해졌는데, 전래되는 과정은 정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단 불교가 전해진 후에는 종교로 인해 한족과의 교류가 더욱 많아지면서 많은 선진 문화와 농사법을 받아들여 拉祜族 사회가 발전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불교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갖고 있으며 환영하는 편이다.
기독교는 20세기 초 미얀마를 통해 선교사가 들어와서 당시에는 복음이 왕성하게 전해졌었고, 현재 약 5만 명의 신자가 있다고 하기도 하나 정확한 통계가 어려운 형편이다.
기독교가 전래될 때 기독교를 통해서 짐승을 죽여 제사하는 습관 등 일부 낙후된 문화가 바뀌었고, 자유결혼, 일부일처제 등의 풍습이 새롭게 형성되었다.
- 개고기 먹는 것을 절대로 금한다. 그 이유는 자기들의 조상이 개의 젖을 먹고 자라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개가 오곡의 종자를 사람들에게 전해주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개를 때리거나 죽이는 것을 절대로 금하며, 오히려 귀하게 여긴다.
- 마을의 주변에 있는 나무들을 베거나 꺾으면 안된다. 마을 주변의 나무들은 마을의 상징이자 마을을 보호해주며 평안과 화평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신령이기 때문이다.
- 손님이 라후족의 집을 방문했을 때, 주인이 식사를 하거나 술을 마시고 있으면 손님이 식사를 했건 안했건, 또는 술을 마실 줄 알건 모르건 상관없이 반드시 주인과 함께 식사를 하거나 술을 마셔야 한다.
또 식사를 할 때, 주인이 닭을 대접하면 주동적으로 닭의 머리를 먹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주인이 닭의 머리를 집어다가 손님의 밥에 놓는데, 사양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어서는 절대 안된다.
- 만약 해가 바뀔 때 라후족 지역을 방문한다면 미리 알아두어야 할 금기가 있다. 라후족은 음력 12월 말이 되면 마을의 입구들을 봉쇄한다. 마을로 향하는 모든 길에 상징적으로 장애물을 놓아 외부인이 마을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정월 초하루에는 칼을 사용하는 것을 금하고, 동물이나 초목을 상하는 것도 금하며, 외출하는 것도 금한다. 손님들도 이 때는 외출을 할 수 없다. 특히 여자가 외출을 하거나 다른 집을 방문하는 것은 더욱 엄격하게 금한다.
쿼타지에(擴塔節)(음력 1월 1일)
이 절기는 음력설로 활동이 9일 동안 진행된다. 9일은 계속되는 날이 아니고 세 기간으로 나누어서 지낸다(1기: 1일부터 4일, 2기: 8, 9일, 3기: 13일부터 15일).
특이한 것은 명절이 되면 떡을 해먹는데, 떡을 농기구 위에 올려놓는 습관이 있다. 이것은 농기구들이 농사를 위해 함께 수고했기 때문에 명절의 즐거움도 함께 나누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초하루 첫닭이 운 다음 남녀 청년들이 샘으로 달려간다. 그 이유는 첫날 가장 먼저 샘물을 긷는 사람은 1년 동안 재난과 화를 피할 수 있다고 전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첫날에는 모든 사람이 외출을 하지 않는다. 둘째 날부터 먹을 것과 선물을 들고 친척집을 찾아다니며 새해인사를 하고 셋째 날부터는 '루셩(芦笙)'을 불면서 춤을 추고, 민족 활동을 즐긴다.
아이우(哀牢)산에 사는 라후족은 매해 정월 3일에 '지양션(祭羊神)'을 크게 지낸다. 이날은 모든 마을의 남자들이 사냥도구를 갖고 산으로 가서 사냥한 것을 가지고 '양션(羊神)'에게 제사를 지낸다.
'양션'은 마을의 뒤에 있는 삼림 속에서 풍수학적으로 위치가 가장 좋은 곳에 있는 한 크고 빛나는 돌을 일컫는다.
'양션'에게 제사를 드리는 것은 마을과 가정, 그리고 개인에게 평안을 가져다주고 병과 재난으로부터 보호해달라는 기원을 하는 것이다.
훠바지에(火把節)(음력 6월 24일)
음력 6월 24일에 지내는 것은 다른 민족들과 동일한데, 절기를 지내는 방법과 이유가 다르다.
전설에 의하면 하늘의 '어싸(厄薩)'가 매해 음력 6월 24일에 인간들에게 자신을 향해서 제물을 바칠 것을 요구하는데, '짜누짜비에(紫努紫別)'가 라후(拉祜)족사람들을 이끌고 '농사짓는 수고를 하지 않았으면 먹지 않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말하면서 厄薩에게 아무것도 바치지 않았다. 노한 '어싸(厄薩)'는 태양과 달을 모두 감추어 버렸다.
7일동안 해도 달도 없자 캄캄한 가운데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농사를 지을 수도 없고, 수확할 수도 없게 되자 '짜누짜비에(紫努紫別)'가 '쏭밍(松明; 관솔불)과 밀납을 소의 뿔에 묶어서 대지를 밝혔다. 사람들은 이 불 아래에서 농사도 짓고 모든 일을 할 수가 있게 되어 결국은 '어싸'를 이긴 결과가 되었다.
