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준서
차혜원. (2008). 명조(明朝)와 유구(琉球)간 책봉(冊封) 조공(朝貢)외교의 실체 -만력년간(萬曆年間)(1573-1620), 명조의 유구(琉球)정책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54(0), 129-160.
- 안지우 14. 윤윤상 27. 박건우
허경진. (2017). 조선 사신과 영국 사신이 기록한 건륭제 탄신 축하 사행의 시선 비교. 동아인문학, 38, 189-220.
3.이정렬 9. 박다연
김진웅. (2013). 조공제도에 대한 서구학계의 해석 검토. 역사교육논집, 50(0), 409-432.
- 이지연, 5. 장문혁
차혜원. (2010). 열하사절단이 체험한 18세기 말의 국제질서. 역사비평,, 329-353.
- 공유진
계승범(Kye, Seung-Bum). (2012). 임진왜란 중 조명관계의 실상과 조공책봉관계의 본질. 한국사학사학보, 25(), 117-145.
- 권승현
윤영인. (2018). 전근대 동아시아 천하체계와 조공체제. 동양문화연구, 29(0), 133-158.
- 김다은 17. 김민찬
이승우. (2005). 근대 조공책봉질서 붕괴에 대한 중국의 대응. 중국과 중국학, 3, 48-57.
- 박지수
김종수. (2014). 한국의 의례 문화; 조선시대 사신연(使臣宴) 의례의 변천-중국 사신에게 베푼 연향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38(0), 69-119.
- 박해주
丁炯先 韓国医療制度改革の争点と課題 日本福祉大学社会福祉学部 『日本福祉大学社会福祉論集』第 134 号 2016 年 3 月
- 예진
박준형. (2019). 고조선의 대외관계사 연구를 위한 새로운 모색 -조공책봉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95), 5-32, 10.37331/JKAH.2019.09.95.5
- 원서연 31. 이유미
구선희. (2005). 19세기 후반 조선사회와 전통적 조공관계의 성격. 사학연구,(80), 151-189.
- 이상민
조병한. (1998). 淸代 중기 부정부패의 구조와 제국의 쇠퇴. 한국사 시민강좌, 22, 176-202.
- 정선우
Changing Definitions of Sovereignty in Nineteenth-Century East Asia: Japan and Korea
Between China and the West
Author(s): Seo-Hyun Park
Source: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 MAY–AUGUST 2013, Vol. 13, No. 2,
- 김예인
이은경 「18세기 조선과 류큐(琉球)의 궁중연향에 관한 연구 -영조 「입경연향(入)」과 상경(敬)
「중추연(中秋)」의 사신연을 중심으로-」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학위논문, 2011년
- 김찬오
홍성화 (2019). 청말(淸末) 베트남 사태에 관한 인식과 대응. 명청사연구, 52(0), 461-503.
- 이수아
전세영. (2011). 명대(明代) 중국의 조선관(朝鮮觀) 연구. 21세기정치학회보, 21(1), 1-22.
- 이원준 조선왕조의 사대주의와 21세기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 -계승범 저, ≪조선시대해외파병과 한중관계≫(푸른역사, 2009)
- 정혜원
김기효(Kim, Ki-hyo). (2021). 10~12세기 조공·책봉체제의 실태와 변용에 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 78(), 111-145. 10.18347/hufshis.2021.78.111
- 홍지원
남궁곤. (1999). 동아시아 평화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3(3), 219-240.
- 고원
清末大韩帝国驻清公使馆考论
[韩] 孙成旭
( 北京大学 历史学系,北京 100871 北京社会科学 2015 年第 4 期
- 신세라
홍성구. (2022). 두 조선 사행의 외교 활동과 명의 대응 - 1627년의 김상헌과 1637년의 김육 -. 대구사학, 148(0), 183-214. 10.17751/DHR.148.183
- 박성재
계승범. (2012). 조선의 18세기와 탈중화 문제. 역사학보, 213, 71-96.
- 도현준
정동준. (2023). 북위와 고구려의 사례를 통해 본 책봉의 의미. 한국사연구,(202), 37-76, 10.31791/JKH.2023.9.202.37
- 김주찬
김기섭. (2017). 4~5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백제의 외교정책. 백제문화, 56(0), 271-295.
- 오천융
清代朝鲜使团贸易制度述略
———中朝朝贡贸易研究之一
刘 为 2002年12月
第12卷 第4期
- 임유태
김종복. (2011). 8세기 발해·일본간의 사신 왕래와 외교 현안. 고구려발해연구, 41, 185-204.
- 최준영
정용화. (2006). 조선의 조공체제 인식과 활용.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7(2), 5-31.