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절기와 세시풍속 - 선림원 절기학교
청명 淸明
24절기 중 다섯번째 절기, 하늘이 맑아지고 산천초목이 푸르러지는 시기
오동나무 꽃이 피고, 종달새가 울며, 무지개가 처음 보인다.
《 청명(淸明)의 유래 》
청명(淸明)은 24절기 중 다섯번째 절기(節氣).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들며, 태양이 황경 15° 위치에 왔을 때로, 음력 3월 양력 4월 5일경으로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한식과 같은 날이어서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매일반”이라는 속담이 생겨나기도 했다. 대부분 4월 5일 식목일과 겹치게 된다. 농가에서는 청명을 기하여서 농번기가 시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바쁜 시기이다.
《 청명(淸明) 절기의 특징 》
청명(淸明) 한식(寒食)에는 조상 무덤을 보수하고 성묘하는 시기로 여긴다. 한식(寒食)은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설날 · 단오 ·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에 해당한다. 지역적으로는 한반도 북쪽지역이 남쪽지역에 비해 한식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사람들은 한식을 냉절 또는 숙식이라고도 불렀다.
《 청명(淸明)의 풍습 》
가래질 / 청명(淸明) 무렵에는 논밭둑의 손질을 하는 가래질을 시작한다. 다음 절기 곡우(穀雨) 무렵 못자리판을 만들어야 하므로 청명 · 곡우 무렵이면 서둘러 일꾼을 구하고 일년 농사의 계획을 세워 부지런히 움직였다.
사화(賜火) / 《동국세시기》청명조(淸明條)에 “대궐에서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고 임금은 이 불을 정승, 판서, 문무백관과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주는데 이를 "사화(賜火)"라 한다.
한식(寒食) / 수령들은 한식(寒食)에 다시 새 불, 신화(新火)를 백성에게 나누어주게 되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寒食)이라는 말이 유래되었다. 온 백성이 임금이 내린 새 불을 씀으로써 하나로 결속되는 겨레의 의미를 되살리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청명절(淸明節)에는 아침에는 바람이 없다가 오후가 되면 바람이 비로소 일기 시작하는데, 오후에는 불을 쓰지 않는것이 옳다" 하였다. 또한 봄(春)에는 느릅나무(楡)로 버드나무(柳)를 비벼서 불을 얻고, 여름(夏)에는 대추나무(棗)로 은행나무(杏)를 비벼서 불을 얻으며, 가을(秋)에는 갈참나무(柞)로 느릅나무(楡)을 비벼서 불을 얻으며, 겨울(冬)에는 느티나무(槐)로 박달나무(檀)를 비벼서 불을 얻는다 하였다.
불은 꺼지기 쉬운 것이어서 뱀이나 닭껍질로 만들어 습기나 바람에 강한 불씨통(장화통, 藏火筒)에 담아 팔도로 보냈는데 불이 꺼지지 않도록 은행이나 목화씨앗 태운 재에 묻어 운반했다. 최남선(崔南善)은 한식의 풍속을 고대의 종교적 의미로 해석하여, 해마다 봄에 신화(新火)를 만들어 구화(舊火)를 금지하던 예속(禮俗)에서 나온 것으로 보았다.
《 청명(淸明)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 》
春三月此謂發陳天地俱生萬物以榮夜臥早起廣步於庭被髮緩形以使志生生而勿殺予而勿奪賞而勿罰此春氣之應養生之道也逆之則傷肝夏爲寒變奉長者少
봄철 3달은 발진(發陳) 이라고 한다. 천지 간에 생기가 다 발동하여 만물이 소생하고 번영한다. 이때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뜰을 거닐며 머리를 풀고 몸을 편안하게 늦추어 주며 마음을 유쾌하게 하며 생겨나는 만물에대해서는 그 생장을 도와주고 죽이지는 말며 주기는 하면서 빼앗지는 말며 상은 주되 벌은 주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봄철에 맞게 양생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거역하면 간(肝)을 상하고 여름에 가서 철이 아닌 추위가 와서 자라게 하는힘[奉長]이 적어진다. _ 『동의보감(東醫寶鑑)』
《 청명(淸明) 절기 음식 》
진달래화전 · 청명주 · 쑥버무리 · 두릅숙회 / 청명(淸明)의 대표적인 절기음식으로는 "진달래화전" 이 있다. 청명절(淸明節)에는 전국에 분홍빛의 진달래가 곱게 피어나는데 찹쌀로 빚은 "청명주(淸明酒)"와 진달래화전, 어리고 부드러운 쑥으로 만든 "쑥버무리" 와 봉긋하게 올라온 두릅 새순을 데쳐서 절기식(節氣食)으로 먹었다.

생활속의 선도수행 - "청명" 절기수행 - 봄철 생활선도
24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법은,
절기에 따른 올바른 섭생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봄은 오행(五行) 중 목(木)에 해당하는데, 목(木)은 성장하는 기운이 강하다. 목(木)은 오장 중 간(肝)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신맛이므로, 봄철 겨울 내내 얼어붙었던 땅을 뚫고 솟아나는 봄나물을 먹는 것은 목기(木氣)를 보충하여 원기를 회복하는 의미를 갖는다. 봄철의 산야초는 자연의 에너지가 충만한 보약이라 하겠다. 봄철 첫 절기 입춘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은 겨울이 지나고 새봄이 오는 이치와 같은데, 겨울을 이겨내고 솟아나는 새싹과 같이 밤에는 일찍 잠자리에 들어 추위 속에서 활동함을 피하고, 아침에는 겨울보다 조금 일찍 일어나 몸과 마음을 가벼이 즐겁게 하여 산보를 하는 것이 좋다. 봄은 목(木)의 기운이요, 목는 성장의 기운이라. 마치 어린아이가 성장하는 것과 같고 새순이 돋아 따스한 햇살아래 푸르게 성장하는 것과 같고, 나무가 하늘을 향해 자라나는 것과 같다. 자연의 섭리가 이러할진대, 사람 또한 자연의 섭리대로 사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절기수행이다. 음력 3월에 드는 청명 절기는 나무를 심고 가꾸며, 묘목과 모종을 심어 늦추위와 건조로부터 보살핀다. 선교에서는 음력 3월 3일 창교절의 제천의식을 봉행하기에 앞서 입산수련하여 정화와 재계를 마치고, 선교창교절 "신성회복대법회"와 "천지인합일 선교포덕교화"를 위해 대중 포선(布宣)에 정진하며, 선풍(仙風)을 숭상하는 청정수행으로 선교신앙의 향기가 세상에 널리 전해지기를 기원한다. 선제들의 선풍은 일심정회하는 수행의지의 발현이며 교화선의 향기이다.
_ 선교총림선림원 취정원사님 『생활선도 이야기』 중 발췌. *저작권관련, 무단사용을 금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청명절기를 맞이하여,
선교에서는 봄의 절기가 주관하는 간(肝)을 건강하게 하는 "절기체조"와 "선도공법" 수련으로 이어집니다.
#선림원 #절기학교 블로그 바로가기 >> https://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선교 #仙敎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seongyo.kr/

[작성 :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seongyokorea@hanmail.net
첫댓글 일심정회합니다...()
일심정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