그래서 라후족은 매년 6월 24일 밤이 되면 '짜누짜비에'를 기념하기 위해서 집집마다 '쏭밍(松明)'이나 밀납으로 촛불을 만들어서 불을 밝히고 닭을 잡는다.
신미지에(新米節)
이 절기는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시기에 진행되는데, 정해진 날짜가 없고, 어떤 집에서 먼저 수확을 하면 먼저 절기를 지낸다.
이 절기에는 꼭 새로 나온 곡물로 음식을 하고 새 과일들을 먹는데, 먼저 신과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낸 후에 먹는다. 술과 음식을 풍성하게 차려 먹으면서 그 해의 수확에 대해 이야기하며 노래하고 춤추고 즐기는 축제이다.
빠위에위에위안지에(八月月圓節)(음력 8월 15일)
음력 8월 15일 저녁에 자신들이 농사를 지은 곡식과 과일들 중에서 제일 좋은 것으로 골라서 달에게 제사를 지내는 절기이다. 이들이 이렇게 하는 것은 달이 인간을 위해서 농사를 짓도록 여러 절기를 적합하게 구분하여 주기 때문이다.
이 절기를 지낼 때 달이 떠오를 무렵, 모든 가정에서는 준비한 과일과 곡식을 작은 탁자 위에 배열해 마을 뒷산(전문적으로 제사를 지내는 산)으로 가서 달에게 제사를 지낸다.
이때 준비하는 제물에서 배는 꼭 있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배가 젊은 남녀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날짜가 시작되었다는 상징이기 때문이다.
제사가 끝난 후에는 전 마을의 모든 사람들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둥글게 원을 그리고 서서 '루셩(芦笙)'을 불며 춤을 추고 풍성한 수확을 축하하며 즐긴다.
* 쿤밍(昆明) - 쓰마오(思茅)
- 버스편: 대략16시간
* 쓰마오(思茅) - 목적지
- 시멍(西盟), 란창(瀾滄), 멍리엔(孟連), 징구(景谷), 젼위안(鎭沅), 쐉쟝(雙江), 린창(臨滄)등으로 가는 버스로 갈아탐
* 인구 : 인구 7475명을 갖고 있는 먼빠족은 주로 서장묵탈(墨脫)현과 착나(錯那)현에 집거하고 있다. 먼빠족은 세계의 지붕으로 불리우는 히말라야산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데 원시삼림이 밀집돼 있다. 새차게 흐르는 얄룽장보강은 림지와 묵탈일대남단을 흐르고 있어 비옥한 하곡지대가 형성되었으며 기온이 온화하고 우량이 풍부하여 4계절이 푸르르다. 그리하여 “청장고원의 강남”으로 불리우고 있다.
오랜시기 먼빠족은 히말라야산구에서 생활하면서 장족인민들과 내왕해왔기 때문에 정치, 경제, 문화, 종교 등 면에서 장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언어와 문자 : 먼빠어는 한장어계장면어족장어지(漢藏語系藏緬語族藏語支)에 속한다. 문자는 없고 장어와 장문이 통용된다. 보편적으로 불교를 신앙한다. 장력(藏歷)원단은 먼빠족들의 중요한 명절이다.
기 타 : 먼빠족은 일찍부터 히말라야산에서 살아왔다. 주요 거주지가 두 곳이 있으므로 언어도 두 가지 방언이 있다. 농업과 축목업에 종사해 왔고, 옥수수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35) 장족 (藏族)
중국의 소수민족 중 가장 크고 중요한 민족중의 하나이며, 서장과 청해성에 주로 위치하여 있다. 그 외에도 운남, 사천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언어와 문자 : 한 장語계 장면어족(漢藏語系 藏綿語族). 일반적으로 세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자는 7세기에 창제되었다. 장족은 자기의 언어와 문자가 있는데 10세기로부터 16세기까지는 장족문화의 흥성기였다.
기 타 : 장족의 의학은 이미 1600년이 넘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장족은 중국 고유의 민족의 하나로서 서장고원에 거주하는 사람은 유목과 수렵, 목축업을 주로 하는데 면양, 산양과 털소 등을 기르고 있다. 그 중 털소는 짐을 메고 우유, 육류를 공급하는 외 교통운수에도 널리 쓰인다. 주요 농작물은 밀, 유채, 완두 등이 있다.
장족의 복장은 오늘까지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어 부동한 지역에서 부동한 양식의 옷을 볼 수가 있다.
장족은 열정적이고 명랑하며 시원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들은 노래와 춤을 즐기며 자유로운 생활을 하고 있다.
종 교 : 과거에는 '불교'를 믿었고, 현재 대다수의 장족이 라마교를 믿고 있다. 기원 7세기 불교가 인도로부터 서장으로 전해왔는데 지금까지 130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부다라궁은 중국 현재 제일 완전한 고대건축물로서 서장의 라싸중심에 우뚝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